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132B1 -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32B1
KR102054132B1 KR1020180039469A KR20180039469A KR102054132B1 KR 102054132 B1 KR102054132 B1 KR 102054132B1 KR 1020180039469 A KR1020180039469 A KR 1020180039469A KR 20180039469 A KR20180039469 A KR 20180039469A KR 102054132 B1 KR102054132 B1 KR 10205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anin
extract
freshwater
seaweed
seawe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351A (ko
Inventor
조재열
김성규
양우석
박상희
박경자
장석구
김동삼
김지현
최영임
Original Assignee
삼척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척시 filed Critical 삼척시
Priority to KR102018003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1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이 바다김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품 또는 멜라닌 과다 침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rasiola japonica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몸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피부의 작용뿐만 아니라 미적인 기능과 감정 표현을 나타내는 사회적 피부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피부의 미백 및 주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 혈관분포와 혈색소, 각질층의 두께 및 카로틴(carotene)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좌우되며, 이 중 멜라닌이 주된 역할을 한다. 멜라닌은 자외선과 물리·화학적 외부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지만 과잉생성이 일어나게 되면 기미, 주근깨, 과색소침착, 피부 노화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멜라닌은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에 내재되어 있는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멜라닌 생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및 TRP-2(tyrosinase related protein-2)와 같은 멜라닌 생성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해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와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가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 세포내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양을 증가시켜 PKA(protein kinase A),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유도한다.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tyrosine)을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고, 도파퀴논은 자동 산화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TRP-1과 TRP-2에 의해 멜라닌이 생성된다(Vincent, J.H., et al., 1987).
피부 미백은 피부를 밝고 하얗게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미백의 작용기작은 여러 단계로 나뉘게 되는데, 멜라닌 합성 단계에서 진행을 억제하거나 차단함으로써 피부에서 멜라닌이 과도하게 침착하는 것을 억제하고, 피부 내의 색소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티로시나아제 유전자 발현 억제,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대한 당전이(glycosylation) 저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효소 분해 촉진,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각질 형성 세포로의 멜라닌 전달 억제,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각질 제거와 각질 형성 주기 가속화에 의한 미백 등이 있다. 따라서 피부의 미백에 대해서 검정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형성 억제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Hearing, V.J., 2005).
민물김(Prasiola japonica)은 물김이라는 이름으로 구전되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민물김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물김은 홍조류인 바다김과 달리 녹조류(Green algae, Phylum Chlorophyta)로서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se)에 포함된다(Park, M.K., et al., 1970). 일본에서는 민물김을 카와노리(하천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며, 하천김과 같은 민물 조류를 인공배양하여 높은 상업적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민물김은 1938년 일본 학자인 Okada가 함경남도 문천군 문천면에서 최초로 채취하여 Prasiola formosana var. coreana Okada로 명명하여 발표한 것이 효시이며(Okada, Y., 1939), 삼척군의 집단에 대한 형태 및 생태학적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다(Park, M.K., et al., 1970). 우리나라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인위적 영향으로 40여년전에 이미 사라진 종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강원도 삼척시의 소한천에 민물김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민물김과 같은 녹조류 유래 추출물이 항고혈압 및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에 의한 자외선 차단 등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a, S.H., et al., 2006; Groniger, A., et al., 2002). 한편 일본에서 민물 유래 식용김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이젠지노리(Suizenzinori, Aphanothece sacrum)에는 고함량의 철분 및 칼슘 등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성분인 사크란(Sacran, sulfated polysaccharide)이 함유되어 있어 약리학적 활용도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Ngatu, N.R., et al., 2012). 그러나, 국내 자생 민물김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 성분 분석 및 약리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 자생 민물김의 약리학적 활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민물김 추출물이 우수한 멜라닌 형성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선행기술인 일본공개특허 제2005-220084호에는 아세로라 종자 추출물에 민물파래를 포함하는 해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의 미백 효과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91401호에는 민물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저해 효과는 기재 및 암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7865호에는 김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은 전혀 기재 및 암시되어 있지 않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20084호, 아세로라 종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2005. 08. 18.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591401호,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16. 01. 28.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7865호,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014. 08. 07. 공개.
Cha, S.H., et al.,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 marine angiotension-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2006. Groniger, A., et al., Induction of the synthesis of an UV-absorbing substance in the green alga Prasiola stipitata, J. Photochem. Photobiol. B., 66, 54-59, 2002. Hearing, V.J., Biogenesis of pigment granules: a sensitive way to regulate melanocyte function, J. Dermatol. Sci., 37(1), 1-14. Ngatu, N.R.,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cran, a novel polysaccharide from Aphanothece sacrum, on 2,4,6-trinitrochlorobenzene-induced allergic dermatitis in vivo, Ann. Allergy Asthma Immunol., 108, 117-122, 2012. Okada, Y., On a new Prasiola from Corea, J. Jpn. Bot., 15, 449-452, 1939. Park, M.K., et al.,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rasiola sp. in the Samchuck-Chodang, J. Plant Bio., 13, 1-10, 1970. Vincent, J.H., et al., Mammalian tyrosinase-the critia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1147, 1987.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임신성 갈색 반점, 노인성 반점, 자외선 노출로 인한 반점,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 또는 약물 사용 후의 과색소 침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은 녹조류로 홍조류인 바다김과는 달리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se)에 속한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또는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7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임신성 갈색 반점, 노인성 반점, 자외선 노출로 인한 반점,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 또는 약물 사용 후의 과색소 침착일 수 있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형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겔제 및 젤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고,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제제, 예를 들면 비한정적인 의미로 특히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계면활성제,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 빈도는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상당히 변할 수 있으며, 도포 빈도는 매달 내지 1일 10회, 바람직하게는 매주 내지 1일 4회, 더 바람직하게는 1주당 3회 내지 1일 3회, 보다 더 바람직하게 는 1일 1회 또는 2회가 제안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피부,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멜라닌 형성 억제는 멜라닌 합성 억제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이 바다김 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품 또는 멜라닌 과다 침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민물김 추출물 및 바다김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민물김 추출물 및 바다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억제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민물김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민물김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민물김(Prasiola japonica)은 삼척시에서 채취한 민물김을 사용하였다.
삼척시에서 채취한 민물김은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수돗물로 세척하였고, 70%[v/v] 에탄올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한 민물김을 곱게 파쇄하고, 파쇄된 민물김 100g에 80%[v/v] 에탄올 1ℓ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와트만 여과지(filter paper)로 여과시킨 후,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민물김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비교예 1. 바다김 추출물 제조>
상기 민물김 추출물의 효능 대비를 위한 비교 대상 물질로 홍조류에 속하는 바다김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바다김은 완도에서 채취한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추출물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비교 대상 물질인 바다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동물 세포 배양>
쥐의 멜라닌 세포주(murine melanoma cell)인 B16F10 세포와 인간 각질 세포주(keratinocyte cell)인 HaCaT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 실시예 3. 멜라닌 형성 억제 확인>
멜라닌 세포주에서의 멜라닌 형성 유도를 위해 멜라닌 합성 촉진 호르몬인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를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배양한 B16F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5×104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에 상기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비교예 1의 바다김 추출물을 100, 200, 400㎍/㎖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고, 모든 웰에 α-MSH를 100n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알부틴(arbutin) 1mM을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한 세포는 37℃, 5% 이산화탄소(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 800㎕를 새 튜브에 옮기고 4℃에서 12,000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상등액 중 100㎕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α-MSH만을 처리한 세포 배양액에서의 멜라닌 형성 양을 100% 기준으로 하여, 멜라닌 양을 계산하였다.
도 1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바다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합성 촉진 효소인 α-MSH 처리에 의해 형성이 증가된 멜라닌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바다김 추출물과 비교하여 민물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형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이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확인>
멜라닌 합성 과정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티로시나아제의 기질물질인 10mM L-DOPA 50㎕ 및 상기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비교예 1의 바다김 추출물 50㎕을 혼합하였다. 이때, 각각의 추출물은 농도가 0, 100, 200, 400㎍/㎖가 되도록 하였다. 기질물질과 각각의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액에 100unit/㎖ 버섯형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Sigma 사, USA) 50㎕를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민물김 추출물 또는 바다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흡광도를 100% 기준으로 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계산하였다.
도 2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바다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바다김 추출물과 비교하여 민물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이 피부 내의 멜라닌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민물김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에 의한 세포 독성 여부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 방법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배양한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에 민물김 추출물이 0, 25, 50, 100, 200, 400㎍/㎖이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 100㎕를 제거하고, 5㎎/㎖ 농도의 MTT 용액을 10㎕씩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웰 당 반응정지 용액(10% SDS in 0.1N HCl) 100㎕를 가하여 24시간 반응시킨 뒤,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HaCaT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100% 기준으로 하여, 시료를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도 3에서 보여주듯이, 민물김 추출물을 처리하더라도 HaCaT 세포의 생존율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조>
제제예 1-1. 크림 제조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 5g에 시토스테롤 4g,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g, 세라마이드 0.7g, 세테아레스-4 2g, 콜레스테롤 3g, 디세틸포스페이트 0.4g, 농글리세린 5.0g, 선플라우어오일 22g,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g, 트리에탄올아민 0.5g, 방부제 및 향료 미량 및 정제수를 총 무게가 100g이 되도록 혼합하였고,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1-2. 화장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롤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 용해하였다.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3. 유액 제조
세틸알코올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켰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유액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1-4. 미용액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약학적 제제>
제제예 2-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민물김 추출물 10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제제예 2-2.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친수성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민물김 추출물 8
백색 바세린 35
스테아릴 알콜 30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프로필렌글리콜 20
라우릴 황산 나트륨 3.4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미량

Claims (9)

  1.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 10~50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 10~50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은 주근깨,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임신성 갈색 반점, 노인성 반점, 자외선 노출로 인한 반점,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색소 또는 약물 사용 후의 과색소침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39469A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5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69A KR102054132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69A KR102054132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51A KR20190124351A (ko) 2019-11-05
KR102054132B1 true KR102054132B1 (ko) 2019-12-12

Family

ID=6857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69A KR102054132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17B1 (ko) * 2020-03-06 2020-06-05 모바일센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한 카메라 위치 제어 및 영상 편집을 통한 무인 스포츠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487A1 (ja) 2014-12-22 2016-06-30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カロテノイドの大量生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084A (ja) 2004-02-06 2005-08-18 Kose Corp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4-08-07 한태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1401B1 (ko) * 2014-03-07 2016-02-18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149809B2 (en) * 2014-04-09 2018-12-11 Ezaki Glico Co., Ltd. Skin aging inhibitor and concentrate of resveratrol 3-O-α-glucos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487A1 (ja) 2014-12-22 2016-06-30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カロテノイドの大量生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51A (ko)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534B2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13257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83145B1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054132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20080096162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18100A (ko)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52407B1 (ko)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1340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02341B1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202B1 (ko) 관중으로부터 분리한 노르플라바스피딕산 pb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27077B1 (ko)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KR20110022013A (ko) 송악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