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56B1 -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56B1
KR102535756B1 KR1020230026999A KR20230026999A KR102535756B1 KR 102535756 B1 KR102535756 B1 KR 102535756B1 KR 1020230026999 A KR1020230026999 A KR 1020230026999A KR 20230026999 A KR20230026999 A KR 20230026999A KR 102535756 B1 KR102535756 B1 KR 10253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ixtur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02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Lip balm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은 끊임없이 수축 및 팽창하여 신체 부위 중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일 뿐만 아니라,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신체 부위로, 일반적인 피부와는 그 구조가 달라서 피지막이 없으며 각질층이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자극 요인에 대한 자체적인 방어 능력이 매우 약해 외인성 노화에 유독 취약한 부위라 할 수 있다.
또한, 입술은 다른 피부와는 달리 얇은 각질층으로 구성되어 일반 피부에 비해, 외용제에 대해 더욱 예민하고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합성 오일과, 왁스, 소량의 합성색소 형태의 유성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립밤을 사용하는 경우, 간지러움, 따가움 또는 통증이 쉽게 유발될 수 있어, 천연 성분들을 활용하여 립밤과 같은 입술용 화장품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37202호에는, 흑미, 자색 고구마, 여주, 파프리카, 적양배추, 치자황, 치자청, 지황, 뽕잎, 양파껍질, 포도껍질, 오디, 레드비트, 지치 및 백년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입술보호용 립밤 화장료 조성물이 게재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립밤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간 보관시에도 색도가 유지되고, 세포 독성이 거의 없어 인체에 안전하며, 아름다운 색감을 제공하는 것이나, 좋은 성분을 단순하게 혼합하여 구성하는 등 그 조합에 따른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여 각 성분들의 효과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립밤을 사용하는 경우, 끈적임, 역한 냄새, 이질감 등에 의해 피부 적용시 거부감이 느껴져서 사용을 꺼리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림성, 향, 보습 효과 등이 우수한 립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이소부텐 18-2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1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2-16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10-14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9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8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4-8 중량부, 세레신 2-6 중량부, 실리카 1-5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0.5-4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0.5-4 중량부, 멘톨(menthol) 0.6-1 중량부, 폴리에틸렌 0.6-1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3-0.7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1-0.3 중량부, 코코넛오일 0.05-0.2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05-0.2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05-0.2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05-0.2 중량부, 시어버터 0.05-0.2 중량부, 정제수 0.04-0.0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1-0.05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1,2-헥산디올 0.0005-0.004 중량부, 아데노신 0.0003-0.003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05-0.2 중량부, 색소 6-10 중량부, 향료 0.05-0.2 중량부, 리날룰 0.03-0.07 중량부, 게라니올 0.005-0.025 중량부, 리모넨 0.001-0.005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05-0.004 중량부를 포함하는 립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이소부텐 1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710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8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 중량부, 세레신 4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부, 색소 8.1 중량부, 멘톨(menthol) 0.8 중량부, 폴리에틸렌 0.8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2 중량부, 코코넛오일 0.1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1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1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1 중량부, 시어버터 0.1 중량부 및 향료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8-52℃의 온도에서 700-9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정제수 0.05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30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3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3 중량부, 1,2-헥산디올 0.002 중량부, 아데노신 0.001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1 중량부, 리날룰 0.046 중량부, 게라니올 0.016 중량부 및 리모넨 0.003 중량부를 혼합하고, 38-42℃의 온도에서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혼합하고, 43-47℃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13-17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신선초잎 추출물, 싸리나무잎 추출물 및 인동덩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 0.1 중량부 및 미강 발효추출물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신선초잎, 싸리나무잎 및 인동덩굴잎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미강 발효추출물은,
미강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미강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미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33-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6-8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은 발림성, 향, 보습 효과 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폴리이소부텐 18-2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1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2-16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10-14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9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8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4-8 중량부, 세레신 2-6 중량부, 실리카 1-5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0.5-4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0.5-4 중량부, 멘톨(menthol) 0.6-1 중량부, 폴리에틸렌 0.6-1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3-0.7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1-0.3 중량부, 코코넛오일 0.05-0.2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05-0.2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05-0.2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05-0.2 중량부, 시어버터 0.05-0.2 중량부, 정제수 0.04-0.0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1-0.05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1-0.005 중량부, 1,2-헥산디올 0.0005-0.004 중량부, 아데노신 0.0003-0.003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05-0.2 중량부, 색소 6-10 중량부, 향료 0.05-0.2 중량부, 리날룰 0.03-0.07 중량부, 게라니올 0.005-0.025 중량부, 리모넨 0.001-0.005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05-0.004 중량부를 포함하는 립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립밤 조성물은 폴리이소부텐 19-21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5-13.5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3-15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11-13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6-8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5-7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7 중량부, 세레신 3-5 중량부, 실리카 2-4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3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1-3 중량부, 멘톨(menthol) 0.7-0.9 중량부, 폴리에틸렌 0.7-0.9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4-0.6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15-0.25 중량부, 코코넛오일 0.08-0.12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08-0.12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08-0.12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08-0.12 중량부, 시어버터 0.08-0.12 중량부, 정제수 0.05-0.07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2-0.04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2-0.004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2-0.004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2-0.004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2-0.004 중량부, 1,2-헥산디올 0.001-0.003 중량부, 아데노신 0.0008-0.0012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08-0.12 중량부, 색소 7-9 중량부, 향료 0.08-0.12 중량부, 리날룰 0.04-0.06 중량부, 게라니올 0.01-0.02 중량부, 리모넨 0.002-0.004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1-0.00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립밤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성분을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발림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향료는 레몬버베나 오일 18-22 중량부, 바닐라 오일 18-22 중량부, 만다린 오일 8-12 중량부, 헥실살리실레이트 2-6 중량부, 디옥틸아디페이트 18-22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1-5 중량부 및 에탄올 18-2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레몬버베나 오일 19-21 중량부, 바닐라 오일 19-21 중량부, 만다린 오일 9-11 중량부, 헥실살리실레이트 3-5 중량부, 디옥틸아디페이트 19-21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2-4 중량부,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2-4 중량부 및 에탄올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레몬버베나는 마편초과의 다년생 관목식물로서 중국에서는 영몽마편초라고 부르며 다른 이름으로는 방취목, 향수목 등으로 부른다. 레몬버베나는 현대에 들어 관상식물, 기능성 허브티와 레몬향과 비슷한 상큼한 향이 있어 비누 등의 원료로 쓰인다.
바닐라(Vanilla Planifolia)는 열대 아메리카 멕시코가 원산지인 난초과 식물로서 통상적으로 열매 부분을 바닐라빈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서 바닐라빈은, 바닐라 열매(바닐라빈)를 여러 번 찌고 말리는 가공 과정을 거쳐서 수득된 검은색의 독특한 향기가 있는 바닐라 가공 빈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만다린(mandarin)은 만다린계오렌지라고도 하며, 비타민P와 아스코르빈산, 카로티노이드, 리모노이드 플라보노이드, 구마린, 나린제닌 계통의 성분 등이 들어있다. 그 중에서 나린제닌 계통의 성분은 만다린의 껍질 안에 있는 성분인데 항산화작용이 뛰어난 성분으로 산소와 닿으면서 생기는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레몬버베나 오일, 바닐라빈 오일, 만다린 오일 및 헥실살리실레이트를 적용하여 천연원료로서 고급스러운 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헥실살리실레이트는 그린, 플로럴, 스파이시한 향이 나는 무색의 액체로, 플로럴 조합 향료의 특징적인 꽃향기를 만드는데 많이 사용된다.
상기 디옥틸아디페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및 에탄올 등은 용제로 적용되어 향료를 안정화하고 용이하게 분산시킨다.
상기 색소는 CI 15850 6 중량부, CI 15850:1 1 중량부, CI 45410 0.5 중량부, CI 15985 0.3 중량부, CI 16035 0.2 중량부, CI 77491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립밤 조성물은 신선초잎 추출물, 싸리나무잎 추출물 및 인동덩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 0.1 중량부 및 미강 발효추출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신선초는, 고혈압, 저혈압, 동맥경화, 어께통, 빈혈 등에 효과가 있고, 또 강장, 이뇨, 피부 진정 작용과 항염증, 향균, 알러지 효과에 좋고, 혈액순환 개선으로 피부를 윤택하게 유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싸리나무는 산과 들에서 2~3m의 높이로 흔히 자라고, 7~8월에 꽃이 피는 콩과의 낙엽관목으로, 싸리나무 잎에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이 많이 들어 있고 껍질에는 탄닌이, 껍질과 줄기잎에는 사포닌이 들어 있다. 특히 뿌리껍질에는 알칼로이드가 들어있다. 싸리나무의 잎을 다려서 신장염, 신부전증, 콩팥경화증, 콩팥질소혈증, 등에 쓰고 고혈압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쓸 수 있다. 또한, 싸리나무 잎에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드빈산이 많이 들어 있고 껍질에는 탄닌이 들어 있다.
인동덩굴(Lonicera Caprifolium, Honeysuckle)은 금은화 또는 허니서클이라고도 하며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해열, 해독, 항균, 항염증 작용이 있어 염증, 전염성 질환의 치료제로 쓰여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인동덩굴의 잎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신선초잎 추출물, 싸리나무잎 추출물 및 인동덩굴잎 추출물을 적용하여 입술에 높은 수분감과 수분유지력을 나타낼 수 있다.
미강은 리파아제(lipase)의 작용이 강하여 지방의 산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저장 중 변질되기 쉬우며 기온이 높고 습도가 클 때는 더욱 심하다. 미강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미강을 미생물 발효시킨 발효 방식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강 발효추출물은 아스파라트산, 글르타민산, 세린등 여러 가지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인체의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포함하여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는 기능성 재료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술에 높은 수분감과 수분유지력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이소부텐 1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710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8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 중량부, 세레신 4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부, 색소 8.1 중량부, 멘톨(menthol) 0.8 중량부, 폴리에틸렌 0.8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2 중량부, 코코넛오일 0.1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1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1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1 중량부, 시어버터 0.1 중량부 및 향료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8-52℃의 온도에서 700-9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정제수 0.05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30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3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3 중량부, 1,2-헥산디올 0.002 중량부, 아데노신 0.001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1 중량부, 리날룰 0.046 중량부, 게라니올 0.016 중량부 및 리모넨 0.003 중량부를 혼합하고, 38-42℃의 온도에서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혼합하고, 43-47℃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13-17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이소부텐 1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710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8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 중량부, 세레신 4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부, 색소 8.1 중량부, 멘톨(menthol) 0.8 중량부, 폴리에틸렌 0.8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되, 폴리이소부텐,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오조케라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을 충분히 혼합하며 동시에 왁스, 색소 등의 성분을 혼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9-61℃의 온도에서 450-550 rpm의 회전속도로 4-6분 동안 교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2 중량부, 코코넛오일 0.1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1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1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1 중량부, 시어버터 0.1 중량부 및 향료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8-52℃의 온도에서 700-9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2 혼합물을 제조하되, 폴리이소부텐,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오조케라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소량과 함께 오일 성분과 향료 성분을 혼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9-51℃의 온도에서 750-850 rpm의 회전속도로 4-6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향료는 레몬버베나 오일 18-22 중량부, 바닐라 오일 18-22 중량부, 만다린 오일 8-12 중량부, 헥실살리실레이트 2-6 중량부, 디옥틸아디페이트 18-22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1-5 중량부 및 에탄올 18-2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레몬버베나 오일 19-21 중량부, 바닐라 오일 19-21 중량부, 만다린 오일 9-11 중량부, 헥실살리실레이트 3-5 중량부, 디옥틸아디페이트 19-21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2-4 중량부,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2-4 중량부 및 에탄올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정제수 0.05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30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3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3 중량부, 1,2-헥산디올 0.002 중량부, 아데노신 0.001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1 중량부, 리날룰 0.046 중량부, 게라니올 0.016 중량부 및 리모넨 0.003 중량부를 혼합하고, 38-42℃의 온도에서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3 혼합물을 제조하되, 폴리이소부텐,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오조케라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소량과 함께 천연 추출물 성분과 리모넨, 리날룰 등의 성분을 혼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9-41℃의 온도에서 250-350 rpm의 회전속도로 4-6분 동안 교반한다.
또한, 상기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신선초잎 추출물, 싸리나무잎 추출물 및 인동덩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 0.1 중량부 및 미강 발효추출물 0.1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신선초잎, 싸리나무잎 및 인동덩굴잎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강 발효추출물은, 미강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미강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미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33-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6-8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혼합하고, 43-47℃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13-17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4-46℃의 온도에서 450-550 rpm의 회전속도로 14-16분 동안 교반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향료의 제조
레몬버베나잎을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였다. 분쇄된 레몬버베나잎을 이용하여 수증기 증류하고, 수증기 증류하여 발생하는 혼합증기를 냉각하여 오일층과 물층으로 분리한 후 오일층을 분리하여 여과하여 레몬버베나 오일을 제조하였다.
또한, 레몬버베나 오일을 제조하는 것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레몬버베나 대신에 바닐라빈 또는 만다린을 이용하여 바닐라 오일 및 만다린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레몬버베나 오일 20 중량부, 상기 바닐라 오일 20 중량부, 상기 만다린 오일 8 중량부, 헥실살리실레이트 6 중량부, 디옥틸아디페이트 20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 중량부, 부틸페닐메칠프로피오날 3 중량부 및 에탄올 2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5℃의 온도에서 35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혼합추출물의 제조
신선초잎, 싸리나무잎 및 인동덩굴잎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미강 발효추출물의 제조
미강을 끓인 물로 3회 세척하고, 분쇄하여 미강분말을 준비하였다. 미강분말 10 g 및 물 300 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를 0.3 g 첨가한 후 3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에 부틸렌글리콜 300 g을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7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미강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립밤 조성물의 제조-1
폴리이소부텐 1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710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8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 중량부, 세레신 4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부, 색소 8.1 중량부, 멘톨(menthol) 0.8 중량부, 폴리에틸렌 0.8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2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500 rpm의 회전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2 중량부, 코코넛오일 0.1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1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1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1 중량부, 시어버터 0.1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향료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50℃의 온도에서 800 rpm의 회전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정제수 0.05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30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3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3 중량부, 1,2-헥산디올 0.002 중량부, 아데노신 0.001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1 중량부, 리날룰 0.046 중량부, 게라니올 0.016 중량부 및 리모넨 0.003 중량부를 혼합하고, 40℃의 온도에서 300 rpm의 회전속도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혼합하고, 45℃의 온도에서 500 rpm의 회전속도로 15분 동안 교반하여 립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립밤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3 혼합물을 제조할 때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 0.1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미강 발효추출물 0.1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립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립밤 조성물의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립밤 조성물에 대한 평가를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성인 50명(남자: 20명, 여자: 30명)이 립밤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립밤을 사용한 후, 립밤의 발림성, 색도, 향, 수분감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9점 척도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50명의 평가 총 합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9점: 매우 좋음, 7점: 좋음, 5점: 보통, 3점: 나쁨, 1점: 매우 나쁨)
여기서 수분감은 립밤을 바르고 6시간 후 건조성을 통해 건조함이 없으면 매우 좋음(9점), 건조하면 매우 나쁨(1점) 순으로 평가하였다.
발림성 색도 수분감
실시예 1 8.3 8.2 8.2 8.1
실시예 2 8.3 8.2 8.3 8.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립밤 조성물은 발림성, 색도, 향, 수분감이 우수하고, 특히 실시예 2의 립밤 조성물은 수분감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폴리이소부텐 1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710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8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5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4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5 중량부, 세레신 4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2 중량부, 색소 8.1 중량부, 멘톨(menthol) 0.8 중량부, 폴리에틸렌 0.8 중량부, 칸데릴라왁스 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오이게놀 0.00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1 중량부, 수소화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2 중량부, 코코넛오일 0.1 중량부, 헤이즐넛오일 0.1 중량부, 해바라기씨오일 0.1 중량부, 호호바씨오일 0.1 중량부, 시어버터 0.1 중량부 및 향료 0.12 중량부를 혼합하고, 48-52℃의 온도에서 700-9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이소부텐 4 중량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 중량부,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2 중량부, 오조케라이트 1 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1 중량부, 정제수 0.058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0.030 중량부, 로사센티폴리아꽃 추출물 0.00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003 중량부,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003 중량부, 참나리 추출물 0.003 중량부, 1,2-헥산디올 0.002 중량부, 아데노신 0.001 중량부,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0.1 중량부, 리날룰 0.046 중량부, 게라니올 0.016 중량부 및 리모넨 0.003 중량부를 혼합하고, 38-42℃의 온도에서 200-400 rpm의 회전속도로 3-7분 동안 교반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 제2 혼합물 및 제3 혼합물을 혼합하고, 43-47℃의 온도에서 400-600 rpm의 회전속도로 13-17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신선초잎 추출물, 싸리나무잎 추출물 및 인동덩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 0.1 중량부 및 미강 발효추출물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신선초잎, 싸리나무잎 및 인동덩굴잎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신선초잎분말, 싸리나무잎분말 및 인동덩굴잎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50℃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미강 발효추출물은,
    미강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미강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미강분말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후 33-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6-8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026999A 2023-02-28 2023-02-28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999A KR102535756B1 (ko) 2023-02-28 2023-02-28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999A KR102535756B1 (ko) 2023-02-28 2023-02-28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756B1 true KR102535756B1 (ko) 2023-05-30

Family

ID=8652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999A KR102535756B1 (ko) 2023-02-28 2023-02-28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072B1 (ko) 2023-06-12 2024-02-28 기호균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815A (ko) * 2016-11-22 2018-05-3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9315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3452B1 (ko) * 2021-06-28 2022-02-16 (주)씨앤씨인터내셔널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815A (ko) * 2016-11-22 2018-05-3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9315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3452B1 (ko) * 2021-06-28 2022-02-16 (주)씨앤씨인터내셔널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072B1 (ko) 2023-06-12 2024-02-28 기호균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5197B2 (ja) 皮膚外用剤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0794446B1 (ko)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5756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JP5597641B2 (ja) 炮製処理されたシャクヤク、玉竹または百合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80885A (ja) 抗アレルギー性皮膚外用剤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2481661B1 (ko) 비건엑소좀, 비건펩타이드, 비건히알루론산 및 비건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피부 장벽개선, 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Nair et al. Studies on some south indian market samples of Ayurvedic drugs-II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71255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528583B1 (ko) 모발 케어용 미스트 조성물
KR102347548B1 (ko) 피부 트러블 완화 및 항산화용 올인원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177613B1 (ko) 민들레, 금은화 및 들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JP5597642B2 (ja) 炮製処理された甘菊及び陳皮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KR20170121358A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3439A (ko) 황토 지장수와 과일 발효액을 이용한 새싹 보리 및 새싹 밀의 재배방법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KR20200098287A (ko)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1341B1 (ko)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