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283B1 -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283B1
KR102014283B1 KR1020180039480A KR20180039480A KR102014283B1 KR 102014283 B1 KR102014283 B1 KR 102014283B1 KR 1020180039480 A KR1020180039480 A KR 1020180039480A KR 20180039480 A KR20180039480 A KR 20180039480A KR 102014283 B1 KR102014283 B1 KR 10201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reshwater
seawee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열
김성규
양우석
박상희
박경자
장석구
김동삼
김지현
최영임
Original Assignee
삼척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척시 filed Critical 삼척시
Priority to KR102018003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노화가 유도된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에서, 바다김 추출물에 비해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의 발현 감소 효과,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COL1A1 및 Sirt-1의 발현 증가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rasiola japonica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우리 몸으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로부터 유해성분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항상 외부 자극(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등이 발생하는 피부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증상은 주름으로, 생기는 부위에 따라 목주름, 이마주름, 미간주름, 눈밑 잔주름, 입술주위 잔주름, 얼굴 전체에 생기는 미세한 주름 등이 있다. 주름의 생성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는데, 우선 피부가 과다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의 진피에서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콜라겐(collagen)의 감소와 변성으로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가 과도한 온도변화 및 습도저하나 바람 등에 의해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기도 하므로,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에 의한 주름 발생을 억제하고자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써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주요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및 세포 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화가 되면 콜라겐 자체의 합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콜라겐을 포함한 결합조직을 분해하는 MMPs(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분해를 촉진시켜 콜라겐의 함량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MMPs는 기질특이성에 따라 MMP-1, MMP-2, MMP-3, MMP-9로 크게 분류되며, 특히 MMP-1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세포 간 형태 형성, 상처 치유, 조직 재생 및 재조직에 중요한 단백질이다. MMP-2(gelatinase-A) 및 MMP-9(gelatinase-B)는 제4와 5형 콜라겐 및 탄력소를 분해할 수 있고, MMP-3(stromelysin-1)은 제4형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 라미닌(laminin) 등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며 다양한 MMPs를 활성화시켜 주름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Sim, G. S. et al., Kor. J. Biotechnol. Bioeng., 20(1), 40-45, 2005; Honda, A. et al., J Dermatol Sci., 49(1), 63-72, 2008; 김영철 외, Korean J. Microscopy., 41(2), 129-137, 2011).
시르투인(sirtuin)은 뇌, 간, 신장 등 신체의 일부 조직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탈아세틸화효소(protein deacetylase)로, 특히, Sirt-1의 경우, 염증, 세포자살, 당뇨병 및 노화와 같은 질병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 [Han, J. G.,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Kim, J. et al., Mol Cell Endocrinol., 412, 216-225, 2015; Serravallo, M. et al., Arch Dermatol Res., 305(4), 269-282, 2013]에는 Sirt-1의 활성화는 콜라겐 생성에 도움을 주어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항노화 소재로서 사용가능함을 개시하였다.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거나, 또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생성 및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학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민감성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피부에 자극이 적고 안전한 천연 식물 유래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개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물김(Prasiola japonica)은 물김이라는 이름으로 구전되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민물김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물김은 홍조류인 바다김과 달리 녹조류(Green algae, Phylum Chlorophyta)로서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se)에 포함된다(Park, M. K. et al., J. Plant Bio., 13, 1-10, 1970).
일본에서는 민물김을 카와노리(하천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으며, 하천김과 같은 민물 조류를 인공배양하여 높은 상업적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민물김은 1938년 일본 학자인 Okada가 함경남도 문천군 문천면에서 최초로 채취하여 Prasiola formosana var. coreana Okada로 명명하여 발표한 것이 효시이며(Okada, Y., J. Jpn. Bot., 15, 449-452, 1939), 삼척군의 집단에 대한 형태 및 생태학적 연구가 수행된 바가 있다(Park, M. K. et al., J. Plant Bio., 13, 1-10, 1970). 우리나라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인위적 영향으로 40여 년전에 이미 사라진 종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강원도 삼척시의 소한천에 민물김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민물김과 같은 녹조류 유래 추출물이 항고혈압 및 미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에 의한 자외선 차단 등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a, S. H.,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2006; Groniger, A. et al., J. Photochem. Photobiol. B., 66, 54-59, 2002). 한편 일본에서 민물유래 식용김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이젠지노리(Suizenzinori, Aphanothece sacrum)에는 고 함량의 철분 및 칼슘 등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알러지성 피부염을 억제하는 성분인 사크란(Sacran, sulfated polysaccharide)이 함유되어 있어 약리학적 활용도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Ngatu, N. R. et al., Ann. Allergy Asthma Immunol., 108, 117-122, 2012). 그러나, 국내 자생 민물김에 대한 생리활성물질 성분분석 및 약리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민물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일본공개특허 제2005-220084호에는 아세로라 종자 추출물에 민물파래를 포함하는 해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7865호에는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91401호에는 민물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민물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한 선행문헌은 아직까지 없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220084호, 아세로라 종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2005년 08월 18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591401호,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016년 01월 28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7865호,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014년 08월 07일 공개.
김영철 외, 홍차추출물 함유 누드팩의 Hairless 마우스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Korean J. Microscopy., 41(2), 129-137, 2011. Cha, S. H. et al.,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 marine angiotension-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2006. Groniger, A. et al., Induction of the synthesis of an UV-absorbing substance in the green alga Prasiola stipitata, J. Photochem. Photobiol. B., 66, 54-59, 2002. Han, J. G., Anti-aging Effects of a Novel Tripeptide Derived from Chlorella vulgaris in Human Skin Cells : Chlorella vulgaris 유래 신규 Tripeptide가 인간 피부세포의 항노화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Honda, A. et al., Interleukin-1beta and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in dermal fibroblasts mediate UV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 Dermatol Sci., 49(1), 63-72, 2008. Kim, J. et al., The natural phytochemical dehydroabietic acid is an anti-aging reagent that mediates the direct activation of SIRT1, Mol Cell Endocrinol., 412, 216-225, 2015. Ngatu, N. R.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cran, a novel polysaccharide from Aphanothece sacrum, on 2,4,6-trinitrochlorobenzene-induced allergic dermatitis in vivo, Ann. Allergy Asthma Immunol., 108, 117-122, 2012. Okada, Y., On a new Prasiola from Corea, J. Jpn. Bot., 15, 449-452, 1939. Park, M. K. et al.,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rasiola sp. in the Samchuck-Chodang, J. Plant Bio., 13, 1-10, 1970. Serravallo, M. et al., Sirtuins in dermatology: ap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eutics, Arch Dermatol Res., 305(4), 269-282, 2013. Sim, G. S. et al., Effects of the Spatholobi caulis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uman Skin Fibroblasts, Kor. J. Biotechnol. Bioeng., 20(1), 40-45,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은 녹조류로 홍조류인 바다김과는 달리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se)에 속한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1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민물김 추출물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3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및 선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민물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성분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화제, 점증제, 유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알코올류, 수용성 고분자제, 겔화제, 안정화제, 비타민, 무기염류, 유화제, 향료 같은 일반적인 보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첨가량을 화장료 고유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 상기 민물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노화가 유도된 피부각질세포(HaCaT cell)에서, 바다김 추출물에 비해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의 발현 감소 효과,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COL1A1 및 Sirt-1의 발현 증가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바다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2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바다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3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콜라겐 합성이 저해된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COL1A1의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의 민물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Sirt-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민물김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민물김(Prasiola japonica)은 삼척시에서 채취한 민물김을 사용하였다.
삼척시에서 채취한 민물김은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수돗물로 세척하였고, 70%[v/v] 에탄올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한 민물김을 곱게 파쇄하고, 파쇄된 민물김 100g에 80%[v/v] 에탄올 1ℓ을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이러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와트만 여과지(filter paper)로 여과시킨 후, 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민물김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비교예 1. 바다김 추출물 제조>
상기 민물김 추출물의 효능 대비를 위한 비교 대상 물질로 홍조류에 속하는 바다김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바다김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민물김 대신 바다김(완도에서 채취한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을 사용하여, 비교 대상 추출물인 바다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HaCaT 세포의 배양>
HaCaT(human keratinocyte cell)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U/㎖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₂조건에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민물김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 여부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계대 배양한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100㎕씩 분주하고, 각 웰에 민물김 추출물이 0, 25, 50, 100, 200 또는 400㎍/㎖이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상기 배양액의 상층액 100㎕를 제거하고, 5㎎/㎖ 농도의 MTT 용액을 10㎕씩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이 후 반응액을 제거하고 각 웰 당 반응정지 용액(10% SDS in 0.1N HCl) 100㎕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한 뒤,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HaCaT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100% 기준으로 하여, 시료를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민물김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농도에 상관없이 대조군(무처리군)과 유사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4. 민물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 확인>
노화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민물김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MP-1, MMP-2, MMP-3, Sirt-1 및 COL1A1의 mRNA 발현량 변화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계대 배양한 HaCaT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8×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고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비교예 1의 바다김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H2O2(또는 COL1A1의 경우 H2O2 대신 PMA(phorbol myristate acetate) 사용)를 0 또는 50μM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MMP-1(도 2), MMP-2(도 3), MMP-3(도 4), COL1A1(도 5) 및 Sirt-1(도 6)의 mRNA 발현을 확인하고 이를 도 2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6을 참고하면, H2O2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MMP-2 및 MMP-3의 mRNA 발현량은 바다김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5배 이상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콜라겐 생합성 관련 COL1A1 및 Sirt-1의 mRNA 발현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민물김 추출물은 바다김 추출물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에 보다 더 우수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제예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4.0
부틸렌글리콜 3.5
글리세린 2.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1
에탄올 2.5
베타인 1.0
구연산 0.01
구연산나트륨 0.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제예 1-2. 영양 에센스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 7.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제예 1-3. 크림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민물김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실시예 1 7.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정제수 to 100

Claims (4)

  1.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및 농축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및 선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39480A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80A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480A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283B1 true KR102014283B1 (ko) 2019-08-26

Family

ID=6780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480A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8-04-05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2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084A (ja) 2004-02-06 2005-08-18 Kose Corp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4-08-07 한태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1401B1 (ko) 2014-03-07 2016-02-18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130331A1 (en) * 2014-04-09 2017-02-15 Ezaki Glico Kabushiki Kaisha Skin aging inhibitor and concentrate of resveratrol 3-o- -glucos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0084A (ja) 2004-02-06 2005-08-18 Kose Corp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KR20140097865A (ko) 2013-01-30 2014-08-07 한태준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1401B1 (ko) 2014-03-07 2016-02-18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130331A1 (en) * 2014-04-09 2017-02-15 Ezaki Glico Kabushiki Kaisha Skin aging inhibitor and concentrate of resveratrol 3-o- -glucoside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 S. H. et al., Screening of extracts from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in Jeju for potent marine angiotension-I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07-314, 2006.
Groniger, A. et al., Induction of the synthesis of an UV-absorbing substance in the green alga Prasiola stipitata, J. Photochem. Photobiol. B., 66, 54-59, 2002.
Han, J. G., Anti-aging Effects of a Novel Tripeptide Derived from Chlorella vulgaris in Human Skin Cells : Chlorella vulgaris 유래 신규 Tripeptide가 인간 피부세포의 항노화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Honda, A. et al., Interleukin-1beta and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in dermal fibroblasts mediate UV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 Dermatol Sci., 49(1), 63-72, 2008.
Kim, J. et al., The natural phytochemical dehydroabietic acid is an anti-aging reagent that mediates the direct activation of SIRT1, Mol Cell Endocrinol., 412, 216-225, 2015.
Ngatu, N. R.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cran, a novel polysaccharide from Aphanothece sacrum, on 2,4,6-trinitrochlorobenzene-induced allergic dermatitis in vivo, Ann. Allergy Asthma Immunol., 108, 117-122, 2012.
Okada, Y., On a new Prasiola from Corea, J. Jpn. Bot., 15, 449-452, 1939.
Park, M. K. et al.,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rasiola sp. in the Samchuck-Chodang, J. Plant Bio., 13, 1-10, 1970.
Serravallo, M. et al., Sirtuins in dermatology: ap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rapeutics, Arch Dermatol Res., 305(4), 269-282, 2013.
Sim, G. S. et al., Effects of the Spatholobi caulis extract on Antioxidation and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Human Skin Fibroblasts, Kor. J. Biotechnol. Bioeng., 20(1), 40-45, 2005.
김영철 외, 홍차추출물 함유 누드팩의 Hairless 마우스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Korean J. Microscopy., 41(2), 129-137, 2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158A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8459B1 (ko) 다시마추출물, 미역추출물 및 차전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6620A (ko) 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283B1 (ko)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935A (ko) 적양파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적양파 흑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4494B1 (ko) 털마삭줄을 포함하는 마삭줄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5987A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4150B1 (ko)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에 의한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