KR101941881B1 -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881B1
KR101941881B1 KR1020110113780A KR20110113780A KR101941881B1 KR 101941881 B1 KR101941881 B1 KR 101941881B1 KR 1020110113780 A KR1020110113780 A KR 1020110113780A KR 20110113780 A KR20110113780 A KR 20110113780A KR 101941881 B1 KR101941881 B1 KR 10194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ultraviolet
powd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886A (ko
Inventor
김영현
이종석
박창훈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1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8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레이형이면서도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분체 뭉침 현상을 에스테르계 오일과 실리콘오일 알코올의 적절한 조합비로 해결하여 조성물 내에 무기자외선차단제 함량을 늘림으로써, 스프레이형의 장점인 넓은 부위에 효과적인 사용, 쿨링감, 강력한 내수성, 우수한 분사력을 확보하면서도 레포츠용으로 사용 가능한,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pray type Sun Screening Cosmetic composition by Inorganic UV Filter}
본 발명은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분체, 색소, 분사제 등이 포함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여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가짐과 동시에, 분사력이 우수하고 넓은 부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쿨링감을 주는 바디 전용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형의 자외선 차단제품은 내용물이 미세한 분무 형태로 분사되어 넓은 면적의 피부에 쉽게 펴바를 수 있어 주로 바디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파우더 뭉침에 의한 밸브 막힘으로 분사력에 문제가 있어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사용이 제한되었고,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자외선 차단 부스터로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나 필름포머, 실리카 같은 파우더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올리려는 노력을 많이 해왔으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 만큼 자외선 차단지수가 높지 못했고 설사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밸브 막힘으로 많은 양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는 못해 스프레이형으로 일반 크림이나 로션 타입처럼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은 기대하기 힘들었다.
국내특허출원 제2004-00172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의 장점인 넓은 부위에 쉽게 발리고 쿨링감을 주고 강력한 내수성을 지니면서 분자력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50 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 알코올 성분 1내지 30중량%; 오일 성분 10 내지 20 중량%; 및 분체 성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지수 SPF 50 이상, 자외선A 차단등급 PA+++를 유지하면서도 넓은 부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쿨링감을 주면서 강력한 내수성과 우수한 분사력을 제공하여 여름철 야외에서 레포츠용으로 사용이 적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기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 이상,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프레이형이라 넓은 부위도 손쉽게 바를 수 있는 장점을 유지 하면서도 자외선 차단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트리플 플러스(PA+++)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공을 위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스프레이 제형에 사용 안정화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SPF 50 이상, 자외선A 차단등급을 PA+++로 확보하였다. 이와 더불어,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과 알코올의 적절히 조합하여 파우더의 뭉침이 없이 분사가 안정된 스프레이 제형을 만들었으며 강력한 내수성을 가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만들었다. 특히 알킬벤조에이트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에탄올의 적절한 조합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 파우더 성분이 뭉치지 않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스프레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때까지 안정된 분사력을 확보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알킬벤조에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에탄올의 비율이 1.5:1:1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형이 가장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SPF)가 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 (PA)이 트리플 플러스(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형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알코올 성분, 오일 성분 및 분체 성분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50 중량%; 무기 자외선 차단제 1 내지 20 중량%; 알코올 성분 5 내지 30중량%; 오일 성분 10 내지 50 중량%; 및 분체 성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트리아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시드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40 중량% 내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형 안정도를 위해 40% 이내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코올 성분은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탄올 중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코올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제형 안정도를 위해 30% 이내가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일은 스쿠알란 또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또는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카스터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호호바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사이클로 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내에 무기자외선차단제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분체 뭉침 현상을 에스테르계 오일과 실리콘오일 알코올의 적절한 조합비로 해결할 수 있으며, 에스테르계오일: 실리콘오일: 알코올 성분의 비가 5~35 :5~25: 5~25 중량% 의 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분체는 폴리스티렌분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분체, 폴리에틸렌분체, 나일론분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분체 및 실리콘분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안정도를 위해 10% 이내가 좋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및 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이때, 실시예는 자외선 차단지수 SPF 50 이상, 자외선A 차단등급 트리플 플러스(PA+++)를 확보하기 위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고정하였고 끈적임 방지를 위해 분체를 고정하였다. 그리고 알코올과 오일을 다양한 비율로 비교 실험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비교예는 같은 자외선 차단제 성분을 사용한 일반 크림 타입으로 만들어 스프레이형과 비교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자외선 B 차단지수(SPF)가 50 이상일 것.
2. 자외선A 차단등급(PA)이 트리플 플러스(PA+++)일 것.
[참고예]
하기 표 1의 구성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2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조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고 비교예 1은 일반 크림 타입으로 동일한 자외선 차단 원료를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SPF 50+/PA+++ 로 맞춘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제조를 위해 알코올과 오일 분체 등의 조성을 변화시켜 자외선 차단 지수, 끈적임, 분사력을 최적화하는 처방이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비율로, 유기자외선차단제와 유상 성분을 80℃에서 용해 시켜 동일상으로 만든 후 에탄올, 무기자외선차단제 및 분체를 차례로 첨가 후 교반하여 유중분체 분산형 유화물을 제조한 후 유화물:LPG(조성비 프로판:부탄=30:70 wt%)=65:35 wt%로 캔에 충진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 1 비교예2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4.5 4.5 4.5 4.5 4.5 4.5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7.0
옥토크릴렌 7.0 7.0 7.0 7.0 7.0 7.0
호모살레이트 7.0 7.0 7.0 7.0 7.0 7.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5.0 5.0 5.0 5.0 5.0 5.0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 시페닐트리아진 6.0 6.0 6.0 6.0 6.0 6.0
오조케라이트 - - - - 5.0 -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 - - - 5.0 -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7.0 7.0 7.0 7.0 - 7.0
C12-15알킬벤조에이트 15.0 15.0 10.0 9.5 - 1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0 10.0 15.0 10.0 - 10.0
에탄올 9.5 9.5 9.5 15.0 - 9.5
사이클로펜타실록산/트리에칠사이트레이트/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 - - 5.0 -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 - - - 1.0 -
정제수 - - - - TO 100 -
글리세린 - - - - 5.0 -
C12-15알킬벤조에이트*티타늄옥사이드*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알루미나 20.0 20.0 20.0 20.0 20.0 -
실리카*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2.0 - 2.0 2.0 - 2.0
[시험예 1]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 자외선A 차단등급(PA) 측정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는 투명 플라스틱 테이프(Transpore Tape ; 3M, USA)를 준비된 캐스트(cast)에 부착시킨 후 화장료 조성물을 시료 2mg/cm2 로 도포한 후, UV 측정기(SPF 290 Analyzer)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고, 자외선A 차단 등급 PA의 측정은 광원으로 300W xenon arc lamp가 장착된 인공자외선 방출기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Solar Light사, 미국)를 사용하였고, 3D UV meter(Solar Light사, 미국)를 이용하여 광 세기를 측정하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 SPF와 자외선A 차단 등급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SPF 52.8±2.3 50.8±2.5 51.5±3.6 50.6±3.5 51.6±2.5 32.8±2.4
PA +++ +++ +++ +++ +++ ++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값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 자외선 차단 지수가 SPF 50과 PA+++을 충족시키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백탁 감소 효과 측정
조성물의 백탁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백탁 현상을 잘 확인할 수 있는 검정색의 인조 피혁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를 각각 0.07g씩 균일하게 도포한 후, 1분이 지난 다음 색차계를 이용하여 명도값을 측정하였다. 명도값이 높을수록 백탁 현상이 발생이 되는 것으로, 명도값의 차이가 1 이상 되면 백탁 현상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명도값 15 14 16 15 17 5
표 3에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비교예 1인 일반 크림 타입에 비해 실시예 1~4 스프레이형이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무기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는 백탁이 현저히 적었다.
[시험예 3] 번들거림의 원인이 되는 광택 감소 효과
조성물의 광택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광택을 잘 확인할 수 있는 검정색의 인조 피혁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를 각각 0.07g씩 균일하게 도포한 후, 1분이 지난 다음 광택기(GARDNER: MICRO-TRI-GLOSS)를 이용하여 광택값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광택지수(각도 60도) 22 25 23 21 20 24
표 4의 결과로부터, 분체가 없는 실시예 2가 특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번들거림이 높게 측정되었으나,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2보다 본원발명인 실시예 1, 3 및 4의 번들거림 정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시험예 4] 사용감 만족도
25 내지 45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에 대한 분사력, 쿨링감, 끈적임 등 전반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2는 스프레이형으로 팔이나 다리 등 바디 부위에 부려서 손으로 펴 바르도록 하였으며, 비교예 1은 손을 이용하여 얼굴 안면 부위에 바르도록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감(만족도) 5 3 4 3 5 4
(평가기준) 매우나쁨: 1, 나쁨: 2, 보통: 3, 좋음: 4, 매우좋음: 5
표 5에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분체가 함유되지 않은 실시예 2는 끈적임이 심했고, C12-15알킬벤조에이트가 상대적으로 적은 실시예 4는 제형이 분리가 일어나 내용물 분사가 일정하지 않아 만족도가 낮게 나왔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은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에 무기자외선차단제를 함유하여 자외선차단지수를 SPF 50+ PA+++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기존의 스프레이형의 장점을 그대로 살려 야외에서 수상 레포츠 용으로 바디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외에도 본 발명인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오일, 알코올 및 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10 내지 40 중량%;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1 내지 20 중량%; 상기 알코올을 5 내지 30 중량%; 상기 오일을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분체를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지수가 SPF 50 이상이고, 자외선 A차단등급이 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에칠헥실트리아존,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시드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 또는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C12-15 알킬벤조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또는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카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호호바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사이클로 메치콘 또는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폴리스티렌 분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분체, 폴리에틸렌 분체, 나일론 분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분체 및 실리콘 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6.5 내지 40 중량%;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1 내지 20 중량%; 상기 알코올을 5 내지 30 중량%; 상기 오일을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분체를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6.5 중량%;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20 중량%; 상기 알코올을 9.5 내지 15 중량%; 상기 오일을 16.5 내지 22 중량%; 및 상기 분체를 2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36.5 중량%;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20 중량%; 상기 알코올을 9.5 중량%; 상기 오일을 17 내지 22 중량%; 및 상기 분체를 2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13780A 2011-11-03 2011-11-03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780A KR101941881B1 (ko) 2011-11-03 2011-11-03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780A KR101941881B1 (ko) 2011-11-03 2011-11-03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86A KR20130048886A (ko) 2013-05-13
KR101941881B1 true KR101941881B1 (ko) 2019-01-25

Family

ID=4865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780A KR101941881B1 (ko) 2011-11-03 2011-11-03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9047A (zh) * 2017-08-24 2017-12-29 山西医科大学 一种含TiO2的防晒纳米乳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23B1 (ko) 2014-01-28 2021-05-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835B1 (ko) * 2018-04-27 2019-04-26 정인선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3635B1 (ko) 2018-07-23 2020-02-06 주식회사 초이스엔텍 에탄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8228B1 (ko) * 2019-05-20 2021-06-24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9509A (ko)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지에스켐 직선 분사용 젤 타입의 에어로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19912B1 (ko) 2022-01-19 2022-07-13 박혜랑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524749B1 (ko) * 2022-06-17 2023-04-24 (주)엔비인터내셔널코리아 스프레이형 무스 타입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4706A (ja) 2003-01-20 2004-08-12 Shiseido Co Ltd 噴霧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749893B1 (ko) 2007-04-02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4245831B2 (ja) * 2001-09-28 2009-04-02 花王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65B1 (ko) * 2002-12-31 2008-06-09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의 미세 유분산액 및 이를 함유하는외용제 조성물
KR100610353B1 (ko) 2004-01-20 2006-08-09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무선 자주기
KR101134804B1 (ko) * 2005-12-27 2012-04-13 (주)아모레퍼시픽 분산형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5831B2 (ja) * 2001-09-28 2009-04-02 花王株式会社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04224706A (ja) 2003-01-20 2004-08-12 Shiseido Co Ltd 噴霧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749893B1 (ko) 2007-04-02 2007-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02866B1 (ko) * 2008-05-23 2010-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9047A (zh) * 2017-08-24 2017-12-29 山西医科大学 一种含TiO2的防晒纳米乳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86A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881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U2008281460B2 (en) Continuous spray sunscreen compositions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1857B1 (ko)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10274632A1 (en) Sunscreen Cosmetic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0958A (ko) 향상된 높은 차단성의 방수성 선스크린 조성물
CN107530256A (zh) 局部用防晒乳剂
KR100749893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N104114143A (zh) 用于防护皮肤对抗uv射线的化妆品套装
KR102322440B1 (ko) 내수성이 있는 무스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573A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0884480B1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054884B1 (ko) 고형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3635B1 (ko) 에탄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6344A (ko)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935255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무스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6889A (ko)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19912B1 (ko)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