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41B1 -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41B1
KR102651341B1 KR1020230189737A KR20230189737A KR102651341B1 KR 102651341 B1 KR102651341 B1 KR 102651341B1 KR 1020230189737 A KR1020230189737 A KR 1020230189737A KR 20230189737 A KR20230189737 A KR 20230189737A KR 102651341 B1 KR102651341 B1 KR 10265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temperatur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8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Vitamin B5 pantoth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4Vitamin B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라나추출물 19-21 중량부, 맥문동추출분말 9-11 중량부, 황기추출분말 9-11 중량부, 백출추출물 6-8 중량부, 병풀추출분말 5-7 중량부, 진피추출분말 4-6 중량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어성초추출분말 9-11 중량부, 건조맥주효모 14-16 중량부, 치자농축분말 4-6 중량부, 비오틴 0.8-1.2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inhibiting dihydrotestosterone production and preventing hair loss}
본 발명은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발의 성장기를 회복시켜 탈모 완화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100 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는 양상을 보인다.
최근에는 과도한 스트레스, 환경오염, 서구화된 식습관, 약물 오남용 등으로 인한 부작용, 파마, 염색, 정발제류의 사용 및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탈모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비듬균 및 기타 세균 등에 의한 두피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명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탈모증의 원인 중 남성호르몬 과잉 분비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통상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baldness)이라고 불리는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ic alopecia)이 있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있는 경우, 건강한 모발은 점차로 가늘어지고 모발이 약해져서 쉽게 부서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현상을 축소화(miniaturization)라고 한다. 축소화가 일어나는 모낭은 가늘고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짧은 솜털로 변해 결국 탈모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남성호르몬 활성 억제를 통한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남성탈모증은 남성호르몬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testosterone 5α-reductase)에 의해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이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낭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지연시켜 모낭의 생장기가 단축되고 모낭을 위축시킴으로써 유발된다. 또한, 안드로겐성 탈모 과정에서 피지가 과잉 생성되어 염증을 동반한 탈모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제제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제제로서, 현재까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두 가지 발모제 성분 중의 하나입니다. 미녹시딜은 고혈압 치료제이었지만 사용상의 부작용으로 발모 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발모제로 더 유명한 약물이 되었다. 미녹시딜의 발모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혈관 확장 효과를 통한 혈류량 증가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외에도 머크(Merck)사의 프로페시아(Propecia) 주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더 강력한 형태의 남성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탈모 치료제는 장기간 복용시 성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하고, 피부염을 일으키는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다. 이에, 우수한 탈모방지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22505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모발의 성장기를 회복시켜 탈모 완화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탈모 방지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과라나추출물 19-21 중량부, 맥문동추출분말 9-11 중량부, 황기추출분말 9-11 중량부, 백출추출물 6-8 중량부, 병풀추출분말 5-7 중량부, 진피추출분말 4-6 중량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어성초추출분말 9-11 중량부, 건조맥주효모 14-16 중량부, 치자농축분말 4-6 중량부, 비오틴 0.8-1.2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귀리발효오일 및 메밀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귀리 및 메밀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귀리 및 메밀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탈모 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과라나추출물 19-21 중량부, 맥문동추출분말 9-11 중량부, 황기추출분말 9-11 중량부, 백출추출물 6-8 중량부, 병풀추출분말 5-7 중량부, 진피추출분말 4-6 중량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어성초추출분말 9-11 중량부, 건조맥주효모 14-16 중량부, 치자농축분말 4-6 중량부, 비오틴 0.8-1.2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과라나추출물은 과라나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과라나는 커피 콩과 비슷한 크기의 열매로써 과라나의 씨앗은 커피 콩보다 2배 많은 농도의 카페인을 함유있어 식이 보충제로서 사용되며, 과라나의 높은 카페인 농도는 방어적 독소 작용을 하여, 다른 병원균으로부터 과라나 열매나 씨앗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라나추출물은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9.5-2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맥문동추출분말은 맥문동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맥문동은 중국, 대만, 한국에 주로 분포하는 약용 식물로 전통적으로 기침, 가래, 천식 및 신경 퇴행성 질환 치료에 한의학적으로 사용된다. 맥동(麥冬), 문동(門冬), 촌동(寸冬), 불사초(不死草), 연계초(沿階草)로도 불리는 백합과(Liliac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자주색의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도 사용되며, 뿌리의 팽대부가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한의학에서는 맥문동에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입마름을 해소하거나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 등이 있다고 하며, 기존의 과학적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맥문동의 효능으로는 지질감소, 항암, 스트레스 저하, 기억력 증진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맥문동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황기추출분말은 황기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황기(Astragali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의 뿌리를 캐어 껍질을 벗겨 건조한 것으로 파종 후 2년째 가을에 수확하는 것이 보통이나 때에 따라서는 당 년 또는 3년째 가을에 수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황기의 뿌리에는 40여 종의 트리테펜 글리코사이드(사포닌), 아스트가람 I, II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캠패올, 쿼센틴과 같은 후라보노이드, 20여 종 이상의 유리 아미노산, 철, 마그네슘 등 20여 종의 미량원소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기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백출추출물은 백출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삽주의 근경을 일으키며, 방향성건위제로 한방에서는 비장을 보강하는 건비, 보비 처방에 빈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테효과,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혈당치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백출추출물은 6-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병풀추출분말은 병풀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병풀(Centella asiatica)은 국내 산이나 들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최근에는 병풀이 세균, 진균 등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다고 하여 항균용 화장품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병풀추출분말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진피추출분말은 진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는 귤껍질로서, 산초과 또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광귤나무(Citrus Auranticum L.) 또는 제주도산 귤나무(C. Junos), 귤나무(C. nobilis) 등의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것인데, 동의치료에서는 오래 묵인것일수록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분으로는 정유와 플라보노이드인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함유되어 있어 방향성 건위약 또는 진해, 거담, 복만, 복통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생약의 일종이다. 상기 진피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참당귀추출분말은 참당귀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참당귀는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데커신과 데커시놀안젤레이트는 중국 및 일본 당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성분이기에 해당 성분의 검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참당귀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어성초추출분말은 어성초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약모밀, 중약채, 즙채 등으로 불리우며, 잎과 줄기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발산한다. 어성초는 몸의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체내 독소를 배출하는 등의 효능이 알려진 민간약초로, 주요 성분으로는 퀘르시트린(quercitrin),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등을 함유한다. 상기 어성초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맥주효모는 맥주를 발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맥주를 만드는 과정에서 맥주를 분리시키면 위에는 맥주가 뜨고 아래에는 맥주효모가 가라앉게 되는데, 이것을 건져 150~200℃에 순간 건조하여 만든 것을 건조맥주효모(Brewey's Yeast)라 한다. 맥주효모가 병의 치료나 건강증진 목적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학자 들에 의해서 뇌세포를 활성화해주는 고단백질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건조맥주효모는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s Elis)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 관목으로 일본, 중국, 인도 등에 자생하며, 우리 나라 완도군을 중심으로 남해안 지역에 걸쳐 자생 또는 지배되고 있다. 치자나무의 황색열매를 치자(Gardenia fructus)라고 하는데, 예로부터 한방에서 당뇨(糖尿), 황달(黃疸), 임질(淋疾), 결막염(結膜炎), 소염(消炎), 토혈(吐血)등에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치자농축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비오틴(biotin)은 수용성의 비타민 B 계열로, 비타민 B7(vitamin B7)로도 불린다. 상기 비오틴은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혈당 균형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하며, 뇌기능을 활성화하고,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며, 갑상선 및 부신 기능을 지원하고, 신체 조직의 회복을 촉진하는 중요한 비타민이다. 특히, 비오틴은 모발을 구성하는 단백질인 케라틴의 구조를 개선하여 모발 건강을 향상하며, 두피 상태를 개선하고, 모발의 두께, 윤기를 높여주는 바, 탈모의 예방을 위해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상기 비오틴은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판토텐산칼슘은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은 새송이의 변종으로 영어명칭은 페룰라 오이스터 머쉬룸(Ferula Oyster Mushroom)으로, 해석하면 아위나무 느타리버섯이다. 중국에서는 백령측이(白靈側耳)라고 부른다. 중국의 건조지대인 신강지방의 아위 나무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생장온도는 8~20℃의 중온으로 우리나라의 봄, 가을 재배에 적합하다. 중국과 중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아위버섯은 막힌데를 풀어주고 기침과 염증을 해소시키고 위장 질환에 효험이 있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고 한의학 서적 등에 인체의 독소를 배출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염증을 해소시키고 산부인과 계통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소개된 고기능성 버섯이다.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은 양귀비과(Papaver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아물, 우수리에 분포한다. 덩이줄기를 현호색(玄胡索)이라 하며, 활혈, 산어, 이기, 진통의 효능 및 심복통, 요슬통, 월경불순, 산후혈훈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코리달린(Corydaline), 디엘 테트라히드로콥티신(dl tetrahydrocoptisine) 등이 있다.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는 굵고 곧은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50∼90cm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나 있다. 주요성분으로 꽃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은 보편적으로 'Tutsan'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유럽에서 생장한다. 하이페리쿰의 잎은 차로 만들어 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뇨 효과 및 간세포 보호 작용으로 사용되었다. 허브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페놀릭 에시트, 젠톤이 4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루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귀리발효오일 및 메밀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귀리 및 메밀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귀리 및 메밀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귀리(Avena Sativa L.)는 한해살이 풀로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잎은 줄모양이다. 씨에는 농마, 기름,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물질, 스테린(스티그마스테리, β -시로스테린, 콜레스테린)이 있고 이밖에 (싱아산, 말론산, 에르코산), 쿠마린과 비타민 E가 있다. 지방 친화성이 있어, 동맥경화예방, 위장병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밀(buck wheat, Fagopyrum esculentum)은 높이가 60∼90cm이고 줄기 속은 비어 있다. 메밀씨는 건조한 땅에서도 싹이 잘 트고 생육기간이 60∼100일로 짧으며 불량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특히 강하다. 서늘하고 알맞게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 자라는데, 생육 초기에는 온화하고, 개화 성숙기에는 고온이 아니며 비가 적은 조건이 좋다. 또한, 단백질 함량이 높고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섬유소 함령이 높고 루틴(rutin)이 들어 있어서 구충제나 혈압강하제로 쓰인다. 천궁(川芎)은 진정·진통·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빈혈증·부인병 등에 사용하며, 모과는 각기병과 급체·기관지염·토사·폐결핵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귀리 및 메밀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귀리 및 메밀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과라나추출물 20 중량부, 맥문동추출분말 10 중량부, 황기추출분말 10 중량부, 백출추출물 7 중량부, 병풀추출분말 6 중량부, 진피추출분말 5 중량부, 참당귀추출분말 5 중량부, 어성초추출분말 10 중량부, 건조맥주효모 15 중량부, 치자농축분말 5 중량부, 비오틴 1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1 중량부 및 덱스트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57.27 11544.32 3366.08
제조예 2 35.69 5043.57 1756.11
제조예 3 43.77 7357.89 2711.79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5.3
제조예 2 48.5
제조예 3 52.1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염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검출키트(iNtRON)를 이용한 측정값을 하기 계산식 2에 의해 산출하고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이다. NO 생성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112023144554923-pat00002
시료명 NO 생성 억제율(%)
제조예 1 77
제조예 2 69
제조예 3 73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매우 높은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염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탈모 방지 효과 분석
1.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능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5-alpha reductase 활성의 측정을 위해 Male Sprague Dawley rat(350-400 g)의 전립선을 적출하고 생리식염수로 1회 세척하고 4배의 phosphate buffer(pH 7.4, Gibco, Grand Island, New York, USA)를 넣어 균질화하였다.
균질화 과정은 Vibra cell (VC505, SONICS&MATERIALS, INC. CT. USA)로 실시하였다. 균질액은 다시 4℃, 5,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Micro 17TR, Hanjin Science industrial Co., Ltd. Inchun. Korea)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Bradford assay를 이용한 단백질 양을 근거로 20 g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5-alpha reductase Ⅱ 활성 측정은 래트의 전립선 균질액을 사용한 경우, rat 5-alpha reductase Ⅱ ELISA kit(Cusabio) 의 매뉴얼을 따랐다. 즉, 20 g의 균질액과 상기 식품 조성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CI, Tokyo Chemical Industry Co.,Ltd., Tokyo, Japan)을 2 nM 처리하여 1시간 동안 37℃ incubator(Multiroom incubator, JS Research Inc., Gongju, Korea)에서 반응시켰다. 양성대조군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TCI,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는 사전실험을 통하여 10 M으로 사용되었다. Microplate spectrophotometer(MQS200R,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테스토스테론군을 100%로 하여 백분율로 표기하였으며, 상기 식품 조성물 각각을 3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억제능 (%)
양성대조군 63.1
실시예 1 53.2
실시예 2 57.3
실시예 3 58.1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탈모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확인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탈모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모세포를 2×105 cells/㎖로 6웰 플레이트(6 well plate)에 분주하고 LPS(400 ng/㎖)와 상기 식품 조성물(300 ㎍/㎖)을 각각으로 동시 처리 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고, 각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TNF-α의 생성량을 분석하였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찍어 각각 단백질 생성량을 환산한 후 %로 환산하여 수치화시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비교군을 100%로 하여 비교하였다.
TNF-α 생성량 (%)
대조군 (LPS 400 ng/㎖) 486.5
실시예 1 176.4
실시예 2 111.5
실시예 3 104.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LPS 처리된 모모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탈모 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과라나추출물 19-21 중량부, 맥문동추출분말 9-11 중량부, 황기추출분말 9-11 중량부, 백출추출물 6-8 중량부, 병풀추출분말 5-7 중량부, 진피추출분말 4-6 중량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어성초추출분말 9-11 중량부, 건조맥주효모 14-16 중량부, 치자농축분말 4-6 중량부, 비오틴 0.8-1.2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8-1.2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달맞이꽃,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9737A 2023-12-22 2023-12-22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737A KR102651341B1 (ko) 2023-12-22 2023-12-22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737A KR102651341B1 (ko) 2023-12-22 2023-12-22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41B1 true KR102651341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737A KR102651341B1 (ko) 2023-12-22 2023-12-22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926A (ko) * 2004-09-15 2006-03-20 김영숙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조성물
KR20080018804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모발처리용 조성물
KR20120056425A (ko) * 2010-11-25 2012-06-04 김창호 탈모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3571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50513B1 (ko) 2019-05-06 2021-05-11 서길원 탈모 및 발모를 개선하는 건강보조식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926A (ko) * 2004-09-15 2006-03-20 김영숙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조성물
KR20080018804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모발처리용 조성물
KR20120056425A (ko) * 2010-11-25 2012-06-04 김창호 탈모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3571A (ko) *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50513B1 (ko) 2019-05-06 2021-05-11 서길원 탈모 및 발모를 개선하는 건강보조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3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310970B1 (ko)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695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3722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806A (ko)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100760670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434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1341B1 (ko)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 생성 억제 탈모 방지용 식품 조성물
KR20210034320A (ko)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71255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81678B1 (ko)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1839A (ko)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
KR102164505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