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505B1 -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05B1
KR102164505B1 KR1020190016223A KR20190016223A KR102164505B1 KR 102164505 B1 KR102164505 B1 KR 102164505B1 KR 1020190016223 A KR1020190016223 A KR 1020190016223A KR 20190016223 A KR20190016223 A KR 20190016223A KR 102164505 B1 KR102164505 B1 KR 10216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owder
active ingredient
natur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287A (ko
Inventor
김대익
김동섭
성낙윤
한인준
서지영
이병수
김건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들깨 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주름개선, 미백효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도록 한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2.0 - 10.0중량%, 블랙베리 잎 추출물 72.0 - 75.5중량% 및 들깨 잎 추출물 18.0 - 22.5중량%로 구성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ner beauty comprising a natural extract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들깨 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주름개선, 미백효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도록 한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뷰티시장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다기능의 화장품 출시와 더불어 내면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이너뷰티 트렌드가 점차 확산되면서 미래의 성장뷰티 시장을 예고하는 이른바 먹는 화장품, 이너뷰티 브랜드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너뷰티는 내면의(inner) 아름다움(beauty)을 뜻하며, 화장품을 바르는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피부 표면만을 일시적으로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통해 피부 속 건강을 챙겨 피부 자체를 좋게 한다는 의미로, 아름답기를 소망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커지면서 먹는 화장품이라 불리는 이너뷰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너뷰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6648호에 '천연 식물발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전통누룩 곡자로 발효시킨 곡자 발효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너뷰티 푸드의 일종으로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섭취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은 섭취 가능한 화장품으로서 최근 트렌드에 부합되는 경향은 보이지만, 인체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화장품에 비해 주름개선, 미백효과와 같은 기능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피부질환을 완화 또는 개선토록 하는 유효성분이 단일물질로만 이루어져, 예컨대 다양한 루트를 통해 발생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원인인자를 표적하지 못하여 효율적인 피부 관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화장품과 기능적인 면에서 비견되거나 보다 우수한 이너뷰티용 조성물을 예의 연구한 결과, 미선나무 잎, 블랙베리 잎, 들깨 잎에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을 최적의 조성비율로 배합함으로서 피부에 대한 기능성이 월등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6648호(2015.02.13. 천연 식물발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18429호(2017.10.25.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대나무 잎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861541호(2018.05.21. 딸기 발효 식초와 발효액을 이용한 이너 뷰티 발효 푸딩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 트렌드에 부합되는 이너뷰티 푸드로서 주름개선, 미백효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피부자극에 의한 부작용은 수반하지 않고, 복합적인 천연추출물이 다양한 루트를 통해 발생되는 피부질환과 관련된 원인인자를 표적함으로서 효율적인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들깨 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구강 점막용 필름을 비롯한 이너뷰티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미선나무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8:1 내지 2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미선나무 잎 추출물 2.0 - 10.0중량%,
블랙베리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5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48:1 내지 5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80 - 9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블랙 베리 잎 추출물 72.0 - 75.5중량%,
들깨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6:1 내지 20: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들깨 잎 추출물 18.0 - 22.5중량%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첫째, 최근 트렌드에 부합되는 이너뷰티 푸드로서 주름개선, 미백효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와 같은 기능성을 부여하면서 피부자극에 의한 부작용은 수반하지 않고,
둘째, 복합적인 천연추출물이 다양한 루트를 통해 발생되는 피부질환과 관련된 원인인자를 표적함으로서 효율적인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미선나무 잎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들깨 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구강 점막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이너뷰티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의 콜라게나제(Collagenase)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의 NO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2.0 - 10.0중량%, 블랙베리 잎 추출물 72.0 - 75.5중량% 및 들깨 잎 추출물 18.0 - 22.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대상체인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에 의하면,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라고 명명하고, 한국에서만 서식하는 관목으로서 세계유일의 1속 1종의 천연기념물이다. 미선나무는 녹차의 약 10배에 달하는 폴리페놀 성분과 항염증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내지 10.0중량%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이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 소망하고자 하는 기능적 작용인 항염증, 항산화 작용 등은 충분히 달성되나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2.0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소망하고자 하는 기능적 작용을 발휘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상기 블랙베리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대상체인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에 의하면, 간 기능을 좋게 하여 피로회복을 도와주고, 눈을 맑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블랙베리는 신장과 방광기능을 좋게 하며, 강정 및 생식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각종 염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블랙베리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장기간 복용할 경우 산성체질을 알칼리성 체질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항암성분 및 항산화 작용을 도모하는 성분의 함량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베리 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72.0 내지 75.5중량%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랙베리 잎 추출물이 75.5중량%를 초과할 경우 블랙베리 잎 추출물의 기능적 작용은 우수해지는 반면, 다른 성분의 기능적 작용은 상대적으로 열등해짐에 따라 다양한 루트를 통해 발생하는 피부질환 발생 원인인자 중 일부만을 표적하게 되고, 그 결과 피부 관리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72.0중량% 미만일 경우 블랙베리 잎의 기능적 작용의 저하, 즉 항염증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이 미미해짐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곤란하다.
다른 한편,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대상체인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에 의하면,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식물로서, 인체에 유익한 유용성분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 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또한,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페릴라 알데히드(perillylaldehyde), 리모넨(limonene), 페릴라 케톤(perillaketo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8.0 내지 22.5중량%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이 22.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지 성분이 과다해져 제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18.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들깨 잎에 함유된 리놀렌산 등의 기능적 발현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은, 미선나무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8:1 내지 2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70% 에탄올에 미선나무 잎을 분쇄하여 된 분말체를 18:1 내지 2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내지 80℃에서 3 내지 5시간 추출하는 것은, 미선나무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또한 추출시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항염증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과는 관계없는 물질까지도 다량 추출되어 결과적으로 미선나무 잎의 기능적인 작용이 약화될 우려가 있으며, 70℃ 미만이면 추출수율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미선나무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는 용매추출법을 적용하는게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랙베리 잎 추출물은, 블랙베리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5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48:1 내지 5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80 - 9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50% 에탄올에 블랙베리 잎을 분쇄하여 된 분말체를 48:1 내지 5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80 내지 90℃에서 3 내지 5시간 추출하는 것은, 블랙베리 잎으로부터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블랙베리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온도가 90℃를 초과하면 블랙베리 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고온에 의해 소실될 우려가 있으며, 80℃ 미만이면 추출수율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블랙베리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은 50% 에탄올을 용매로 하는 용매추출법을 적용하는게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은, 들깨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6:1 내지 20: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70% 에탄올에 들깨 잎을 분쇄하여 된 분말체를 16:1 내지 20: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내지 80℃에서 3 내지 5시간 추출하는 것은, 들깨 잎에 함유된 리놀렌산 등과 같은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들깨 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온도가 80℃를 초과하게 되면 페릴라 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과 같은 식물성 정유까지 추출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70℃ 미만이면 추출수율이 극히 낮아져, 들깨 잎의 기능성 발휘가 곤란하다.
상기 들깨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는 용매추출법을 적용하는게 바람직하나, 이 외에도 열수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미선나무 잎 추출물 2.0 - 10.0중량%, 블랙베리 잎 추출물 72.0 - 75.5중량% 및 들깨 잎 추출물 18.0 - 22.5중량%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발포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구강 점막용 필름, 정제, 시럽, 캡슐, 환제, 과립, 분말, 에어로졸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의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너뷰티용 조성물로서 제조된 구강 점막용 필름 등은 이른바 '먹는 화장품'으로서 피부에 직접적인 자극을 미치지 않아 피부자극에 의한 부작용은 수반하지 않으면서 피부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미선나무 잎으로부터 유효물질 추출
1. 음건하여 잘게 부순 미선나무 잎 2㎏에 70% 에탄올 40ℓ를 넣고 7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2.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50℃에서 감압 하에 2ℓ까지 농축하였다.
3. 농축물을 동결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최종적으로 미선나무 잎 추출물 1.02㎏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블랙베리 잎으로부터 유효물질 추출
1. 음건하여 잘게 부순 블랙베리 잎 600g에 50% 에탄올 30ℓ를 넣고 8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2.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50℃에서 감압 하에 2ℓ까지 농축하였다.
3. 농축물을 동결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최종적으로 블랙베리 잎 추출물 20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들깨 잎으로부터 유효물질 추출
1. 음건하여 잘게 부순 들깨 잎 2㎏에 70% 에탄올 36ℓ를 넣고 7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2.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50℃에서 감압 하에 2ℓ까지 농축하였다.
3. 농축물을 동결건조기로 건조시켜서 최종적으로 들깨 잎 추출물 43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천연추출복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미선나무 잎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및 들깨 잎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이하 '천연추출복합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험에 사용할 시료로 설정하였다.
No 원료명 배합비율(%)
1 미선나무 잎 추출물 5
2 블랙베리 잎 추출물 75
3 들깨 잎 추출물 20
[실험예 1]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에 따른 주름개선 효과
1. 천연추출복합물의 Elastase 활성 억제능 평가
천연추출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0.1M Tris-HCl buffer(pH 8.0)에 희석한 시료 220㎕에 2㎎/㎖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20㎕를 첨가하여 25℃ 조건에서 20분 반응시킨 다음, 얼음 위에서 반응을 종결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데노신을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Elastase 억제능은 천연추출복합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천연추출복합물의 Elastase 활성 억제능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개별소재 처리와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는 Elast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며, 농도 의존적인 Elastase 활성 억제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구인 Adenosine과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시 Elast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은 주름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천연추출복합물의 Collagenase 활성 억제능 평가
천연추출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Collagenase 활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한 후 Collagenase Activity Assay kit(Abca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ssay buffer 88㎕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2㎕와 Collagenase 10㎕를 추가한 후 100㎕의 Collagenase Reaction Mix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34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데노신을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Collagenase 활성 억제능은 천연추출복합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천연추출복합물의 Collagenase 활성 억제능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개별소재 처리와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는 Collagen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며, 농도 의존적인 Collagenase 활성 억제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구인 Adenosine과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시 Collagen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은 주름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에 따른 항산화 효과
천연추출복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메탄올에 용해한 200μM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200㎕에 희석한 시료를 50㎕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crobic acid를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천연추출복합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여 천연추출복합물의 항산화 효과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개별소재 처리와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는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켜주며 농도의존적인 효과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에 따른 미백 효과
천연추출복합물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0.1M phosphate buffer(pH 6.5) 50㎕에 시료 50㎕와 100 unit/㎖ Tyrosinase 50㎕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1mM L-DOPA 100㎕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rbutin을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은 천연추출복합물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천연추출복합물의 미백 효과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개별소재 처리와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는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며, 농도 의존적인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구인 Arbutin과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시 Tyrosinase 활성 억제능이 높게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은 미백 효과에 유의한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천연추출복합물 처리에 따른 항염 효과
천연추출복합물의 항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O생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96 well plate에 RAW 264.7 세포(murine macrophages)를 2×104 cell/well로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키고, 시료 처리와 동시에 염증유발 물질인 LPS를 1㎍/㎖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병용 처리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배양 상층액에서 NO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NO의 함량은 분리된 배양 상층액 100㎕에 동량의 Griess(Sigma) 시약을 처리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산화질소의 농도는 sodium nitrite(NaNO2, Sigma)를 사용하여 얻은 표준 직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천연추출복합물의 항염 효과 평가 결과를 분석하면, 염증 유발물질인 LPS의 처리시 시료 무처치구에서는 염증 마커인 NO의 분비가 증가되었고, 개별소재와 천연추출복합물을 처리 하였을 때 NO생성이 억제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개별소재 처리와 비교하여 볼 때, 천연추출복합물의 처리는 NO생성 억제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며, 농도 의존적인 NO생성 억제능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은 항염 효과에 유의한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미선나무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8:1 내지 2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미선나무 잎 추출물 2.0 - 10.0중량%,
    블랙베리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5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48:1 내지 52: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80 - 9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블랙 베리 잎 추출물 72.0 - 75.5중량%,
    들깨 잎을 음건 후 분쇄하여 분말체를 형성하고, 70% 에탄올에 상기 분말체를 16:1 내지 20:1의 중량비율로 첨가하여 70 - 80℃에서 3 - 5시간 추출하여서 된 추출용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여과된 여과액을 45 - 55℃에서 상기 여과액 전체 부피 대비 2 - 4% 부피에 이를 때까지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들깨 잎 추출물 18.0 - 22.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발포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뷰티용 조성물은,
    구강 점막용 필름, 정제, 시럽, 캡슐, 환제, 과립, 분말,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20190016223A 2019-02-12 2019-02-12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216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23A KR102164505B1 (ko) 2019-02-12 2019-02-12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23A KR102164505B1 (ko) 2019-02-12 2019-02-12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87A KR20200098287A (ko) 2020-08-20
KR102164505B1 true KR102164505B1 (ko) 2020-10-13

Family

ID=7229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23A KR102164505B1 (ko) 2019-02-12 2019-02-12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287A (ko) 2021-02-24 2022-09-01 성이바이오(주) 가래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719A1 (en) * 2004-06-18 2008-04-24 Symrise Gmbh & Co. Kg Blackberry Extrac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695B1 (ko) * 2008-01-24 2010-04-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6648A (ko) 2013-08-05 2015-02-13 김홍기 천연 식물발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9209B1 (ko) * 2015-01-16 2017-04-24 ㈜엠알이노베이션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KR101851284B1 (ko) * 2015-09-25 2018-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18429A (ko) 2016-04-15 2017-10-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함염 및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대나무 잎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861541B1 (ko) 2016-09-06 2018-05-28 정인숙 딸기 발효 식초와 발효액을 이용한 이너 뷰티 발효 푸딩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5719A1 (en) * 2004-06-18 2008-04-24 Symrise Gmbh & Co. Kg Blackberry Extr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287A (ko) 2021-02-24 2022-09-01 성이바이오(주) 가래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감소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87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0670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18879A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620A (ko)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434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505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2164506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5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20020996A (ko)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38957B1 (ko) 백선피, 형개, 사상자, 녹두, 목단피, 고삼, 대황, 및 지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