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865A -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865A
KR20140097865A KR1020130010510A KR20130010510A KR20140097865A KR 20140097865 A KR20140097865 A KR 20140097865A KR 1020130010510 A KR1020130010510 A KR 1020130010510A KR 20130010510 A KR20130010510 A KR 20130010510A KR 20140097865 A KR20140097865 A KR 20140097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ki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준
Original Assignee
한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준 filed Critical 한태준
Priority to KR102013001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865A/ko
Priority to PCT/KR2013/005103 priority patent/WO2014119826A1/ko
Publication of KR2014009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멜라닌 합성 저해능, 콜라겐 합성능 및 MMP 활성 저해능이 우수하고, 각질형성세포 (HaCaT),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및 피부암세포(B16F)에서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비자극성이며, 감작성이 매우 약하고(등급 I), 광독성 및 광감작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Laver extract for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선에 항상 노출되는 피부는 UV에 의해 상해를 입고 피부색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와 같은 피부색의 변화에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은 색소 침착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노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색소는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며, 또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지만, 때로는 멜라닌 자체가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멜라닌 구조 내의 카테콜 또는 퀴논에 의해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거나 산화시키고, 멜라닌 자체가 자유 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디히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 과정을 거쳐 갈색(pheomelanin), 흑색(eumelanin)의 중합체로 생합성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 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생합성 과정을 통해 멜라닌 과립을 포함하는 멜라노좀은 각질 세포의 핵 주변으로 이동하여 축적된다.
멜라닌의 합성, 멜라노좀의 수, 및 주위의 각질 세포로의 이동은 유전적인 영향이 크지만 부분적으로는 호르몬과 자외선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밖에 세포내 조절 인자인 사이토카인,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 이온 및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경우, 아스코르빈산, 하이드로퀴논, 코직산, 알부틴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화장품 제형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아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수준에서의 효능의 불분명 등의 문제로 인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피부 미백 성분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피부의 노화는 스트레스, 질병, 환경 인자, 상처, 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내적 노화 및 자외선과 같은 광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광 노화로 구분될 수 있다.
피부의 노화는 활성화된 자유 라디칼에 의해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막이 파괴되고, 그로 인해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단백질이 산화되면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에는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 대사를 통해 재생 및 증식시켜 피부를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피부 노화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의해서 촉진될 수 있다. 즉, 생체 내에서는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가 적절하게 조절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피부 노화 및 주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물질로는 아데노신, 레티노인산 (retinoic acid) 등이 있으나, 아데노신은 임상에서의 효능이 미미하고, 레티노인산은 가임여성에게 사용할 수 있고, 홍반 등 자극의 우려가 높다.
한편, 김(Laver)은 김속(Porphyra)에 속하는 홍조류로 해의 또는 해태라고 불리운다. 엷고 끈적끈적한 물질 속에 박혀 있는 엽상체는 암갈색 또는 적색·분홍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을 띠고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유성생식이 일어난다. 김은 남반구와 북반구의 조간대 상부에서 자라며 하수가 빠지는 지역처럼 질소가 풍부한 물에서 잘 자란다. 김은 수확하여 말린 뒤 식용으로 쓰는데 그 양은 다른 어떤 바닷말들보다 많다. 김은 세계적으로 약 70여종이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약 1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창김(P. tenera)과 방사무늬김(P. yezoensis)을 양식하고 있으며, 이밖에 둥근김(P. kuniedai), 둥근돌김(P. suboriculata), 모무늬김 (P. seriata) 등이 양식하는 김 사이에 조금씩 섞여 자라기도 한다. 김은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미용식으로 인기가 높으며, 아질산염 소거효과, 콜라겐 합성 및 성숙가교인 피리디놀린(pyridinoline)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 발암성을 나타내는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억제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김에서 분리한 포피란(porphyran)은 고지혈증 마우스에서 칼슘, 마그네슘, 칼륨의 조절효과 등이 연구되었으며, 치질, 곽란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김의 다양한 약리 효과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지만, 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김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김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또는 주름 개선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김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멜라닌 합성 저해능, 콜라겐 합성능 및 MMP 활성 저해능을 우수하게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김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추출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96932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김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조한 김을 물, C1~C4 알콜 또는 물과 C1~C4 알콜의 혼합 용매에 가하고 30~60℃로 유지된 항온 수조에서 1~5시간 동안 유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C1~C4의 알콜은 1~100%의 메탄올 또는 1~100%의 에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0%의 메탄올이다. 이 후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김 조추출물을 얻는다. 분말 형태의 김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가하고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정제하여 김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김은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멜라닌 합성 저해능, 콜라겐 합성능 및 MMP 활성 저해능이 우수하고, 각질형성세포(HaCaT),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및 피부암세포(B16F)에서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비자극성이며, 감작성이 매우 약하고(등급 I), 광독성 및 광감작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터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클렌징,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콜 설페이트, 지방족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터,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콜,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멜라닌 합성 저해능, 콜라겐 합성능 및 MMP 활성 저해능이 우수하고, 각질형성세포(HaCaT),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및 피부암세포(B16F)에서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비자극성이며, 감작성이 매우 약하고(등급 I), 광독성 및 광감작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이 멜라닌 활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HaCaT),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피부암세포(B16F)의 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MMPs 활성 저해능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김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김 추출물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96932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1) 조추출물(PE)의 제조
건조한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100g을 바이알(vial)에 담고 여기에 80 부피%의 메탄올 수용액(메탄올 부피 80 및 물 부피 20으로 구성된 혼합 용매) 20㎖를 첨가한 후 45℃로 유지된 항온 수조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후 바이알 내의 내용물을 여과지(whatman No.2)로 여과하여 상등액과 잔여 고형물을 분리시켰다. 분리된 잔여 고형물로부터 상기의 추출 및 여과에 의해 2회 더 추출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을 모두 모은 후 이를 진공 건조시켜 농축한 후 여과하고(whatman No.2), 잔여고형물은 같은 방식으로 두 차례 추출을 시도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추출액을 모두 모아서 진공 증발기로 농축하고 건조시켜서 분말 형태의 조추출물(Pophyra extract, PE)을 수득하였다.
(2) 조추출 분획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얻은 분말 형태의 조추출물 10㎖를 증류수 90㎖에 첨가하고 용해시켜 조추출물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기공 크기가 0.45㎚인 멤브레인 필터 (Gelman, USA)에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된 조추출물 수용액을 Prep LC system[dual pump(Koto, Japan), auto injector, UV/RI detector, fraction collector로 구성] 상에서 물-메탄올 농도 구배(처음엔 물, 다음엔 50 부피%의 메탄올 수용액)로 전개(전개속도는 5㎖/min)시킨 후 UV 검출기 및 RI 검출기를 사용하여 280~400 ㎚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하는 조추출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3) 정제 추출물의 제조
상기 (2)에서 얻은 조추출 분획물을 UG120 guard column(Shiseido, Japan)으로 보호된 소수성 상호 칼럼(Capcellpak C18 UG120 semi-prepatative column; Shiseido, Japan)에 0.2 부피%의 아세트산 수용액과 함께 10㎖/min의 속도로 전개하여 1차 정제하였다. 1차 정제 추출물을 크기 배제 칼럼(Ohpak 2002; Shiseido, Japan)에 물과 함께 2.5㎖/min의 속도로 정제하여 2차 정제하였다. 2차 정제 추출물은 밝은 노란빛을 가진 액체이었고, 이를 진공 증발기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시켜서 분말 형태의 정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미백 효능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
0.1M 인산염 완충액 (pH 6.8), 50mM L-티로신, 버섯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 (0.5U/㎕)을 포함하는 반응용액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김 추출물(5, 10, 20, 30 ㎕, 28Brix)을 가하고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2% 알부틴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A-B)/A] x 100
A: 김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반응액의 반응 후 흡광도
B: 김 추출물이 들어 있는 반응액의 반응 후 흡광도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2. 멜라닌 합성 저해능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4 cells/㎖이 되도록 B16F10 세포를 접종하여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김 추출물(10, 20, 30 ㎕)을 가하고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α-MSH(α-melanocyte stimulate hormone)를 첨가하여 3일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된 세포에서 10% DMSO/1N NaOH로 60℃에서 3시간 동안 멜라닌을 녹여내어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합성량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서 α-MSH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80% 가까이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저해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각질형성세포( HaCaT ),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 피부암세포(B16F)에 대한 세포 증식능
MM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통해 각질형성세포 (HaCaT), 인간 섬유아세포 일차 세포주(human fibroblast primary cell line)(1064 SK), 피부암세포(B16F)에 대한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즉, 살아있는 세포에 의해 MTT가 환원되어 생성되는 보라색 포마잔을 측정하여 세포의 생장을 결정하였다. 상기 각 세포에 UV를 조사한 후 배양액을 다시 10% FBS와 항생제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고 8시간 더 배양하였다. 그 다음, 10㎕의 MTT(5 mg/mL PBS) 용액을 각 웰에 가하여 3 시간 배양하였다. MTT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제거하고 200㎕의 DMSO를 각 웰에 가하여 30분 동안 추출하여 56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각질형성세포(HaCaT),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 피부암세포(B16F)에서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콜라겐 합성능
인간 섬유아세포(1064 SK)를 2×105 cells/㎖로 24 웰 플레이트에 500㎕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시료(제조예 1의 김 추출물)를 세포 증식능 평가를 통해 선택한 농도(10, 20, 30 ㎕)로 희석하여 각 웰에 첨가하였다. 48 시간 배양 후 배지를 모아 2000 rpm/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 취하였다. 상층액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프로콜라겐 타입-1 c-펩티드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프로콜라겐 타입-1 c-펩티드 ELISA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항체가가 코팅되어 있는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항체-POD 컨쥬게이트 용액 100㎕씩 넣은 후 1/5 로 희석한 배양액 및 표준액을 20㎕씩 첨가하였다. 콜라겐 표준품을 희석제로 각각 0, 10, 20, 40, 80, 160, 320, 640ng/㎖ 가 되도록 희석하여 표준액을 조제하였다. 플레이트를 밀봉한 후, 37℃에서 3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PBS로 각 웰을 3~4 회 세척하였다. 100㎕의 기질 용액을 넣어준 후, 실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100㎕의 정지 용액(1N H2SO4 또는 1N HCl)을 넣어 준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콜라겐 양은 단백질 정량 후 보정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3. MMPs 활성 저해능
상기 2의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얻어진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 (HaCaT) 배지액을 이용하여 젤라틴 자이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를 수행하여 MMP2, MMP9의 활성 저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MMP2의 활성에는 10% 내외의 미비한 활성 저해능을 보인 반면, MMP9의 활성은 약 40% 정도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경구투여 독성 시험
대한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을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SD 랫트를 사용하여 시험물질 투여량을 2000㎎/㎏ B.W.으로 설정하여 암·수 각각에 대해 1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 및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측정 결과, 시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생존동물에 대한 부검 결과,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D 랫트에 본 발명의 김 추출물 2000㎎/㎏ B.W.을 단회 경구투여시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독성학적 소견이 인정되지 않았으므로 개략의 치사량은 2000㎎/㎏ B.W. 이상으로 판단된다.
4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피부자극성 시험
NZW 토끼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물질을 토끼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도포한 후 72시간 동안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피부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적용으로 인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든 시험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측정 결과, 모든 동물에서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 적용 후 적용부의 피부자극성을 관찰한 결과, 홍반 및 부종이 관찰되지 않아 Draize의 산출방법에 따른 판정결과 1차 피부자극지수(P.I.I.)는 "0.0"으로 산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NZW 토끼에 대한 피부자극성 시험에서 시험물질(김 추출물)은 비자극성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5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피부감작성 시험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피부감작성을 Buehler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야기 후 피부 반응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시험기간 중 시험물질 투여군 및 음성대조군에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물질 적용에 기인한 특이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측정 결과, 시험물질 투여군의 모든 시험동물에서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을 100% 농도로 야기한 후, 24시간 및 48시간의 피부반응을 평가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감작지수(평균피부반응 점수) 및 빈도지수(감작율)는 각각 "0.0", "0.0 %"와 "0.0", "0.0 %"로 산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피부감작성을 Buehler 방법 평가시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본 시험물질(김 추출물)은 평가기준에 의해 감작성이 매우 약한 물질 (등급 I)로 평가되었다.
6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독성 시험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6마리의 기니아 피그에 김 추출물을 도포하여 UV를 조사한 다음, 72시간 동안의 사망률,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와 24, 48 및 72시간째의 피부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시험기간 중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물질 적용에 기인한 특이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시험기간 중 체중 측정 결과, 시험동물 모두 전반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을 100% 농도로 시험물질 처리 구획에 30분간 개방 첩포한 후, UVA (320~420㎚)를 15 J/㎠의 광량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조사하여 UVA 조사부위와 비조사부위의 피부반응을 24, 48 및 72시간에 관찰한 결과,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광독성 지수(phototoxic index)는 "0.0"으로 평가되었다. 양성대조물질을 처리한 구획의 경우, 24, 48 및 72시간에 관찰한 결과, 광독성 지수는 "2.2", "1.0" 및 "0.2"으로 평가되어 가벼운 자극(mildly irritating) 물질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독성을 UV를 조사하여 평가할 시, 홍반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므로, 본 시험물질(김 추출물)은 광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7 :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감작성 시험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감작성(photo-allergic index)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니아 피그에 김 추출물을 도포하여 UV를 조사한 다음, 시험동물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감작야기 후 피부반응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시험기간 중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험물질 적용에 기인한 특이한 이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체중 측정 결과, 시험물질 투여군의 모든 시험동물에서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을 100% 농도로 시험물질 처리 구획에 2시간 동안 개방 첩포한 후, UVA (320~420㎚)를 10 J/㎠의 광량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조사하여 UVA 조사부위와 비조사부위의 피부반응을 24, 48 및 72시간에 관찰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군 및 음성대조군에서는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광감작성 지수가 "0.0"으로 산출되었다. 양성대조군의 경우, 피부반응을 24, 48 및 72시간에 관찰한 결과, 광감작성 지수가 각각 "1.8", "1.2" 및 "0.6"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니아 피그에 대한 본 발명의 김 추출물의 광감작성을 UV를 조사하여 평가할 시, 홍반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므로, 본 시험물질(김 추출물)은 광감작성을 유발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제제예 : 화장료 제제의 제조
1. 유연 화장수
김 추출물 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렌글리콜 3.0 중량%
에탄올 5.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중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2. 수렴 화장수
김 추출물 0.5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구연산 0.1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중량%
소르비톨 2.0 중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3. 로션( 에멀젼 )
김 추출물 0.5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1,3-부틸렌글리콜 8.0 중량%
스쿠알란 10.0 중량%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5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중량%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아르기닌 0.1 중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4. 크림
김 추출물 0.5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스테아린산 8.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중량%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4.0 중량%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중량%
바셀린 2.0 중량%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6)

  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은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 추출물은 건조한 김을 물, C1~C4 알콜 또는 물과 C1~C4 알콜의 혼합 용매로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1~C4 알콜은 1~100%의 메탄올 또는 1~100%의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10510A 2013-01-30 2013-01-30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7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10A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3-01-30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3/005103 WO2014119826A1 (ko) 2013-01-30 2013-06-11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10A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3-01-30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65A true KR20140097865A (ko) 2014-08-07

Family

ID=5126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510A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3-01-30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97865A (ko)
WO (1) WO20141198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11A (ko)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타우린 및 알라닌을 함유하는 김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9-08-26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24351A (ko) 2018-04-05 2019-11-05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36538B1 (ko) * 2020-06-09 2021-12-08 주식회사 코사이언스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811A (ja) * 2002-12-26 2004-07-22 Shirako:Kk 化粧料
KR100531686B1 (ko) * 2003-04-29 2005-11-28 학교법인 영남학원 토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262505A1 (en) * 2010-04-22 2011-10-27 Gina Athwal Seaweed-derived cosmetic compositions
KR101839013B1 (ko) * 2010-11-25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6309A (ko) * 2012-01-17 2012-02-23 이재학 사탕형 제과류 꽃꽂이형 꽃송이 장식 포장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11A (ko) 2015-01-20 2016-07-29 주식회사 그린파이오니아 타우린 및 알라닌을 함유하는 김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9-08-26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24351A (ko) 2018-04-05 2019-11-05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36538B1 (ko) * 2020-06-09 2021-12-08 주식회사 코사이언스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9826A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58B1 (ko)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KR100823533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506505B1 (ko) 황금누에고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123A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27213A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120114540A (ko) 노화 방지, 주름 개선, 미백,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9037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2A (ko) 아네모시드 a3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19897B1 (ko)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20120078064A (ko) 곰보 배추 추출물,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848A (ko) 백수오 추출물 유래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1663A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