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58B1 -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 Google Patents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58B1
KR100879558B1 KR1020070076852A KR20070076852A KR100879558B1 KR 100879558 B1 KR100879558 B1 KR 100879558B1 KR 1020070076852 A KR1020070076852 A KR 1020070076852A KR 20070076852 A KR20070076852 A KR 20070076852A KR 100879558 B1 KR100879558 B1 KR 10087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sition
dibenzo
eckloni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황혜정
Original Assignee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58B1/ko
Priority to PCT/KR2008/004450 priority patent/WO2009017369A2/en
Priority to JP2010519151A priority patent/JP5346339B2/ja
Priority to US12/670,062 priority patent/US2010018484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58B1/ko
Priority to US13/297,828 priority patent/US201201229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보호 및 개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보호 및 개선제는 미백, 주름 방지, 항염증 및 항알러지 기능, 여드름 개선 효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기능, 보습기능을 통하여 각종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기능을 가지므로 화장품 또는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제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백, 주름방지, 항염증, 항알러지, 여드름 개선효과, 보습기능,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 보호, 피부 보호 및 개선제, 화장품, 디벤조-p-디옥신

Description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보호 및 개선제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containing the dibenzo-p-dioxine derivatives}
본 발명은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함유한 피부 보호 및 개선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백, 주름 방지, 항염증 및 항알러지 기능, 여드름 개선효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기능, 및 보습기능을 가지므로 각종 피부 질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물리적, 화학적, 혹은 박테리아등의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신체내의 장기 및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체온을 유지하며 체내의 수분 증발을 막아 준다. 피부 조직은 표피(epidermis)와 진피(dermis)로 나뉘는데, 표피는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이며 진피는 피부를 구조적으로 유지하는 깊은 층이다.
표피 층은 몇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진피와 만나는 맨 아래층은 세포가 재생산 되는 곳으로 기저세포(basal cell)라고 한다. 피부세포가 성숙되면 피부 표피의 가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세포 분화(differentiation)가 일어나게 되는 데, 이렇게 이동된 표피의 가장 바깥쪽 세포층을 각질층 (stratum corneum, SC)라 부른다. 각질 세포는 더 이상 생명력을 가지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세포로 바뀌게 된다. 각질층은 신체 내부 혹은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으며 자연적으로 수분 유지 인자를 가지고 신체의 수분 보호막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30%의 수분을 함유한다. 따라서, 각질층 내의 수분 함유율이 감소하면 피부가 건조해 지게 된다. 모이스처 라이징 크림 등은 이러한 피부 건조를 막고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수분 유지는 건강한 피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화장품이나 피부 보호제의 목적, 혹은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가 검게 변화되는 것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주된 요인은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Melanin)의 합성이다. 이 과정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는데, 이로부터 자발적인 반응과 효소반응을 거쳐 흑색색소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피부의 미백을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며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비타민 C,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히드로퀴논(Hydroquinone) 등과 상백피 추출물등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등의 부작용에 의해 그 사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식물추출물에서도 미백효과가 발견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식물추출물의 경우 고농도에서만 비교적 높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기존 저농도에서는 저해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서 원료의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미백물질에 비해 강한 미백효과와 높은 안전성을 가지는 새로운 미백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피부 노화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이 포함된 복잡한 과정에 의해 진행된다. 즉, 비가역적인 조직의 퇴행성에 의한 만성적인 손상에 의한 내적 노화 과정과 자외선에 의한 외적 노화과정이 있다. 즉 자외선은 피부 손상을 가져 오는 가장 주된 환경적 요인이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세포 부종등의 피부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나아가 만성적으로 노출이 계속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이 발생되고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조직의 파괴, 캐라틴세포의 증식, 그리고 멜라닌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변화시키므로 잔주름, 거침, 건조증, 피부 처짐 그리고 착색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즉 자외선은 피부 조직 내에 여러 종류의 인터루킨 (interleukin, IL-1, IL-6, IL-8, IL-10), 종양괴사인자 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등의 염증을 일으키는 세포독성 물질(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며 이들 염증 인자들에 의해 콜라겐 조직 파괴를 가져오는 matrix metalloprotease-1 (MMP-1), 멜라닌세포와 캐라틴세포의 이상 증식을 촉진하는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그리고 MAPK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등 여러 가지 세포 손상을 가져올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한다. 따라서 이런 염증 인자들을 효과적으로 저해 함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피부의 노화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효소 중에 엘라스타제가 있는데 이 효소는 조직내의 용수철 작용을 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엘라스타제는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과잉 생성된다. 엘라스타제의 과잉생성 은 엘라스틴(elastin)을 과도하게 분해시켜 콜라겐 간의 결합이 약하게 되어 피부주름이 생성되며 피부탄력이 감소한다. 특히 40대 이후 엘라스타제의 작용에 의해 피부의 탄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엘라스타제의 작용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매우 활발해져 엘라스틴 섬유가 일부 소멸되거나 응집현상이 나타나고 콜라겐 섬유가 감소한다. 생화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엘라스타제의 활성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촉진되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생성을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여드름(acne vulgaris)은 주로 사춘기에 호르몬의 변화에 의한 피지선 내의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여드름의 원인으로는 안드로젠에 의해 활성화된 과다한 피지생성과 피지선의 확대, 모피지선내의 표피 각질 형성세포들의 증식, 모낭 각질세포들의 불완전한 탈락과 이에 의한 모피지선의 막힘, 그리고 Propionibacterium acnes (P.acnes) 라 불리우는 박테리아에 의한 염증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치료제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레티놀산이 있는데, 이는 피부의 피지의 생성을 억제하며 피지선의 확대를 막아준다. 또한 P.acnes의 번식을 억제하는 항생제 요법도 여드름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레티놀산이나 항생제의 경우 피부 염증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에 자극적이며 박테리아 내성 등의 부작용을 가지므로 그 사용에 제한을 가져 오게 된다. 따라서 지방의 생성을 줄여주고, 염증을 막아줄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 물질의 개발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 주름 방지, 항염증 및 항알러지 기능, 여드름 개선효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기능 및 보습기능이 탁월하며 인체에 독성이 없는 각종 피부 질환 예방 및 개선제로 이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 개선기능이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디벤조-p-디옥신 (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미백, 주름 방지, 항염증 및 항알러지 기능, 여드름 개선효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기능, 및 보습기능등의 특성을 갖는 피부 질환 보호 및 개선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 개선기능이 뛰어난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자들은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가 미백, 주름개선 효과, 자외선에 의한 노화 방지 효과, 보습 기능, 여드름 개선 기능 등의 각종 피 부 질환 억제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세포실험, 동물실험, 혹은 임상 실험 등을 통하여 입증하고 이에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포함한 상기 조성물을 각종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식용 가능한 대형 갈조류에서 최초로 발견된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 피부 미백기능을 가지며, 엘라스타제를 저해함으로써 우수한 주름 방지 효과를 가지며, 히스타민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항알레르기 기능을 나타내며, 피부 수분율을 높게 유지시켜 주며, 피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염증이나 활성산소의 발생, 이에 따른 피부 노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함으로써 각종 피부 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장기 피부제의 사용에 따른 독성이 없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유용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의 대표적인 물질로 하기 화학식 1 내지화학식 10의 물질이 있다.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1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2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3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4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5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6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7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8
Figure 112007055910067-pat00009
Figure 112007055910067-pat00010
상기 식에서, 각 R은 H, 알킬, 알케닐, 페닐, 페닐알킬, 알카노일, 히드록시페닐, 디히드록시페닐 또는 아실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R은 H이다.
이러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최소 하나 또는 두개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화학식 1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6중량%, 화학식 2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5-60중량%, 화학식 3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1-30중량%, 화학식 4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20중량%, 화학식 5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0중량%, 화학식 6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15중량%, 화학식 7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8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9의 0.1-10중량% 및 화학식 10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2중량%를 두개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일일 도포량은 1-100mg/Kg일 수 있다.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이세니아 바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아이세니아 아르보레아(Eisenia arborea), 아이세니아 데스마레스티오데스(Eisenia desmarestioides), 아이세니아 갈라파제니스(Eisenia galapagensis), 아이세니아 매소니(Eisenia masonii),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 에클로니아 맥시마(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타(Ecklonia radiata), 에클로니아 바이시클리스(Ecklonia bicyclis), 에클로니아 바이런시네이트(Ecklonia biruncinate), 에클로니아 부시날리스(Ecklonia buccinalis), 에클로니아 카에파에스팁스(Ecklonia caepaestipes), 에클로니아 엑사스퍼타(Ecklonia exasperta), 에클로니아 파스티기아타(Ecklonia fastigiata), 에클로니아 브레빕스(Ecklonia brevipes), 에클로니아 아라보레아(Ecklonia arborea), 에클로니아 라티폴리아(Ecklonia latifolia), 에클로니아 무라티(Ecklonia muratii), 에클로니아 라디코사(Ecklonia radicosa), 에클로니아 리타디아나(Ecklonia richardiana), 에클로니아 라이티(Ecklonia wrightii) 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아이세니아 바이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또는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로 부터 추출된다.
이러한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에 0.00001-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개선용 화장품은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오일). 색조제품 화장료(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제품 화장료(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헤어젤)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의약품으로서 허용 가능한 모든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0001-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01-100%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해조류로부터 정제되어 독성이 전혀 없고 각종 피부 질환에 대 한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보호제 및 개선제,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조류로부터 추출물 제조 및 단일물의 분리방법
감태(Ecklonia cava)와 대황(Eisenia bicyclis)을 먼저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음지에서 건조한 후에 이를 파쇄 한다. 상기 감태 및 대황 500g(감태 350g, 대황 150g)을 함량 대비 20배량의 10% 알코올성 용매를 사용하여 활성물질을 용출시키기 위해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잔사를 걸러서 제거하고 회전 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용매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20배량의 증류수에 현탁하고, 동일 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 3회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감압 농축한다. 농축액을 15 배량의 실리카겔에 로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톤(부피 비 9/1)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출시켜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조추출물을 0.2㎛ 막여과지로 여과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로딩(loading)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서는 컬럼은 HP ODS Hypersil 컬럼을, 용매로는 증류수와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용매의 공급은 1.0㎖/분의 유속으로 메탄올 15% 에서 70%까지 30분간에 걸쳐 선형구배 (linear gradient)를 걸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10의 단일물로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 의 제조
상기 분리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10의 단일물로부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화학적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 각 조성물의 화학적 조성
시료 시료의 조성
조성물 1 I (R=H), 100%
조성물 2 II (R=H), 100%
조성물 3 III (R=H), 100%
조성물 4 IV (R=H), 100%
조성물 5 V (R=H), 100%
조성물 6 VI (R=H), 100%
조성물 7 VII (R=H), 100%
조성물 8 VIII (R=H), 100%
조성물 9 IX (R=H), 100%
조성물 10 X (R=H), 100%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R=H), 22%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조성물 16 IV(R=acetyl, H (3:7)), 100%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100%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100%
실시예 3.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의 멜라닌 생성 억제실험
본 발명물의 미백효과를 입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들의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대조군으로는 폴리페놀성 물질로 알려진 카테킨, 라스베라트롤 및 이소플라본, 미백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코직산, 아스코르빅산 그리고 상백피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포도당 4.5g/ℓ, 10% 혈청,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를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고 세포를 분주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상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 및 대조군을 50 ㎍/ml의 농도를 D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와 0.05% 트립신을 함유한 살린-포스페이트(saline-phosphate) 완충용액(PBS)을 1㎖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후, 5분 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만을 수집하였다.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생성된 멜라닌의 농도는 합성 멜라닌 (SIGMA CO. USA)의 표준 농도 곡선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매만을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 및 대조군의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서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M/M0)} X 100
M: 상기 조성물 혹은 대조군의 생성된 멜라닌 양
M0: 음성 대조군의 생성된 멜라닌 양
표2. 상기 조성물의 멜라닌 억제 활성
시료 시료의 조성 멜라닌 억제 활성(%)
조성물 1 I (R=H), 100% 84.3
조성물 2 II (R=H), 100% 82.0
조성물 3 III (R=H), 100% 88.0
조성물 4 IV (R=H), 100% 82.3
조성물 5 V (R=H), 100% 83.5
조성물 6 VI (R=H), 100% 89.8
조성물 7 VII (R=H), 100% 80.5
조성물 8 VIII (R=H), 100% 87.6
조성물 9 IX (R=H), 100% 84.3
조성물 10 X (R=H), 100% 92.1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94.2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R=H), 22% 92.8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92.9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94.4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94.4
조성물 16 IV(R=acetyl, H (3:7)) 100% 92.4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100% 95.7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100% 940
카테킨 50.4
라스베라트롤 40.9
이소플라본 64.3
코직산 60.3
아스코빅산 65.3
상백피추출물 30.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의 멜라닌 생성은 약 83-94%로 크게 감소 (대조군의 경우 30 내지 65) 함을 확인하였으며 활성이 잘 알려진 대조군의 억제 활성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엘라스타제 억제 반응에 의한 주름 방지 측정
상기 조성물의 주름 방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의 엘라스타제 (엘라스틴 단백질 분해효소, elast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폴리페놀성 물질로 알려진 카테킨, 라스베라트롤, 이소플라본과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을 보이는 락토카인을 이용하였다.
10nm의 엘라스타에 상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을 50 ㎍/ml 의 농도를 처리하고 25℃에서 10분간 처리 한 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를 포함하지 않은 용매만을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 및 대조군의 엘라스타제 저해율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E/E0)} X 100
E: 상기 조성물 혹은 대조군의 흡광도
E0: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
표 3. 상기 조성물의 주름 방지 효과
시료 시료의 조성 엘라스타제 저해율(%)
조성물 1 I (R=H), 100% 87.4
조성물 2 II (R=H), 100% 86.4
조성물 3 III (R=H), 100% 83.2
조성물 4 IV (R=H), 100% 85.4
조성물 5 V (R=H), 100% 90.4
조성물 6 VI (R=H), 100% 89.9
조성물 7 VII (R=H), 100% 88.7
조성물 8 VIII (R=H), 100% 87.4
조성물 9 IX (R=H), 100% 82.7
조성물 10 X (R=H), 100% 88.1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90.4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R=H), 22% 93.5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91.9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95.0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88.0
조성물 16 IV(R=acetyl, H (3:7)), 100% 94.9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100% 93.3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100% 92.1
카테킨 50.4
라스베라트롤 48.3
이소플라본 38.3
락토카인 37.8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의 엘라스타제 저해율은 약 82-93%로 크게 감소(대조군 38 내지 50) 함을 확인하였으며 활성이 잘 알려진 대조군의 저해율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엘라스타제를 저해함으로 우수한 주름 방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조성물의 항염증, 항알러지 기능의 측정 : 히스타민 생성억제 활성
상기 조성물의 항염증 및 항알러지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레르기를 포함한 염증반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히스타민 생성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히스타민 생성 억제 활성 실험은 랫트 바소필릭 루키미아셀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RBL-2H3)을 이용하여 Kawasaki의 방법에 따라 수행 하였다. 세포를 (1 x 105 cells/well)을 2% FBS(fetal bovine serum)와 랫트anti-DNP (dinitrophenol) IgE를 포함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120분 동안 배양한 후 셀을 HPEPS buffer로 세척하여 남은 IgE를 제거한다. 상기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8을 50 ㎍/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37℃에서 10분간 배양한다. 히스타민 발생을 위한 안티젠으로 DNP-BSA (Dinitrophenol- conjugated Bovine serum albumin)을 처리 한 후 1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다. HEPES 완충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상층 액을 취하여 20 μL 의 과염산으로 처리 한 후 원심분리 하여서 상층액 내의 히스타민의 농도를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셀의 생성된 히스타민 생성농도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여 각 샘플의 히스타민 생성 저해율 (%)을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H/H0)} X 100
H: 상기 조성물 첨가시 생성된 히스타민의 양
H0: 음성 대조군의 생성된 히스타민의 양
표 4. 상기 조성물의 히스타민 생성 저해율(%)
시료 시료의 조성 히스타민 생성 저해율(%)
조성물 1 I (R=H), 100% 60.4
조성물 2 II (R=H), 100% 70.3
조성물 3 III (R=H), 100% 58.9
조성물 4 IV (R=H), 100% 80.3
조성물 5 V (R=H), 100% 77.4
조성물 6 VI (R=H), 100% 75.9
조성물 7 VII (R=H), 100% 70.8
조성물 8 VIII (R=H), 100% 62.9
조성물 9 IX (R=H), 100% 72.1
조성물 10 X (R=H), 100% 83.2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85.9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R=H), 22% 89.8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90.3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80.5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88.3
조성물 16 IV(R=acetyl, H (3:7)), 100% 80.2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100% 92.1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100% 89.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의 히스타민에 의한 염증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조성물의 피부 보습기능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기능을 임상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표 6. 실험방법
대상 80명의 건강한 남녀 (여자 44명, 남자 36명; 평균 나이 56±5.6)
샘플 대조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은 크림 실험군: 상기 조성물 15를 1% 함유한 크림
방법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팔의 상박부에 적당량을 60일간 바르게 하였다.
평가시기 Baseline, 30일 후, 60일 후
평가 방법 1. 피부 표면 수분함유율(skin surface hydration index) 피부 표면 수분 함유율은 물질의 특성인 유전율(dielectric constant)를 이용하여 Corneometer CM 825(Courage et Khazaka, Cologne, Germany)로 측정하였다. 즉 캐라틴과 지방의 유전율이 다르므로 각질층의 유전율은 피부내의 수분 함유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의 수분 함유율을 결정하게 된다. 2.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단위 시간당 피부표면을 통한 수분증발량 TEWL은 Evaporimeter EP1(Servomed, Stockholm, Sweden)를 이용하여 유럽 피부질환학회의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TEWL은 각질을 통한 수분 증발량을 나타내며 그 양을 주어진 공간 내에서 측정된 증기압에 의해 결정한다.
표 7. 실험결과
평가 방법 Baseline 30일 후 60일 후
피부 표면 수분함유율 (AU) 전체(n=80) 남자(n=36) 여자(n=44) 33.98 33.33 34.50 44.17 (30% 증가) 45.00 (35% 증가) 43.34 (26% 증가) 52.91 (53% 증가) 54.32 (63% 증가) 51.75 (50% 증가)
TEWL (g/m2h) 전체(n=80) 남자(n=36) 여자(n=44) 9.64 9.28 9.93 6.94 (28% 감소) 6.03 (35% 감소) 7.68 (22% 감소) 5.49 (43% 감소) 4.82 (48% 감소) 6.04 (39% 감소)
그 결과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피부 표면 수분율을 높혀주고, 피부 건조를 방지함으로 피부 보습기능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조성물의 여드름에 관한 예방 및 치료 효과
상기 조성물에 의한 여드름에 예방 및 개선 효과를 햄스터 모델을 이용한 피부 표면 및 피부내의 트리아실 글리세롤양의 생성 감소 및 피지선 세포의 증식 억제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8-1. 상기 조성물의 트리아실 글리세롤의 생성 감소 효과
상기 조성물의 트리아실 글리세롤의 생성 감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성물 6과14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카테친을 사용하였다. 5주된 수컷 햄스터를 약 2주간의 적응기간을 거쳐서 모두 3개의 그룹 (음성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으로 나뉘었으며 각 그룹 당 10마리로 하였다. 동물실험실은 25±1℃, 습도 55%를 유지하면서 12시간 주기로 빛을 조절하였다.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동물식이가 공급되었으며 물은 자유로이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 후 햄스터의 귓바퀴에 10% 실험용액, 혹은 대조군용액 200 μL를 매일 하루에 한번씩 14일 동안 피부 표면에 도포하였다. 이때 실험 혹은 대조군 용액 제조 시 용매로는 에탄올과 글리세롤의 혼합물 (95:5, v/v)을 사용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경우 용매 만을 도포하였다. 햄스터로부터 큇바퀴를 채취하고 피부 표면에 생성된 피지를 아세톤을 이용하여 추출해 낸다. 피지 추출 액으로부터 생성된 트리에세틸 글리세롤 (TG)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햄스터 귓바퀴 피부 조직으로부터 피지 세포를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용액 내에 서스팬션 시킨 후 피부 세포 내에 생성된 트리아실 글리세롤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생성된 트리아실 글리세롤 (TG) 의 양은 자동 박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트리올레이트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측정된 TG의 양을 대조군의 농도를 100%로 하여 그 상대적인 양을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상기 조성물의 피부표면 및 피부 세포내의 피지 생성량 감소 효과
샘플 피부 표면의 상대적인 TG 농도 (%) 피부 세포 내의 상대적인 TG 농도 (%)
대조군 100 100
조성물 6 용액 66.2 54.9
조성물 14 용액 35.0 26.9
카테친 108.2 110.4
8-2. 상기 조성물의 피지선 세포 증식억제 실험
햄스터 피지 세포는 5 주된 햄스터의 귓바퀴의 피지선으로부터 Sato의 방법을 이용하여 채취한다. 피지세포(2.35 x 104 cells/plate)를 2% FBS, 2% human serum 을 포함한 DMEM/F12 배지를 이용하여 24시간 배양하여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고, 상기 조성물 6 및 조성물 14를 여러가지 농도로 3일에 한번 씩 첨가하여 12일 동안 배양한다. [3H]thymidine (1kBq/well)(Amersham Bioscience)을 샘플을 마지막으로 처리하기 3시간 전에 가한다. DNA와 결합한 [3H]thymidine의 양을 방사선 카운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셀을 대조군으로 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계산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상기 조성물의 피지선 세포 증식억제 효과
샘플 샘플 농도 ( μM) 세포 수 (x 103 d.p.m/well) % of untreated cell
대조군 2.90 ±0.20 100
조성물 6 용액 10 20 40 2.26 ±0.67 0.87 ±0.07 0.30 ±0.05 78.4 30.2 10.4
조성물 14 용액 0.1 0.5 1 1.57 ±0.37 0.53 ±0.21 0.22 ±0.04 50.4 18.3 7.7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용액을 사용한 경우 피부 표면 및 세포내 피지생성량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용액을 사용한 경우 피지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피지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며, 피지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므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기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상기 조성물의 자외선에 의한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억제 효과
상기 조성물의 자외선에 의한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자외선에 의해 피부 표피에 생성되는 염증 생성 인자 (IL-1β, IL-6, IL-8, TNF-α 의 양을 측정하였다.
인간 표피 세포 주(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 cell line)를 keratinocyte-SFM 배지(serum-free medium)에서 95% 습도와 5% 이산화탄소 하에서 37℃를 유지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를 3 x104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한 후 상기 조성물 6 과 조성물 16 및 대조군인 녹차 추출물을 50 ㎍/ml의 농도로 DMSO(dimethyl sulfoxide)를 용매로 하여 처리하였다. 이때 DMSO의 최종 농도는 0.1%(v/v)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자외선 B을 조사하였다 (40mJ/cm2). 자외선 조사 24시간 후 배양액 상층으로부터 각 염증인자(IL-1β, IL-6, IL-8, TNF-α의 농도를 Human Inflammation Cytometric Bead Assay kit(Becton Deckinson, San Dieg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IL-1α의 농도는 효소면역에세이법(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셀을 나타내며, 양성 대조군은 상기 조성물 혹은 대조군의 샘플을 처리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셀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을 처리한 셀의 경우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인자의 발현을 크게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강력한 보호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조성물의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평가 실험
상기 조성물의 정상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NHEK(F)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of neonatal foreskin cell)와 NB1RGB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cell line from ski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들 세포는 사람의 정상 표피와 진피의 주요 구성세포로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을 생산하여 세포의 탄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세포이다.
NHEK(F)세포와 NB1GB세포를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상기 조성물을 여러 가지 농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다. 여기에 PMS/WST-1 (1-methoxy- 5-methylphenazinium methylsulfate / 2-(4-indophenyl)-3-(4-nitrophenyl)-5-(2,4- 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 혼합물을 넣어 1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용성 물질인 포르모산(Formosan)을 발생시킨 다음,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은 saline 용액을 처리한 셀을 음성대조군, 그리고 1%(w/v) SDS 용액를 처리한 셀을 양성 대조군(100% 세포사멸)으로 하였다.
세포독성(cytotoxicity, 세포사멸, %) 는 다음 식에 의해서 계산하며 각 조성물의 LD50 (Lethal dose 50, 세포사멸을 50% 이르게 하는 시료의 농도, μM)를 계산하여 표 10에 정리하였다.
[수학식] 세포사멸(%) = (A0-A/A0-As) x 100
A0 =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셀의 흡광도
A = 상기 조성물을 처리한 셀의 흡광도 (음성 대조군)
As = 1%(w/v)SDS를 처리한 셀의 흡광도 (양성 대조군)
표 10. 상기 조성물의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평가
시료 시료의 조성 LD50 (μM)
NHEK(F) 세포 NB1RGB세포
조성물 1 I (R=H), 100% 56.4 110.4
조성물 2 II (R=H), 100% 48.9 150.3
조성물 3 III (R=H), 100% 55.0 159.8
조성물 4 IV (R=H), 100% 96.3 149.3
조성물 5 V (R=H), 100% 100.4 139.4
조성물 6 VI (R=H), 100% 105.4 97.3
조성물 7 VII (R=H), 100% 78.9 100.4
조성물 8 VIII (R=H), 100% 93.2 104.8
조성물 9 IX (R=H), 100% 57.2 114.3
조성물 10 X (R=H), 100% 48.2 128.5
조성물 11 II (R=H), 60% + III (R=H), 25% + IV (R=H), 15% 84.7 137.4
조성물 12 IV (R=H), 70% + V (R=H) 8% + VI (22%) 74.3 150.3
조성물 13 IV (R=H), 10% + X (R=H), 80% + VII (R=H), 10% 58.0 138.9
조성물 14 I (R=H), 3% + II (R=H), 60% + III (R=H), 10% + IV (R=H), 12% + V (R=H), 5% + VI (R=H), 10% 90.5 128.4
조성물 15 II (R=H), 60% + IV (R=H), 20% + VI (R=H), 15% + VII (R=H), 5% 58.2 135.3
조성물 16 IV(R=acetyl, H (3:7)) 100% 60.3 125.3
조성물 17 II (R=oleoyl, H (1:9)) 100% 66.5
조성물 18 VI (R=methyl, H (2:8)) 100% 70.4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상기 조성물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유전 독성 실험(복귀 돌연변이 유발성)
히스티딘 (histidine) 요구성 살모넬라균과 트립토판 (tryptophan) 요구성 대장균을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의 복귀 돌연변이 유발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물질 조제액(음성대조물, 상기 조성물 15, 양성대조물) 100 μL 및 대사활성계 비적용일 때에는 0.1 mol/L 인산완충액 (pH 7.4) 500 μL를, 대사활성계 적용일 때에는 S9 mix 500 μL를, 이미 건열멸균된 시험관(13 × 100 mm)에 넣고, 균현탁액 100 μL를 첨가하여, 37℃ 진탕배양기에서 20분 간 선회배양한 다음, 45℃에 보관된 top agar (연한천 용액) 2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Vogel-Bonner 최소 Glucose 한천평판배지 위에 중층하였다. 용량설정시험은 대사활성계 적용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시험균주에서 최고용량을 5000 μg/plate로 설정하고 그 이하 공비 2로 최고용량을 포함한 5단계 시험물질군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을 별도로 설정하였다. 배양 후 각 페트리디쉬에 발생된 복귀변이콜로니수는 콜로니카운터 (ProtoCOL,SYNBIOSIS, UK)로 자동 계측하였으며, 실체현미경으로 콜로니 주변의 Background lawn을 관찰하여 균의 생육유무를 확인하였다.
용량설정시험의 결과, 대사활성계 적용유무에 관계없이 사용한 모든 시험균주에서 생육저해 및 시험물질의 석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복귀변이콜로니수는 대사활성계의 적용유무에 관계없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도3). 따라서 상기 조성물의 복귀돌연 변이 유발성은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표11.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 처방예
성  분 함량 (중량%)
상기조성물 0.1
1,3-부틸렌 글리콜 6.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2.0
글리세린 4.0
피이지 4000 1.0
폴리 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0.0
방부제 적량
벤조페논-9 0.05
적량
정제수 적량
합 계 100
표 12.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밀크 로션의 처방예
성 분 함량(중량%)
상기조성물 0.1
스테아린산 0.4
1,3-부틸렌 글리콜 6.0
세토스테아릴 알콜 1.2
글리세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트리에탄올아민 0.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표 13.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처방예
성 분 함량(중량 %)
상기 조성물 0.1
바셀린 7.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스테아린산 1.5
유동 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스쿠알란 3.0
1,3-부틸렌 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표 14.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에센스 처방예
성 분 함량 (중량%)
상기 조성물 0.1
글리세린 10.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판테놀 0.3
이.디.티이.에이(EDT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25 0.6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표 15. 상기조성물을 함유한 맛사지 크림 처방예
성 분 함량 (중량%)
상기조성물 0.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렌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1.0
산탄검 0.1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 아민 0.5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항염증, 항알러지 효과를 보인 그래프
a. 발진 부위 변화
b. 부푼 부위 변화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조사에 의한 염증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보인 그래프.
도 3은 여러 가지 박테리아에 대한 본 발명물에 의한 복귀 돌연변이 콜로니수를 보인 그래프.
a. 대사활성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b. 대사활성계가 적용된 경우.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주름 개선제용 조성물로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62314244-pat00026
    [화학식 2]
    Figure 112008062314244-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08062314244-pat00028
    [화학식 4]
    Figure 112008062314244-pat00029
    [화학식 5]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0
    [화학식 6]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1
    [화학식 7]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2
    [화학식 8]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3
    [화학식 9]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4
    [화학식 10]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5
    상기 식에서, 각 R은 H, 알킬, 알케닐, 페닐, 페닐알킬, 알카노일, 히드록시페닐, 디히드록시페닐 또는 아실이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디벤조-p-디옥신(dibenzo-p-dioxine)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보습제용 조성물로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6
    [화학식 2]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7
    [화학식 3]
    [화학식 4]
    Figure 112008062314244-pat00039
    [화학식 5]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0
    [화학식 6]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1
    [화학식 7]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2
    [화학식 8]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3
    [화학식 9]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4
    [화학식 10]
    Figure 112008062314244-pat00045
    상기 식에서, 각 R은 H, 알킬, 알케닐, 페닐, 페닐알킬, 알카노일, 히드록시페닐, 디히드록시페닐 또는 아실이다..
  8. 삭제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R이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화학식 1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6중량%, 화학식 2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5-60중량%, 화학식 3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1-30중량%, 화학식 4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 20중량%, 화학식 5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0중량%, 화학식 6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5-15중량%, 화학식 7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8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5중량%, 화학식 9의 0.1-10중량% 및 화학식 10의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 0.1-12중량%의 두개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벤조-p-디옥신 유도체는 아이세니아 바시클리스(Eisenia bicyclis), 아이세니아 아르보레아(Eisenia arborea), 아이세니아 데스마레스티오데스(Eisenia desmarestioides), 아이세니아 갈라파제니스(Eisenia galapagensis), 아이세니아 매소니(Eisenia masonii), 에클로니아 쿠로메(Ecklonia kurome), 에클로니아 카바(Ecklonia cava), 에클로니아 스톨로니페라(Ecklonia stolonifera), 에클로니아 맥시마(Ecklonia maxima), 에클로니아 라디아타(Ecklonia radiata), 에클로니아 바이시클리스(Ecklonia bicyclis), 에클로니아 바이런시네이트(Ecklonia biruncinate), 에클로니아 부시날리스(Ecklonia buccinalis), 에클로니아 카에파에스팁스(Ecklonia caepaestipes), 에클로니아 엑사스퍼타(Ecklonia exasperta), 에클로니아 파스티기아타(Ecklonia fastigiata), 에클로니아 브레빕스(Ecklonia brevipes), 에클로니아 아라보레아(Ecklonia arborea), 에클로니아 라티폴리아(Ecklonia latifolia), 에클로니아 무라티(Ecklonia muratii), 에클로니아 라디코사(Ecklonia radicosa), 에클로니아 리타디아나(Ecklonia richardiana) 또는 에클로니아 라이티(Ecklonia wrightii)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일일 도포량이 1-100mg/Kg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 기재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7 기재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20070076852A 2007-07-31 2007-07-31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KR10087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52A KR100879558B1 (ko) 2007-07-31 2007-07-31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PCT/KR2008/004450 WO2009017369A2 (en) 2007-07-31 2008-07-30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containing the dibenzo-p-dioxine derivatives
JP2010519151A JP5346339B2 (ja) 2007-07-31 2008-07-30 しわ改善及び保湿剤組成物、および化粧品
US12/670,062 US20100184847A1 (en) 2007-07-31 2008-07-30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containing the dibenzo-p-dioxine derivatives
US13/297,828 US20120122965A1 (en) 2007-07-31 2011-11-16 Compositions for skin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containing the dibenzo-p-dioxine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52A KR100879558B1 (ko) 2007-07-31 2007-07-31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58B1 true KR100879558B1 (ko) 2009-01-22

Family

ID=403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52A KR100879558B1 (ko) 2007-07-31 2007-07-31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00184847A1 (ko)
JP (1) JP5346339B2 (ko)
KR (1) KR100879558B1 (ko)
WO (1) WO2009017369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688A2 (ko) * 2010-02-03 2011-08-11 라이브켐 주식회사 디벤조-р-디옥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3638A (ko) * 2014-11-05 2016-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0513A (ko) * 2015-12-31 2017-07-1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DPHC(diphlorethohydroxycarmalol)를 포함하는 피부 구조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045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20093016A (ko) * 2020-12-24 2022-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WO2023277626A1 (ko) * 2021-06-30 2023-01-05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82736A1 (fr) * 2008-01-23 2009-07-29 Jean Hilaire Saurat Composition pharmaceutique à usage topique
KR101144221B1 (ko) * 2009-06-24 2012-05-10 주식회사 보타메디 구강 건강 유지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1087525A1 (en) * 2010-01-17 2011-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omarker-based methods for formulating compositions that improve skin quality and reduce the visible signs of aging in skin for individuals in a selected population
JP2011195524A (ja) * 2010-03-23 2011-10-06 Kose Corp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20120078859A (ko) * 2011-01-03 2012-07-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증식을 위한 7'-플로로에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192318B2 (ja) * 2013-03-11 2017-09-06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ワ形成抑制剤及び/又は抗炎症剤のスクリーニング法
US9101551B2 (en) 2013-10-09 2015-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MX2017006149A (es) 2014-11-10 2017-07-27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personal con dos fases beneficas.
CN107106429B (zh) 2014-11-10 2021-06-29 宝洁公司 具有两种有益相的个人护理组合物
US10966916B2 (en) 2014-11-10 2021-04-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FR3029910B1 (fr) * 2014-12-12 2019-12-27 L'oreal Nouveaux composes 1-phenyl mono ou polyhydroxypropane, compositions et utilisation en cosmetique
WO2019079405A1 (en) 2017-10-20 2019-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EROSOL FOAMING CLEANSER FOR THE SKIN
WO2019079409A1 (en) 2017-10-20 2019-04-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ER FOR AEROSOL MOUSSE FOAM
WO2020112486A1 (en) 2018-11-29 2020-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screening personal care products
CN111018874B (zh) * 2019-11-25 2021-06-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空穴传输材料、其制备方法及有机发光二极管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124A (ko) * 2003-05-06 2004-11-12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71464A (ko) * 2002-07-31 2005-07-07 프로사이트 코포레이션 펩타이드 구리 착체 및 식물화학적 화합물을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100683967B1 (ko) * 2005-05-16 2007-03-02 라이브켐 주식회사 피부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7224A (en) * 1996-01-19 1998-11-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of inhibiting photoaging of skin
TWI234455B (en) * 1998-04-02 2005-06-21 Univ Michiga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UV-induced inhibition of collagen synthesis in human skin
US20030152964A1 (en) * 2001-11-08 2003-08-1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ethods of identifying photodamage using gene expression
WO2005046670A1 (en) * 2003-11-11 2005-05-26 The Skinny Drink Company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cardiovascula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US20050226825A1 (en) * 2004-04-13 2005-10-13 Giampapa Vincent C Top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damage caused by UV light exposure
US20060182705A1 (en) * 2005-02-11 2006-08-17 Cruse Maria K Composition for reduction and prevention of wrinkles on the skin
KR100988510B1 (ko) * 2005-10-17 2010-10-20 이행우 제 2형 당뇨의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464A (ko) * 2002-07-31 2005-07-07 프로사이트 코포레이션 펩타이드 구리 착체 및 식물화학적 화합물을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20040095124A (ko) * 2003-05-06 2004-11-12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지닌 곰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분리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683967B1 (ko) * 2005-05-16 2007-03-02 라이브켐 주식회사 피부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688A2 (ko) * 2010-02-03 2011-08-11 라이브켐 주식회사 디벤조-р-디옥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WO2011096688A3 (ko) * 2010-02-03 2012-01-05 라이브켐 주식회사 디벤조-р-디옥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1201524B1 (ko) * 2010-02-03 2012-11-14 주식회사 보타메디 디벤조-р-디옥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3638A (ko) * 2014-11-05 2016-05-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6563B1 (ko) * 2014-11-05 2016-12-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0513A (ko) * 2015-12-31 2017-07-1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DPHC(diphlorethohydroxycarmalol)를 포함하는 피부 구조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045A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189415B1 (ko) 2019-02-11 2020-12-1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20093016A (ko) * 2020-12-24 2022-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KR102527077B1 (ko) * 2020-12-24 2023-05-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대나무 추출물을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기능성 조성물
WO2023277626A1 (ko) * 2021-06-30 2023-01-05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22965A1 (en) 2012-05-17
US20100184847A1 (en) 2010-07-22
WO2009017369A2 (en) 2009-02-05
JP5346339B2 (ja) 2013-11-20
JP2010534720A (ja) 2010-11-11
WO2009017369A3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58B1 (ko) 디벤조­파라­디옥신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보호 및 개선제
KR101345735B1 (ko) 인삼열매 아위버섯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5447B1 (ko) 비타민나무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515A (ko)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20160021371A (ko) 수선화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WO1997035557A1 (en) External skin-care composition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180069528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49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3′,4′,5,6,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바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48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