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620A -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6620A KR20190076620A KR1020170178566A KR20170178566A KR20190076620A KR 20190076620 A KR20190076620 A KR 20190076620A KR 1020170178566 A KR1020170178566 A KR 1020170178566A KR 20170178566 A KR20170178566 A KR 20170178566A KR 20190076620 A KR20190076620 A KR 20190076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whitening
- medicinal materials
- weight
- produ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부작용이 없고 기미 제거와 미백 활성 효과가 높기 위한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상기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상기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상기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기 상백피가 10 내지 18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상기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준비단계; b) 상기 5가지 약재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 ~ 15% 되도록 하는 건조단계; c)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 d)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분말이 된 약재를 상기 용매와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e) 상기 혼합된 약재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단계; f) 상기 추출된 약재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g) 상기 여과된 약재에 주정성분을 증발시켜 약재원액을 완성하는 원액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상기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상기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상기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기 상백피가 10 내지 18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상기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준비단계; b) 상기 5가지 약재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 ~ 15% 되도록 하는 건조단계; c)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 d)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분말이 된 약재를 상기 용매와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e) 상기 혼합된 약재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단계; f) 상기 추출된 약재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g) 상기 여과된 약재에 주정성분을 증발시켜 약재원액을 완성하는 원액생성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부작용이 없고 기미 제거와 미백 활성 효과가 높기 위한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환경공해의 심화와 함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등으로 쉽게 건강한 미백 피부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미백 피부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고 점점 미백 피부를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자연미로 맑고 깨끗한 하얀 미백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인간의 피부 색깔은 환경, 인종, 성별 등의 영향을 받으나 일반적으로 갈색의 멜라닌의 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다이히드록시 페닐알라닌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효소적 산화과정 및 비효소적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 흑색의 종합체로 형성된다.
멜라닌 과립을 포함하는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이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면 원하지 않는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침착, 광독성 반응 또는 다른 유사한 소형의 고정 색소성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최근에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코지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과색소 침착 또는 멜라닌 과다 생성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조성물은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지산은 시간에 따라 광분해가 진행되어 시간이 지나면 제형이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용액 내에서 불완전하여 조성물의 제조공정이 복합해지고, 돌연변이 유발 가능, 종양 촉진, 자극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체에 대해서 항산화, 미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선도 혼합물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물질의 개발이 되어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기초로 한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및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세포독성이 없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상기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상기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상기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기 상백피가 10 내지 18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상기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준비단계; b) 상기 5가지 약재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 ~ 15% 되도록 하는 건조단계; c)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 d)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분말이 된 약재를 상기 용매와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e) 상기 혼합된 약재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단계; f) 상기 추출된 약재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g) 상기 여과된 약재에 주정성분을 증발시켜 약재원액을 완성하는 원액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작용 및 독성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기미 제거와 미백 활성을 안정하게 높일 수 있고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은 화장품과 함께 기미를 제거, 피부의 미백 및 주름개선을 위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대인들이 요구하는 하얀 미백 피부를 적은 비용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백 활성 분석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1/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2/3)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3/3)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전후의 실물사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미백 활성 분석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1/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2/3)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험의뢰한 결과보고서(3/3)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 전후의 실물사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현대인들은 건강한 자연미로 맑고 깨끗한 미백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다이히드록시 페닐알라닌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효소적 산화과정 및 비효소적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 흑색의 종합체로 형성된다.
멜라닌 과립을 포함하는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이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면 원하지 않는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침착, 광독성 반응 또는 다른 유사한 소형의 고정 색소성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최근에 레저(leisure)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코지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과색소 침착 또는 멜라닌 과다 생성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조성물은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지산은 시간에 따라 광분해가 진행되어 시간이 지나면 제형이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용액 내에서 불완전하여 조성물의 제조공정이 복합해지고, 돌연변이 유발 가능, 종양 촉진, 자극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이와 같이 인체에 대해서 항산화, 미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선도 혼합물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기초로 한 미백용 조성물이 주목받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 및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추출물인 상기 5가지 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5가지 한약재의 사용량은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백피(상백)가 10 내지 18 중량%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성비율이다.
특히, 상기 한약재의 사용 범위는 본 발명자가 전통의학에 기초하여 다년간의 연구 실험결과에 따른 것으로, 상기 구성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없고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구성범위에서 최적의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S100)은 약재를 준비하여 세척하는 준비단계(S110), 상기 약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단계(S120), 상기 건조된 약재를 가루로 만드는 분말단계(S130), 상기 분말이된 약재를 소정의 용매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140), 상기 혼합된 약재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150), 상기 추출된 약재를 걸러주는 여과단계(S160), 및 상기 여과된 약재를 액상으로 수득하는 원액생성단계(S170)를 포함한다.
1. 약재를 준비하여 세척하는 준비단계(S110)
준비단계(S110)는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추출물인 상기 5가지 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5가지 한약재의 사용량은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백피(상백)가 10 내지 18 중량%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성비율이다.
2. 상기 약재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단계(S120)
건조단계(S120)는 물로 세척하여 준비된 5가지 약재인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물기를 제거하여 말려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유효성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온에서 자연 바람으로 건조시킬 수 있고, 상기 약재의 건조 후 함수율은 10 ~ 15%가 되도록 하다.
3. 상기 건조된 약재를 가루로 만드는 분말단계(S130)
분말단계(S130)는 건조된 약재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분말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는 상기 건조단계(S120)를 걸친 후에 조제하기 용이하게 분쇄기구 또는 분쇄장치 등을 이용하여 잘고 곱게 갈아 가루로 분말화시킨다.
4. 상기
분말이된
약재를 소정의 용매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140)
혼합단계(S140)는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 분말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용매는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만들고, 상기 분말 약재를 1로 하여 상기 용매는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한다.
즉,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전체 분말 1로 하여 물과 주정으로 섞인 용매를 9 ~ 12 비율로 혼합한다.
여기서 주정은 에틸알코올이라고도 하고, 보통 알코올이라 하면 상기 에틸알코올을 말한다.
또한, 에틸알코올의 화학식은 CH3CH2OH이고 특유한 냄새와 맛이 있는 무색 액체로, 분자량 46.07, 녹는점 -114.5℃, 끓는점 78.3℃, 비중 0.7893이다.
특히, 천연물 추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주정추출이 열수추출보다 천연물의 영양성분이 더 많이 추출되고, 주정(에틸알코올)으로 할 경우 천연물의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 모두를 추출할 수 있다.
5. 상기 혼합된 약재를 추출하는 추출단계(S150)
추출단계(S150)는 혼합단계(S140)에서 용매와 섞인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추출단계(S150)는 용매와 섞인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의 약효가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상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30 ~ 40℃)에서 상기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장시간(에서 40 ~ 60hr) 추출한다.
특히, 상기 5가지 약재(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주정이 함유한 용매로 법제(法製)시키는 이유는 약재를 살균하면서 알코올의 좋은 성분이 최대한 약재에 침투되도록 하고 약재들의 효능이 극대화되며 복용자에게 혈행(피가 돎)을 활성화하고 활혈작용(活血作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6. 상기 추출된 약재를 걸러주는 여과단계(S160)
여과단계(S160)는 추출단계(S150)에서 추출된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거르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단계(S160)는 상기 추출된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미세여과장치를 통하여 침전물이나 찌꺼기 등을 걸러내어 액상 추출액을 생성한다.
7. 상기 여과된 약재를 액상으로 수득하는 원액생성단계(S170)
원액생성단계(S170)는 여과단계(S160)에서 걸러진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를 액상으로 약재원액을 수득하여 완성하는 단계이다.
즉, 원액생성단계(S170)는 여과단계(S160)에서 걸러진 액상 추출액에서는 주정성분이 있으므로 상기 주정성분을 제거하여 순수 5가지 약재(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로 구성된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액상원액으로 수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S100)은 준비단계(S110) 내지 원액생성단계(S170)를 걸쳐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S100)에 의해서 제조되어 파운데이션, 크림 등과 같은 화장품과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소비자들에게 기미를 제거, 피부의 미백 및 주름개선 등에 도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의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상기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상기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상기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기 상백피가 10 내지 18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S100)은 a)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준비단계(S110); b) 상기 5가지 약재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 ~ 15% 되도록 하는 건조단계(S120); c)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S130); d)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분말이 된 약재를 상기 용매와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140); e) 상기 혼합된 약재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단계(S150); f) 상기 추출된 약재를 여과하는 여과단계(160); 및 g) 상기 여과된 약재에 주정성분을 증발시켜 약재원액을 완성하는 원액생성단계(S170);를 포함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완성을 명확히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의뢰한 동의대학교 내 블루바이오 소재개발 및 실용화지원센터의 결과 보고서 내용이다.
<실험결과 보고서>
Ⅰ. 실험 시료 :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상백) 추출물
Ⅱ. 분석 개요 : 율피 외 4종 천연물을 포함하는 피부세포 독성(WST assay),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미백(Tyrosinase 저해능)활성 분석
Ⅲ. 분석 방법
1)
피부세포
독성(
WST
assay)
1. 96 well plate에 HaCaT cell를 4×104 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 하여 24시간 배양
2. Sample을 50 mg/ml의 농도로 제조
3. Sample을 2배씩 단계 희석 (50, 25, 12.5, 6.25, 3.125 mg/ml)하여 각 well (배지 200 μl)에 2 μl씩 처리하여 최종 500, 250, 125, 62.5, 31.25 μg/ml이 되도록 한 다음, 24시간 반응시킴.
4. WST solution을 각 well에 20 μl씩 처리한 다음, 30분 반응시킴.
5. 450 nm에서 측정함.
계산 방법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A-B)/C } × 100
A : sample absorbance 520nm
B : color control absorbance 520nm(without DPPH)
C : negative control absorbance 520nm(without sample)
- 분석 결과 : 도 2 참조(세포독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 소결 결론: 최고 농도인 500μg/ml에서 세포 생존율이 100% 이상으로 높게 나왔음. 즉, 본 시료의 경우 세포독성 없었다.
2) 항산화 활성 분석 :
DPPH DPPH
radical
소거능
1. 시료 2mg/ml을 1ml의 absolute methanol(이하 MeOH)에 섞은 후 sonication을 1시간씩 총 3회 수행하여 시료에 함유된 가용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도록 함
2. 상기 1.의 과정을 거친 후 2,500rpm에서 5분간 실온에서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상층액 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
3. 각 시료당 e-tube 4개씩 준비하여 MeOH 800 ㎕씩 각각 분주한 다음 2에서 만든 시료 200㎕를 취하여 계단식으로 희석하고 낮은 농도 3개를 사용함
4.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할 ascorbic acid(Vit. C)는 2 mg/ml of MeOH로 준비하여 계단식으로 희석하고 낮은 농도 3개를 사용함
5. 96 well plate에 각 샘플을 160μl씩 분주하고 DPPH 시약을 40 ㎕씩 가한 후 실온에서 빛을 차단하여 30분간 반응시킴
6. 반응 종료 후 Multi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7. control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백분율을 나타냄
- 분석 결과 : 도 3 참조(항산화 활성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 소결 결론 :
1. Sample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50%의 DPPH radical을 소거하는데 필요한 시료농도는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는 1.27 μg/ml이였으며 sample은 56.05 μg/ml로 확인되었다.
2. 낮은 농도에서는 sample의 항산화활성이 낮은 것으로 보여 지나 320, 1600 μg/ml의 농도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ascorbic acid와 비슷하게 90%이상 소거능을 확인하였음
3.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시료는 농도의존적인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3) 미백 활성 분석 :
Tyrosinase
저해능
1. 1 mM L-Tyrosine: L-Tyrosine(Mw=181.19) 0.0036g/ 3rd D.W. 20ml 기준으로 필요한만큼 제조
2. 50mM Phosphate buffer(PB) /(pH 6.5) 준비 및 3rd D.W. 준비
3. Tyrosine buffer (TB)는 위의 1:2:3 = 10:10:9 비율로 제조
4. Tyrosinase solution (T 77.55)은 1000 μ/ml가 되도록 50 mM PB로 희석하여 사용
5. Sample 준비: 시료 10 mg / 10% DMSO 1ml (단, 100% DMSO 100 μl 넣어 sonication한 다음, D.W. 900 μl를 넣어 현탁)
6. 각 sample당 e-tube 준비하여 10% DMSO를 희석농도에 맞게 각각 분주한 다음, 6에서 만든 sample을 취하여 희석해 사용
7. Positive control로 사용되는 Kojic acid (Mw= 142.1)는 2mg / 10% DMSO 1ml로 준비한 다음, 필요한양만큼 e-tμbe 준비하여 필요한 농도로 희석해 사용(희석 시 10% DMSO 사용)
8. 96well에 sample을 10μl씩 분주 (저농도->고농도 순으로 분주)
이때, 각 sample당 4개의 well에 분주하되 마지막은 color control로 사용
* blank는 PB 200 μl
* control은 10% DMSO 10 μl + Tyrosinase 20 μl + TB 170 μl 순으로
* color control은 sample 10 μl + PB 20 μl + TB 170 μl 순으로
* sample은 sample 10 μl + Tyrosinase 20 μl + TB 170 μl 순으로
9. 실온& dark에서 30min 반응 후 490nm에서 흡광도 측정
- 분석 결과 : 도 4를 참조(미백 활성 분석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 소결 결론 :
1. Positive control인 Kojic acid (5, 10, 25, 50, 100 μg/ml)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각각 42.27, 69.77, 93.02, 96.61, 96.52%로 나타났으며 sample (5, 10, 25, 50, 100, 500 μg/ml)은 각각 1.71, 6.83, 5.34, 10.44, 35.46, 88.29%로 확인함
2. 즉, sample의 저농도에서는 tyrosinase의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μg/ml에서부터 저해활성이 나타났으며, 500μg/ml의 농도에서는 88.29%의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시제품을 소비자 50 여명을 대상으로 4주간 기미 개선 효능을 확인하는 실험을 통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면 | 시험기간 | 효과 |
도 8 |
4주(28일) |
·붉은 얼굴(홍조)가 줄어듬 ·기미가 없음짐 ·피부톤이 밝아짐 ·피부결이 좋아지고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10일) 후부터 효과 |
도 9 |
4주(28일) |
·전체적으로 얼굴이 밝아짐(미백) ·미백 후 기미와 잡티가 두들어다, 10일 경과 후 기미와 잡티 엷어짐 ·사용 후 2주(10일) 후부터 효과 |
도 10 |
4주(28일) |
·붉은 얼굴(홍조)가 줄어듬 ·피부톤이 밝아짐(미백) ·피부결이 좋아지고 기미,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11일) 후부터 효과 |
도 11 |
4주(28일) |
·얼굴 빛이 좋아짐(미백) ·기미, 잡티가 없음짐 ·사용 후 2주(13일) 후부터 효과 |
도 12 |
4주(28일) |
·얼굴 빛이 밝아짐(미백) ·미백 후 기미와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6일) 후부터 효과 |
도 13 |
4주(28일) |
·얼굴 빛이 밝아짐(미백) ·기미와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8일) 후부터 효과 |
도 14 |
4주(28일) |
·얼굴 빛이 밝아짐(미백) ·기미와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9일) 후부터 효과 |
도 15 |
4주(28일) |
·피부결이 좋아지고, 얼굴빛이 밝아짐(미백) ·기미와 잡티가 없어짐 ·사용 후 2주(7일) 후부터 효과 |
결과 총 52명 실험 참가자 중 [표 2]와 같은 임상 결과 수치를 보였고, 실험 기간 4주 중 2주부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 수치(효과인수/참가인수) | 효과비율 |
미백효과 | 52/52 | 100% |
주름개선 | 48/52 | 92% |
기미개선 | 43/52 | 83%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자의 연구 및 실험 결과를 토대로 사용되는 각 약재의 효능 및 성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① 율피는 너무 밤나무과(Buna)의 다년생 초목인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의 과실인 밥의 속껍질로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율피의 주요작용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로부터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는 보습효과와 특히, 유해환경으로부터 신체 내부에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나 자유라디칼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어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저해하거나 자유라디칼 소거작용을 한다. 또한, DOPA 자동산화에 대한 저해작용, 피부의 과다한 멜라닌 색소 형성에 의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억제해주는 미백효과에 뛰어난 소재이다
② 백지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구릿대의 뿌리에서 얻어진 생약으로 다량의 당과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 0.07%의 정유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지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로는 항혈전 효과, 항균 작용, 콜라겐 생성촉진효과,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③ 마치현은 잎 모양이 말의 이빨과 비슷하게 생겼고 약재의 성질이 매끄러운 것이 비름과 유사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잎이 큰 것을 돈이초, 잎이 작은 것을 서치현이라고도 하는데 이 또한 생김새를 표현한 것이며 잎이 오랫동안 잘 시들지 않기 때문에 장명(長命)이라는 이름도 있다. 또한 오행초(五行草)라고도 하는데 이는 잎은 청색(靑色), 줄기는 적색(赤色), 꽃은 황색(黃色), 뿌리는 백색(白色), 씨앗은 흑색(黑色)이기 때문에 오행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약은 부드러우면서 특이한 냄새가 나고 점액성이며 맛은 짜고 성질은 차다.[鹹寒]
마치현은 해열, 해독, 지혈효과가 있어 세균성이질, 종기, 치질, 경부림프절염, 습진, 대하, 자궁출혈, 소변불리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자궁평활근 수축력 증강으로 인한 장관 연동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노끈 모양으로 구부러진 원주상을 이루는 줄기에 드문드문 잎이 붙어 있으며 바깥 면은 황갈색이거나 적갈색이며 세로주름이 있다. 질은 물러서 꺾어지기 쉽고 꺾은 면은 황백색 혹은 황갈색을 띤다. 줄기에 붙어 있는 잎은 오그라졌거나 부서져 있고 어두운 녹색이나 진한 갈색을 띤다. 줄기의 가지 끝에 타원형이나 원추형의 주머니 모양의 열매가 붙어 있고 그 속에는 회갈색의 광택이 있는 작은 씨가 들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마현, 오행초(五行草), 구두사자초(九頭獅子草), 마치채(馬齒菜), 마치초(馬齒草), 산현, 안동채(安東菜), 오방초(五方草), 장명채(長命菜), 돼지풀, 도둑풀, 말비름이라고도 한다.
④ 행인은 살구의 씨로 주로 한약재로 많이 이용한다. 살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5m 정도이다. 살구는 7월에 황색 또는 황적색으로 익으며 맛이 시고 달다.
원산지는 동부아시아이다. 우리나라에서 살구가 재배되기 시작한 때는 확실하지 않으나 오래전부터 중부 이북지방의 산야에서 자생되어왔던 것으로 추측된다.
살구의 품종에는 평화·산형3호·광오대실(廣烏大實)·소화 등의 일본으로부터의 도입종 외 미국에서 도입된 품종 국내의 지방종으로부터 선발한 몇 품종이 있다. 재배의 적지는 대개 사과의 적지와 일치한다.
행인죽은 살구씨와 쌀을 섞어 끓인 죽. 쌉쌀한 특미가 있다. 조선시대의 문헌 『시의전서 是議全書』에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살구씨 1홉 멥쌀 1.5∼2티스푼의 비례로 한다. 먼저 살구씨를 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기고 쌀은 물에 담갔다가 일어 건진다.
고운 풀매에다 살구씨와 쌀을 섞어가면서 갈아 고운 체에 밭쳐 찌꺼기를 제거한 뒤 죽을 쑨다. 물이 많으면 엉기지 않으므로 되직하게 조절한다. 먹을 때 꿀이나 설탕으로 감미하고 소금을 약간 가미한다.
살구씨의 효능으로는 진해·거담·소종(消腫)·평천(平喘)·윤장(潤腸) 등이 알려져 있으며 각종 해소·천식·기관지염·급성간염·인후염·장조변비(腸燥便煉)·창종(瘡腫)·암종(癌腫) 등에 치료제로 사용한다. 또한, 살구씨는 여성의 피부미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⑤ 상백피(상백)은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과 일본에서는 뽕나무만을 공정생약에 수재하였다.
뽕나무를 뜻하는 상(桑)은 동방의 성스러운 신목을 뜻하는 약과 나무 목(木)을 합친 글자라고 한다. 이것은 누에가 먹는 나무인 뽕나무가 신목처럼 효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이 둘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甘寒]
상백피는 폐열로 인한 해수, 천식을 치료하며 이뇨 작용이 있다. 급성신우염, 허약성부종에 쓰이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코피와 각혈에도 사용한다. 또한 유행성 간염 등에도 쓰인다. 약리작용은 진해, 이뇨, 혈압강하, 진정, 진통, 해열, 진경,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반관상 또는 띠 모양을 이루고 가끔 가늘게 세로로 잘라져 있다. 바깥 면은 백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주피가 붙어 있는 것은 주피가 황갈색이고 떨어지기 쉬우며 가는 세로주름이 많으며 적갈색을 띤 피목이 있다. 가로로 자른 면은 흰색 또는 엷은 갈색이고 섬유성이며 안쪽 면은 어두운 황갈색이고 평탄하다.
다른 이름으로 상근백피(桑根白皮), 백상피(白桑皮)가 있으며 열매를 심이라고 한다.
상백피는 내복하면 폐의 염증을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생약이다. 만성기관지염의 기성 발작 때나 폐렴 치유 후의 흉통이나 기침, 침출성 흉막염의 침출액에 의한 흉부통증의 팽만감 등에 효과가 있다.
또 이뇨작용도 높아서 급성위염의 초기에 이용된다. 각기, 류마티스 등에는 상백피에 백술, 복령, 진구를 함께 사용해서 더욱 효과를 높인다. 유행성 간염의 초기에는 상백피 2량에 소량의 설탕을 첨가해서 이용하면 좋다. 매일 1회, 1주일간 계속하면 청열, 이뇨, 퇴황에 도움이 된다.
또 관상동맥경화성 고혈압증 및 본태성 고혈압증의 치료약으로서도 그 동물실험에서의 작용이 증명되어 있다.
고문헌에 따르면 상백피를 실로 만들어, 칼에 상처받은 장이 나온 것을 묶어서 고친 예가 있다. 이것은 상백피 실로 상처를 봉합하면 생체에 흡수되어 실을 뽑을 필요가 없다고 적혀있다. 이것은 외용에서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화장품원료뿐만 아니라 외용약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110 : 준비단계
S120 : 건조단계
S130 : 분말단계
S140 : 혼합단계
S150 : 추출단계
S160 : 여과단계
S170 : 원액생성단계
S110 : 준비단계
S120 : 건조단계
S130 : 분말단계
S140 : 혼합단계
S150 : 추출단계
S160 : 여과단계
S170 : 원액생성단계
Claims (3)
-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율비가 30 내지 40 중량%, 상기 백지가 15 내지 25 중량%, 상기 마치현이 10 내지 18 중량%, 상기 행인이 10 내지 18 중량%, 및 상기 상백피가 10 내지 18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제 2 항에 따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5가지 약재를 준비하여 물로 세척하는 준비단계;
b) 상기 5가지 약재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 ~ 15% 되도록 하는 건조단계;
c)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말로 만드는 분말단계;
d) 물과 주정을 3:7로 섞어 용매를 준비하고 상기 분말이 된 약재를 상기 용매와 1 : 9 ~ 12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e) 상기 혼합된 약재를 30 ~ 40℃에서 40 ~ 60시간 동안 추출하는 추출단계;
f) 상기 추출된 약재를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g) 상기 여과된 약재에 주정성분을 증발시켜 약재원액을 완성하는 원액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566A KR20190076620A (ko) | 2017-12-22 | 2017-12-22 |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566A KR20190076620A (ko) | 2017-12-22 | 2017-12-22 |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6620A true KR20190076620A (ko) | 2019-07-02 |
Family
ID=6725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8566A KR20190076620A (ko) | 2017-12-22 | 2017-12-22 |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662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264A (ko) | 2019-09-11 | 2021-03-19 | (주)브로컬리컴퍼니 |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20120948A (ko) * | 2021-02-24 | 2022-08-31 | 이경미 |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446814B1 (ko) | 2021-12-01 | 2022-09-26 | 기호균 |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30143017A (ko) | 2022-04-04 | 2023-10-11 | 주식회사 흑설란 |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989A (ko) | 2015-07-13 | 2017-01-23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율피, 합환피 및 해동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 |
KR20170085872A (ko) | 2016-01-15 | 2017-07-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
2017
- 2017-12-22 KR KR1020170178566A patent/KR201900766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7989A (ko) | 2015-07-13 | 2017-01-23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율피, 합환피 및 해동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품 조성물 |
KR20170085872A (ko) | 2016-01-15 | 2017-07-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1264A (ko) | 2019-09-11 | 2021-03-19 | (주)브로컬리컴퍼니 |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220120948A (ko) * | 2021-02-24 | 2022-08-31 | 이경미 |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446814B1 (ko) | 2021-12-01 | 2022-09-26 | 기호균 |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30143017A (ko) | 2022-04-04 | 2023-10-11 | 주식회사 흑설란 |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29811B2 (ja) | 皮膚外用剤 | |
KR20190076620A (ko) |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702138B1 (ko) | 탈색소제로서의 머틀 추출물 용도 | |
KR100760670B1 (ko) |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2094846B1 (ko) | 피부 개선에 효능이 있는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혼합생약 화장료 조성물 | |
KR102051939B1 (ko) | 황칠나무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 |
KR101443182B1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가지는 한방 약재 복합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94733B1 (ko) |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819060B1 (ko) |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40145278A (ko) |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612017B1 (ko) |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067639B1 (ko) |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효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10144725A (ko) |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 |
CN114732752B (zh) | 用于皮肤美白的组合物及其用途 | |
KR20090105225A (ko) |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3400B1 (ko) |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10005B1 (ko) |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77447B1 (ko) | 폴리페놀 함량이 증대된 칠면초 및 화산송이 복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061839A (ko) |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 | |
KR100883773B1 (ko) |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 |
KR101666783B1 (ko) |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18100A (ko) |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20030055950A (ko) |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68533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