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889A -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889A
KR20120116889A KR1020120038704A KR20120038704A KR20120116889A KR 20120116889 A KR20120116889 A KR 20120116889A KR 1020120038704 A KR1020120038704 A KR 1020120038704A KR 20120038704 A KR20120038704 A KR 20120038704A KR 20120116889 A KR20120116889 A KR 2012011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ron oxide
tissue
composition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스킨
Publication of KR2012011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8Papers containing cosmetic powder or other powdery toiletry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 효과를 동시에 갖는 티슈 또는 부직포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화장용 조성물을 혼합하여, 광범위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별도의 화장을 하지 않고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사용감이 뛰어나고 편리한 자외선 차단 및 화장 티슈에 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티슈를 개별포장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하였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Tissue comprising composition for preventing ultraviolet rays and for making up, and disposable tussue product pack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효과와 색조화장 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용 티슈 및 이를 포함한 일회용 티슈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서, 240~280nm의 파장은 UV-C, 280~320nm의 파장은 UV-B, 320-400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역학 연구로 일광 노출과 인체 피부암의 강력한 관계가 증명되어 있으며 더욱 자세히 DeSimone, “Sunscreen and Suntan Products”,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7th Ed., Chapter 26, pp499-511(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1982)에서 논의되었다. 특히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붕괴로 자외선의 지표 도달량이 증가함으로써 노화촉진, 피부주름의 형성, 돌연변이 유발 및 암 유발 등 자외선에 의한 인체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생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자극 문제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광 노출 및 상기 언급된 위험의 결과로서, 태양광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제품 시장에서 일반 대중의 관심은 상당히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sun protection factor)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시장에 나와 있다(KR10-1997-0021820A 참조).
자외선 차단 지수라고 하는, SPF는 자외선B(UVB)의 차단효과를 표시하는 단위로서, 자외선량이 1일 때, SPF15 차단제를 바르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의 양이 15분의 1로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SPF는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기능이 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PF는 자외선 차단제품을 바르지 않은 피부의 MED와 자외선 차단제품을 바른 피부의 MED의 비율로 평가한다. 여기서, MED(minimal erythma dosage)는 홍반을 일으키는 최소 자외선량(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자외선 차단 지수인 PA는 자외선A(UVA) 차단지수를 의미하며, PA의 지수는 PA+, PA++, PA+++로 표시하며, '+'가 많을수록 차단효과가 뛰어나다.
현재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유기 자외선 흡수제, 무기 자외선 산란제가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특히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파라메톡시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등은 빛의 반사가 없고 사용이 용이하고 적은 양으로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므로 유기 자외선 흡수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기자외선 산란제로서는,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이 사용되고 있다(약사관련 법규집, 채동규 참조).
이러한, 유기자외선 흡수제와 무기자외선 산란제를 배합한 로션이나 크림제가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션이나 크림제는 일정한 용기에 수납되어 있어, 휴대가 불편하고, 사용시 손가락 등에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적용하게 되므로, 사용 후 제제가 손가락 등에 잔류하여 로션이나 크림 성분이 땀 등으로 인해 끈적거리게 될 가능성이 있어,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중수형(W/O)형 자외선 자단체는 땀에 대한 내구성은 우수하지만, 제품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거리며, 미끈거리는 감촉을 나타내어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적용할 경우 대부분의 제제에 함유된 무기안료에 의하여 피부에 적용한 후 일정시간동안 백탁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는데 상대적으로 긴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백색을 띄고 있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후, 외출시에 별도의 화장을 하여야 하며, 이렇게 화장을 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제가 지워지거나, 화장용 조성물과 혼합되어 화장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색조화장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높은 보습력이 있는, 티슈 및 부직포에 흡착된 상태로 이용가능한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개발하였다.
KR10-1997-0021820A(청구항 1 및 초록)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며, 자외선 차단 효과와 화장효과를 겸비한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편리하고 야외에서 간편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상기 티슈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내구성을 갖는 티슈지에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는,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는 차외선 차단 조성물 및 색조화장품 조성물을 흡수, 유지시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담지하는 티슈 기재로는 부직포 또는 내구성이 있는 티슈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 또는 티슈지는 피부자극이 거의 없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레이온 소재를 이용하여 스펀레이스 공법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온 소재는 감촉이 부드러워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품을 흡수시켜 사용하기에 적당하며 폐기시 대기 중에서 완전히 생분해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휴대용 자외선 차단제에 특히 적당하다. 레이온 소재를 이용하여 스펀레이스 공법으로 제조할 경우 고압의 물만을 이용하고 화합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피부자극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마른 상태나 젖은 상태에서 보푸라기 발생도 적다. 부직포 이외에도 내구성을 갖는 펄프제의 티슈지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땀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갖는 물질 1종 이상과,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정제수, 피부연화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과 같은 기타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로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3,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연화제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피이지-10디메치콘, 카프릴릴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네랄오일,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올류, 천연보습인자 및 세라마이드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표면에서 수분증발을 지체시키는 물질인 수분차단제(skin-conditioning agents-occlusive)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부제로는 메칠파라벤, 페녹시에탄올,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류 및 살리실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킬레이트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 에틸렌디아민테트라 초산나트륨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방향제로는 멘톨 등의 천연향 및 합성향이 각각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0.1 ~ 16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 1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0.1 ~ 1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0.1 ~ 1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0.1 ~ 14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 14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0.1 ~ 14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0.1 ~ 14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1 ~ 14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 10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8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 8중량%, 미네랄오일 3 ~ 8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 5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1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0.1 ~ 2중량%, 황색산화철 0.1 ~ 0.4중량%, 메칠파라벤 0.1 ~ 0.4중량%, 페녹시에탄올 0.1 ~ 0.4중량%, 향료 0.01 ~ 0.3중량%, 적색산화철 0.01 ~ 0.2중량%, 블랙산화철 0.01 ~ 0.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 0.1중량%, 멘톨 0.01 ~ 0.04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징크옥사이드는 2 ~ 13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 10중량%이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펜타실록산은 2 ~ 8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 6중량%이다. 또한, 상기 피이지-10디메치콘은 2 ~ 8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6중량%이다. 또한, 상기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는 2 ~ 8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 6중량%이다.
또한,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는 2 ~ 12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 ~ 10중량%이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는 1 ~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중량%이다. 또한, 상기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1 ~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중량%이다. 또한, 상기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1 ~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중량%이다. 또한, 상기 카프릴릴글라이콜 1 ~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중량%이다.
또한, 상기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는 4 ~ 6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이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은 4 ~ 6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이다. 또한, 상기 미네랄오일은 4 ~ 6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중량%이다. 또한,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이다. 또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20은 1.2 ~ 2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이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는 1.1 ~ 1.9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이다. 또한, 상기 메칠파라벤은 0.15 ~ 0.25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중량%이다. 또한, 상기 페녹시에탄올은 0.15 ~ 0.25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중량%이다. 또한, 상기 향료는 0.1 ~ 0.2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이다. 또한,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3 ~ 0.08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중량%이다. 또한, 상기 멘톨은 0.02 ~ 0.03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중량%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서, 화장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색조화장용 조성물로 혼합된 산화철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색조화장용 조성물로는 타르 색소와 산화철 색소 등이 있다. 타르 색소는 다양한 색감을 낼 수 있어 많이 이용되나, 인체에 독성이 있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신체의 제한적인 부위에 이용되고 있다. 산화철은 색상의 종류가 한정적이어서 이용의 제한이 있으나, 비교적 안정하여 다양한 신체부위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산화철은 제조법 및 제조온도에 따라 적색에서부터 황색, 갈색, 자색, 흑색 등의 다양한 성질을 띠게 된다. 그러나, 생성되는 온도에 따라 입자의 크기, 결정격자의 안정성 등 표면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메이크업 제형 내에서 색상별로 각기 다른 분산 효율을 나타낸다. 즉, 제형에 사용된 오일 및 왁스 종류에 따라 색소 분산이 고르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산화철 자체로는 화장료로서 응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한국인의 피부톤과 가장 적절한 색을 제조하기 위하여, 화장품 원료의 성질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 및 비율로의 혼합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한국인의 피부톤과 가장 유사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이 및 흑색산화철이 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황색산화철은 0.2 ~ 0.3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4중량%이다. 또한, 상기 적색산화철은 0.05 ~ 0.15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0중량%이다. 또한, 상기 블랙산화철은 0.04 ~ 0.12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8중량%이다.
티슈나 부직포내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함량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의 함량에 따라서, 자외선 차단 효과 및 색상감 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외선 차단제인 징크옥사이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및 티타늄디옥사이드의 함량에 따라 SPF 지수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함량에 따라 UV-B 차단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그러나, 함량이 높아질수록 도포감 및 사용감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도 4 및 표 7 참조). 따라서, 단순히 많은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할 경우 도포감이나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특정 함량 및 함량비에서 우수한 차단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2, 표 3 및 표 5 참조).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 외에 해수를 티슈나 부직포내에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는 해양심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양심층수는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는 수심 200M 아래에 존재하며, 항상 섭씨 2도 이하를 유지하며, 무기염양염류가 매우 풍부하고 유기물이나 병원균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해양심층수는 피부 보습력 및 사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해양심층수의 함량은 색조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2 ~ 20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 15중량%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 ~ 12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해양심층수의 함량에 따라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의 보습력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및 표 6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해양심층수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보습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해양심층수가 함유될 경우 오히려 자외선 차단 효과, 색상감 및 사용감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색조화장용 조성물 및 해수 외에 자외선 차단효과 증진 및 피부 보호를 위하여, 고삼추출물, 쑥추출물 및 고량강추출물을 티슈나 부직포내에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고삼(Sophora angustifolia)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고삼추출물은 항염증 작용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고삼추출물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진시키고, 사용감 및 피부보호를 위하여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에 0.05 ~ 0.1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삼추출물은 0.05 ~ 0.5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 0.2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쑥(Artemisia princeps)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쑥추출물은 면역강화효과 및 항균효과,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쑥추출물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진시키고, 사용감 및 피부보호를 위하여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에 0.05 ~ 0.1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쑥추출물은 0.05 ~ 0.5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 0.2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은 생강과의 식물로서, 고량강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항염, 항주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복통, 구토 및 설사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고량강추출물은 자외선 차단효과를 증진시키고, 사용감 및 피부보호를 위하여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에 0.05 ~ 0.15중량%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량강추출물은 0.05 ~ 0.5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 0.2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한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티슈의 경우에는 도포감 및 사용감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및 표 7 참조). 그러나, 도포감 및 사용감뿐만 아니라, UV-B 차단 효과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의 함유여부에 따라 유의적으로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고(표 2 참조), UV-A 차단 효과도 상기 추출물을 함유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티슈나 부직포에 흡착되어 사용하면서도, 높은 자외선 차단 지수를 유지하고 사용감 및 도포감을 증진시키고, 색상감을 높여 별도의 화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우수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화장 조성물을 함유한 티슈는,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고 휴대가 편리하며, 야외에서 간편하게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뛰어날 뿐 아니라, 별도의 화장을 하지 않고도 잡티나 주근깨를 가릴 수 있는 화장 효과가 있어, 피부미용에 많은 관심이 있는 소비자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B in vivo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A in vivo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보습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문 패널에 의한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및 화장용 조성물에 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제조예 1>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
유상 성분과 계면활성제를 [표 1]에 나타난 중량비로 혼합하고, 80℃로 가온 교반하여 균일하게 만들었다. 별도의 믹서에 수상 성분을 [표 1]에 나타난 중량비로 혼합하고 80℃로 가온 교반시키면서 완전히 용해시켜 놓았다.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수상 성분을 유상에 천천히 투입시키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rpm으로 유화시켰다. 이때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철은 유상 성분에 투입하여 용해 후 유화하였다. 50℃까지 냉각한 후 향 및 피부 보호 성분 등 기타 성분을 [표 1]에 나타난 중량비로 투입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1500rpm으로 2차 유화한 후 35℃까지 냉각하여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때, 해양심층수((주)강원심층수)는 600M이하의 해수를 사용하였으며, 고삼추출물, 쑥추출물 및, 고량강추출물은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자외선 차단 및 화장용 조성물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유상
징크옥사이드 - 5 10 8 9 9 9 9 9
(~19)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 2 2 2 2 2 2 2 2
(~19)
피이지-10디메치콘 3 3 3 3 3 3 3 3 3
(~19)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5 5 5 5 5 5 5 5 5
(~19)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8 7 6 7.5 7.5 7.5 7.5 7.5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 6 6 5 5 5 5 5 5
미네랄 오일 5 5 5 5 5 5 5 5 5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 3 3 3 3 3 3 3 3
폴리소르베이트20 1.6 1.6 1.6 1.6 1.6 1.6 1.6 1.6 1.6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1.5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황색산화철 - 0.1 0.26 0.40 0.20 0.24 0.24 0.24 0.24
적색산화철 - 0.1 0.12 0.30 0.15 0.10 0.10 0.10 0.10
블랙산화철 - 0.1 0.10 0.20 0.15 0.08 0.08 0.08 0.08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해양심층수 - - - - - 5 - 15 10
티타늄디옥사이드 - 2 5 4 4.5 4.5 4.5 4.5 4.5
(~14)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3.5 3.5 3.5 3.5 3.5 3.5 3.5 3.5 3.5
(~14)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3 3 3 3 3 3 3 3 3
(~14)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3 3 3 3 3 3 3 3 3
(~14)
카프릴릴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10 10 10
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5 5 5 5
메칠파라벤 0.1 0.1 0.2
고삼추출물 - - - - - - 0.1 0.1 0.1
쑥추출물 - - - - - - 0.1 0.1 0.1
고량강추출물 - - - - - - 0.1 0.1 0.1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기타 페녹시에탄올 0.2 0.2 0.2 0.2 0.2 0.2 0.2 0.2 0.2
향료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멘톨 0.2 0.2 0.2 0.2 0.2 0.2 0.2 0.2 0.2
< 제조예 2>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함유 티슈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10g을 스펀레이스 공법으로 제조된 100% 레이온 소재 부직포(SONTARATM 듀폰사제: 200mm X 150mm)에 스프레이하여 자외선 차단용 티슈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자외선 차단 및 화장 조성물 함유 티슈의 포장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티슈 2장을 멸균조건하에서, 외측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막과 내측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막이 형성된, 3면이 실링된 알루미늄재 포장지에 넣은 후, 나머지 한 면을 실링하여 일회용으로 제품화하였다.
또한, 상기 일회용으로 포장된 자외선 차단 및 화장 조성물 함유 티슈 10개를 박스에 넣어 포장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함유 티슈의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
< 실험예 1-1> UV -B 차단 효과
<1-1-1> UV -B in vitro 실험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in vitro)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효과(이하 "SPF"라 한다)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in vitro방법으로 SPF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8의 화장료 조성물을 시료로 하여 표면굴곡이 피부표면과 유사한 TransporeTMTape를 사용하였다.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압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수술용 장갑을 사용하여 시료를 동일하게 2 mg/cm2로 도포하였다. 도포 15분후에 SPF 290(Optometrics, 미국)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PF 290 분석기는 광원으로 Multiport Solar UV Simulator(Solar Light사, 미국)를 검출기로는 UVB probe를 장착한 Radiometer(International Light사, 미국)를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3.7×10W/cm2의 광세기로, 자외선에 노출후 피부가 붉어진 후에 검게되는 피부타입 III의 최소 홍반량에 해당하는 광량인 45mJ/cm2까지 도달하는 시간(t)을 측정하였다.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SPF 5 28 33 31 32 34 37 38 38
<1-1-2> UV -B in vivo 실험
실시예 5의 자외선 차단 티슈의 차단효과(in vivo)를 측정하였다(화장품법 제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자외선차단효과측정방법 및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2001-64호 참조).
신체 건강한 21-40세의 광과민성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남녀 10명을 피험자로 선발하였다. 선발 기준은 Fitzpatrick의 피부유형 분류 기준표에 따라, 항상 쉽게(매우 심하게) 붉어지고, 거의 검게 되지 않는 I형, 쉽게(심하게) 붉어지고, 약간 검게되는 II형, 보통으로 붉어지고, 중간 정도로 검게되는 III형 속하는 인원에서 선발하였다. 또한, 임신 또는 수유중이거나, 민감성, 과민성, 아토피성 피부를 지닌 사람은 제외하였다. 또한, 조사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등 피부 외적 소견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인공광원으로 300W xenon arc lamp를 장착한 인공 자외선 방출기(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 Solar Light, USA)로 6개의 광유도기(light guide)를 통하여 각각 직경 0.8㎝ 크기의 원형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며 각 광유도기의 자외선 세기를 조절하였다. 또한, 색선별 거울(Dichroic mirror)를 사용하여 290~400nm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자외선 이외의 파장을 일부 차단하였고, UG11 필터를 사용하여 재차 290nm~400nm의 파장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을 제거하였다. 또한, 290nm 이하의 파장은 WG320 필터 및 UG5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또한, 광 세기는 PMA2103 UVB 검출기(Solar Light, USA)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압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수술용 장갑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등 부위에 시료를 2 mg/cm2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시료가 충분히 피부에 흡수되고, 시료 내 휘발성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15분 이상 상온에서 공기 중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등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효율적인 실험을 위하여, 방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고정시키고 시간을 조절하여 조사되는 광량을 조정하였다. 광량 조사 후 16시간 이후에 최소 홍반량을 판정하였다.
여기서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 MED)은 자외선 비조사 부위에 비하여 육안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 홍반을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자외선 최소량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UV-B 자외선 차단지수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UV-B 자외선 차단지수의 각 개인의 평균값의 결과는 <표 3>과 같다.
피험자 무도포 MED 시료의 MED 시료의 SPF
피험자1 29.0 795.7 27.4
피험자2 24.0 822.5 34.3
피험자3 29.0 795.7 27.4
피험자4 19.6 577.5 29.5
피험자5 29.0 928.4 32.0
피험자6 19.6 624.0 31.8
피험자7 24.0 705.3 29.4
피험자8 24.0 653.2 27.2
피험자9 29.0 859.3 29.6
피험자10 24.0 822.5 34.3
평균 25.1 30.3
표준편차 3.7 2.7
< 실험예 1-2> UV -A 차단 효과
<1-2-1> UV -A in vivo 실험
실시예 5의 자외선 차단 티슈의 차단효과를 측정하였다(화장품법 제4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자외선차단효과측정방법 및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 2001-64호 참조).
신체 건강한 21-40세의 광과민성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남녀 10명을 피험자로 선발하였다. 선발 기준은 Fitzpatrick의 피부유형 분류 기준표에 따라, 쉽게(심하게) 붉어지고, 약간 검게되는 II형, 보통으로 붉어지고, 중간 정도로 검게되는 III형, 그다지 붉어지지 않고, 쉽게 검어지는 IV형에 속하는 인원에서 선발하였다.
인공광원으로 300W xenon arc lamp를 장착한 인공 자외선 방출기(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 Solar Light, USA)로 6개의 광유도기를 통하여 각각 직경 0.8㎝ 크기의 원형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며 각 광유도기의 자외선 세기를 조절하였다. 또한, 색선별거울을 사용하여 290~400nm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취함으로써 자외선 이외의 파장을 일부 차단하였고, UG11 필터를 사용하여 재차 290nm~400nm의 파장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을 제거하였다. 또한, 290nm 이하의 파장은 WG335 필터를 이용하여 UVB 및 UVC 영역의 파장을 제거하였다. 또한, 광세기는 PMA2113 UVB 검출기(Solar Light, USA)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압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수술용 장갑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등 부위에 시료를 2mg/cm2로 도포하였다. 도포된 시료가 충분히 피부에 흡수되고, 시료내 휘발성 성분을 휘발시키기 위해 15분 이상 상온에서 공기중에서 건조시켰다. 그후, 피검자의 최소 흑화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등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으며, 효율적인 실험을 위하여, 방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고정시키고 시간을 조절하여 조사되는 광량을 조정하였다. 광량 조사 후 16시간 이후에 최소 흑화량을 판정하였다.
여기서 최소 흑화량(Minimal persistant pigment darkening : MPPD)은 자외선 비조사 부위에 비하여 육안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는 흑화 상태를 유발시키는데 필요한 자외선 최소량으로서, 이를 이용하여 UV-A 자외선 차단지수(protection factor of UV-A : PFA)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공식에 따라 각 피험자 별 자외선 A 차단지수(PFA)를 산출하고, 10명의 평균값으로 시료의 자외선 A 차단지수를 결정하였다.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자외선 A 차단지수는 자외선 A 차단지수 계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자외선 A 차단지수(PFA) 값의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로 표시하였다. 그 값이 2이상 이면 다음 등급표와 같이 자외선 A 차단등급을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3
UV-A 자외선 차단지수의 각 개인의 평균값의 결과 및 PFA값은 표 5과 같다.
피험자 무도포 MPPD(J/cm 2 ) 시료의 MPPD(J/cm 2 ) 자외선 A 차단지수 시료의 PFA
피험자1 9.75 39.94 4.10 PA++
피험자2 17.73 108.19 6.10 PA++
피험자3 17.73 88.66 5.00 PA++
피험자4 9.75 59.49 6.10 PA++
피험자5 11.90 48.74 4.10 PA++
피험자6 9.75 39.94 4.10 PA++
피험자7 11.90 59.49 5.00 PA++
피험자8 9.75 48.75 5.00 PA++
피험자9 9.75 59.49 6.10 PA++
피험자10 9.75 48.75 5.00 PA++
평균 11.78 5.06 PA++
표준편차 3.26 0.82
< 실험예 2> 피부 보습력 측정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인체 하박 좌우를 비누로 씻은 후, 항온항습 조건(20±2, 상대습도 40±2℃)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하박 내측면 좌우에 7X5㎠의 직사각형으로 6개의 시험부위를 정하였고,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전기용량(capacitance)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후, 7개의 시험부위에 실시예 5에서 얻어진 시료를 2 ㎎/㎠ 도포하였다.
도포 6시간 후, 코네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전기용량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이때도, 항온항습조건에서 적응 기간을 거쳤다. 3회 반복 측정한 전기용량의 평균값을 구한 후, 이를 수분량으로 하였다. 도포 전의 초기 수분량과 무도포 부위의 수분량을 보정하여 수분 증감율을 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료의 보습력을 판단하였다.
Figure pat00004
- Tdi = 시료 도포 부위의 n번째 측정값
- Td0 = 시료 도포 부위의 before 측정값
- NTdi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n번째 측정값
- NTd0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before 측정값
본 수식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표 6>과 같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피부보습력 (%) 15 20 24 22 22 38 26 53 50
< 실험예 3> 전문 패널에 의한 평가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8를 사용하고 난 후의 도포감, 색상감, 및 사용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사용한 후에 도포감, 색상감, 및 사용감 표현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각 항목에 대하여 제품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1~5점(숫자가 클수록 만족도 높음)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만족도(평균값)
도포감 색상감 사용감
비교예 4.2 1.5 4.2
실시예1 3.4 2.7 3.6
실시예 2 3.1 4.2 3.2
실시예 3 3.5 2.5 3.6
실시예 4 3.4 3.8 3.8
실시예 5 4.1 4.4 4.0
실시예 6 3.8 4.2 4.2
실시예 7 4.2 4.4 4.4
실시예 8 4.2 4.6 4.5

Claims (15)

  1. 부직포 또는 내구성을 갖는 티슈지에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0.1 ~ 16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 1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0.1 ~ 1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0.1 ~ 1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0.1 ~ 14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 14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0.1 ~ 14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0.1 ~ 14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1 ~ 14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 10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8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 8중량%, 미네랄오일 3 ~ 8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 5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1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0.1 ~ 2중량%, 황색산화철 0.1 ~ 0.4중량%, 메칠파라벤 0.1 ~ 0.4중량%, 페녹시에탄올 0.1 ~ 0.4중량%, 향료 0.01 ~ 0.3중량%, 적색산화철 0.01 ~ 0.2중량%, 블랙산화철 0.01 ~ 0.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 0.1중량%, 멘톨 0.01 ~ 0.04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2 ~ 13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 ~ 8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2 ~ 8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2 ~ 8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2 ~ 12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1 ~ 10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1 ~ 10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1 ~ 10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1 ~ 10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6 ~ 10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 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4 ~ 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4 ~ 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4 ~ 10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2 ~ 6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2 ~ 6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2 ~ 6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2 ~ 6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또는 내구성을 갖는 티슈지는 추가적으로 해수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는 해양심층수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0.1 ~ 16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 1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0.1 ~ 1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0.1 ~ 1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0.1 ~ 14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 14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0.1 ~ 14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0.1 ~ 14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1 ~ 14중량%, 해양심층수 2 ~ 20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 10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8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 8중량%, 미네랄오일 3 ~ 8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 5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1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0.1 ~ 2중량%, 황색산화철 0.1 ~ 0.4중량%, 메칠파라벤 0.1 ~ 0.4중량%, 페녹시에탄올 0.1 ~ 0.4중량%, 향료 0.01 ~ 0.3중량%, 적색산화철 0.01 ~ 0.2중량%, 블랙산화철 0.01 ~ 0.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 0.1중량%, 멘톨 0.01 ~ 0.04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2 ~ 13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 ~ 8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2 ~ 8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2 ~ 8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2 ~ 12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1 ~ 10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1 ~ 10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1 ~ 10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1 ~ 10중량%, 해양심층수 5 ~ 15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6 ~ 10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 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4 ~ 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4 ~ 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4 ~ 10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2 ~ 6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2 ~ 6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2 ~ 6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2 ~ 6중량%, 해양심층수 8 ~ 12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또는 내구성을 갖는 티슈지는 추가적으로 고삼추출물, 쑥추출물 및 고량강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0.1 ~ 16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 1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0.1 ~ 1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0.1 ~ 1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0.1 ~ 14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 14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0.1 ~ 14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0.1 ~ 14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1 ~ 14중량%, 해양심층수 2 ~ 20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 10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3 ~ 8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3 ~ 8중량%, 미네랄오일 3 ~ 8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 ~ 5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1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0.1 ~ 2중량%, 황색산화철 0.1 ~ 0.4중량%, 메칠파라벤 0.1 ~ 0.4중량%, 페녹시에탄올 0.1 ~ 0.4중량%, 향료 0.01 ~ 0.3중량%, 적색산화철 0.01 ~ 0.2중량%, 블랙산화철 0.01 ~ 0.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 0.1중량%, 멘톨 0.01 ~ 0.15중량%, 고삼추출물 0.05 ~ 0.15중량%, 쑥추출물 0.05 ~ 0.15중량%, 고량강추출물 0.05 ~ 0.1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2 ~ 13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 ~ 8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2 ~ 8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2 ~ 8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2 ~ 12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1 ~ 10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1 ~ 10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1 ~ 10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1 ~ 10중량%, 해양심층수 5 ~ 15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고삼추출물 0.05 ~ 0.5중량%, 쑥추출물 0.05 ~ 0.5중량%, 고량강추출물 0.05 ~ 0.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과 색조화장용 조성물은 징크옥사이드 6 ~ 10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 ~ 6중량%, 피이지-10디메치콘 4 ~ 6중량%, 디메치콘/메치콘코폴리머 4 ~ 6중량%, 티나늄디옥사이드 4 ~ 10중량%,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2 ~ 6중량%, 하이드레이티드실리카 2 ~ 6중량%, 디소듐스테아릴설포석시네이트 2 ~ 6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2 ~ 6중량%, 해양심층수 8 ~ 12중량%,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 8중량%,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 6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4 ~ 6중량%, 미네랄오일 4 ~ 6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 ~ 4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1.2 ~ 2중량%,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1 ~ 1.9중량%, 황색산화철 0.2 ~ 0.3중량%, 메칠파라벤 0.15 ~ 0.25중량%, 페녹시에탄올 0.15 ~ 0.25중량%, 향료 0.1 ~ 0.2중량%, 적색산화철 0.05 ~ 0.15중량%, 블랙산화철 0.04 ~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 0.08중량%, 멘톨 0.02 ~ 0.03중량%, 고삼추출물 0.08 ~ 0.2중량%, 쑥추출물 0.08 ~ 0.2중량%, 고량강추출물 0.08 ~ 0.2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인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포장지에 밀봉하여 박스에 넣은,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티슈 제품을 박스에 넣은, 자외선 차단용 및 화장용 티슈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 제품.
KR1020120038704A 2011-04-13 2012-04-13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KR20120116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404 2011-04-13
KR20110034404 2011-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889A true KR20120116889A (ko) 2012-10-23

Family

ID=4728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704A KR20120116889A (ko) 2011-04-13 2012-04-13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68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11A (ko) 2015-07-01 2017-01-11 문병수 일회용 자외선 차단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CN109602640A (zh) * 2019-01-23 2019-04-12 广州葆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spf的防晒气垫bb霜及其制备方法
WO2019168510A1 (en) * 2018-02-28 2019-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ed lotion tissu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11A (ko) 2015-07-01 2017-01-11 문병수 일회용 자외선 차단 시트 및 이의 사용방법
WO2019168510A1 (en) * 2018-02-28 2019-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ed lotion tissue
GB2586371A (en) * 2018-02-28 2021-02-17 Kimberly Clark Co Patterned lotion tissue
CN109602640A (zh) * 2019-01-23 2019-04-12 广州葆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spf的防晒气垫bb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628B1 (ko) 국소 피부 제형
US20160033538A1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CN103813776B (zh) 防红外辐射的化妆品用途
KR101327943B1 (ko) 보석에서 유래하는 광물성 농축물을 기초로 한 조성물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CN104114144B (zh) 提供防护对抗uv射线的护肤方法和/或化妆用方法
US20140170090A1 (en) Reduced-alcohol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0381914A (zh) 水包油型乳化化妆料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6889A (ko)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CN105188853A (zh) 光防护个人护理组合物
KR20100013719A (ko) 이산화티탄의 유분산액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조성물
AU2015273226B2 (en) Composition
KR20180027846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498363A (zh) 防紫外线功效得到提高的spf增强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86612B1 (ko) 자외선 차단 조성물 함유 티슈 및 이를 포장한 일회용 티슈제품
Schalka et al. Chemical and physical sunscreens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28817B1 (ko) 자외선 차단 및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WO2021060185A1 (ja) 近赤外線遮断剤及び近赤外線遮断性皮膚外用剤
Kwangsukstid et al. Comparative Clinical Evaluation of Centotheca lappacea Extract Cream for Skin Lightening and Tightening Effects in Asian Women: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KR100189689B1 (ko)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함유 티슈 및 일회용 티슈 제품
KR101289431B1 (ko)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24077063A1 (en) Lip balm containing sun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