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344A -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344A
KR20180066344A KR1020160166365A KR20160166365A KR20180066344A KR 20180066344 A KR20180066344 A KR 20180066344A KR 1020160166365 A KR1020160166365 A KR 1020160166365A KR 20160166365 A KR20160166365 A KR 20160166365A KR 20180066344 A KR20180066344 A KR 2018006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ransparent
ultraviolet
present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박천호
원보령
안지아
김연준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344A/ko
Publication of KR2018006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관 특이성을 갖고 피부에 도포 시에도 투명하게 발릴 뿐만 아니라 보습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Sun screening composition of water-in-oil emulsion type with transparency}
본 발명은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은 주성분인 유기자외선차단제나 무기자외선차단제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를 유화시키거나 고르게 분산시켜 로션이나 크림제로 만든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무기자외선차단제는 수상에 분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백탁 현상이 있으며 두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반면 유기자외선차단제는 대부분 백탁 현상이 없는 오일 성분들이기 때문에 일반 젤, 로션, 크림 등으로 제형을 다양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차단 효능효과가 높아질수록 제형 내 주성분인 자외선차단제 함량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를 유화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나 유화력이 있는 점증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제조하는 유화 제형들이 가장 일반적이며 대부분 하얗거나 자외선차단제에 의하여 노랗고 불투명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량의 자외선 차단제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에서 외관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외관 특이성을 갖는 것은 쉽지 않다. 종래의 자외선차단 제품 중에서도 투명하거나 반투명의 외관 특이성을 갖는 제형들이 있지만 이들은 에탄올을 다량 함유한 점도가 매우 낮은 액상의 제형이거나 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무수(無水) 제형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관 특이성을 갖고 피부에 도포 시에도 투명하게 발릴 뿐만 아니라 보습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관 특이성을 갖고 피부에 도포 시에도 투명하게 발릴 뿐만 아니라 보습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한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자외선 차단제 제품의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자외선 자단제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게 되며 이를 유화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나 유화력이 있는 점증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유화제형의 자외선 차단제 제품은 가장 일반적이며, 대부분 하얗거나 노란색의 불투명한 외관을 갖는다. 이와 반대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외관을 갖는 제품들도 있으나, 이러한 제품의 경우 에탄올을 다량 함유한 점도가 매우 낮은 액상 제형이거나, 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무수(無水) 제형들이 대부분이다. 상기 액상 제형의 경우에는 용기에 제약이 있으며, 액상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수제형의 경우, 수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할 수 없으며, 사용감이 무겁고 오일리함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투명한 외관 특이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발명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보습제로서 폴리올과 겔화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관 특이성을 갖고 피부에 도포 시에도 투명하게 발릴 뿐만 아니라 보습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유화제, 폴리올,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함유하는 유화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그 형태는 유중수적형 즉 W/O (water in oil)의 에멀젼 형태이며, 종례의 불투명한 에멀젼 제형과는 차별화되는 투명한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제인 폴리올의 비율에 따라 외상과 내상의 굴절률 차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외상의 투명도가 부여된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의 조합으로 유동성이 없는 투명 겔을 형성하여 에멀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면서 자외선 B 차단지수가 SPF30 이상이고, 자외선 A 차단 등급이 PA++ 이상이며 외관이 반투명에서 투명한 차별점을 갖는 유화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로 포함하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을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 에멀젼 형성과 보습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오히려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는 에멀젼의 점도 형성을 위한 점도조절제로 사용되며, 매끄럽고 보송한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함량의 경우, 15 중량% 미만에서는 에멀젼의 점도가 형성되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유화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로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화제가 포함 될 수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적용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5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높은 자외선차단지수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과 피부 안전성이 나빠질 수 있다. 유화제의 경우에는 유중수적형 즉 W/O (water in oil)의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는 유화제이며, 적용된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에서는 에멀젼이 형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당업계에서 보습제로서 사용하는 어떠한 폴리올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은 외관의 투명도를 부여하는데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폴리올의 비율 및 함량에 따라 반투명에서 투명의 외관까지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어떠한 실리콘 엘라스토머도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C30-45알킬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파우더는 실리카, 실리카실릴레이트,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종래 썬 크림, 썬 로션, 썬 젤에 사용되던 어떤 유기 자외선 차단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4-메칠벤질리덴캠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백색을 띄는 파우더 입자로 투명한 외관을 구현할 수 없으며 백탁현상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유중수적형 즉 W/O (water in oil)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유화제 성분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디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피이지-10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리메칠실록시)실릴에칠디메치콘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멀젼의 외상에 사용되는 오일의 종류에 따라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임의적으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성분들, 예를 들어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EDTA), 향료, 방부제, 색소 등과 같이 자외선 차단제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항산화제, 피부컨디셔닝성분, 피부보호성분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는 외상의 점도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유중수형의 투명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 없이 투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반 유화 제형의 자외선 차단 제품(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불투명한 외관을 나타내는 유화타입의 제형들과 외관상 확연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1 및 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3 참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보습효과 및 자외선 효과와 더불어 외관이 투명하다는 외관 특이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여 종래의 자외선 차단 제품과는 다른 외관 특이성을 보이며,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3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을 유지하면서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한 외관과 비교예1로 제조한 종래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불투명한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한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자외선 차단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외관이 투명한 유화 타입 자외선차단 선 로션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1은 종래의 자외선차단 선 로션을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이며 사용된 성분들 중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은 디에스엠사로부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는 바스프사로부터, 유화제는 다우코닝사와 에보닉사로부터, 보습제는 에머리사로부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는 에보닉사와 케이에스펄사와 다우코닝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 나타난 조성 비율로, 유기자외선차단제, 유화제를 포함한 유상 성분(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을 8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켜 동일상으로 만든 후 가온한 정제수와 수상 성분(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소듐이디티에이)을 유상에 투입하여 유화시켜 준다. 실리카와 실리콘엘라스토머, 방부제는 냉각 후 별도 첨가하여 제조하여 유화 타입 투명 외관의 자외선차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1 비교예1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10.000 3.000
부틸렌글라이콜 10.000 3.0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00 3.0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0 0.02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0 7.000
옥토크릴렌 5.000 5.000
호모살레이트 8.000 8.0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000 4.000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3.000 3.0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5.000 5.000
실리카 7.000 2.000
실리콘엘라스토머 20.000 2.000
방부제 0.300 0.300
실험예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외관을 평가하였다.
적당량을 취하여 손 등에 덜었을 때의 외관과 손으로 펴 바를 때의 백탁현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검정색 판 위에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에멀젼을 적당량 취하여 외관을 평가하였으며 글자 위에 도포하여 펴바른 후 투명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2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에멀젼은 외관이 투명하며 글자위에 도포하여도 글자가 비치는 투명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반 유화 타입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비교예 1)에 비하여 차별화되는 외관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예 2: 보습효과의 평가
실시예 1에 따라 만들어진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보습 지속력 효능은 시험 부위를 세정하고 항온 항습실에서 20분 정도 안정을 취한 다음, 팔 하박 내측에 무도포 시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한다. 이후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시킨 후 도포 직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 후 사용 전 값과 비교 평가한다. 측정에 사용한 사용기기는 Corneometer (CK electronic, Germany) 이다.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은 무도포에 비하여 피부 수분도가 증가한 상태로 8시간까지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투명 선은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투명한 외관 뿐만 아니라 실제 피부에 도포시에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자외선차단지수(SPF) 측정, 자외선A 차단등급(PA)측정
실시예 1에 따라 만들어진 자외선차단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대해 시험하였다.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자외선 차단 지수는 투명 플라스틱 테이프(Transpore Tape ; 3M, USA)를 준비된 캐스트(cast)에 부착시킨 후 화장료 조성물을 시료 2mg/cm2로 도포 한 후, UV 측정기(SPF 290 Analyzer)로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고, 자외선A 차단 등급 PA의 측정은 광원으로 300W xenon arc lamp가 장착된 인공자외선 방출기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300W(Solar Light사, 미국)를 사용하였고, 3D UV meter (Solar Light사, 미국)를 이용하여 광세기를 측정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 SPF와 자외선A 차단 등급 PA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SPF 53.4±2.7 52.5±2.3
PA +++ +++
그 결과,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값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자외선B 차단지수가 SPF50 이상이고, 자외선A 차단등급이 PA+++ 이상을 만족하였다.

Claims (6)

  1.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폴리올을 포함하고 점증제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실리카 파우더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치콘/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피이지-12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C30-45알킬세테아릴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파우더는 실리카, 실리카실릴레이트,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유중수형의 투명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160166365A 2016-12-08 2016-12-08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80066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65A KR20180066344A (ko) 2016-12-08 2016-12-08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65A KR20180066344A (ko) 2016-12-08 2016-12-08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344A true KR20180066344A (ko) 2018-06-19

Family

ID=6279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65A KR20180066344A (ko) 2016-12-08 2016-12-08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3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85A (ko) * 2019-01-10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3880A (ko) * 2019-05-20 2020-12-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385A (ko) * 2019-01-10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3880A (ko) * 2019-05-20 2020-12-01 코스맥스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372B1 (ko)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650993T3 (es) Cosmético de protección solar
KR101941881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161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739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60A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289812A (zh) 防晒化妆品
KR20130056700A (ko) 유중수 형태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 조성물
KR20120058846A (ko)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9455A (ko) 내수성이 있는 무스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6344A (ko) 유중수형의 투명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20140092425A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406830B1 (ko) 액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1212A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73635B1 (ko) 에탄올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178126A (ja) 紫外線吸収剤含有組成物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28618B1 (ko)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및 R-SiO3/2 단위를 포함하는 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