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814B1 -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814B1
KR102446814B1 KR1020210169806A KR20210169806A KR102446814B1 KR 102446814 B1 KR102446814 B1 KR 102446814B1 KR 1020210169806 A KR1020210169806 A KR 1020210169806A KR 20210169806 A KR20210169806 A KR 20210169806A KR 102446814 B1 KR102446814 B1 KR 10244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id
rapese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호균
Original Assignee
기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균 filed Critical 기호균
Priority to KR102021016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기미, 미백, 잡티 개선, 피부 진정,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LASMA}
본 발명은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기미, 미백, 잡티 개선, 피부 진정,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환경공해의 심화와 함께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등으로 쉽게 건강한 미백 피부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미백 피부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고 점점 미백 피부를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자연미로 맑고 깨끗한 하얀 미백 피부를 추구함에 따라 피부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인간의 피부 색깔은 환경, 인종, 성별 등의 영향을 받으나 일반적으로 갈색의 멜라닌의 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닌 세포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다이히드록시 페닐알라닌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효소적 산화과정 및 비효소적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 흑색의 종합체로 형성된다.
멜라닌 과립을 포함하는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하여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이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되면 원하지 않는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침착, 광독성 반응 또는 다른 유사한 소형의 고정 색소성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최근에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하이드로퀴논, 아스코르브산, 코지산, 글루타치온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 과색소 침착 또는 멜라닌 과다 생성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조성물은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지산은 시간에 따라 광분해가 진행되어 시간이 지나면 제형이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용액 내에서 불완전하여 조성물의 제조공정이 복합해지고, 돌연변이 유발 가능, 종양 촉진, 자극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인체에 대해서 항산화, 미백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피부 기미, 잡티 개선, 피부 진정,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14602호(2019년 08월 20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165565호(2020년 10월 07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76620호(2019년 07월 02일 공개)
본 발명은 피부 기미, 미백, 잡티 개선, 피부 진정,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으며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우수한 피부 흡수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고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조성물은 상기 에탄올 7 내지 13 중량부, 글리세린 5 내지 10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0.01 내지 0.1 중량부, 루틴(rutin) 0.005 내지 0.01 중량부,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0.01 내지 0.05 중량부,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0.01 내지 0.05 중량부,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0.08 내지 0.13 중량부, 퀘르세틴(Quercetin) 0.008 내지 0.013 중량부,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0.008 내지 0.013 중량부, 글리신(Glycine) 0.008 내지 0.013 중량부, 라이신(lysine) 0.001 내지 0.003 중량부, 시트르산(citr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젖산(Lact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말산(Mal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0.007 내지 0.013 중량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0.007 내지 0.013 중량부, 숙신산(Succinic acid) 0.007 내지 0.013 중량부,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8 내지 0.13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08 내지 0.13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내지 6 중량부,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0.08 내지 0.13 중량부 및 정제수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조성물에, Pan-B-comp(제품명, 대한약품공업 제조),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 아스코르브산(Vitamin C)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조성물 8 내지 12 중량부, Pan-B-comp(제품명, 대한약품공업 제조) 0.8 내지 1.2 중량부,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8 내지 1.2 중량부, 글루타치온(Glutathion) 0.8 내지 1.2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8 내지 1.2 중량부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0.8 내지 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은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상기 혼합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 추출물 1 내지 5 중량%, 에탄올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 불포화 레시틴 5 내지 15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1 중량%, 헴프시드 오일 2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0.1 내지 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내지 15 중량%, 발효 유채씨유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알칼리 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기미, 미백, 잡티 개선, 피부 진정,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으며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우수한 피부 흡수 효과가 장시간 지속되고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23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1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1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42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조성물은 에탄올 7 내지 13 중량부, 글리세린 5 내지 10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0.01 내지 0.1 중량부, 루틴(rutin) 0.005 내지 0.01 중량부,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0.01 내지 0.05 중량부,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0.01 내지 0.05 중량부,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0.08 내지 0.13 중량부, 퀘르세틴(Quercetin) 0.008 내지 0.013 중량부,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0.008 내지 0.013 중량부, 글리신(Glycine) 0.008 내지 0.013 중량부, 라이신(lysine) 0.001 내지 0.003 중량부, 시트르산(citr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젖산(Lact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말산(Malic acid) 0.005 내지 0.01 중량부,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0.007 내지 0.013 중량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0.007 내지 0.013 중량부, 숙신산(Succinic acid) 0.007 내지 0.013 중량부,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08 내지 0.13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08 내지 0.13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내지 6 중량부,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0.08 내지 0.13 중량부 및 정제수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은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상기 혼합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차가버섯(Inototus obliquus, Chaga mushroom)은 담자균류(Basidiomycota)의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버섯으로, 상기 차가버섯의 자실체(fruit body)에서 추출한 β-글루칸(βglucan), 폴리페놀(polyphenol) 및 스테롤(sterol) 등의 물질이 인체에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지금까지 밝혀진 차가버섯의 효과로는 항암작용(Youn M.J., et al., 2008; Nomura M., et al., 2008) 뿐 만 아니라 항산화 작용(Park Y.K., et al., 2004), 항고지혈증, 항당뇨(Kim M.A., et al., 2009),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염증, 진통작용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차가버섯으로부터 유용한 화합물들을 분리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이노토디올(inotodiol), 트라메테놀산(trametenol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이노노트술리드(inonotsulide) 등과 같은 다양한 화합물들이 분리되었다(Ma L., et al., 2013). 이 중, 이노토디올(inotodiol) 화합물의 경우에는, 항암, 항염증, 멜라닌 형성 억제 등과 같은 활성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39231893-pat00001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을 공지의 초임계 및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추출하여 이노토디올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나노리포좀에 함유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 추출물, 부틸렌글리콜, 불포화 레시틴,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헴프시드 오일,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발효 유채씨유 및 알칼리 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 추출물 1 내지 5 중량%, 에탄올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 불포화 레시틴 5 내지 15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1 중량%, 헴프시드 오일 2 내지 8 중량%, 글리세린 0.1 내지 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5 내지 15 중량%, 발효 유채씨유 1 내지 3 중량% 및 잔량의 알칼리 이온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 부틸렌글리콜, 불포화 레시틴,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헴프시드 오일,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발효 유채씨유 및 알칼리 미네랄수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시판되는 공지된 고압의 호모게나이저나 마이크로 플루다이져(Microfludizer)를 이용하여 나노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은 차가버섯을 공지된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차가버섯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차가버섯 추출물을 제조하는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헴프시드 오일은 헴프시드(Hemp Seed)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햄프(Cannabis sativa L)는, 삼, 마 또는 대마로 불리는 삼과의 한해살이 풀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헴프시드는 상기 헴프의 씨앗을 의미하는데, 상기 헴프시드는 타원형에 길이는 약 5㎜ 정도로 겉껍질은 갈색이고, 겉껍질을 제거하면 크림색 또는 초록빛이 도는 크림색을 띈다. 겉껍질을 벗긴 헴프시드는 식품, 화장품으로 활용되며, 국내에서는 환각성분인 테트라히드로카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검사를 거쳐서 안정성이 확인된 후에 유통된다.
상기 헴프시드 오일은 필수 지방산, 비타민 A, D, E, 미네랄, 오메가 3, 6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생선에서 추출한 오일을 제외하고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오메가 3, 오메가 6을 함유하는 유일한 식물성 오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식물성 오일 보다 많은 필수 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으로 오메가 6, 오메가 3의 비율이 3:1을 가지며, 천연 항산화제 비타민 E와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막는 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헴프시드 오일은 알파리놀레산(Alpha-Linolenic Acid; ALA)과 감마리놀레산이 풍부하여 사람의 피부 보습 및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인, 칼륨, 마그네슘, 황, 칼슘과 철, 아연 등의 미네랄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혈액순환 및 근육완화 작용을 하여 근육통 및 신경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헴프시드 오일을 복용하면 인체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관염증을 치료하며, 피를 맑게 하여 고혈압과 심장질환 및 발작을 감소시키는 기능으로도 작용한다. 특히,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보습을 유지하고, 피부 노화방지 및 피부재생 효과가 탁월하며, 아토피 피부에 사용하면 가려움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헴프시드 오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헴프시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헴프시드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헴프시드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헴프시드를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헴프시드를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헴프시드 오일이 변색되거나 산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산패 억제제는 비타민 C 및 5 중량% 농도의 소금용액이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세척된 헴프시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산패 억제제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시킨 후 20 내지 4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산패 억제제에 침지된 헴프시드를 꺼내어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헴프시드를 1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1차 건조는 상기 분리된 헴프시드를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분리된 헴프시드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차 건조된 헴프시드를 분쇄하여 헴프시드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헴프시드 분말을 2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1차 건조된 헴프시드를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헴프시드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헴프시드 분말을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20 내지 4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상기 헴프시드 분말을 2차 건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차 건조된 헴프시드 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2차 건조된 헴프시드 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헴프시드 분말을 39 내지 41℃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펙티나제(Pec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셀룰라제(Cellul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2차 건조된 헴프시드 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펙티나제(Pectin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8 내지 0.12 중량부, 셀룰라제(Cellulase) 0.03 내지 0.07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헴프시드 분말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지된 유산균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맥아추출물(Malt extract),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제2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dibasic), 글루코스(Glucose) 및 증류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양액에서 상기 펩톤은 단백질을 공급해주는 질소원으로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 주며, 상기 맥아추출물은 각종 미네랄, 비타민 B군,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시트르산나트륨은 배양액의 pH를 조절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무기질로,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고, 상기 글루코스는 유산균이 당을 대사하여 유기산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헴프시드 분말을 발효시켜 헴프시드 분말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헴프시드 분말을 40 내지 42℃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를 유지하는 보관용기에서 3 내지 5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헴프시드 분말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헴프시드 분말 발효물을 초임계추출법으로 추출하여 헴프시드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초임계추출법은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물질의 상태를 기체 또는 액체와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된 용어이다. 초임계 유체는 임계점 부근에서 각종 물성이 큰 폭으로 변화하는데 특히 밀도의 변화가 각종 물질을 용해하는 능력과 깊은 관계가 있다. 초임계 유체의 밀도는 액체의 밀도와 비슷하지만 점도는 기체처럼 낮으며, 확산 계수는 액체의 값보다 수백 또는 수천 배 정도 크다. 즉, 초임계 유체는 액체와 기체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초임계 유체가 용매로 쓰이면 일반 액체 용매와 마찬가지로 액체나 고체를 용해하는 능력을 가지며, 압력과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서 용해력을 조절할 수 있고, 추출 후에 추출 용매와 용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초임계 유체는 점도가 기체처럼 작으므로 시료 침투력이 좋아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확산계수가 크므로 평형에 빨리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저온에서 추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손상을 피할 수 있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무공해 공정이 가능하며, 무해 무취이고, 인화성이 없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의약품이나 식품 향신료의 추출 처리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추출법은 60~70℃의 온도, 400~500 기압 및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공용매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가된 것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상기 공용매는 용매 총 부피를 기준으로 20~30부피% 만큼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임계 추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소량의 공용매가 추가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올 수 있다.
상기 발효 유채씨유는 유채씨를 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발효 유채씨유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유채씨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유채씨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유채씨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유채(학명: Brassica Napus L)는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방과 제주도를 중심으로 주로 재배되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관상용으로 재배되었지만 최근에는 식용유와 바이오디젤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되는 주요 유지작물이다. 유채씨(rapeseed)는 35 내지 45%의 기름을 함유하며, 대표적인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인산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식용유 이외에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품, 바이오연료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유채씨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유채씨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유채씨를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유채씨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유채씨를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유채씨를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유채씨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유채씨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유채씨의 분쇄는 상기 제2 건조된 유채씨를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유채씨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유채씨를 5 내지 1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채씨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유채씨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유채씨 숙성분말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키티나제(chiti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채씨 숙성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키티나제(chiti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05 내지 0.009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유채씨 숙성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유채씨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효소 분해된 유채씨 숙성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로,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유채씨 발효물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발효 유채씨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채씨 발효물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등의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알칼리 이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해수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해수로는 해안 심층 암반수가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해안 심층 암반수는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약 1㎞ 이내의 지하 800m 이상으로부터 용출되는 물을 말하는데, 연안이나 해안의 지하 심층부 암반층에서 암반의 공극이나 균열을 따라 해양 심층부의 해수가 틈입, 육지의 지하 심층 대수층을 따라 흘러 내려온 천연 암반 지하수와 지질학적 시간과 공간의 조건에서 상호 교호작용, 저류, 숙성, 이온화된 것을 일컫는다.
상기 해안 심층 암반수는 주변 지질로부터 영향을 받게 되어 지하의 토양 및 암반의 특성에 따라 수질의 성분뿐만 아니라 유용가치도 달라질 수 있는데, 해양심층수에 비해 칼슘(Ca), 스트롬튬(Sr), 망간(Mn), 아연(Zn), 철(Fe),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셀레늄(Se) 등의 미네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칼슘과 마그네슘(Mg)의 미네랄 밸런스가 인간의 체액과 유사하다고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또한, 질소(N), 인(P), 규산(silicic acid) 등의 무기 영양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대장균이나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이 거의 없으며, 항산화 물질과 필수 미량원소, 다양한 미네랄이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서 활성산소의 제거에도 효능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수집된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1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의 여과는 공지의 필터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필터들로는 모래여과(Sand filter), 활성탄소여과(Activated Carbon filter), 정밀여과(Micro filter) 및 한외여과(限外濾過; Ultra fil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조합한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해수에 편백나무, 그래핀 및 칠보석을 혼합하여 일정시간 보관한 후, 상기 혼합된 편백나무, 그래핀 및 칠보석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 해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그래핀 및 칠보석은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하고 음이온 방출, 정화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해수는 상기 제1 해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편백나무 3 중량부, 그래핀 2 중량부 및 칠보석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상기 편백나무, 그래핀 및 칠보석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데,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에서 생산되는 피톤치드는 식물의 자기방어물질로서, 병원균 및 해충, 곰팡이 등에 저항하기 위해 식물이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그 자체에 살균, 살충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피톤치드의 구성물질은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이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 없이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진정작용 및 스트레스 해소 작용 등 수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뛰어난 살균, 항균, 세정작용으로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보습작용도 하며, 체내의 면역 기능을 강화한다.
피톤치드를 흡입할 경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농도가 획기적으로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숲에서 동물의 사체가 썩어가도 피톤치드로 인해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중추신경계에 진정작용을 하여 쾌적한 느낌을 가지게 하며, 수면시간을 연장하고 편안한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혈액순환계를 개선하여 고지혈증, 혈전 심부전증에도 효능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인체 내에 내성이 생기지 않는 강력한 항균 작용으로도 알려졌다. 천연물질인 피톤치드는 거의 90%까지 집먼지 진드기 기피효과를 가져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알레르기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그래핀은 강도, 열전도율, 전자이동도, 소취성 및 항균성 등 여러 가지 특징이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뛰어난 소재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및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 핵심소재로 인식되어, 그래핀을 상용화하기 위한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즉,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sp2 혼성으로 육각형 벌집 모양의 격자구조를 이루는 2차원 구조의 탄소 동소체로서, 단층 그래핀의 두께는 탄소원자 1개의 두께인 0.2 내지 0.3nm이다. 그래핀은 높은 전기전도성과 비표면적을 가지므로 슈퍼캐패시터, 센서, 배터리, 액추에이터 용도의 전극(전극 활물질), 터치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고효율 태양전지, 방열필름, 코팅 재료, 바닷물 담수화 필터, 이차전지용 전극, 초고속 충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칠보석은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항균, 탈취 및 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데, 상기 칠보석은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암을 예방하며 치매를 예방하고 인체 활동에 필요한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보석은 흑색, 적색, 갈색, 홍색, 회색, 담회색 및 녹색 등 일곱 가지 영롱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광물로서, 화학적인 주성분은 SiO2, Al2O3, Fe2O3, FeO, CaO, MgO, Na2O, TiO2, P2O5 및 MnO가 주성분이며, 석영, 장석, 흑운모, 백운모, 석류석, 인회석, 저어콘, 방해석, 녹니석, 견운모 및 기타 광물로 구성되어 있고, 에너지 방사 형태는 토션파인 좌파와 우파가 방사되는 형태이다.
특히, 칠보석을 분석한 화합물을 보면 SiO2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어 제습효과가 우수하며, 활성알루미나 등이 다량 함유되어 미네랄이 풍부하고, 알칼리염을 중화시키는 정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상기 제2 해수를 알칼리 환원용기에 보관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환원용기는 알칼리 환원기능을 가지는 성형 컴파운드를 혼합한 후 용기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성형 컴파운드를 혼합하여 용기를 제조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성형 컴파운드 조성물의 구성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물은 상온에서 색, 냄새 및 맛이 없는 액체로서, 화학적으로는 산소와 수소의 결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물은 인류를 비롯한 모든 생물체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물질이라 할 수 있는데 특히 인간의 몸의 여러 부분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혈액은 80%가 물이며, 심장은 약 79%, 비장과 근육 및 뇌도 약 75%가 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물은 산소와 더불어 인간 생존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 몸에서 물이 하는 역할은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대사작용을 높이며, 혈액과 조직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영양소를 용해시키며 이를 흡수 및 운반해서 필요한 세포로 공급해주고, 체내에서 불필요한 노폐물이나 독소를 체외로 배설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열을 발산시켜 체온을 조절하며, 관절 및 뼈마디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주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등 인체 내에서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 중에서 알칼리수는 높은 pH와 낮은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를 갖도록 처리된 물을 말한다. 높은 pH를 나타내는 알칼리성 물은 산성화된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되돌려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물의 낮은 산화환원전위는 노화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분해에 의해서 생성되는 pH 8 이상의 알칼리 환원수는 위산과다, 위장 내 이상발효 등에 효능이 있는 점이 인정되었고,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동물 실험에서 면역 기능 상승, 항암 효과, 암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당뇨 및 비만 유발 쥐의 혈당치는 물론 몸에 해로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음용수 뿐만 아니라 의료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미네랄이 함유된 알칼리성을 띤 물이 건강에 매우 좋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미네랄은 여러 가지 대사활동에 관여하는 필수 영양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체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알칼리성이며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물은 우리 몸의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평상시 자주 접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2 해수를 알칼리 환원용기에 2 내지 4일 동안 보관하여 알칼리 이온수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알칼리 환원용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칼슘(CaO) 및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을 포함하는 성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혼합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성형 컴파운드 조성물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180 내지 22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0 내지 20 중량부, 산화칼슘(CaO) 5 내지 15 중량부 및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은 가지 사슬이 거의 없는 선형이며, 분자량은 20만 이하인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성형 컴파운드에 포함되어 내화학성, 내열성, 내습성, 내충격석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은 성형 컴파운드 전체 함량 중에서 180 내지 2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1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성형 컴파운드의 성형성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알칼리 환원용기로 성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의 부족으로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MgO)은 물과 반응을 일으켜 수소라디칼 현상을 통해 산화환원 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를 낮추게 하므로 물속의 용존 산소를 높여 주며, 상대적으로 수소 이온 농도(pH)를 높여 약알칼리성 물로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MgO)은 융점이 높고, 고온에서 내염기성 및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열팽창계수 및 열전도율이 크고, 빛의 투과율이 높으며, 낮은 밀도에 비해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분말상으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아래의 식과 같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마그네슘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수산화마그네슘은 이온화되어 수산기가 생성되고, 마그네슘은 산화되며, 이에 따라 물은 환원되어 환원수가 생성된다.
MgO + H2O → Mg(OH)2
Mg(OH)2 → Mg2+ + 2OH-
이러한 산화마그네슘은 물과 천천히 반응하기 때문에, 산화마그네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컴파운드를 이용해 성형된 알칼리 환원용기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능이 상대적으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성형 컴파운드 전체 함량 중에서 10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알칼리 환원수의 생성기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른 조성물의 상대적 함량의 부족으로 물성이 저하되고 항균성 등 이외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칼슘(CaO)은 물과 접촉하여 반응을 일으켜 수소라디칼 현상을 통해 산화환원 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를 낮추게 하므로 물속의 용존 산소를 높여 주며, 상대적으로 수소 이온 농도(pH)를 높여 약알칼리성 물로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칼슘(CaO)은 분말상으로 혼합될 수 있는데, 상기 산화칼슘은 아래의 식과 같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생성된 수산화칼슘은 이온화되어 수산기가 생성되고, 칼슘은 산화되며, 이에 따라 물은 환원되어 환원수가 생성된다.
CaO + H2O → Ca(OH)2
Ca(OH)2 → Ca2+ + 2OH-
이러한 산화칼슘(CaO)은 물과 천천히 반응하기 때문에, 산화칼슘(CaO)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컴파운드를 이용해 성형된 알칼리 환원용기는 알칼리 환원수 생성기능이 상대적으로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칼슘(CaO)은 성형 컴파운드 전체 함량 중에서 5 내지 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산화칼슘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알칼리 환원수의 생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른 조성물의 상대적 함량의 부족으로 물성이 저하되고 성형 컴파운드 분말이 탈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은 백색분말로서, 수용액은 알칼리성을 띄며,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등 인체에 무해한 소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에, Pan-B-comp(대한약품공업 제조),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 아스코르브산(Vitamin C)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에탄올,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루틴(rutin),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퀘르세틴(Quercetin),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글리신(Glycine), 라이신(lysine), 시트르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말산(Malic acid), 호박산나트륨 (Disodium Succinate),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숙신산(Succinic acid),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혼합조성물 8 내지 12 중량부, Pan-B-comp(대한약품공업 제조) 0.8 내지 1.2 중량부,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8 내지 1.2 중량부, 글루타치온(Glutathion) 0.8 내지 1.2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0.8 내지 1.2 중량부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0.8 내지 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an-B-comp(제품명, 대한약품공업 제조)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제품명인데, 예를 들어, 상기 Pan-B-comp(대한약품공업 제조)는 비오틴(Biotin) 500㎍,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 8㎍, 덱스판테놀(Dexpanthenol) 6mg, 니코틴산아미드(Nicotinamide) 40mg, 피리독신염산염(Pyridoxine Hydrochloride) 4mg, 리보플라빈포스페이트나트륨(Riboflavin Phosphate Sodium) 5.53mg 및 티아민염산염(Thiamine Hydrochloride) 10mg의 중량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는 항 섬유소 용해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플라스미노겐/플라스민 형성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색소 형성을 방해하고 멜라닌 세포와 각질세포 사이의 연결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생산되는 유리 아라키돈산(free arachidonic acid)의 수는 감소하며 프로스타글란딘 형성 능력도 떨어지면서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색소 형성이 감소하게 된다. 더 나아가 플라스민이 멜라닌 합성의 매개체로 알려진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α-MSH)의 발현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라넥사믹애씨드로 인한 플라스민 형성 억제가 α-MSH 발현을 감소시키므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는 기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세포(mast cell)도 감소시킨다. 트라넥사믹애씨드 경구 제제를 이용한 기미 치료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트라넥사믹애씨드를 하루 250mg 2차례 복용했을 때 89.7%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으며 효과를 보일 때 까지 걸린 시간은 약 2달 정도였다.
또한, 국내에서 시행한 경구 트라넥사믹애씨드에 대한 효과 연구에 따르면 트라넥사믹애씨드 250mg을 하루 3회 복용하게 했을 때 복용 8주 후 병변부에서 멜라닌 수치, 홍조 수치, MASI score 감소를 보였으며 참가자 대부분이 만족감을 보였다. 그러나 트라넥사믹애씨드 경구제는 심부정맥 혈전증, 폐 색전증, 뇌혈관 색전증 및 심혈관 색전증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항 응고제 투여 중인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트라넥사믹애씨드를 도포제로 사용할 경우 전신 흡수의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병변에는 비슷한 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다수의 논문에서 증명된 바 있다. 트라넥사믹애씨드 도포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1998년 Maeda et al이 guinea pig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증명한 바 있다. 이들은 트라넥사믹애씨드를 도포한 피부에서 트라넥사믹애씨드를 도포하지 않은 피부보다 색소 침착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검사를 통해 트라넥사믹애씨드를 도포한 피부의 기저층에서 멜라닌 함유량이 의미있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2006년에는 진피에 트라넥사믹애씨드를 주사하는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매 주트라넥사믹애씨드 진피 주사를 시행한 결과 MASI score가 호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환자들도 결과에 만족했다. 이외에도 트라넥사믹애씨드가 함유된 도포제를 사용한 기미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으며 대체적으로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이 대부분이었다.
2012년 태국에서 시행한 5% 트라넥사믹애씨드를 사용한 기미 치료는 미백 효과는 있었지만 색소침착 호전에는 큰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 트라넥사믹애씨드를 경구 그리고 도포제를 함께 사용한 연구에서는 병변에서의 멜라닌 수치가 의미있게 감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직검사 상 표피에서의 색소 감소 및 혈관 수 그리고 비만 세포 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트라넥사믹애씨드 도포제를 기존 기미 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hydroquinone+dexamethasone과 비교했을 때 MASI score가 두 군에서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두 군 사이 차이는 없었다. 오히려 hydroquinone+dexamethasone 사용 군에서 더 많은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는 hydroquinone만 함유된 크림과 비교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2015년에는 트라넥사믹애씨드 도포제를 intense pulsed light (IPL) 치료에 병용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트라넥사믹애씨드를 IPL과 함께 사용한 군에서 IPL만 사용한 군보다 MASI score가 의미있게 감소했으며 병변이 재발하는 횟수도 감소했다. 가장 최근 시행된 트라넥사믹애씨드 도포제에 대한 기미 치료 효과 연구 역시 2% 트라넥사믹애씨드를 사용했을 때 MASI score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검사에서 표피의 멜라닌 색소와 혈관의 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구에서 트라넥사믹애씨드 경구제 뿐만 아니라 도포제의 효과를 입증해 주고 있어 앞으로 각광 받는 기미 치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도포제는 경구제와 같은 전신 흡수에 따른 부작용이 없으며 레이저 또는 피내 주사시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이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상기 글루타치온(Glutathion)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물질로, 예를 들어, 동광제약, 휴온스, 녹십자웰빙, 대한뉴팜 등에서 제조되어 유통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루타치온(Glutathione, L-γ-glutamyl-L-cysteinylglycine, GSH)은 세포내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시스테인(cystein), 글라이신(glycine)의 세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트리펩타이드로서, 동물, 식물 및 미생물의 세포내에서 0.1~10mM의 농도로 존재하며, 세포의 총 비단백질성 활성분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생체 내에서 글루타치온(glutathione)은 백혈구 생성을 통한 면역 활성 증가를 야기함으로써 중요한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ST (glutathione S-transferase)의 기질로 작용하여 생체에 해로운 비 생체물질(xenobiotics)과 같은 독성물질을 콘쥬게이션(Conjugation) 형태로 결합하여 해독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글루타치온은 세포 내에서 산화작용으로 세포막, 핵산과 세포구조들을 손상시켜 괴사시키는 것을 막아주고, 노화의 원인인 활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활성 산소 종은 다양한 생체 물질 대사작용에서 형성되며,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과산화물(peroxide),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이 포함되고, 물질의 생체 대사산물로 생성되는 내인성 활성 산소 종과 담배, 방사능 등의 외인성 활성 산소 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활성 산소 종에 기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인지기능에 손상을 줄 수 있고(Liu et al. 2002), 정자의 DNA를 파괴하여 남성 불임의 원인이 되며(Wright et al. 2014), 세포단백질, 지질 및 핵산을 손상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고,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켜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 몸은 질병예방, 면역증진, 노화방지 등의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가 매우 중요하며, 세포 내에서 항산화 역할을 하는 글루타치온의 기능은 효소학, 약물학, 치료, 독물학, 내분비학 및 미생물학을 포함하는 많은 의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Vitamin C)은 피부, 골격, 혈관, 연골 등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체 내에서 여러가지 효소반응의 조효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Vitamin C)은 소장에서 철분을 환원형으로 전환시켜서 헤모글로빈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식물성 철분의 흡수를 높이고 염증이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Hyaluronic Acid)은 진피 층에 존재하는 뮤코 다당류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N-acetyl-D-glucosamine)과 D-글루쿠론산(D-Glucuronic acid)이 β-1, 4 글루코시드 결합으로 구성된 이당류들이 히알루론산염 사슬을 형성하기 위해 β-1, 3 글루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체 고분자 물질이다.
상기 히알루론산염은 백색의 분말이지만, 물에 녹으면 투명의 액체가 되며, 분자 내에 많은 수산기(-OH)로 인해 높은 수분 보유력을 지니며, 분자량이 0.5~3.0MDa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높은 점탄성을 나타낸다.
또한, 히알루론산염은 인체의 결합조직, 상피 및 신경조직 등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다양한 생리 활성을 지닌 생체 적합성 재료로서 피부 재생과 보습,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에 대한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최근 이를 함유하는 항 노화 관련 화장품,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용 필러 등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혼합조성물 10 중량부, Pan-B-comp(대한약품공업 제조) 1 중량부,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1 중량부, 글루타치온(Glutathion) 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1 중량부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혼합조성물은 에탄올 10 중량부, 글리세린 8 중량부, 1,2-헥산디올 2 중량부,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0.05 중량부, 루틴(rutin) 0.008 중량부,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0.03 중량부,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0.03 중량부,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0.1 중량부, 퀘르세틴(Quercetin) 0.01 중량부,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0.01 중량부, 글리신(Glycine) 0.01 중량부, 라이신(lysine) 0.002 중량부, 시트르산(citric acid) 0.008 중량부, 젖산(Lactic acid) 0.008 중량부, 말산(Malic acid) 0.007 중량부, 호박산나트륨(Disodium Succinate) 0.01 중량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0.01 중량부, 숙신산(Succinic acid) 0.01 중량부,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1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1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4 중량부,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0.1 중량부 및 정제수 1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었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혼합조성물에 차가버섯 나노리포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 추출물 3 중량%, 에탄올 5 중량%, 부틸렌글리콜 3 중량%, 불포화 레시틴 10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5 중량%, 헴프시드 오일 5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0 중량%, 발효 유채씨유 2 중량% 및 잔량의 알칼리 이온수로 이루어졌다.
< 비교예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에서는 혼합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 실험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에 대하여 실시예 2,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는데, 0점 - 전혀없음, 1점 - 아주 가벼운 증상, 2점 - 분명한 증상, 3점 - 약간 심한 증상, 4점 - 심한 증상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명) 실시예 2(명) 비교예(명)
홍반 형성 0 0 0
가피(痂皮) 형성 0 0 0
부종 형성 0 0 0
가려움증 0 0 0
여드름 형성 0 0 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한 후 홍반, 가려품증,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2.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 실험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에 대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에 대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는 1점에서 5점 스케일(scale)의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것을 의미한다.
구분 사용 전 사용 후
피부 보습 2.0 3.5
피부 탄력 2.1 3.2
피부 주름 1.9 2.2
피부 잡티, 색소 침착 2.3 3.8
피부 톤 2.2 3.3
모공 2.5 2.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에 1회씩 4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실험자 중 7명이 피부 탄력 및 보습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그 중 3명은 월등하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3. 미백 개선에 대한 실험
멜라닌 색소는 기미나 검버섯 등 피부노화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티로시네이즈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인데,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합성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네이즈로 생긴 DOPA( 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chrome 생성량을 비교하여 시험물질의 효소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 반응액에 넣어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생성물인 dopachrome의 흡수파장인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500㎕에 L-tyrosine (0.3㎎/㎖) 500㎕와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를 각각 450㎕를 넣고 37℃ 수욕 상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신속하게 냉장고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tyrosinase(1,250 units/㎖) 50㎕를 넣어 10분간 incubation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ntrol은 검액 대신 시료 용매 450㎕를 넣는다. 색 보정인 Blank는 tyrosinase 대신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6.8, 0.1 M)을 50㎕ 첨가하며,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시료를 첨가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티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 inhibition = [(A-B)/A] ⅹ 100
A: 시험시료(inhibitor)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control)의 반응 후 흡광도
B: 시험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reaction)의 반응 후 흡광도.
구분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률(%)
실시예 2 37.95
비교예 14.21
양성대조군(Arbutin) 40.36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37.95%의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을 보인 반면,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이 14.21%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간 작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네이즈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4. 미백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미백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23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1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1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42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는 사용 후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보습 효과 측정
코르네오메타(Corneometer) CM820(독일 Courage)을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시료는 실시예 2와 비교예를 사용하여 보습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 하박 내측면을 대상으로 항온항습실에서 20분 동안 적응하게 한 다음, 피부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다음, 코르네오메타 C820을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양을 측정한 후, 실시예 2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도포 20분 후에 수분증감율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 다시 수분증감율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피부 수분 증감율을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수분증감율(%) = (Tdi-Tdo)-(Ntdi-NTdo) / ((Ntdi-Ntdo) + Tdo) * 100
Tdi : 시료 도포 부위의 n번째 측정값
Tdo : 시료 도포 전 측정값
Ntdi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n번째 측정값
NTdo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도포 전 측정값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20분 32.64 8.31
120분 20.18 2.61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보다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제형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찰 기간은 1주일 동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0℃ 양호 양호
40℃ 양호 양호
-20℃ 양호 양호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염증 완화 효과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각각 대한 염증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크로파지(Raw 2647 mouse cell)를 96-well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well 당 4 × 105 cells씩 분주한 후 1,000μg/㎖의 농도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각각의 조성물을 35℃, 5% CO2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sandwich ELISA 방법으로 TNF-α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TNF-α assay
실시예 2 비교예
TNF-α 발현율(%) 65.3 32.7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높은 TNF-α 유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TNF-α 생성 유도로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증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혼합조성물 10 중량부, Pan-B-comp(대한약품공업 제조) 1 중량부,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1 중량부, 글루타치온(Glutathion) 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Vitamin C) 1 중량부 및 히알루론산염(Sodium hyaluronate)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혼합조성물은 차가버섯 나노리포좀 2 중량부, 에탄올 10 중량부, 글리세린 8 중량부, 1,2-헥산디올 2 중량부, 인삼추출물(Panax Ginseng root extract) 0.05 중량부, 루틴(rutin) 0.008 중량부, 콥티스뿌리추출물(Coptis chinensis root extract) 0.03 중량부, 단삼뿌리 추출물(salvia miltiorrhiza root extract) 0.03 중량부, 녹차가루(Camellia Sinensis leaf powder) 0.1 중량부, 퀘르세틴(Quercetin) 0.01 중량부, 밀크씨슬추출물(Silybum Marianum extract) 0.01 중량부, 글리신(Glycine) 0.01 중량부, 라이신(lysine) 0.002 중량부, 시트르산(citric acid) 0.008 중량부, 젖산(Lactic acid) 0.008 중량부, 말산(Malic acid) 0.007 중량부, 호박산나트륨(Disodium Succinate) 0.01 중량부,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0.01 중량부, 숙신산(Succinic acid) 0.01 중량부, 황금뿌리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0.1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0.1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4 중량부, 장미꽃오일(rose flower oil) 0.1 중량부 및 정제수 1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차가버섯 나노리포좀은 차가버섯 추출물 3 중량%, 에탄올 5 중량%, 부틸렌글리콜 3 중량%, 불포화 레시틴 10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5 중량%, 헴프시드 오일 5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0 중량%, 발효 유채씨유 2 중량% 및 잔량의 알칼리 이온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헴프시드 오일은, 헴프시드를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헴프시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산패 억제제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시킨 후 20 내지 40분 동안 유지시키되, 상기 산패 억제제는 비타민 C 및 5 중량% 농도의 소금용액이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산패 억제제에 침지된 헴프시드를 꺼내어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헴프시드를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1차 건조하며, 상기 1차 건조된 헴프시드를 분쇄하여 헴프시드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헴프시드 분말을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20 내지 4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2차 건조하고, 상기 2차 건조된 헴프시드 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39 내지 41℃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하여 효소 분해하되, 상기 효소로는 펙티나제(Pec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셀룰라제(Cellul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되며, 상기 2차 건조된 헴프시드 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펙티나제(Pectinase) 0.05 내지 0.1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8 내지 0.12 중량부, 셀룰라제(Cellulase) 0.03 내지 0.07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효소 분해된 헴프시드 분말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분무하되,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이 이용되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8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헴프시드 분말을 40 내지 42℃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를 유지하는 보관용기에서 3 내지 5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켜 헴프시드 분말 발효물을 제조하고, 상기 헴프시드 분말 발효물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헴프시드 오일이 사용되며,
    상기 발효 유채씨유는, 유채씨를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유채씨를 건조하되, 상기 세척된 유채씨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유채씨를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시키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유채씨를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1 내지 3시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제2 건조된 유채씨를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함으로써 유채씨 숙성분말을 제조하며, 상기 유채씨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하여 효소 분해하되, 상기 효소로는 프로테아제(Protease), 키티나제(chiti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되며, 상기 유채씨 숙성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키티나제(chiti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05 내지 0.009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진행되고, 상기 효소 분해된 유채씨 숙성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유산균 배양액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하여 유채씨 발효물을 제조하되,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 균주가 사용되며, 상기 유채씨 발효물을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발효 유채씨유가 사용되고,
    상기 알칼리 이온수는, 해안 심층 암반수로 이루어진 해수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해수에 침전된 이물질이나 고형물을 필터로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제1 해수를 제조하며, 상기 제1 해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편백나무 3 중량부, 그래핀 2 중량부 및 칠보석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상기 편백나무, 그래핀 및 칠보석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제2 해수를 제조하고, 상기 제2 해수를 알칼리 환원용기에 2 내지 4일 동안 보관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알칼리 이온수가 사용되며,
    상기 알칼리 환원용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180 내지 220 중량부, 산화마그네슘(MgO) 10 내지 20 중량부, 산화칼슘(CaO) 5 내지 15 중량부 및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성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69806A 2021-12-01 2021-12-01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06A KR102446814B1 (ko) 2021-12-01 2021-12-01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806A KR102446814B1 (ko) 2021-12-01 2021-12-01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814B1 true KR102446814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806A KR102446814B1 (ko) 2021-12-01 2021-12-01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8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771A (ko) * 2009-05-26 2012-05-03 쎄데르마 피부 처짐에 대항하기 위한 화장용 티로신?아르기닌 디펩티드
KR20130019397A (ko) * 2010-03-23 2013-02-26 버런, 아이엔씨.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전
JP2017052706A (ja) * 2015-09-07 2017-03-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90076620A (ko) 2017-12-22 2019-07-02 이경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4602B1 (ko) 2017-10-19 2019-08-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5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771A (ko) * 2009-05-26 2012-05-03 쎄데르마 피부 처짐에 대항하기 위한 화장용 티로신?아르기닌 디펩티드
KR20130019397A (ko) * 2010-03-23 2013-02-26 버런, 아이엔씨.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전
JP2017052706A (ja) * 2015-09-07 2017-03-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2014602B1 (ko) 2017-10-19 2019-08-29 주식회사 삼성인터네셔널 기미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620A (ko) 2017-12-22 2019-07-02 이경미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5565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ver Blog (https://cafe.naver.com/hotdealcommunity/876147); [Woori Mania] Products developed by dermatologists and used in actual dermatology* *
네이버 블로그(https://cafe.naver.com/hotdealcommunity/876147);; [우리매니아] 피부과 의사가 개발하고 실제 피부과에서 사용되는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231B1 (ko)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5971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꽃송이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8732A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JP2020068773A (ja) 乳酸菌生産物質含有組成物、エクオール生成方法および乳酸菌生産物質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6461A (ko) 해삼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19432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254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8963B1 (ko)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관련 화장료 조성물
KR102446814B1 (ko) 기미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5348B1 (ko) 저온숙성을 통한 연어 그라브락스 저장성 향상 방법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4994B1 (ko)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005B1 (ko)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0291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