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15A -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15A
KR20210019315A KR1020190098357A KR20190098357A KR20210019315A KR 20210019315 A KR20210019315 A KR 20210019315A KR 1020190098357 A KR1020190098357 A KR 1020190098357A KR 20190098357 A KR20190098357 A KR 20190098357A KR 20210019315 A KR20210019315 A KR 2021001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mposition
chlorella extract
lip
chlo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철
박성아
정지운
권지숙
한영석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9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9315A/ko
Publication of KR2021001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B의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소재인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피부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입술용 화장품에 대하여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유해 미생물 및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아 인체에 대한 안정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Lip care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V comprising chlore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상에 도달되는 자외선 양이 증가되고, 자외선의 영역 또한 변화되어 피부노화 및 피부암이 증가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화장품 제조회사에서 관련 상품을 출시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과도하게 조사되면, 홍반 형성이나 피부세포 내의 멜라닌색소 생성을 촉진시켜 기미나 잡티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표피에 분비되는 피지와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으로써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심할 경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80~320 nm), UV-C (200~280 nm)로 구분되며, 이 중 지표에 도달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 및 UV-B로 알려져 있다.
UV-A (320~400nm)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으며 파장영역이 0.32~0.40에 해당하고, UV-B에 비하여 에너지량이 적지만 피부를 그을릴 수 있다. 피부를 태우는 주역은 UV-B 이지만 UV-A는 피부를 벌겋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는 UV-A 노출 시간이 피부를 그을릴 정도로 길어지면 피부암 발생의 위험이 UV-B의 경우와 같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UV-B (280~320nm)는 대부분은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구에 극소량이 도달하는 UV-B는 파장영역이 0.28~0.32에 해당하는 자외선으로서, 동물체의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가며 때로는 피부암을 일으키는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은 대부분 태양 광선의 노출 및 UV-B와 관련이 있다.
또한, UV-C (100~280nm)는 오존층에 완전히 흡수된다. 파장영역이 0.20~0.29인 자외선 중 UV-C는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고 단세포 유기물을 죽이며, 눈의 각막을 해치는 등 생명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다행히 UV-C로 알려진 이 범위의 자외선은 성층권의 오존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된다.
따라서 피부에 유해를 가하는 이러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개발된 자외선 차단제는 이러한 유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르는 제품으로,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킬 수 있는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소재를 사용하여 피부가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 자외선 차단 소재는 자외선을 흡수함에 따라 구조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화학합성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 소재는 넓은 영역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나,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 백화 현상이 나타나므로, 많은 양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사용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보호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제품들이 대부분으로 자외선으로부터 입술을 보호하기 위한 제품의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입술은 끊임없이 수축 및 팽창하여 신체 부위 중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일 뿐만 아니라,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자외선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입술은 일반적인 피부와는 그 구조가 달라서 피지막이 없으며 각질층이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어, 자외선 등의 외부의 자극 요인에 대한 자체적인 방어 능력이 매우 약해 외인성 노화에 유독 취약한 부위라 할 수 있다.
또한 입술은 다른 피부와는 달리 얇은 각질층으로 구성되어 일반 피부에 비해, 외용제에 대해 더욱 예민하고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입술용 화장품에 대해 간지러움, 따가움 또는 통증이 쉽게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으로부터 입술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입술용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저자극 천연 성분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입술용 화장품 제조에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이 매우 우수한 UVB(280~320 nm 영역) 차단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시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부작용을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을 구명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개발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한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기술을 기능성 화장품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865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a)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4000~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1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1차 상등액을 5000~6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2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상등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자외선 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또는 립크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은 정제수,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T-부틸알코올,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솔베이트6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시어버터,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은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잔탄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알란토인, 판테놀, 판토락톤,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카보머, 피브이피, 다이리놀레익애씨드/프로판다이올코폴리머, 피토스테릴선플라워씨데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글리세라이즈,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비즈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6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마카다미아씨오일,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트로메타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칠프로판디올,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B의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소재인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피부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입술용 화장품에 대하여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유해 미생물 및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아 인체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자외선 흡광도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제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조성물 각각에 대하여 스피룰리나 또는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제품에 대한 온도 및 싸이클 조건에 따른 안정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글로스에 대한 안정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에 대한 안정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밤에 대한 안정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제품에 대하여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수행한 유해 미생물 및 중금속에 대한 안정성 분석의 시험성적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글로스에 대한 인체적용 자외선 차단 효능에 대한 시험 결과 요약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에 대한 인체적용 자외선 차단 효능에 대한 시험 결과 요약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밤에 대한 인체적용 자외선 차단 효능에 대한 시험 결과 요약서이다.
본 발명은 천연소재인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차단 효능이 우수한 입술용 화장품의 개발을 위해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클로렐라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 가능하도록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상기 “클로렐라”는 단세포 녹조류(Green algae)에 해당하는 미세조류로서 일반식물의 생리와 같이 광합성에 의하여 탄소원(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과 질소, 기타 무기염류를 동화하여 신속히 자기세포의 증식(분열)을 일으키는 유력한 녹조류이다. 클로렐라는 단백질 함량이 많고 유용한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기타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므로 유기자원으로 중요하며, 앞으로의 단백질, 지방자원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클로렐라를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를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다양한 미세조류의 천연소재 중에서 클로렐라가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활성을 갖는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의 화장품 제품을 제조하였고, 클로렐라 추출물의 최적의 첨가량을 확립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예컨대,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a)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4000~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1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1차 상등액을 5000~6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2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상등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한 상기 에탄올은 바람직하게는 50~80%의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2차의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 클로렐라 추출물의 상등액을 수득하였는데, 이 과정을 통해 에탄올에 용해되어 추출된, 클로렐라 유래의 자외선 차단 활성성분들을 함유하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 수행 시, 상기 기술된 원심분리 속도를 벗어나 너무 높은 rpm에서 수행하게 되면, 클로렐라 추출물에 함유된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활성성분의 구조에 이상을 초래하여 활성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면 너무 낮은 rpm에서 수행하게 되면 클로렐라의 세포 파쇄물들도 추출물내에 함유되어 있어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정에서 가열 및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액상 형태로 얻을 수 있고,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분말형태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기준 0.00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능가 경미하며 반면, 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첨가량에 비례한 증진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경제적인 측면 및 효과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원료들과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 수 없어 저형의 안정화가 어렵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종래 기술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이 피부에 과도하게 조사되면 피부에 홍반, 부종, 주근깨 또는 피부암을 일으키며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 (320~400 nm), UV-B (280~320 nm), UV-C (200~280 nm)로 구분되며, 이 중 지표에 도달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UV-A 및 UV-B로 알려져 있다.
UV-A는 UV-B에 비하여 에너지량이 적지만 피부를 그을릴 수 있으며 피부를 벌겋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UV-B는 동물체의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가며 때로는 피부암을 일으키는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은 대부분 태양 광선의 노출 및 UV-B와 관련이 있으며,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B의 차단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함에 따라, 다른 파장의 자외선에 비해 자외선 B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클로렐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오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또는 립크림 형태로 제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립스틱 조성물, 립글로스 조성물 및 립밤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 립글로스 조성물 또는 립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은 정제수,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T-부틸알코올,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솔베이트6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시어버터,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은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잔탄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알란토인, 판테놀, 판토락톤,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카보머, 피브이피, 다이리놀레익애씨드/프로판다이올코폴리머, 피토스테릴선플라워씨데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글리세라이즈,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비즈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6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마카다미아씨오일,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트로메타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칠프로판디올,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입술에 도포하여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를 위해, 자외선 차단용 활성을 갖는 새로운 천연소재로 클로렐라를 선택하였고, 다음과 방법을 통해 클로렐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클로렐라는 멸균한 해수에 F/2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온도는 23℃, 광량은 60 μmol/㎡/s에서 일주일 간격으로 scale-up 배양하였다. 배양 후, 클로렐라는 원심분리기(VS-550, Vision Co.)를 이용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펠렛 부분을 수확하였다. 남은 펠렛은 가볍게 물기를 제거한 후 48시간 동결건조 하였다. 동결건조가 끝난 시료는 분쇄기를 활용하여 분말화하였다. 이후, 클로렐라 분말(2kg)에 70% 에탄올(20L)을 첨가하고 80℃에서 4시간 25rpm으로 교반하였고, 상기 교반액을 4500 rpm의 속도로 90분 동안 1차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여 클로렐라 1차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이후 상기 1차 추출물을 다시 5600 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2차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여 2차 클로렐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런 뒤, 상기 2차 추출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 및 농축 처리하였고 동결 건조하여 64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과정으로 수득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냉암소에 보관하였으며, 하기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클로렐라 배양조건
항목 조건
배양수 카트리지 필터 통과 후 멸균한 자연해수
온도 22~24℃
광량 60 μmol/㎡/s
광주기 Light:Dark(16:8)
먹이 F/2 배지 13.2㎕/100mL
용기 Polycarbonate bottle
< 실시예 2>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에 대한 자외선 B 차단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분석하기 위해, 클로렐라 추출물을 1차 증류수로 100배 희석한 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SpectraMax Plus384, Moleculardevices, USA)를 이용하여 250nm~700nm 영역대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클로렐라 추출물의 경우 자외선 B 영역대인 280~320nm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94nm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어 자외선 A 및 자외선 C에 비해 자외선 B(UV-B; 280~320 nm)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한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
<3-1>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스틱의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스틱은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립스틱 제조는, 하기 표 2의 A 상의 원료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90℃에서 2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후 B 상의 원료들을 상기 A 상에 투입하고 90℃에서 3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후 C상을 투입하여 90℃에서 3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한 다음,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하고 다시 90℃에서 3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후, 탈포 후 80℃까지 냉각한 다음 립스틱 형태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스틱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3-2>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의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는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립스틱 제조는, 하기 표 3의 A 상의 원료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75℃에서 2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후 B 상의 원료를 상기 A 상에 투입하고 75℃에서 30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다. 이후 C상을 투입하고 70℃에서 2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한다. 이후 D 상의 원료들을 유상가마에 투입 후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이를 상기 C상까지 투입하여 혼합된 혼합물에 서서히 투입하면서 70℃에서 3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킨다. 이후 48℃의 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시킨 다음, E 상을 첨가하고 48℃에서 28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한다. 그런 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하고 45℃에서 2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후, 탈포 후 38℃까지 냉각시키고 립글로스 형태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3-3>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밤의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밤을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립밤의 제조는, 하기 표 4의 A 상의 원료들을 용기에 첨가하고 75℃에서 2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혼합 및 융해시킨다. 이후 B 상의 원료들을 투입하고 75℃에서 2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한 다음, 여기에 C 상 원료를 투여하고 상기와 동일 조건으로 교반하면서 혼합 및 융해시킨다. 이후, D 상의 원료들을 유상 가마에 투입하고 75℃에서 2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면서 가온 융해시킨 후, 이를 상기 C상 원료까지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물에 투여하고 30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여기에 E 상의 원료들을 첨가하고 55℃에서 30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면서 중화시키고,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이 함유된 F상의 원료들을 첨가한 다음, 55℃에서 30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시킨 후, 마지막으로 G 상 원료를 첨가하고 50℃에서 3000rpm의 속도로 1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후, 탈포 후 38℃까지 냉각시키고 립밤 형태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립밤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의 최종 제품의 사진은 도 2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한 입술용 화장품의 자외선 차단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비교에 제품들을 제조한 후, 하기 실시예들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5에서 제조예 2는 실시예 3의 각 화장품 제조에서 클로렐라 추출물의 함량만을 달리하였을 뿐 그 외 방법은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비교예 1 및 2는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각 화장품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제조예1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실시예 3-2의 방법으로 제조)
제조예2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비교예1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1% 첨가하여 제조
비교예2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클로렐라 추출물 대신 스피룰리나 추출물 3% 첨가하여 제조
< 실시예 4>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능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 효능 여부를 분석하였고, 비교군으로는 상기 비교예들에서 제조한 제조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차단 효능 평가는 SPF290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한 SPF290 분석기의 기본정도 및 시험 방법은 하기 표 6에 기재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4
분석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입술용 화장품인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은 모두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자외선 B의 차단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입술용 화장품들이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들에 비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클로렐라 추출물을 3중량%로 첨가한 제품에 비해 1중량%로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이 더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입술용 화장품의 제조를 위해 천연소재로서 클로렐라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입술용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 자외선 차단 효과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품 제형에 대한 안정성 분석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품 제형(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에 대한 안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안정성 분석은 온도 안정성, 장기 보관시 제품 효능분석, 특수가속 보존시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각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온도 안정성 시험 : 화장품을 일정한 온도조건에 방치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시료의 상태변화에 대하여 관찰 및 측정하며, 보존 기간을 1일~1개월, 2개월, 6개월, 1년 이상 등으로 하여 외관의 변화 및 냄새 변화, pH의 변화를 측정함
(나) 일반성능 및 효과 확인시험 : 장기간의 보관 시 및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제품의 효능 확인시험이 필수로 수행함
(다) 특수 가혹 보존시험 : 가혹보존 시험은 화장품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온도나 진동 등의 에너지 변화를 극히 단시간에 농축시킨 형태로 가하여 일어나는 변화를 관측하는 것으로, 온도, 습도 시험, 싸이클 온도시험, 응력시험 등을 거쳐 상품의 안정성을 확인함
(라)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안정성 평가 조건별(45℃, 40℃, 25℃, 5℃, Cycle 등) 결과 12주 동안 측정함
분석 결과, 도 5 및 도 6(6a~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제품은 모두 제품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정 온도 조건에서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형태의 변화, 냄새의 변화 및 pH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온도 변화가 주어진 상태에서도 제조된 화장품의 변화가 미비하여 제품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6>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품 제형에 대한 품질검사
<6-1> 미생물 검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품 제품들의 안전관리 및 품질관리 확인을 위해 미생물 검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세균에 해당하는 Pseudomonas aeruginosa(KCTC2513), Escherichia coli (KCTC2571), Staphylococcus Aureus(KCTC3881) 균주와 진균에 해당하는 (효모)Candia albicans (KCTC 7965), (곰팡이) Aspergillus brasiliensis(KCTC 6196)를 사용하였다. 이들 세균과 진균을 배양한 균주 집락을 백금이로 묻혀내어 Tryptic Soy Broth에 현탁시켜 세균 현탁액과 진균 현탁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후 세균 및 진균 현탁액을 10^1~10^7까지 희석하여 각 희석 배수대로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배양 후 균수를 카운팅 하였고, 세균(3종 혼합)은 10^8으로, 진균은 각각 10^7으로 희석하여 샘플(본 발명의 화장품 제형) 20 g에 현탁액 0.2 ㎖를 접종하고 잘 섞어 주었다. 접종된 검체를 희석하여 각 희석 배수대로 평판 배양한 다음, 정해진 온도와 시간의 조건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다(세균: 35℃, 2일 / 진균(효모): 25℃, 3~5일, 진균(곰팡이): 25℃, 5~7일).
Figure pat00005
분석 결과,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품(립스틱, 립글로스, 립밤)에 대한 방부시험결과, 균주 접종 후 4일차에 세균, 진균, 곰팡이균이 모두 사멸된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 28일까지 미생물들이 불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된 입술용 화장품 제품들은 유해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 인체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2> 중금속 검사
체내 유해한 중금속 성분의 존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화장품 각 제품(0.2053)g을 정밀하게 달아 석영 또는 테트라플루오로메탄제의 극초단파분해용 용기의 기벽에 닿지 않도록 조심하여 넣었고, 각 제품을 분해하기 위하여 질산 7 ㎖, 염산 2 ㎖ 및 황산 1 ㎖을 넣고 뚜껑을 닫은 다음, 용기를 극초단파분해 장치에 장착하고 무색∼엷은 황색이 될 때까지 분해하였다. 이후, 상온으로 식힌 다음, 조심히 뚜껑을 열고 분해물을 50 ㎖ 용량플라스크에 옮기고 물을 이용하여 용기 및 뚜껑을 씻어 넣고 물을 넣어 전체량을 50 ㎖로 하여 검액하였으며, 침전물이 있을 경우 여과하여 사용하고 따로 질산 7 ㎖, 염산 2 ㎖ 및 황산 1 ㎖를 가지고 검액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공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고, 각 중금속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8의 계산식을 통해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분석 결과,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조된 클로렐라 함유 입술용 화장품 제품들은 모두 유해 중금속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현행 화장품 안전기준에 충분히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품 제품들을 한국생활환경연구소(KCL) 의뢰하여 립글로스, 립스틱 및 립밤에 대하여 pH, 프탈레이트, 다이옥신, 메탄올, 납, 비소, 수은, 카드늄, 니켈, 안티몬, 포름알데하이드, 세균수, 진균수,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한 모든 결과에서 유해 성분들이 모두 불검출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 실시예 7>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입술용 화장품 제품에 대한 인체적용 자외선차단 효능분석
<7-1> 본 발명의 립글로스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분석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글로스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시험자들을 대상으로 인체적용 자외선 차단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홍색의 크림상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립글로스를 시료로 하였고, 2019.05.20.~2019.06.20.일까지 1개월 동안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총 10명을 대상으로 2mg/㎠ 일회 도포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고, 평가 방법은 각 피험자의 무도포 최소홍반량에 따라 적합한 광량의 홍반 유발 자외선 조사 후 약 16~24시간의 시간차를 두고 최소 홍반량을 판정하였다.
<7-2> 본 발명의 립스틱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분석
자색의 납상크림 형태의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스틱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상기 <7-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7-3> 본 발명의 립밤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 효과분석
옅은 황색의 크림상 형태의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밤 제품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상기 <7-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한 립글로스, 립스틱 및 립밤 제품은 모두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제품은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6-98호에서 제시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발한 클로렐라 추출물 함유 입술용 화장품 제품들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 유해한 미생물 및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 시 온도, 습도, 응력의 변화에도 제형 및 성분의 손상과 변화없이 온전한 형태로 유지됨을 확인함으로서 안정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a) 클로렐라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4000~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1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1차 상등액을 5000~6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2차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상등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자외선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또는 립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7.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실리카, 티타늄디옥사이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스틱 조성물.
  9.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은 정제수, 1,2-헥산다이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T-부틸알코올,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폴리솔베이트6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시어버터,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소듐폴리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글로스 조성물.
  11. 클로렐라 추출물을 0.001~5 중량%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은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잔탄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알란토인, 판테놀, 판토락톤, 1,2-헥산다이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카보머, 피브이피, 다이리놀레익애씨드/프로판다이올코폴리머, 피토스테릴선플라워씨데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글리세라이즈,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비즈왁스,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6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마카다미아씨오일,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트로메타민,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메칠프로판디올,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트리데세스-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립밤 조성물.
KR1020190098357A 2019-08-12 2019-08-1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9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57A KR20210019315A (ko) 2019-08-12 2019-08-1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57A KR20210019315A (ko) 2019-08-12 2019-08-1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15A true KR20210019315A (ko) 2021-02-22

Family

ID=7468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57A KR20210019315A (ko) 2019-08-12 2019-08-1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93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553B1 (ko) * 2021-03-18 2021-12-28 (주)나우코스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피부 보습 미스트 화장품 조성물
CN113940900A (zh) * 2021-09-24 2022-01-18 广州那比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化唇部角质、改善唇部状态的护唇油膏及制备方法
KR102535756B1 (ko) * 2023-02-28 2023-05-30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13B1 (ko) 2016-07-27 2019-06-07 한국콜마주식회사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13B1 (ko) 2016-07-27 2019-06-07 한국콜마주식회사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553B1 (ko) * 2021-03-18 2021-12-28 (주)나우코스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피부 보습 미스트 화장품 조성물
CN113940900A (zh) * 2021-09-24 2022-01-18 广州那比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化唇部角质、改善唇部状态的护唇油膏及制备方法
KR102535756B1 (ko) * 2023-02-28 2023-05-30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9315A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520338A (ja) 化粧用および/または医薬用製剤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61769B2 (ja) 皮膚外用剤
KR102092595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47854A (ja)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CN114886808B (zh) 龙胆发酵液的制备工艺及抗糖化用途
KR20130058901A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3420B1 (ko)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594813B1 (ko) 에센스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945987B1 (ko) 티로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779131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awarkh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face cream containing raspberry fruit and grape seeds extract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20170092293A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all et al. In vitro and in vivo activity of Myrsine africana on elastase inhibition and anti-wrinkle activity
KR20160084825A (ko)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US20220023196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green barley extract
KR100823078B1 (ko) 파그라에아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habib et al. Pineapple fruit extract (Ananas comosus L. Merr) as an antioxidant and anti-acne agent made with the nano-emulsion gel delivery system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956144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