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901B1 -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01B1
KR102547901B1 KR1020220124450A KR20220124450A KR102547901B1 KR 102547901 B1 KR102547901 B1 KR 102547901B1 KR 1020220124450 A KR1020220124450 A KR 1020220124450A KR 20220124450 A KR20220124450 A KR 20220124450A KR 102547901 B1 KR102547901 B1 KR 10254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patch
ski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이상준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22012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01B1/ko
Priority to KR1020230079808A priority patent/KR20240045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완전히 투명한 제형임에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복합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패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 패치는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자외선 차단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 등의 화장료 유효성분과 함께 자외선 차단 패치에 적용되어, 유효성분들의 경피 흡수를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패치는 완전히 투명한 제형임에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보이고, 미백, 보습, 주름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보이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우수한 부착, 탈착 착용감을 나타낼 수 있고, 부착시 주름이 지지 않아 야외 활동 시, 특히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강한 햇빛에 노출되는 외부 활동시에도 안정적으로 얼굴에 장기간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TRANSPARENT PATCH FOR SUNSCREEN COMPRISING A COMPOSITION FOR ULTRAVIOLET RAYS AND COMPOSITE SKIN IMPROVEMEN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완전히 투명한 제형임에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복합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패치에 관한 것이다.
수세미는 박과식물로 열대 아시아가 그 원산지인데, 영어로는 수세미 속이 스폰지 같다고 하여 ‘Sponge-gourd’ 라고 하고, 한자로는 실이 많다고 하여 ‘사과(絲瓜)’라고 한다. 속명의 Lufa는 수세미오이의 아랍명(Luffa)이며, 종소명의 cylindrica는 원통형의 cylindricus에서 유래된 것으로 수세미오이의 모습에서 온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그 연대는 1900년대 초반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수세미 재배는 경북 상주·고령·의성·문경 과 충남 공주·서산 그리고 강원도 등지에서 이루어졌다. 성분과 이용 1970년대 초 일본에서는 수세미오이 줄기를 자른 데서 받은 수액을 미안수(美顔水: 피부에 수분을 주어 피부 표면을 다듬는 화장수)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많은 양을 수입해 갔다고 한다. 실제로 시골의 아낙들은 울타리에 수세미를 심었다가, 한여름이 되면 줄기 밑을 자르고 병에 줄기를 꽂아서 수세미의 수액을 받아 열심히 얼굴에 바르곤 했었다. 화장수로 쓰면 살결이 고와지며, 땀띠에 발라도 좋았다.
수액 100g에는 에너지가 5kcal, 수분 98.1%, 단백질 0.8g, 당질 0.7 g, 회분 0.4g, 칼슘 2mg, 인 32mg, 철 0.2mg, 나트륨 3mg, 칼륨 26mg, 비타민 B1 0.07mg, 비타민 B2 0.08mg, 나이아신 0.9mg, 비타민 C가 3mg 정도 들어 있다. 그 외에 질산나트륨, 물에 잘 풀리지 않는 사포닌, 다량의 점액질과 박과식물에 널리 함유되어 있는 싸이투룰린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수세미 수액은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을 통해 화장료나 건강기능식품에 활용되고 있으나, 자외선 차단 패치에 적용된 바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자외선 차단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 등의 화장료 유효성분과 함께 자외선 차단패치에 적용한 결과 우수하게 경피 흡수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 효과를 상승시키고, 더 나아가 부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3155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외선 차단, 미백, 보습, 주름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갖는 투명한 자외선 차단 패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골프 등의 야외 활동을 할 때 눈 밑에 부착하는 썬블록 패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부착력을 가지며, 부착시 주름이 지지 않는 우수한 착용감의 자외선 차단 패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트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유기 자외선 차단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 패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10 내지 30 중량부,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3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내지 50 중량부, 및 아데노신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폴리실리콘-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합성 섬유 시트 또는 천연 섬유 시트로 구성되는 패치층에 상기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 조성물을 함유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층을 구성하는 천연 섬유 시트는 바이오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패치층의 상,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층을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합성 섬유 시트 또는 천연 섬유 시트로 구성되는 시트지를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완전히 투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기 전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으나, 적어도 상기 조성물에 함침시킨 이후에는 투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자외선 차단 패치는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및 자외선 차단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 등의 화장료 유효성분과 함께 자외선 차단패치에 적용되어, 유효성분들의 경피 흡수를 우수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 기간 동안내에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적인 착용에 의해 미백, 보습, 주름개선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완전히 투명한 제형임에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우수한 부착, 탈착 착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자외선 차단 패치는 야외 활동 시 특히 격렬한 운동을 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얼굴에 장기간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보습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보습이 개선된 결과를 확인한 피부 촬영 모습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탄력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투명도가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리프팅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 리프팅 결과를 확인한 피부 촬영 모습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즉각적인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한 피부 촬영 모습 중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장기적인 피부 보습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장기적인 피부 탄력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장기적인 피부 투명도가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장기적인 피부 리프팅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부착한 경우 장기적인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자외선 차단 패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시트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완전히 투명한 것일 수 있다.
먼저, 자외선 차단 조성물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유기 자외선 차단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수세미 수액은 바람직하게 한국 재래종 수세미로부터 채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수액은 바람직하게 3미터 이상 자란 수세미의 줄기에서 지상으로부터 노출된 부위 길이가 1미터 정도 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이 절단부로부터 채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수액을 받는 용기 및 용기에 삽입되는 줄기부위는 세정 및 소독하고, 수액에 빗물이나 먼지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밀봉한 상태로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절단부로부터 품질이 동일한 수액을 채취할 수 있는 기간은 6일 이내로 알려져 있다. 상기 채취 과정은 수액 채취기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은 그 자체로 UV 자외선에 의한 손상 개선 효과, 미백 효과, 보습 효과 등의 피부 개선의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은 본 발명에서 패치의 부착력이나 유효성분의 전달에 핵심적인 기능을 나타낸다. 패치의 부착력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통해 최적의 부착 안정성과 안전한 탈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폴리실리콘-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이아신 아마이드는 비타민 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이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 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녹색 채소나 씨리얼과 같은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건강한 피부를 위한 나이아신아 마이드의 필요성은 20세기 초부터 인지되어 왔다. 식이에서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전염병인 펠라그라(pellagra)가 나타났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를 예방하는 비타민으로 알려져 왔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세포에서 각질세포로 멜라노좀의 이동을 억제하여 피부에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데노신은 세포 내 아데노신 수용체와 결합하여 콜라겐 형성 촉진, 내피 피부 증식, 항염 작용 등을 하여 피부 작용을 돕는다. 아데노신은 천연성분으로 안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주름 개선 기능성 성분이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은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유상 및 수상의 유화에 의해 현탁액, 유탁액, 크림, 로션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 유상을 형성하고 거기에 자외선 차단제 및 기타 유효성분을 분산시킨 후,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이 포함되며 균일하게 분산된 수상을 형성하여 유상에 서서히 투입하며 유화시킬 수 있다.
유탁액을 형성함에 있어 담체 성분으로서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컨디셔닝제로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트 폴리데센, 세틸아텔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즈리필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트, 다이메티콘, 알지닌, 스타아니스 추출물, 카프릴릴글라이콜, 수용성콜라겐, 황금추출물, 글루코오스, 낫토검, 소듐디엔에이, 및 에틸헥실글리세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로서,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잔탄검, 및 카보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함량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팔미틸애씨드, 스테아릭애씨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10 내지 30 중량부, 글리세린 200 내지 250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 내지 1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0 내지 1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0 내지 8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20 내지 7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내지 50 중량부,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아라키딜알코올 10 내지 30 중량부, 다이메티콘 1 내지 10 중량부, 팔미틱애씨드 5 내지 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5 내지 15 중량부, 베헤닐알코올 5 내지 15 중량부, 스테아릭애씨드 5 내지 15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5 내지 15 중량부,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 내지 8 중량부, 잔탄검 2 내지 5 중량부, 카보머 1 내지 5 중량부, 알지닌 1 내지 4 중량부, 스타아니스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5 내지 2 중량부, 향료 0.5 내지 2 중량부, 수용성콜라겐 0.1 내지 2 중량부, 황금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아데노신 0.1 내지 2 중량부, 프로판다이올 0.1 내지 2 중량부, 글루코오스 0.1 내지 2 중량부, 낫토검 0.1 내지 2 중량부, 소듐디엔에이 0.1 내지 2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1 내지 2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차단 패치는 필수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트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1층, 2층, 또는 3층의 시트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트지가 패치층으로서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상기 시트지는 천연 섬유 시트, 합성 섬유 시트, 또는 바이오 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천연 섬유 시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누에실이 사용될 수 있다. 합성 섬유 시트는 나일론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및 폴리염화비닐리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이오셀룰로오스(microbial cellulose)는 균주의 배양에 의한 포도당의 β-1,4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서 의약품용 화상처리제나 화장용 마스크팩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와 같이 글루코오스가 β-1,4로 결합된 폴리머이나, 그의 섬유폭은 식물셀룰로오스보다 훨씬 적고, 3차원 망상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수성이 우수하다. 화장용 마스크에 사용할 경우 하이드로겔 마스크와 같은 부드러운 질감과 매끄러운 착용감을 줄 수 있으며, 밀착성이 우수하다.
자외선 차단 패치는 피부에 부착하기 편리한 상태로 절단되어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팩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눈밑 보호 패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접착면적이 적더라도 우수한 접착 안정성에 따라 격한 운동시에도 쉽게 탈착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완전히 투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에 함침시키기 전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으나, 적어도 상기 조성물에 함침시킨 이후에는 투명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실시예 1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번호 5 내지 8, 10 내지 13, 및 16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HOMO MIX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을 형성하였다. 이후 원료번호 1 내지 4, 9, 14, 15, 17 내지 31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75 내지 80℃의 HOMO MIX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균일하게 혼합된 수상을 유상에 서서히 투입한 후 75 내지 80에서 5,000rpm으로 10분간 유화하여 본 발명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번호 국문 원료명 영문 원료명 실시예 1 (중량%)
1 정제수 Water To 100
2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Luffa Cylindrica Stem Sap 1~3
3 글리세린 Glycerin 20~25
4 부틸렌글리콜 Butylene Glycol 0.5~1.5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5~10
6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5~8
7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2~7
8 나이아신아마이드 Niacinamide 2~5
9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Ethylhexyl Salicylate 1~3
10 아라키딜알코올 Arachidyl Alcohol 1~3
11 다이메티콘 Dimethicone 0.1~1
12 팔미틱애씨드 Palmitic Acid 0.5~1.5
13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0.5~1.5
14 베헤닐알코올 Behenyl Alcohol 0.5~1.5
15 스테아릭애씨드 Stearic Acid 0.5~1.5
16 세테아릴알코올 Cetearyl Alcohol 0.5~1.5
17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Arachidyl Glucoside 0.1~0.8
18 잔탄검 Xanthan Gum 0.2~0.5
19 카보머 Carbomer 0.1~0.5
20 알지닌 Arginine 0.1~0.4
21 스타아니스추출물 Illicium Verum (Anise) Fruit Extract 0.1~0.2
22 카프릴릴글라이콜 Caprylyl Glycol 0.05~0.2
23 향료 Fragrance 0.05~0.2
24 수용성콜라겐 Soluble Collagen 0.01~0.15
25 황금추출물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1~0.13
26 아데노신 Adenosine 0.01~0.12
27 프로판다이올 Propanediol 0.01~0.1
28 글루코오스 Glucose 0.01~0.1
29 낫토검 Natto Gum 0.01~0.1
30 소듐디엔에이 Sodium DNA 0.01~0.1
31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0.01~0.1
비교예 1.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제외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포함하지 않고, 동량의 정제수를 추가한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차단 패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에 함침시킨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를 피부에 직접 밀착할 수 있도록 본 발명 자외선 차단 패치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 패치는 눈밑에 부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비교예 2. 자외선 차단 패치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대신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함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자외선 차단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 효과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 시험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자외선 차단 패치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SPF) 및 자외선A 차단지수(PFA)를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 패치를 트랜스포어 테이프(Transpore tape)에 부착하고 15분 방치 후 SPF 290 분석기(analyzer)로 측정하였다. 자외선 차단지수는 3회 실험치의 평균값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2
In vitro SPF 110.2 ±6.5 78.2 ±21.5
In vitro PFA 13.5 ± 2.1 7.5 ±1.5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가 SPF 및 PFA가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이 자외선 차단제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경피 흡수 투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프란츠 디퓨젼 셀(Franz diffusion cell, 유효면적: 0.785㎠, 수용칸의 부피: 5ml)을 사용하여 싱크 조건(sink condition)하에서 피부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용상은 pH 7.4의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사용하였다.
준비된 인체 피부의 표피층(1.5 cm x 1.5 cm)을 수용칸(receptor chamber) 위에 각질층(stratum corneum)이 위로 위치하도록 하여 위치시키고, 공여칸(donor chamber)을 덮어 클램프로 고정시킨 후 수용상을 프란츠 디퓨젼 셀에 채우고 32±1℃ 로 유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공여부위에 부착하여 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실험 실시 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24시간 경과시 수용상 5ml을 채취 및 분석하고, 새로운 인산 완충 식염수로 보충하였다.
인공피부는 한스바이오메드 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구매 후 -20℃에서 보관하였으며, 사용 시 인산 완충 식염 수에 30분간 세척 및 수화시켜 사용하였다.
분석은 HPLC를 사용하였다. 아데노신의 분석 조건으로서 아세토니트릴과 10 mM 인산이수소칼륨의 5:94 혼합액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ZORBAX Eclipse XDB-C18 역상 컬럼(Agilent, 4.6 x 150mm, 5㎛, 주입량은 10㎕, 유속은 0.8ml/분, 검출파장은 260nm에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1 흡수량 (%) 비교예 1 흡수량
0.5 h 0.21 0.46
1h 0.86 1.34
2h 1.65 3.57
4h 3.65 5.96
6h 5.76 11.27
24h 11.35 26.78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분석 조건으로서 이동상으로 0.05M 인산이수소칼륨용액 (pH 7.0, 25% NaOH)과 메탄올의 75:25 혼합액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SunfireTM C18 역상 컬럼(Waters, 4.6 x 250mm, 5㎛), 주입량은 10㎕, 유속은 1ml/분, 검출파장은 263nm에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간 실시예 1 흡수량 (%) 비교예 1 흡수량(%)
0.5 h 0.18 0.21
1h 0.32 0.64
2h 0.69 1.87
4h 1.12 3.21
6h 2.94 5.13
24h 5.02 11.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가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아데노신의 경피흡수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예 3.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
기존의 자외선 차단 패치 제품들은 적절한 부착력을 갖는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너무 강한 접착력을 가져 뗄 때 피부가 상하거나, 균일한 부착이 나타나지 않아 부착하는 과정에서 주름진 상태로 부착되어 사용 후 주름진 상태 그대로 피부에 잔주름이 남는 경우가 많다.
전술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로 제조된 자외선 차단 패치와 함께 경쟁사 제품 A를 대상으로 25-45세 전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눈 밑 패치를 적용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부착시 접착감, 부착 지속성, 탈착시 끈적임, 부착기간 동안 청량감, 사용 후 피부 잔주름 생성여부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각 항목 별로 1 내지 5점까지의 점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경쟁사 A품목
부착시 접착감 4.7 4.0 2.4
부착 지속성 4.6 4.3 2.9
탈착시 끈적임 4.5 4.1 2.1
청량감 4.7 3.5 1.9
사용 후 피부 잔주름 생성 여부 4.7 4.1 2.1
종합 만족도 4.6 4.1 2.8
이상과 같이,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가 사용 편의성에서 가장 만족감이 높았으며, 나아가 사용 후 개선 효과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실험예 4. 피부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포함된 패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기간 피부에 밀착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전달되므로, 본 발명자는 상기 조성물의 피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보고서 번호 KIDS-BBH001-DIK(5)).
간략히, 26~65세의 성인 남녀 30명(평균 50.83/표준편차 10.01)을 대상으로,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피부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시험자의 등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직경 8 ㎜의 Finn Chamber 내에 직경 7 ㎜로 절단한 시험물질을 얹은 후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첩포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실시예의 조성물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고,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실험예 5. 즉각적인 피부 개선 효과 확인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 외에도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실제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자외선 차단 패치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확하고 공정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즉각적인 보습, 즉각적인 탄력, 즉각적인 피부 투명도, 즉각적인 리프팅 및 즉각적인 피부결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보고서 번호 KIDS-BBG090-DIK).
간략히, 40~65세 성인 여성 22명(평균 54.77/표준편차 6.49)을 대상으로, 세안 후 양쪽 팔자주름부위를 포함한 볼부위에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2의 자외선 차단 패치를 고르게 부착하여 4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이후, 1) Epsilon E100에 의한 즉각적인 보습 개선 평가, 2) Ballistometer에 의한 즉각적인 탄력 개선 평가, 3) Translucency probe TLS850에 의한 즉각적인 피부 투명도(맑기) 개선 평가, 4) ANTERA 3D에 의한 즉각적인 (팔자주름부위) 리프팅 개선 평가 및 5) ANTERA 3D에 의한 즉각적인 (팔자주름부위) 피부결 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수분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25.43% 증가되어 즉각적인 보습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p<.001).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CoR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2.40% 증가되어 즉각적인 탄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Alpha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35%, 감소되어 즉각적인 피부 투명도(맑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large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9.79% 감소되어 즉각적인 (팔자주름부위) 리프팅이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Texture small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15.74% 감소되어 즉각적인 (팔자주름부위) 피부결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장기적인 피부 개선 효과 확인 실험
단기간(1회성)의 효과 외에도 지속적인 사용에 의한 장기적인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지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보습, 탄력, 피부 투명도, 리프팅 및 피부결 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보고서 번호 KIDS-BBG090-DIK(1-2)).
피시험자는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하며, 2주동안 1일 1회 세안 후 양쪽 팔자주름부위를 포함한 볼부위에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2의 자외선 차단 패치를 고르게 부착하여 4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각 요소별 평가 방법은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수분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0.65% 증가되어 보습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CoR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3.49% 증가되어 탄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Alpha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49% 감소되어 피부 투명도(맑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large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22.27% 감소되어 (팔자주름부위) 리프팅이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Texture small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2.26% 감소되어 (팔자주름부위) 피부결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

  1.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트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수세미오이 줄기 수액 10 내지 30 중량부,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내지 3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내지 50 중량부, 및 아데노신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벤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시벤존, 시녹세이트, 옥틸트리아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신나메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및 폴리실리콘-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자외선 차단 패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를 구성하는 시트지는 바이오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것인,
    자외선 차단 패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패치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패치.
KR1020220124450A 2022-09-29 2022-09-29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KR10254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50A KR102547901B1 (ko) 2022-09-29 2022-09-29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KR1020230079808A KR20240045075A (ko) 2022-09-29 2023-06-21 즉각적인 피부개선 효과 및 피부밀착력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50A KR102547901B1 (ko) 2022-09-29 2022-09-29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808A Division KR20240045075A (ko) 2022-09-29 2023-06-21 즉각적인 피부개선 효과 및 피부밀착력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901B1 true KR102547901B1 (ko) 2023-07-04

Family

ID=871566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50A KR102547901B1 (ko) 2022-09-29 2022-09-29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KR1020230079808A KR20240045075A (ko) 2022-09-29 2023-06-21 즉각적인 피부개선 효과 및 피부밀착력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808A KR20240045075A (ko) 2022-09-29 2023-06-21 즉각적인 피부개선 효과 및 피부밀착력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7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1639A (ja) * 2014-02-10 2014-06-19 Toyo Shinyaku Co Ltd 透明なシート状化粧品
KR102217827B1 (ko) * 2020-09-25 2021-02-22 박혜랑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210023155A (ko) 2019-08-22 2021-03-04 이중회 수세미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1639A (ja) * 2014-02-10 2014-06-19 Toyo Shinyaku Co Ltd 透明なシート状化粧品
KR20210023155A (ko) 2019-08-22 2021-03-04 이중회 수세미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4967B1 (ko) * 2019-08-22 2021-08-30 이중회 수세미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7827B1 (ko) * 2020-09-25 2021-02-22 박혜랑 자외선 차단용 패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13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075A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901B1 (ko) 자외선 차단 및 복합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투명 패치
ES2659453T3 (es) Composiciones tópicas que comprenden Pichia anomala y extractos de raíces de achicoria
CN103648479B (zh) 包含植物提取物的局部护肤制剂
CN103717202B (zh) 用于增强皮肤细胞中胶原合成的化妆品组合物
US6468564B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otus for skin treatment
KR1022657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3813775B (zh) 具有增强性i型胶原合成的化妆品
KR101934208B1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CN110430865A (zh) 包含桦褐孔菌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
JP7210814B2 (ja) シマレンガタケを培養するための方法
ES2620239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paulownina y / o extractos de paulownia para uso en tratamiento de inflamación
US20070003511A1 (en) Lipid combination to combat ashy skin
US2018001501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plementary day/night children&#39;s skin cream compositions
ES2564157T3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extractos de Bursera simaruba
Herlambang Development Body Scrub With Niacinamide and Jojoba Beads As Exfoliator
US912582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plimentary day/night children&#39;s skin cream compositions
CN106333886A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CN103596546B (zh) 皮肤提亮组合物
KR102543302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30606B1 (ko)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707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77974A (ko)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