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079B1 -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079B1
KR102527079B1 KR1020220138319A KR20220138319A KR102527079B1 KR 102527079 B1 KR102527079 B1 KR 102527079B1 KR 1020220138319 A KR1020220138319 A KR 1020220138319A KR 20220138319 A KR20220138319 A KR 20220138319A KR 102527079 B1 KR102527079 B1 KR 10252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mposition
niacinamide
sk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경
윤대규
조우택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13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1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자연적 과정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자외선, 스트레스 및 피부 부작용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쉽게 노화 된다. 피부 노화 과정 중에서도 특히 피부가 부분적으로 검어지는 현상인 색소침착(pigmentation)은 이로 인해 피부색이 어두워지거나 피부가 칙칙해지는 등 미관상의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개인의 삶의 질이 개선되면서,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전반적으로 피부 톤을 하얗게 하는 피부 미백에 대한 수요가 크다. 최근 코로나 19 발생 이후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는데, 국내 소비자들 중 약 70%가 기미 잡티가 없는 깨끗한 피부를 가장 이상적인 피부로 여기고 있고, 중국 Z세대 사이에서도 미백이 가장 큰 미용 관심사인 것으로 알려지는 등 국내외적으로 미백 내지 브라이트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또한 세계 기능성 화장품 시장에서도 순수 미백 기능성 화장품 시장 규모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백 제품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미백 제품에 비해 보다 더 개선된 미백 제품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 구현예는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으면서도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의 각질형성세포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당지질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상기 전달체의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쉘은 6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천연 오일 발효물에 포함된 당지질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은 해바라기씨오일 발효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발효물, 살구씨오일 발효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용매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 60 중량%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은 상기 유기용매 96 중량% 내지 99.99 중량% 및 상기 물 0.01 중량% 내지 4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glycol, DPG),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으면서도 피부 미백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동시에 타겟팅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피부 내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이 저해하는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의 각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포함된 전달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인간피부각질세포(HaCaT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비율을, 도 3b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인간피부각질세포에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 내 멜라닌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멜라닌 지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이 경우 시험 기간 동안 시험 대상자의 안면부의 색소침착된 부분의 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침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는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멜라닌 지수 및 홍반 지수 변화를, 도 7b는 색소침착, UV 색소침착 및 피부톤 변화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이다.
도 8a는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시험기간 동안 안면부의 색소침착 변화를, 도 8b는 안면부의 UV 색소침착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패널들의 평가 항목 및 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구현예들에 대하여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이 유용성 감초추출물로 인해 완화될 수 있어 피부 자극이 거의 없게 되고,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의 여러 경로를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이 동시에 타겟팅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피부 미백 고시 원료 중 하나로서, 감초인 글리시리히자 글라브라 L. var. 글란툴리페라 레갈과 헤르더(Glycyrrhiza glabra L. var. glandulifera Regal et Herder), 글리시리자우랄렌시스 피셔(Glycyrrhiza uralensis Fisher) 또는 그 밖의 근연식물(leguminosae)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유용성 추출물이다. 주로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피부 미백 고시 원료 중 하나로서, 나이아신(niacin)에 아마이드기가 붙어있는 구조이며 비타민 B3의 일종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피부 내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이 저해하는 멜라닌 생성 메커니즘의 각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멜라닌은 표피의 맨 밑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생성세포(melanocyte)에서 만들어내는 색소로서,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부를 보호해주고 피부 체온을 유지하며, 피부색을 결정하는 고분자 색소이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산화 과정을 거쳐 멜라닌이 합성되고, 이후 합성된 멜라닌이 피부각질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피부가 장시간 또는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과다 생성되며, 기미, 주근깨, 잡티 및 검버섯 등의 비정상 색소침착의 원인이 된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된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멜라닌형성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의 각질형성세포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이 멜라닌생성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하는 단계를 억제하여, 멜라닌이 실제 피부 세포에 들어가는 마지막 단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0.1 중량% 내지 8 중량%, 0.1 중량% 내지 7 중량%, 1 중량% 내지 6 중량%, 1 중량%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피부 내 멜라닌이 멜라닌생성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하는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0.08 중량%, 0.02 중량% 내지 0.08 중량%, 0.03 중량% 내지 0.07 중량%, 0.04 중량% 내지 0.06 중량%일 수 있다.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이 유용성 감초추출물로 인해 완화될 수 있어 피부 자극이 거의 없게 되고,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의 여러 경로를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이 동시에 타겟팅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포함된 전달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달체(10)는 리버스 마이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버스 마이셀은, 종래 피부 내 침투를 위한 전달체로 사용되는 리포좀과 달리 단일막의 마이셀(micelle)로 이루어져 있어 사이즈가 작고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형태를 띄게 된다. 그리고 리포좀과 달리 전달체 표면이 소수성(유용성)을 띠므로 효능 성분의 피부 침투 측면에서 소수성인 피부와 친화성이 높아 피부 침투에 효과적인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수용성 물질에 해당하므로 이의 피부 내 침투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버스 마이셀 구조의 전달체 내부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피부 침투율이 훨씬 증가하게 되므로, 저함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 사용으로도 고함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정도의 피부 미백 효능을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됨으로써 나이아신아마이드 자체로 인한 피부 자극이 거의 문제되지 않게 되는 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훨씬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전달체(10)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20);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당지질을 포함하는 쉘(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전달체(10)에서 상기 쉘(30)은 당지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당지질에서 당인 머리 부분은 친수성을 띄므로 수용성인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있는 전달체의 코어(20) 쪽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당지질에서 지질인 꼬리 부분은 소수성을 띄므로 전달체의 코어 반대 쪽인, 전달체 외부를 향하고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전달체(10)는, 당지질의 머리 부분이 모여 있으면서 전달체의 코어(20) 쪽을 향하는 쉘(30)의 친수성 부분이 친수성(수용성)인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20)를 둘러싸면서, 전달체 표면이 소수성(유용성)을 띄고 있는 리버스 마이셀 구조이다.
상기 코어는 상기 전달체의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쉘은 6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예를 들면, 15 중량% 내지 30 중량%, 15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쉘은, 예를 들면, 70 중량% 내지 90 중량%, 75 중량% 내지 8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쉘 및 코어가 전달체 내에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전달체의 코어 쪽을 향하는 쉘의 친수성 부분이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를 충분히 둘러쌀 수 있게 되어, 리버스 마이셀 구조의 전달체가 잘 형성될 수 있다. 이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됨으로써 수용성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침투율이 증가하여, 전달체에 포함되지 않은 채 사용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함량 보다 고함량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정도의 피부 미백 효능을 보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됨으로써 나이아신아마이드 자체로 인한 피부 자극이 거의 문제되지 않는 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훨씬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당지질은 천연 오일 발효물에 포함된 당지질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은 해바라기씨오일 발효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발효물, 살구씨오일 발효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은, 예를 들면, 해바라기씨오일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당지질은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미생물에 의해 천연 오일이 발효되는 경우 생성되는 지질이다. 따라서 상기 전달체(100)는 화학합성공정이 아닌 친환경공정인 생물전환(Bioconversion)을 통해 얻어진 당지질을 활용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전달체의 제조에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을 사용하는 경우, 단일막의 마이셀인 리버스 마이셀 구조의 전달체가 잘 형성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매우 안정한 형태의 전달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고온 유화 및 고압 유화기를 사용해야 하는 기존의 리포좀 제조 과정과 다르게 혼합(stirring)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이 우수하고 제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총량에 대하여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용매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 60 중량%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15 중량% 내지 30 중량%를 혼합할 수 있고, 상기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은, 예를 들면, 60 중량% 내지 80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을 혼합하는 경우 리버스 마이셀 구조를 갖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전달체가 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은 상기 유기용매 96 중량% 내지 99.99 중량% 및 상기 물 0.01 중량% 내지 4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 및 물이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용해 안정도가 개선되어 리버스 마이셀 구조의 전달체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기용매는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glycol, DPG),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glycol, DPG)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피부 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진단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진단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다른 약학 조성물을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및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색소침착과 관련된 질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 잡티, 주근깨, 검버섯, 오타모반과 같은 피부 과색소 침착증 등의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섬유ㆍ고무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병을 막기 위한 살균ㆍ살충제 등이 이에 포함된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과용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피부과용 액제, 점제, 연고, 주사액 또는 이들의 조합인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폴리솔베이트 0.1 중량%와 유용성 감초추출물(㈜현대바이오랜드) 0.05 중량%를 상온에서 핸드믹싱으로 혼합하였다. 그 다음 에탄올 2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www.dsm.com) 2 중량% 및 정제수 95.85 중량%를 첨가하여 핸드믹싱으로 혼합하여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5 중량% 및 정제수 92.85 중량%를 사용한 것 외에,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 95.9 중량%를 사용한 것 외에,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5 중량% 및 정제수 92.90 중량%를 사용하고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 97.85 중량%를 사용한 것 외에, 실시예 1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조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효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나이아신아마이드(중량%) 2 5 2 5 -
유용성 감초추출물(중량%) 0.05 0.05 - - 0.05
폴리솔베이트(중량%) 0.1 0.1 0.1 0.1 0.1
에탄올(중량%) 2 2 2 2 2
정제수(중량%) 95.85 92.85 95.90 92.90 97.85
평가 1: 피부 자극 및 세포 독성 평가
비교예 2 및 실시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피부 자극 및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인간피부각질세포(HaCaT 세포)를 10%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를 첨가한 DMEM에 1x104 세포/웰(cells/well)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37℃, 5% CO2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이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였다. 한편, 비교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함량이 0.5%가 될 때까지 연속 희석하고 이후 2배로 연속 희석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 0.125%, 0.063%, 0.031%, 0.016%, 0.008%, 0.004% 및 0.002%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나이아신아마이드 함량 0.5%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 함량이 0.005%가 될 때까지 연속 희석하고 이후 2배로 연속 희석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 함량이 각각 0.125% 및 0.0013%, 0.063% 및 0.0006%, 0.031% 및 0.0003%, 0.016% 및 0.00016%, 0.008% 및 0.00008%, 0.004% 및 0.00004%, 0.002% 및 0.00002%이 되는 시료를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연속 희석된 비교예 2 및 실시예 2의 시료들을 각각, 상기 이전 배양에 사용된 배지가 제거된 배지에 있는 인간피부각질세포(HaCaT 세포)에 처리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처리 후 각 웰 당 5 mg/mL MTT 용액을 20 ㎕ 씩 첨가하여 37℃, 5% CO2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등액을 모두 제거하고 DMSO 150 ㎕씩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연속 희석된 비교예 2 및 실시예 2의 시료들을 각각 처리한 경우를 시험군,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액을 처리한 경우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시험군의 세포생존비율(ratio)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시험군의 세포생존비율(ratio) = A / B
A : 시험군의 흡광도
B : 음성대조군의 흡광도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각각 1/2배로 연속 희석하여 얻은 시료를 인간피부각질세포에 처리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연속 희석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시료들을 각각 처리한 경우를 시험군,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액을 처리한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시험군의 세포생존비율(ratio)은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각각 1/2배로 연속 희석하여 인간피부각질세포(HaCaT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비율을, 도 3b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연속 희석하여 인간피부각질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실시예 2의 시료를 인간피부각질세포에 처리한 경우, 비교예 2의 시료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세포 생존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발생하는 피부 자극이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추가로 인해 완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시료를 인간피부각질세포에 처리한 경우, 실시예 2의 시료를 처리한 경우 보다 세포 생존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희석배수가 높지 않을수록 동일 희석배수에서 실시예 1의 세포생존율이 실시예 2 보다 대체로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 측면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저함량 사용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피부미백의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만을 포함하는 제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피부 자극이 완화되고, 피부 자극 완화 측면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저함량 사용이 더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평가 2: 피부 미백 효능 평가 - 인 비트로 시험(in vitro test)
2-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저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 well microplate)에 1.5 mM L-티로신 5 ㎕, 25 mM L-DOPA 40 ㎕를 첨가한 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표준(standard, ST) 시료(시료 총량에 대하여 정제수 97.9 중량%, 에탄올 2 중량%, 폴리솔베이트 0.1 중량%를 상온에서 핸드믹싱으로 혼합하여 제조함)를 각각 40㎕씩 첨가하였다. 그리고 67 mM 인산염 완충액(pH 6.8) 80 ㎕를 첨가하여 각각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표준(ST) 시료의 총 부피가 165 ㎕가 되게 하였다. 그 다음 80 ㎕의 머쉬룸(mushroom) 티로시나제(60 U/㎖)를 상기 총 부피 165 ㎕인 각각의 용액에 첨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첨가한 경우를 실험군, 상기 표준(ST) 시료를 첨가한 경우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엘라이자(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생성된 도파 크롬(dopa chome)의 양을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그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대조군의 흡광도-시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하기 표 3은 상기 실험에 따라 측정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낸다.
100% 10% 5% 2.5% 1.25% IC50
표준(ST) 19.10
비교예2 19.80
실시예 1 - 74.16 34.13 13.58 5.40 6.98
실시예 2 - 79.60 49.50 28.70 21.70 5.45
비교예 3 - 70.10 34.80 18.20 12.50 7.09
비교예 1 16.59 - - - - -
IC50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가 50% 정도 나타날 때 필요한 시료의 농도 값을 의미한다.
상기 표 3을 보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와 관련하여 IC50 값 기준으로 실시예 2 > 실시예 1 > 비교예 3 순으로 효과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유용성 감초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제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율이 증가하는 바, 이로 인해 피부 미백 효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2-2. 멜라닌 생성 저해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생성 저해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10% FBS을 첨가한 DMEM에 1×105 세포의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새로운 DMEM으로 교체 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및 표준(ST) 시료를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트립신을 처리하여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원심분리로 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1N NaOH + 10% DMSO 용액을 0.2 mL로 처리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얻었다. 수거한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경우 B16F1 멜라노마 세포배양 배지에 α-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으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것을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α-멜라닌세포 자극호르몬(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으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음성대조군의 멜라닌 함량을 100%로 하여 시험군(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각각 처리한 경우)의 멜라닌 함량을 측정해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계산하였다.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음성대조군 대비 멜라닌 함량(%)
= 시험군 흡광도/음성대조군 흡광도 * 100
도 5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내 멜라닌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멜라닌 생성 저해와 관련하여 실시예 2 > 실시예 1 > 비교예 3 > 비교예 2 > 비교예 1 순으로 효과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이 개선되므로 이로 인해 피부 미백 효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평가 3: 피부 미백 효능 평가 - 인 비보 시험(in vivo test)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서 안면부에 피부 과색소침착을 가지고 있는 24명을 대상으로 안면부에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하는 시험을 하였다. 그리고 시험 후 8 주 동안 멕사미터(mexameter)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평가,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색소침착 등급 육안 평가, 연구 대상자에 의한 주관적 평가 및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사용 안전성 평가를 종합하여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의 멜라닌 지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 둘 다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5a 및 5b에 나타내었다.
도 5a는 실시예 1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멜라닌 지수 변화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실시예 1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시험 기간 동안 시험 대상자의 안면부의 색소침착된 부분의 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실시예 1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지수 변화량이 훨씬 큰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5b를 참고하면, 시험 기간(8주) 동안에 걸쳐 안면부의 색소침착된 부분의 색이 옅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피부에 처리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제조)
제조예 1. 전달체 제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내 침투를 증가시키기 위해 나이아신아마이드를포함하는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달체 제조를 위한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 3 중량%와 용매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26.2 중량% 및 물 0.8 중량%를 혼합 후 75℃에서 가온 및 디스퍼 믹서로 500 rpm으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투명하게 녹은 것을 확인한 후 해바라기씨오일 발효물 70 중량%를 투입하여 혼합하였고, 75℃에서 가온 및 디스퍼 믹서로 500 rpm으로 5분 동안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분석 결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전달체는 도 2와 같이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전달체의 외곽을 이루는 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달체는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기 코어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 외에 용매인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과 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쉘(30)은 오일 발효물에 있는 당지질을 포함하며, 전달체(10) 총량에 대하여 상기 코어(20) 및 쉘(30)이 각각 20 중량% 및 80 중량%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폴리솔베이트 0.1 중량%와 유용성 감초추출물(㈜현대바이오랜드) 0.05 중량%를 상온에서 핸드믹싱으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피부 미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2 중량%에 해당하는 나이아신아마이드(www.dsm.com)를, 별도로 상기 제조예 1의 전달체 제조방법에 따라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그 다음 에탄올 2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정제수 95.85 중량%를 첨가하여 핸드믹싱으로 혼합하여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에서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95.90 중량% 사용한 것 외에, 실시예 3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3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5 중량% 및 정제수 92.90 중량%를 사용하고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 외에, 실시예 3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효 성분 실시예 비교예
3 4 5
나이아신아마이드(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중량%) 2 2 5
유용성 감초추출물(중량%) 0.05 - -
폴리솔베이트(중량%) 0.1 0.1 0.1
에탄올(중량%) 2 2 2
정제수(중량%) 95.85 95.90 92.90
평가 4: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침투율 평가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침투율을 평가하기 위해, 경피흡수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를 포함한 물을 시료 1로 준비하였다. 그리고 시료 1에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를 별도로 상기 제조예 1의 전달체 제조방법에 따라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제조하여 포함한 경우를 시료 2, 시료 1에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를 2 중량% 대신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5 중량%를 별도로 상기 제조예 1의 전달체 제조방법에 따라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로 제조하여 포함한 경우를 시료 3으로 준비하였다.
그 다음, 인공막인 Strat-M(Merck)을 프란츠 타입 디퓨전 셀(Franz-type diffusion cell)(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고, 그 위에 시료 1, 시료 2 및 시료 3을 적량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흡수 확산시켜주었다. 리셉터 챔버(Receptor chamber)에는 염화나트륨(NaCl) 용액을 채웠고, 32℃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24시간 후 투과한 시료를 추출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HPLC) 분석을 통해 나이아신아마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시료 1을 도포한 경우를 대조군, 상기 시료 2를 도포한 경우를 시험군 1, 그리고 상기 시료 3을 도포한 경우를 시험군 2로 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른 경피흡수시험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시료 번호 침투율
대조군 1 1.8463 1.70
2 1.7727
3 1.4666
시험군 1 1 28.0976 30.96
2 29.6902
3 35.0915
시험군 2 1 26.8232 30.31
2 33.4947
3 30.6195
도 6은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침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경우 대조군 보다 피부 침투율이 약 18배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전달체 내에 포함되지 않은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 침투율이 훨씬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달체의 형태가 사이즈가 작고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형태를 띄며, 외부 표면이 유용성을 띠고 있어 소수성인 피부와 친화성이 높은 구조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평가 5: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 평가
상기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첩포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피부에 대한 자극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첩포시험(human skin patch test)을 시행하였다. 피부첩포시험은 20세 이상의 정상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핀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비교예 5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도포된 첩포를 48시간 동안 상박 안쪽 부위에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상기 첩포를 제거한 때로부터 24시간 경과 후 첫 판독을 시행하였고, 상기 첩포를 제거한 때로부터 48시간 경과 후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상기 1차 및 2차 판독을 통한 피부 반응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 평균 반응도와 판정 기준은 하기 표 5와 같다.
피부 평균 반응도 판정 기준
0.0 ~ 0.9 무자극
1.0 ~ 2.9 경자극
3.0 ~ 4.9 중자극
5.0 이상 강자극
첩포 제거 후 경과 시간 24시간 후 48시간 후 평균 점수 자극 정도
피부 반응도 0.5 1 2 3 0.5 1 2 3
비교예 5 2 0 0 0 1 0 0 0 0.83 무자극
표 5 및 6을 보면, 비교예 5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인체첩포시험을 수행한 결과 무자극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로 인한 피부 자극이 문제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평가 6: 전달체 내에 포함되는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미백 효능 평가
6-1. 임상 결과
자사(애경산업㈜) 연구소에서 안면부에 피부 과색소침착을 가지고 있는 20명을 대상으로 안면부에 실시예 3 및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시험 후 4 주 동안 멕사미터(mexameter)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평가, 야누스(JANUS) 안면피부진단측정기를 이용한 평가를 종합하여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의 멜라닌 및 홍반 지수 변화, 색소침착 및 피부톤 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7a 및 7b, 도 8a 및 8b에 나타내었다.
도 7a는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멜라닌 지수 및 홍반 지수 변화를, 도 7b는 색소침착, UV 색소침착 및 피부톤 변화를 나타내는 원 그래프이다.
도 8a는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피부 과색소침착을 가지고 있는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시험기간(4주) 동안 안면부의 색소침착 변화를, 도 8b는 안면부의 UV 색소침착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a 및 7b을 참고하면,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멜라닌 지수 및 홍반 지수, 색소침착, UV 색소침착 및 피부톤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8b을 참고하면, 이 경우 안면부의 색소침착된 부분 및 UV색소침착된 부분이 시험기간(4주) 동안 각각 상당히 옅어지거나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피부에 처리하는 경우,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만을 포함한 제형을 처리한 경우 보다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6-2. 패널 평가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피부에 처리한 경우 피부 미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하의 패널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예 3과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4주간 얼굴 좌우에 나눠서 사용 하였다. 시험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패널들의 평가 항목 및 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실시예 3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피부 과색소침착을 가지고 있는 시험 대상자들의 안면부에 처리한 경우, 피부 자극 없음, 피부톤 균일화, 피부 밝기 개선, 보습력 및 흡수력에서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모두 높은 평가 점수를 보이고 있고(전반적인 만족도: 비교예 4는 3.7, 실시예 3은 4.0), 특히 피부톤 균일화 및 피부 밝기 개선에서 비교예 4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훨씬 높은 평가 점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과색소침착된 피부에 처리하는 경우,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만을 포함하는 제형을 처리한 경우 보다, 피부 자극이 없고 흡수력 및 보습력이 개선됨과 동시에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일 구현예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에센스
성분명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2
글리세린 20
유용성 감초추출물 0.05
폴리솔베이트20 0.5
트레할로스 2
1,2-헥산다이올 2
카보머 0.15
트로메타민 0.1
EDTA-2Na 0.02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크림
성분명 함량(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2
글리세린 20
유용성 감초추출물 0.05
올리브오일 5
세틸에틸팔미테이트 5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폴리솔베이트60 1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트레할로스 2
1,2-헥산다이올 2
다이메티콘 1
카보머 0.15
트로메타민 0.1
EDTA-2Na 0.02
정제수 잔량
상기 표 7 및 8과 같이, 여러 제형으로 조성된 일 구현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경우, 나이아신아마이드로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이 유용성 감초추출물로 인해 완화되거나, 전달체 내에 포함된 형태의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사용함으로 인해 피부 자극이 거의 없게 되고,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의 여러 경로를 나이아신아마이드와 유용성 감초추출물이 동시에 타겟팅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5)

  1.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리버스 마이셀(reverse micelle) 구조의 전달체 내에 포함되는 형태이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고 천연 오일 발효물에 포함된 당지질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의 각질형성세포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유용성 감초추출물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코어는 상기 전달체의 총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쉘은 6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9. 제1항에서,
    상기 천연 오일 발효물은 해바라기씨오일 발효물, 마카다미아씨오일 발효물, 살구씨오일 발효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0. 제1항에서,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1. 제10항에서,
    상기 전달체는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용매 및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용매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당지질 함유 천연 오일 발효물 60 중량% 내지 99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2. 제10항에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3. 제12항에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은 상기 유기용매 96 중량% 내지 99.99 중량% 및 상기 물 0.01 중량% 내지 4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4. 제12항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glycol, DPG),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15. 제1항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220138319A 2022-10-25 2022-10-25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2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19A KR102527079B1 (ko) 2022-10-25 2022-10-25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319A KR102527079B1 (ko) 2022-10-25 2022-10-25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079B1 true KR102527079B1 (ko) 2023-05-02

Family

ID=8638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319A KR102527079B1 (ko) 2022-10-25 2022-10-25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0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272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스틱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 2020-01-31 2020-06-18 박장호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272A (ko) * 2011-10-27 2013-05-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스틱형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 2020-01-31 2020-06-18 박장호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84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10137070B2 (en) Composition including ion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and having effect of enhancing skin moisturizing, exfoliating skin, improving skin elasticity,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or alleviating skin photoaging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1019607A (ja) 皮膚化粧料
US20120107425A1 (en) Use of rhodiola crenulata extract via the topical route
KR101247153B1 (ko) 실리콘오일 혼합물로 코팅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2707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2348149B1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49988B1 (ko) 디하이드로코리달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220075109A (ko) 각질세포 단백질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102348148B1 (ko) 다이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25547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4556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01739A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995436A (ja) 皮膚外用剤
KR20220143509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20230096777A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안정화 제형
KR20230094760A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