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100A -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100A
KR20190018100A KR1020170102299A KR20170102299A KR20190018100A KR 20190018100 A KR20190018100 A KR 20190018100A KR 1020170102299 A KR1020170102299 A KR 1020170102299A KR 20170102299 A KR20170102299 A KR 20170102299A KR 20190018100 A KR20190018100 A KR 2019001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extract
extract
present
iri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차준석
이제성
문미연
이하연
황혜리
유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02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100A/ko
Publication of KR2019001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포뿌리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활성성분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vanillic acid의 유기화합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피부노화 억제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ti-wrinkle, anti-inflammatory, skin-whitening and hair-growing active compounds derived from Acorus Calamus Root extract}
본 발명은 창포 뿌리(Acorus Calamus Root)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포뿌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인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창포(Acorus Calamus)는 우리나라 호수나 연못가의 습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의 물웅덩이나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습지에서 잘 자란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건위, 진경, 거담 등에 효능이 있어 약재로 이용하며, 뿌리는 소화불량, 설사, 기관지염 등에 사용한다. 또한 뿌리줄기는 방향성 건위제로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창포의 유효성분은 methyleugenol, asarylaldehyde 및 asaron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머리에 윤기를 주는 영양과 비듬균 억제 등에 효과가 있다. 또, 창포 속에는 무색의 tannin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 줄기, 잎 그리고 종자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광용혈작용 억제, 수렴작용, 소취작용이 알려져 있다.
창포의 유효한 성분인 asarone은 alpha- 및 beta-로 구분되며 창포 뿌리, 뿌리줄기, 식물 전체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β-asarone이 함유된 뿌리는 전통 의학에서 당뇨병을 치료에 사용된 보고가 있다. 또 다수의 in vitro 실험에서 β- asarone은 anticholinergic 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S Asha Devi et al., 2013)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여러 가지 대사활성이 저하되며 세포활성이 떨어지면서 발생된다. 노화는 내인성 자연노화와 광 노화로 나눌 수 있다. 자연노화는 콜라겐 합성과 콜라겐의 전사 이후에 일어나는 과정으로 노화에 따라 피부가 얇고, 건조해지며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matrix metalloproteinases인자가 줄어들며 발생한다. 한편, 광노화는 자외선이 원인으로 자외선에 의해 염증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umor necrosis factor-γ, nitric oxide)등이 생성됨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억제되며 콜라겐 분해하는 효소들의 발현에 되면서 광노화를 유도하여 피부 홍반, 거칠기, 주름, 흑화 등을 만들게 된다(Seo et al., 2001, Cadenas et al., 1989).
콜라겐은 인체내에서 전구체(procollagen)형태로 합성 된 다음 세포 밖으로 배출되어 pNcollagen(전구 체 중 carboxy terminalpropeptide가 잘려나 간 형태), pC collagen(전구체 중 amino terminalpropeptide가 잘려나간 형태)등 다양한 중간산물을 거쳐 완성된 collagen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체 내에서는 항상 collagen의 분해와 합성이 반복되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균형은 붕괴되어 합성보다는 분해가 훨씬 많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부의 주름이 발생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Austic et al., 1985).
피부 진피의 70%를 차지하는 collagen과 elastin은 서로 엇갈리는 그물망과 같은 짜임새를 가지며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로 진피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다. 이러한 그물망 구조가 깨어지면서 피부가 처지고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며, 피부노화가 발생되므로 피부노화 원인의 하나인 elastase를 저해함으로써 피부노화 억제가 가능하다. 합성 펩타이드 기질(Suc-(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elastase의 작용으로 분해된 PNA (즉, p-nitroanilide)의 양으로 저해능을 알아 볼 수 있다(Kraunsoe JA et al., 1996)
또한, 광노화로 인해 주름 뿐만 아니라 색소침착으로 인한 주근깨, 일광흑색점, 색소성모반등의 퇴행성 만성변화가 발생한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생물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로표피의 기저층에 존재 하는 수지상 돌기세포로 색소를 형성하고, UV나 melanocyte stimulatin hormon (MSH), 다양한 사이토카 인(Cytokines), 성장인자(growth factors)등 내적, 외적 인자들의 광범위한 변화에 대해 반응한다. (Wolf et al., 2004, Ormerod et al., 1989, Ormerod et al., 2001).
멜라닌 세포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을 전구물질로 하여 tyrosine DOPA DOPA quinone indole-5,6- dihydroquinone으로 변화하고, indole-5,6-dihydroquinone의 중합체가 멜라닌이다. 이러한 멜라닌생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산화하는 인체의 경우, 다른 물질의 산화방지하는 비타민E, 체내 과산 화물을 제거하는 SOD등 체내 산화방지 메커니즘을 갖고 있지 만 이 메커니즘으로는 산화물에 대하여 모두 막아낼 수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기능은 더 해 줄 수 있는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갖는 물질이 필요하다(박주아 외 2012, 표애자 외 2013, Kang, W.K. et al., 2006).
창포추출물의 효능은 항산화, 항염효과, 미백, 두피 정화 및 세정 효능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창포추출물 유래의 활성성분인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창포뿌리추출물에 대한 연구 및 효능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청포 뿌리 추출물 유래의 활성성분인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창포뿌리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노화억제, 항산화효능, 항주름, 항염효능,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능을 확인하였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03-0066449호에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창포뿌리추출물 유래의 활성성분인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기능성 화장료 또는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포뿌리추출물 유래의 활성성분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기능성 화장료 또는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창포뿌리를 methylpropanediol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창포뿌리 메탄올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순차 용매 분획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메탄올추출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층 각 분획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생리활성물질을 분리 정제 및 동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창포뿌리 메탄올 추출물 각 순차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등의 생리활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및 그 창포뿌리 추출물 유래의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추출물은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능을 갖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과 그의 용매 분획물 및 그로부터 유래하는 유기화합물의 분리정제 및 동정의 과정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의 DCFH-DA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의 Elastase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의 Human Dermal Papilla cell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1의 멜라닌 합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II의 NO synthesis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III의 Human Dermal Papilla cell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Ⅳ의 DCFH-DA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Ⅳ의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Ⅰ), 화학식(Ⅱ), 화학식(Ⅲ), 화학식(Ⅳ), 화학식(Ⅴ), 화학식(Ⅵ) 로 표시되는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고 창포뿌리 추출물 유래의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Ⅰ]
Figure pat00001
[화학식 II]
Figure pat00002
[화학식 III]
Figure pat00003
[화학식 IV]
Figure pat00004
[화학식 V]
Figure pat00005
[화학식 VI]
Figure pat00006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창포뿌리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창포뿌리 추출의 시간 및 온도는 엄격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60℃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기 창포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모발영양제 등으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1.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의 제조
창포뿌리 건조물 50g을 20배의 메틸프로판디올과 d-H2O 40대60 혼합물로 24시간 60℃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얻어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 활성검정용을 위한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2.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 분획물 제조
건조상태의 창포뿌리 200g을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얻은 추출액은 감압 흡입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농축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100% 증류수에 현탁하고 헥산(Ha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로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획물 중 헥세인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능 활성 검정용 및 유효성분 분리동정을 위한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도1).
실험예1. 본 발명 유기화합물 1 내지 6의 분리 동정
창포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감압 흡입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농축하여 얻은 추출물 8.4g을 100% 증류수에 현탁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획물 중 헥세인 분획물 908.2mg을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얻은 fraction을 TLC로 확인하여 패턴이 비슷한 fraction을 모아 sephadex LH-20 및 precipitation하여 유기화합물1 4.0mg, 유기화합물2 30.0mg, 유기화합물3 7.2mg 을 얻었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00mg을 sephadx LH-20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얻은 fraction을 TLC로 확인 확인하여 패턴이 비슷한 fraction을 모아 sephadex LH-20을 실시하여 유기화합물4 2.6mg, 유기화합물5 1.8mg, 유기화합물6 7.0mg 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유기화합물 1 내지 6을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1H-NMR 및 13C-NMR 분석은 유기화합물 1 내지 6을 NMR용매 CD3OD에 용해하여 500mHz 및 125mHZ NMR 기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표1 내지 6).
실험결과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1의 화학 구조는 stigmasterol로 확인하였다(화학식I).
실험결과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2의 화학 구조는 stear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화학식II).
실험결과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3의 화학 구조는 gallocatechin 임을 확인하였다(화학식III).
실험결과 표4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4의 화학 구조는 p-hydroxybenzo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화학식IV).
실험결과 표5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5의 화학 구조는 protocatechu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화학식V).
실험결과 표6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화합물6의 화학 구조는 vanillic acid 임을 확인하였다(화학식VI).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실험예2.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과 유기화합물 4의 항산화 활성 검정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1 내지 6]을 함유하는 창포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DCFH-DA(2'7'-dichloro flurescin0diacetate)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DMEM(10% 혈청 및 1% 항생제 첨가) 배지에 현탁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well당 1x105 세포수가 되도록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피부 섬유아세포를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에 0.5, 1.0 및 2.0%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산화스트레스 유발 물질인 H2O2 1mM 및 DCFDA 20M을 첨가한 후 excitation 485nm, emission 535nm 조건으로 spectrofluorophotomer로 측정하였다. 시료를 넣지 않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항산화 활성은 하기 수학식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나타냈으며, 2.0%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활성산소의 농도는 25.08%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유기화합물4를 1.0, 10 및 25㎍/ml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으며, 250㎍/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활성산소의 농도는 9.2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3
실험예3.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과 유기화합물1의 미백 활성검정
상기 실시예1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2에 의해 수득한 [화학식I]의 미백 활성검정을 위해 멜라닌 합성 저해실험을 통해 미백 원료로서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murine melanoma(B-16 F1) 세포를 FBS가 함유된 DMEM배지에 1x105개로 접종하고, 24시간후에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0.5, 1.0 및 2.0% 농도로 처리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2에서 수득한 본 발명 유기화합물1을 10, 50 및 100㎍/mL 농도로 처리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 후 트립신을 처리하여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5,000~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펠렛은 60℃에서 건조 후 cell lysis buffer를 넣고 60℃ 항온조에 넣어 멜라닌을 얻었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당 멜라닌 함량을 구하였다. 브레드포드 방법으로 단백질량을 정량한 값으로 보정하여 멜라닌 함량을 구한다. 창포뿌리 추출물 및 유기화합물1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0.5, 1.0, 2.0%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미백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2.0%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멜라닌 합성을 48.96%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유기화합물1을 10, 50 및 100㎍/ml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미백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멜라닌 합성을 19.01%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4.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 항주름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1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정하기 위해 elastase 억제 활성을 검정하였다.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6.0, 13.0, 25.0, 50.0 및 100.0% 농도로 elastase와 합성 펩타이드 기질과 반응시켜 elastase의 작용으로 분해된 p-nitroanilide의 양을 측정하여 저해능을 검정하였다. 창포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항주름 활성은 하기 수학식2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2번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6.0, 13.0, 25.0, 50.0 및 100.0%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각각 20.3, 41.5, 57.2, 68.4 및 76.4%의 elastase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4
실험예5. 본 발명 유기화합물4의 콜라겐합성 증대효과
상기 실험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합물4 [화학식Ⅳ]의 유기화합물의 콜라겐 합성 증대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48well plate에 5x104 cells/well 농도로 배지 0.3mL에 접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세포에 실험예2에서 수득한 유기화합물4를 1.0, 10 및 50ug/mL 농도로 처리한 새로운 배지에 접종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세포를 enzymes-linked immunoassay kit(Takara)를 이용하여 콜라겐 전구체의 C-말단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콜라겐 용액을 이용하여 standard curve를 그려 배지에 있는 콜라겐 함량을 계산하였다. 유기화합물4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도10에서 알 수 있듯이 1.0, 10 및 50ug/mL 농도로 각각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겐 생성이 증가했으며, 50ug/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콜라겐 생성이 36.47% 증가하였다. 상기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6.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과 유기화합물2의 모근세포증식능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1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2에 의해 수득한 [화학식Ⅱ]의 모근세포증식능을 위해 Human Dermal Papilla 세포 증식능을 통해 모근세포증식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Human Dermal Papilla 세포를 배지에 접종하고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0.5, 1.0 및 2.0% 농도로 처리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80% 이상 되도록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2에서 수득한 본 발명 유기화합물1을 10, 50 및 100㎍/ml 농도로 처리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배지에 첨가한 후 4시간후에 배지를 제거한후 formazan화된 세포를 DMSO로 녹인후 540nm 흡광도를 측정한다. 창포뿌리 추출물 및 유기화합물2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을 0.25, 0.5, 1.0%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모근세포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1.0%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58% 증식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유기화합물2를 10 및 50㎍/mL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모근세포증식능이 증가하였으며, 50㎍/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모근세포증식능을 16.9%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7. 본 발명 창포뿌리 추출물과 유기화합물2의 항염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1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창포뿌리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2에 의해 수득한 [화학식Ⅱ]의 항염 활성 검정을 위해 Mouse macrophage 세포인 RAW 264.7 세포에 염증 유발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 당 2x105 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하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LPS(1 ㎍/ml)와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13,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아서 Griess 시야과 1:1로 반응시키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유기화합물2를 10, 50 및 100㎍/mL로 처리했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NO 합성을 저해하였으며, 100㎍/mL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NO합성을 53.35% 저해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합물 1 내지 6을 포함한 창포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사용하기에 바람직하고 다양한 화장품 제형을 개시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개시된 제형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분리 정제 동정하여 얻은 유기화합물1 내지 6을 포함한 창포뿌리 추출물은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효과가 뛰어나므로 화장료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창포뿌리를 메틸프로판디올로 추출하는 단계와; 창포뿌리 유기용매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각 분획물을 성분 분석하여 생리활성성분을 분리 및 정제동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창포뿌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인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 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창포뿌리 추출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창포뿌리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I 내지 Ⅵ의 구조를 갖는 stigmasterol, stearic acid, gallocatechin, p-hydroxybenzo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vanillic acid의 유기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 함유된 창포뿌리 추출물.
    [화학식 I]
    Figure pat00015

    [화학식 II]
    Figure pat00016


    [화학식 III]
    Figure pat00017

    [화학식 IV]
    Figure pat00018


    [화학식 V]
    Figure pat00019

    [화학식 VI]
    Figure pat00020

  5. 제 3항의 창포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샴푸, 모발용 미스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02299A 2017-08-11 2017-08-11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99A KR20190018100A (ko) 2017-08-11 2017-08-11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99A KR20190018100A (ko) 2017-08-11 2017-08-11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100A true KR20190018100A (ko) 2019-02-21

Family

ID=6558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99A KR20190018100A (ko) 2017-08-11 2017-08-11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1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54A (ko) * 2019-07-03 2021-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바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112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엑티브온 창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54A (ko) * 2019-07-03 2021-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바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112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엑티브온 창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16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4022A (ko)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8408A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9786B1 (ko)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620A (ko) 기미제거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348419B1 (ko) 사과, 딸기 및 엘더베리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100A (ko)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90387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261149B1 (ko) 천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140130277A (ko)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46545B1 (ko)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14963B1 (ko) 백지, 오매, 반하 및 류기노 추출물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132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41190B1 (ko)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