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353B1 - 무선 자주기 - Google Patents

무선 자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353B1
KR100610353B1 KR1020040004545A KR20040004545A KR100610353B1 KR 100610353 B1 KR100610353 B1 KR 100610353B1 KR 1020040004545 A KR1020040004545 A KR 1020040004545A KR 20040004545 A KR20040004545 A KR 20040004545A KR 100610353 B1 KR100610353 B1 KR 10061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optical communication
roller
battery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259A (ko
Inventor
채철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10Devices demonstrating the action of an article to be advert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OPGW) 및 송전선(CONDUCTOR) 설치 공사시에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의 연선하기 위한 무선 자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선의 선로상에서 광통신선을 연선하기 위하여 주행할 때 중간에서 정지하더라도 발전기를 재작동 시키거나 밧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무선 자주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을 철탑에 설치하기 위하여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를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울러(26)와 종동로울러(30)의 하측으로 설치된 누름로울러(27)에 연결판(40)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중앙부분에 핸들(41)을 연결하여 누름로울러(27)를 개폐시키며,
하측에 설치되는 발전기(2)의 일측으로 충전램프(5)가 설치된 밧데리(35)와 컨트롤 박스(34)를 설치한 무선 수신기(4)와,
상기 무선 수신기(4)에 있는 밧데리(35)와 발전기(2)를 구동시키는 무선송신기(1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회수기, 유압펌프, 광통신선, 송전선

Description

무선 자주기{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자주기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 2 의 구동 레이-아웃에 대한 구동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자주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자주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도 6 에 대한 구동 레이-아웃에 대한 구동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밧데리를 사용한 구동 레이-아웃에 대한 구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자주기 2 : 발전기
2' : 밧데리 3 : 발전기 프레임
4 : 무선 수신기 5 : 충전램프
6 : 조작스위치 7, 7' : 철탑
8 : 광통신선 드럼 9 : 조금차
10 : 송전선 11 : 가이드 로프
12 : 풀링 로프 13 : 기존선
14 :풀라 15 : 무선송신기
본 발명은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OPGW) 및 송전선(CONDUCTOR) 설치 공사 시에 신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의 연선하기 위한 무선 자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선의 선로상에서 광통신선을 연선하기 위하여 주행할 때 중간에서 정지하더라도 발전기를 재작동 시키거나 밧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누름로울러를 이용하여 안정되게 연선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자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양측으로 설치된 송전탑(7, 7')의 사이에 새롭게 광통신선(10) 및 송전선과 같은 신선을 설치하거나 기존선(13)이 낡은 경우에는 새로운 광통신선(10)으로 교체하게 된다.
광통신선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로프(11)와 풀링로프(12)를 연결하고 풀링로프(12)의 선단에는 광통신선 드럼(8)에 감겨진 광통신선(10)을 연결한다.
이러한 자주기는 기존선(13)에 구동로울러(26)와 종동로울러(3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반대편에서 제공되는 동력 또는 인력을 이용하여 조금차(9)를 통한 광통신선(10)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자주기가 기존선(13)을 주행할 때 중간지점에서 정지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자주기가 선로상에 서 정지하게 되면 작업자는 선로 외줄타기(줄너리) 작업시 추락사고가 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하게 되며, 휴전기간이 연장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외줄타기 작업도 불가능한 위험지역(장경간, 해월구간, 군사지역, 유도과다지역) 작업시에는 대책이 없어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리고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의 하측에만 선이 위치하므로 선로상에서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로상에서 선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측에 누름로울러를 설치하며, 주동력원인 발전기를 다시 무선으로 원격 조정하여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기가 정지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발전기 대신에 비상 동력원인 밧데리로 대신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자주기를 무선으로 구동시켜 방향의 전환과 속도를 제어하여 원거리에서도 자주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기 프레임(3)의 내부에 발전기(2)가 설치되어 있으며, 발전기(2)의 상측으로 밧데리 조작박스인 무선 수신기(4)가 설치된다.
상기 무선 수신기(4)의 내부에는 밧데리(35)와 컨트롤 박스(34)가 설치되고 일측으로 밧데리(35)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충전램프(5)와 조작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전기 프레임(3)의 상측으로 연결축(36)이 설치되고 일측으로 아이볼트(17)가 설치된다.
그 상측에는 조절핀(18)의 일측으로 스프링 조절레버(19)와 스프링(20)이 설치되고 일측으로 아이너트(22)에 샤클(21)을 통하여 폴링아이(23)에 가이드 로프(11)와 풀링 로프(12)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핀(18)의 상측에는 DC모터(33)에 구동로울러(26)와 브레이크(3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종동로울러(30)가 설치되어 있어서 하측으로 기존선(13)이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DC모터(33)와 구동로울러(26)의 사이에는 종동로울러(30)를 회전시키는 벨트(31)가 설치되어 있으며, 과부하 스위치(31')와 벨트장력 조절볼트(29) 및 과부하 조절볼트(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존선(13)의 하측으로 누름로울러(27)가 설치되어 있는 무선 자주기(1)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로울러(27)에는 연결판(40)과 일측으로 핸들(41)이 연결되어 있어서 누름로울러(27)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발전기(2)를 이용한 구동 레이-아웃에 대한 구동상태도는 도 4와 같다.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발전기(2)를 설치하여 밧데리(35)를 대신해서 도 8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발전기(2)만을 사용하거나 밧데리(2')를 독립해서 사용하는 것을 대신해서 발전기(2)와 밧데리(2')를 도 9 와 같이 모두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풀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선(13)에 무선 자주기(1)를 설치하여 조금차(9)를 이용한 광통신선(10)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구동로울러(26)와 종동로울러(30)의 하측으로 기존선(13)이 올려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자주기(1)를 기존선(13)에 설치한 경우에는 발전기(2)를 구동시켜 발전기(2)의 동력이 DC모터(22)에 전달되어 벨트(31)와 구동로울러(26)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DC모터(33)의 구동으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무선 자주기(1)가 서서히 이동하게 될 때 벨트(31)의 구동으로 종동로울러(30)가 함께 회전되면서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밧데리(35)에는 전원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밧데리(35)의 방전시에는 발전기(2)가 구동될 때 연속충전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충전램프(5)를 통하여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선 자주기(1)의 이동시에 무선송신기(15)를 통하여 무선 자주기(1)를 정지시키거나 다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저속으로 낮출 수 있고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선 자주기(1)는 진행중에 중간에 기존선(13)에서 정지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중간에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무선송신기(15)를 이용하여 밧데리(35)의 전원을 컨트롤박스(34)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DC모터(33) 에 추가적인 동력을 제공하여 기존선(13)에서 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발전기(2)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으로 DC모터(33) 구동용으로 사용하고, 잔여 전기는 정류기를 통하여 밧데리(35)에 충전되며, 무선 자주기(1)가 진행중에 정지하였을 경우 발전기(2)가 정지되면 전압감지 릴레이가 작동을 멈추게 되므로 밧데리(35)의 전원이 공급되어 인버터에 의해 증폭된 전기는 무선변환기에 대기 상태로 있다가 스타트 신호가 공급되면 전원을 DC모터(33)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누름로울러(27)를 열고 닫을 때에는 많은 힘이 소모될 수 있으나 연결판(40)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41)을 이용하여 쉽게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누름로울러(27)는 구동로울러(25)와 종동로울러(30)의 하측으로 위치하는 기존선(13)을 지지하여 정확하게 선로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구동로울러(25)와 종동로울러(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전하게 운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기(2)만을 무선 자주기(1)의 저면으로 설치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9 와 같이 밧데리(2')만을 무선 자주기(1)의 저면으로 설치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자주기(1)의 사용을 다양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밧데리(2')를 설치하거나 발전기(2)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발전기(2)와 밧데리(2')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수신기(4)가 없이 적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자주기를 이용하여 활선 공사를 진행할 때 선로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며 발전기가 기존선의 중간에서 정지할 때 작업자가 선로를 외줄타기하여 점검 후 재 작업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자주기에 설치된 발전기를 무선송신기로 재시동할 수 있는 시동장치를 이용하여 재시동 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자주기 발전기의 전원외에 비상시 무선송신기를 조정하여 대체동력인 밧데리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격조정으로 무선 자주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자주기가 중간에 정지하지 않게 되므로 장경간, 해월구간, 군사지역, 유도과다지역 등 시공이 어려운 장소에서 안전한 조금차 공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외줄타기와 같은 위험상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증대하고 광통신선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지연으로 인한 공사의 장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자주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전기와 밧데리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발전기와 밧데리를 겸용으로 사용하면서 무선 수신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발전기와 밧대리만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발전기와 맞대리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품을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조금차 공법으로 광통신선 및 송전선을 철탑에 설치하기 위하여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를 이용하며 하측으로 밧데리(35)와 발전기(2)가 설치된 자주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울러(26)와 종동로울러(30)의 하측으로 설치된 누름로울러(27)에 연결판(40)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중앙부분에 누름로울러(27)를 개폐시키는 핸들(4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004545A 2004-01-20 2004-01-20 무선 자주기 KR10061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545A KR100610353B1 (ko) 2004-01-20 2004-01-20 무선 자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545A KR100610353B1 (ko) 2004-01-20 2004-01-20 무선 자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259A KR20040017259A (ko) 2004-02-26
KR100610353B1 true KR100610353B1 (ko) 2006-08-09

Family

ID=3732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545A KR100610353B1 (ko) 2004-01-20 2004-01-20 무선 자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123B1 (ko) * 2005-06-08 2007-04-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자주기
KR100952906B1 (ko) * 2009-09-28 2010-04-16 (주)상산이엔씨 케이블 자동 추가 정리 장치
KR101941881B1 (ko) 2011-11-03 2019-01-25 (주)아모레퍼시픽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4188874A (zh) * 2021-11-23 2022-03-15 天津送变电工程有限公司 一种不停电跨越电力线导引绳展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259A (ko)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3016B (zh) 起重机和用于使用从起重机操作回收的能量作为次能量源而操作起重机的方法
CN105253752B (zh) 用于驱动电梯的方法
KR20100027279A (ko) 휴대용 착탈식작동기
CN102674076A (zh) 测井电缆自动倒绳机
CN102946067A (zh) 一种智能登塔设备及具有其的智能登塔装备
CN103343568B (zh) 一种变电站防汛装置
KR100610353B1 (ko) 무선 자주기
CN102537340A (zh) 一种自行式工程机械切换系统和自行式工程机械
CN208429169U (zh) 重型无轨牵引车
CN205589891U (zh) 一种输送机张紧用变频张紧控制装置
CN102219152B (zh) 轮胎吊电缆卷盘自动连接上电系统
KR100573003B1 (ko) 분리형 자주기
CN105449583A (zh) 一种巡检机器人故障释放装置
CN209720751U (zh) 一种可靠的连续皮带机自动张紧控制系统
CN107311061A (zh) 自锁绞盘智能牵引系统
CN101746669A (zh) 造船龙门起重机新型上小车吊钩横移机构
CN101927937B (zh) Plc控制式电动安全门
KR100632056B1 (ko)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CN201390521Y (zh) 胶带自控液压拉紧装置
CN113979219A (zh) 一种新能源张力机及其控制系统
CN204125087U (zh) 提高使用可靠度的搅拌法脱硫升降小车卷扬装置
CN102602766A (zh) 无机房电梯救援装置
CN110259256B (zh) 一种电力抱杆标准节电动引进装置及其控制方法
CN202358790U (zh) 无机房电梯救援装置
CN214298950U (zh) 自动起重控制装置及自动起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