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022A -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022A
KR20110054022A KR1020117006566A KR20117006566A KR20110054022A KR 20110054022 A KR20110054022 A KR 20110054022A KR 1020117006566 A KR1020117006566 A KR 1020117006566A KR 20117006566 A KR20117006566 A KR 20117006566A KR 20110054022 A KR20110054022 A KR 2011005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on
mrna expression
produc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코 도히
히로야스 이와하시
Original Assignee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SKIN-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SKIN-CARE COSMETIC AGENT}
본 발명은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상기 미백제 및 항노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표피 및 진피는, 표피 세포, 피부 선유아세포, 및, 이들 세포의 밖에 있으며 피부 구조를 지지하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 매트릭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젊은 피부에서는, 이들 피부 조직의 상호 작용이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수분 유지, 유연성, 탄력성 등이 확보되고, 피부는 외견적으로도 탄력이나 윤기가 있으며 싱싱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자외선(UVA, UVB)의 조사, 공기의 현저한 건조, 과도한 피부 세정, 과산화수소와의 접촉 등의 외적 인자의 영향이 있거나, 가령(加齡)이 진행되거나 하면,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 매트릭스의 산생량이 감소하면서, 가교에 의한 탄력 저하를 일으킨다. 그 결과, 피부는 보습 기능이나 탄력성이 저하하고, 각질은 이상 박리를 시작하기 때문에, 피부는 탄력이나 윤기를 잃고, 거칠어져, 주름 등의 노화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의 노화에 따른 변화, 즉, 주름, 칙칙함, 매끄러움의 소실, 탄력성의 저하 등에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등의 진피 매트릭스 성분의 감소 내지 변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중에서도 I형 콜라겐은, 가장 많이 체내에 포함되는 콜라겐이며, 피부의 진피에도 많이 포함되며, 피부의 건강함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엘라스타제는 피부의 진피에 존재하는 엘라스틴의 가수 분해 효소이지만, 엘라스타제는, 자외선 폭로나 노화에 의해 과잉 발현하는 경우가 있으며, 엘라스타제에 의해 엘라스틴이 변성·파괴되면, 피부의 탄력성이 저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최근, 진피 매트릭스 성분의 감소 내지 변성을 유도하는 인자로서,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류(이하, 「MMPs」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라고 불리는 단백질 분해 효소군을 들 수 있다.
상기 MMPs는, 그 1차 구조와 기질 특이성의 차이로부터, (1) 콜라게나제군(MMP-1, MMP-8 및 MMP-13), (2) 젤라티나제군(MMP-2 및 MMP-9), (3) 스트로멜리신군(MMP-3 및 MMP-10), (4) 막결합형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군(MMP-14, MMP-15, MMP-16, 및 MMP-17), (5) 기타(MMP-7, MMP-11, 및 MMP-12)의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MMPs 중에서도, MMP-1 및 MMP-14는, 피부의 진피 매트릭스의 주된 구성 성분인 I형 콜라겐, II형 콜라겐, III형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그 발현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크게 증가하고,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의 감소 내지 변성의 하나의 원인이 되며, 피부의 주름 형성 등의 큰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각층은, 표피 각화 세포가 종말 분화하여 형성된 각질 세포와, 세포 사이를 매립하는 세포간 지질로 형성된다. 세라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세포간 지질은, 라멜라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각층 배리어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각질 세포는, 케라틴 선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막의 보강 단백인 코니파이드 엔벨로프(cornified envelope)(각질 비후막, 이하 「CE」라고 약기한다.)라고 하는 소수적이며 강인한 세포막 유사 구조물에 덮여져 있다. CE는 표피 각화 세포의 분화에 따라 세포 내에서 산생되는 인보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등 복수의 CE 전구체 단백질이, 효소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에 의해 가교되며, 불용화하여 형성되고, 이 CE가 피부의 배리어 기능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다. 또한, 그 일부에는 세라미드 등이 공유 결합하며, 소수적인 구조를 취함으로써 세포간 지질의 라멜라 구조의 토대를 공급하여, 각층 배리어 기능 및 피부의 수분 유지 기능의 기초가 형성된다.
그러나, 가령(加齡), 건조, 자외선(UVA, UVB) 등의 영향에 의해 턴오버 속도에 이상이 생기면, 라멜라 구조의 혼란이나 CE가 불완전한 상태로 형성된, 소위 부전 각화가 유발되고, 각질 세포나 세포간 지질의 구조에 이상이 생기며, 각층의 수분 유지 기능 및 배리어 기능은 저하한다. 이것이 피부 거칠음, 건조 피부 등의 피부의 노화 증상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건선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자에게서는, 배리어 기능이 저하한 피진부에서 미숙한 CE가 고빈도로 관찰되어, CE가 바르게 형성되는 것이 피부의 배리어 기능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것으로부터,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등의 각 작용을 갖는 항노화제는, 피부의 탄력성 저하, 거칠어짐, 주름 등의 피부의 노화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내지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피부에 있어서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고 있지만, 과잉 생성이나 불균일한 축적은, 피부의 흑화나 검버섯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멜라닌은 색소 세포 중에서 생합성되는 효소 티로시나제의 작용에 의해, 티로신에서 도퍼, 도퍼에서 도퍼퀴논으로 변화하고, 계속해서, 5,6-디히드록시인도페놀 등의 중간체를 거쳐 형성된다. 따라서, 피부의 색흑(피부 색소 침착증)을 예방 내지 개선하기 위해, 즉 미백을 위해서는, 멜라닌 산생 과정을 저해하는 것, 혹은 이미 산생된 멜라닌을 담색 표백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생약으로서는, 예컨대, 개머루 추출물(특허문헌 2 참조), 여뀌 추출물(특허문헌 3 참조)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미백제 개발은, 멜라닌 생성의 율속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주력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자외선 UVB 조사 후에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로부터의 산생이 상승하며, 색소 세포(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하는 사이토킨으로서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α-MSH), 엔도텔린-1(ET-1), 일산화질소(NO),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bFGF), 과립구·매크로파지·콜로니 자극 인자(GM-CSF), 줄기 세포 인자(SCF) 등이 보고되어 있고, 이들이 관여하는 정보 전달계를 차단함으로써 멜라닌 산생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유도하는 물질의 개발이 열심히 행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엔도텔린-1(ET-1)의 색소 세포(멜라노사이트)에의 작용을 저해하는 생약의 추출물로서, 예컨대 카밀러 추출물, 접시꽃(althea) 추출물 등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현재까지, 입수가 용이하고 염가이며, 안정성이 높은 천연물계의 것으로서, 맛, 냄새, 사용감 등의 점에서 첨가 대상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부 화장료에 널리 사용 가능한 미백제 및 항노화제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그 빠른 제공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467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7096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83488호 공보
[비특허문헌]
비특허문헌 1: Experimental Dermatology 12:591-601(2003)
비특허문헌 2: 「프레이그런스저널」, Vol.28, No.9, p65~71, 2000년 발행
본 발명은 제1에,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며, 안전성이 높고,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천연계 미백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에, 우수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며, 안전성이 높고,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천연계 항노화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에, 본 발명의 상기 미백제, 및 상기 항노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가, 입수가 용이하고 염가이며, 안정성이 높은 천연물계의 것으로서, 냄새, 사용감 등의 점에서 첨가 대상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부 화장료에 널리 사용 가능한 미백제, 및 항노화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 꽃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이, (1)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며, 미백제로서 유용한 것, 및 (2) 우수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고, 항노화제로서 유용한 것을, 각각 지견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의 상기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이하와 같다. 즉,
<1>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이다.
<2>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미백제이다.
<3>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제이다.
<4>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상기 <3>에 기재된 항노화제이다.
<5> 상기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미백제, 및 상기 <3>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노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에,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며, 안전성이 높고,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천연계 미백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에, 우수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며, 안전성이 높고,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천연계 항노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3에, 본 발명의 상기 미백제, 및 상기 항노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한 피부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미백제 및 항노화제)
본 발명의 미백제 및 항노화제는,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미백제는,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우수한 미백 작용을 갖는 것이다.
상기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의 각 추출물이 함유하는, 미백 작용을 발휘하는 물질의 상세에 대해서는 불명하지만, 상기 각 식물 추출물이 이러한 우수한 작용을 가지며, 미백제로서 유용한 것은, 종래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이것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새로운 지견이다.
본 발명의 항노화제는,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우수한 항노화 작용을 갖는 것이다.
상기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의 각 추출물이 함유하는, 항노화 작용을 발휘하는 물질의 상세에 대해서는 불명하지만, 상기 각 식물 추출물이 이러한 우수한 작용을 가지며, 항노화제로서 유용한 것은, 종래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이것은 본 발명자들에 의한 새로운 지견이다.
상기 베이베리(학명: Myrica cerifera)는, 소귀나무라고도 불리는 양매과 양매속의 식물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베이베리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근피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후추등(학명: Piper kadzura)은, 후추과 후추속의 식물이며, 혼슈(관동 남부 이서)∼오키나와에 분포하고 있고, 이들 지역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후추등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줄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짚신나물(학명: Agrimonia pilosa)은, 장미과 짚신나물속의 다년초이며, 혼슈, 시코쿠, 규슈 등의 숲의 가장자리, 들판, 길가에 생식하고 있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짚신나물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초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블루베리(학명: Vaccinium spp.)는, 진달래과 바시니움(vaccinium)속으로 분류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 저목 과수의 총칭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블루베리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잎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블루플래그(학명: Iris vesicolor)는, 붓꽃과의 식물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블루플래그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뿌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카우스립(학명: Primula veris)은, 앵초과의 식물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카우스립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잎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레몬버베나(학명: Aloysia triphylla)는, 마편초과 필라노디플로라속의 낙엽 저목이며, 높이 1∼3 m로 성장하고, 잎은 강한 레몬의 향기를 발한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레몬버베나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잎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셀러리(학명: Apium graveolens)는, 미나리과의 식물이며, 네덜란드 삼엽채, 키요마사 당근이라고도 불린다. 잎, 줄기, 뿌리, 종자의 거의 모든 부분을 식용으로 할 수 있다. 독특한 강한 향이 있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셀러리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홍류(학명: Tamarix tenuissima)는, 위성류과의 식물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홍류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패션후르츠(학명: Passiflora edulis)는, 시계풀과의 식물이다.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 패션후르츠의 부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꽃, 꽃봉오리, 과실, 과피, 종자, 종피,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 줄기, 수피, 뿌리, 근경, 근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잎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 원료인 상기 각 식물은, 예컨대, 건조한 후에, 그대로의 상태로 또는 조쇄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 상태로, 용매 추출에 제공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추출 원료로서는, 채취 후 바로 건조하고, 분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컨대, 햇볕에서 행하여도 좋고, 통상 사용되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식물은, 헥산, 벤젠 등의 비극성 용매에 의해 탈지 등의 전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추출 원료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탈지 등의 전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각 식물의 극성 용매에 의한 추출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에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 혹은 농축액, 상기 추출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粗精製物) 혹은 정제물 모두가 포함된다.
상기 추출에 이용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친수성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실온 또는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식물에 포함되는 미백 작용 또는 항노화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은, 극성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는 추출 처리에 의해,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순수, 수돗물, 우물물, 광천수, 광수, 온천수, 용수(湧水), 담수 등의 외에, 이들에 각종 처리를 실시한 것이 포함된다. 물에 실시하는 처리로서는, 예컨대, 정제, 가열, 살균, 여과, 이온 교환, 침투압의 조정, 완충화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물에는, 정제수, 열수, 이온 교환수, 생리 식염수, 인산 완충액,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 등도 포함된다.
상기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친수성 유기 용매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저급 지방족 케톤;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탄소수 2∼5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친수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과 상기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때에는, 저급 알코올의 경우는 물 1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90 질량부, 저급 지방족 케톤의 경우는 물 1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40 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의 경우는 물 1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90 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원료인 상기 각 식물로부터, 각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특수한 추출 방법을 채용할 필요는 없고, 실온 또는 환류 가열 하에서, 임의의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출 용매를 채운 처리조 내에, 상기 각 추출 원료를 투입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때때로 교반하면서, 30분∼4시간 정치하여 가용성 성분을 용출한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며,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추출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추출 용매량은 통상, 추출 원료의 5∼15배량(질량비)이다. 추출 조건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통상 50℃∼95℃에서 1∼4시간 정도이다. 또한, 추출 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경우에는, 통상 40℃∼80℃에서 30분간∼4시간 정도이다. 또한,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추출액은, 추출 용매가 안정성이 높은 것이면, 그대로 본 발명의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액은,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 혹은 농축액, 상기 추출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혹은 정제물을 얻기 위해, 통상법에 따라 희석, 농축, 건조, 정제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얻어지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액은, 그대로도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농축액 또는 그 건조물로 한 것이 이용하기 쉽다. 추출액의 건조물을 얻는데 있어서는, 통상법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흡습성을 개선하기 위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캐리어를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추출 원료인 상기 각 식물은 특유의 냄새와 맛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고, 그 때문에,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생리 활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탈색, 탈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정제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예컨대 피부 화장료에 첨가하는 경우 등에는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미정제인 채로도 실용상 지장은 없다. 또한, 정제는, 구체적으로는, 활성탄 처리, 흡착 수지 처리, 이온 교환 수지 처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및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고, 이들의 작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에 있어서의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 그 자체여도 좋다.
또한,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 중,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은, 어느 1종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 중에 2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이 포함되는 경우의, 각각의 함유량비로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 이외의 기타 성분으로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각 식물의 추출물을 원하는 농도로 희석 등을 하기 위한, 생리 식염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 중의 상기 기타 성분의 함유량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는, 필요에 따라 제제화함으로써, 분말형, 과립형, 정제형 등, 임의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는, 우수한 미백 작용 또는 항노화 작용을 가지며, 사용감 및 안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컨대, 후술하는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의 이용에 특히 적합하다.
(피부 화장료)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본 발명의 상기 미백제 및 상기 항노화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 기타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피부 화장료의 용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 용도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고, 크림, 유액, 로션, 팩, 젤리, 립크림, 립스틱, 입욕제, 아스트린젠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미백제 또는 상기 항노화제의 상기 피부 화장료 전체에 대한 배합량은, 피부 화장료의 종류나 추출물의 생리 활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상기 각 식물 추출물로 환산하여 0.0001 질량%∼10 질량%가 바람직하고, 0.001 질량%∼1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화장료는,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 및 작용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피부 화장료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 주제 및 조제, 기타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으로서는, 본 발명의 상기 미백 작용 및 항노화 작용의 방해가 되지 않은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한 성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예컨대, 수렴제, 살균제, 항균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세포 부활제, 유지류, 왁스류, 탄화수소류, 지방산류, 알코올류, 에스테르류, 계면 활성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한 경우에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및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제, 항노화제, 및 피부 화장료는, 인간에 대하여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지만, 각각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한,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각 식물의 물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식물의 분쇄물에, 질량비로 10배량의 물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잔사에 동량의 물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 식물의 물 추출물(동결 건조품)을 얻었다.
얻어진 각 식물의 물 추출물의 「추출율」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제조예 2)
-각 식물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각 식물의 분쇄물에, 질량비로 10 배량의 50 질량% 에탄올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잔사에 동량의 50 질량% 에탄올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 식물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동결 건조품)을 얻었다.
얻어진 각 식물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율」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제조예 3)
-각 식물의 8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각 식물의 분쇄물에, 질량비로 10배량(질량비)의 80 질량% 에탄올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잔사에 동량의 80 질량% 에탄올을 부가하고, 80℃에서 2시간 가열하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각 식물의 80 질량% 에탄올 추출물(동결 건조품)을 얻었다.
얻어진 각 식물의 8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율」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
하기 표 4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48 웰 플레이트에, McIlvaine 완충액(pH 6.8) 0.2 mL, 0.3 ㎎/mL의 티로신 용액 0.06 mL, 피험 시료의 25 질량% DMSO 용액 0.18 mL를 부가하고, 37℃에서 10분간 정치하였다. 이것에, 800 units/mL의 티로시나제 용액 0.02 mL를 부가하고, 계속해서, 37℃에서 15분간 반응하였다. 반응 종료 후,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1-(St-Sb)/(Ct-Cb)}×100
단, 상기 식 중, St는 피험 시료 용액의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 Sb는 피험 시료 용액 블랭크의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 Ct는 컨트롤 용액의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 Cb는 컨트롤 용액 블랭크의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결과는, 시료 농도 100 ㎍/mL, 400 ㎍/mL, 또는 50% 저해 시료 농도로 나타내고,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의 결과로부터, 베이베리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및 홍류의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시험-
하기 표 5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B16 멜라노머 세포를, 10 질량% FBS 함유 둘베코 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0 질량% FBS 및 1 m㏖/L의 테오필린 함유 둘베코 MEM으로 24.0×104 세포/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48 웰 플레이트에 1 웰당 300 μL씩 파종하고, 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10 질량% FBS 및 1 m㏖/L의 테오필린 함유 둘베코 MEM으로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웰에 300 μL 첨가하고,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각 웰로부터 배지를 제거하고, 1 ㏖/L의 NaOH 용액 200 μL를 첨가하고 초음파 파쇄기에 의해 세포를 파괴하고,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탁도로서 파장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양자의 차를 가지고 멜라닌 산생량으로 하였다.
공시험으로서, 1 m㏖/L의 테오필린 함유 둘베코 MEM만으로 배양한 세포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멜라닌 산생 억제율(%)={1-(B/D)/(A/C)}×100
단, 상기 식 중, A는 피험 시료 무첨가에서의 475 ㎚에서의 흡광도, B는 피험 시료 첨가에서의 475 ㎚에서의 흡광도, C는 피험 시료 무첨가에서의 540 ㎚에서의 흡광도, D는 피험 시료 첨가에서의 540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결과는, 시료 농도 25 ㎍/mL, 100 ㎍/mL, 200 ㎍/mL, 400 ㎍/mL, 또는 50% 저해 시료 농도로 나타내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의 결과로부터,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베이베리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엔도텔린-1(ET-1) mRNA 발현 억제 작용 시험-
하기 표 6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엔도텔린-1 mRNA 발현 상승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ormal human epidermis keratinocyte; 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모았다.
다음에, EpiLife-KG2를 이용하여 35 ㎜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페트리 접시씩 파종하고, 37℃, 5% CO2 하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HEPES 완충액 1 mL를 부가하여, UVB 조사(50 mJ/㎠)를 행하고, 그 후, EpiLife-KG2로 필요 농도로 용해한 시료 용액(시료 농도는 표 6 참조)을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여, 37℃, 5% CO2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Wako사 제조;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ng/μ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정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엔도텔린-1(ET-1),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Smart Cycler(R), Cepheid사 제조)를 이용하여, Takara SYBR ExScript RT-PCR Kit(Perfect Real Time)에 의한 리얼 타임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ET-1의 발현량은,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1에 따라 ET-1 mRNA 발현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시료 농도 10 ㎍/mL 또는 시료 농도 1 ㎍/mL에서의 ET-1 mRNA 발현 억제율을 표 6에 나타낸다.
<수식 1>
엔도텔린-1(ET-1) mRNA 발현 억제율(%)={(A-B)-(A-C)}/(A-B)×100
단, 상기 수식 1 중, A는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시의 보정값, B는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시의 보정값, C는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 시의 보정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표 6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엔도텔린-1(ET-1) mRNA 발현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시험-
하기 표 7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ormal human epidermis keratinocyte; 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모았다.
다음에, EpiLife-KG2를 이용하여 35 ㎜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페트리 접시씩 뿌리고, 37℃, 5% CO2 하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HEPES 완충액 1 mL를 부가하여, UVB 조사(50 mJ/㎠)를 행하고, 그 후, EpiLife-KG2로 필요 농도로 용해한 시료 용액(시료 농도는 표 7 참조)을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여, 37℃, 5% CO2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Wako사 제조;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ng/μ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정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SCF,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Smart Cycler(R), Cepheid사 제조)에 의한 리얼 타임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SCF의 발현량은,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2에 따라 SCF mRNA 발현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시료 농도 10 ㎍/mL 또는 시료 농도 1 ㎍/mL에서의 SCF mRNA 발현 억제율을 표 7에 나타낸다.
<수식 2>
SCF mRNA 발현 억제율(%)={(A-B)-(A-C)}/(A-B)×100
단, 상기 수식 2 중, A는 자외선 미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시의 보정값, B는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무첨가 시의 보정값, C는 자외선 조사, 시료 용액 첨가 시의 보정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7의 결과로부터, 베이베리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bFGF mRNA 발현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8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bFGF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모았다.
EpiLife-KG2를 이용하여 35 ㎜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페트리 접시씩 뿌리고,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HEPES 완충액 1 mL를 부가하여 UVB 조사(50 mJ/㎠)를 행하고, 그 후 EpiLife-KG2로 필요 농도로 용해한 시험 시료(시료 농도는 표 8 참조)를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고,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닛뽄진사 제조,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ng/μ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제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bFGF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 Smart Cycler(Cepheid사)를 이용하여, TaKaRa SYBR PrimeScript RT-PCR Kit(Perfect Real Time, codeNo.RR063A, 다카라바이오사 제조)에 의한 리얼 타임 2 Step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bFGF의 mRNA의 발현량은,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에 따라 bFGF mRNA 발현 상승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bFGF mRNA 발현 상승 억제율(%)={(A-B)-(A-C)}/(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고, B는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며, C는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표 8의 결과로부터,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이, bFGF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POMC mRNA 발현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9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POMC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모았다.
EpiLife-KG2를 이용하여 35 ㎜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페트리 접시씩 뿌리고,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HEPES 완충액 1 mL를 부가하여 UV-B 조사(50 mJ/㎠)를 행하고, 그 후 EpiLife-KG2로 필요 농도로 용해한 시험 시료(시료 농도는 표 9 참조)를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여,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닛뽄진사 제조,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ng/μ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제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POMC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 Smart Cycler(Cepheid사)를 이용하여, TaKaRa SYBR PrimeScript RT-PCR Kit(Perfect Real Time, codeNo.RR063A)에 의한 리얼 타임 2 Step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POMC의 mRNA의 발현량은,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및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에 따라 POMC mRNA 발현 상승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POMC mRNA 발현 상승 억제율(%)={(A-B)-(A-C)}/(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자외선 미조사·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고, B는 「자외선 조사·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며, C는 「자외선 조사·시료 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표 9의 결과로부터,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POMC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시험-
하기 표 10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96 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서, 0.2 ㏖/L의 Tris-HCL 완충액(pH 8.0)으로 조제한 각 시료 용액 50 μL, 및 20 ㎍/mL의 엘라스타제·타입 III 용액 50 μL를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완충액으로 조제한 0.4514 ㎎/mL의 N-숙시닐-ALA-ALA-ALA-p-니트로아닐리드를 100 μL 첨가하여, 25℃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파장 41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3에 따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수식 3>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율(%)=[1-(C-D)/(A-B)]×100
단, 상기 수식 3 중, A는 시료 용액 무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B는 시료 용액 무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C는 시료 용액 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D는 시료 용액 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각 시료 용액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고, 저해율이 50%가 되는 농도 IC50(㎍/mL)를 근사 곡선에 의해 구한다(이 IC50값이 작을수록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이 강함).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표 10의 결과로부터, 베이베리의 추출물, 및 후추등의 추출물이,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1(MMP-1) 활성 저해 작용 시험-
하기 표 11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1(MMP-1) 활성 저해 작용을 시험하였다. 이 시험 방법은, Wunsch 및 Heidrich법을 일부 개변한 것이다.
우선, 덮개를 갖는 시험관에서, 20 m㏖/mL의 염화칼슘 함유 0.1 ㏖/L의 Tris-HCl 완충액(pH 7.1)에 용해한 각 시료 용액 50 μL, MMP-1 용액 50 μL, 및 Pz-펩티드 용액 400 μL를 혼합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25 m㏖/L의 시트르산 용액 1 mL를 부가하고 반응을 정지하였다. 그 후, 초산에틸 5 mL를 부가하고, 격하게 진탕하였다. 이것을 원심(1,600×g, 10분)하여, 초산에틸층의 파장 32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MMP-1로서는, 클로스트리듐 히스톨리티쿰(Clostridium histolyticum) 유래의 COLLAGENASE Type IV(시그마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Pz-펩티드로서는, Pz-Pro-Leu-Gly-Pro-D-Arg-OH(BACHEM Fenichemikalien AG 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4에 따라 MMP-1 활성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수식 4>
MMP-1 활성 저해율(%)={1-(C-D)/(A-B)}×100
단, 상기 수식 4 중, A는 시료 용액 무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320 ㎚에서의 흡광도, B는 시료 용액 무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320 ㎚에서의 흡광도, C는 시료 용액 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320 ㎚에서의 흡광도, D는 시료 용액 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320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다음에, 각 시료 용액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상기 MMP-1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고, 저해율이 50%가 되는 농도 IC50(㎍/mL)을 근사 곡선에 의해 구한다(이 IC50값이 작을수록 MMP-1 활성 저해 작용이 강함).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표 11의 결과로부터, 베이베리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이, MMP-1 활성 저해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12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선유아세포(NB1RGB)를, 10 질량%의 FBS 함유 둘베코 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6×105 세포/mL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둘베코 MEM 배지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96 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 구멍당 100 μL씩 파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25 질량%의 FBS 함유 둘베코 MEM 배지에 용해한 각 시료 용액(시료 농도: 100 ㎍/mL)을 각 구멍에 150 μL씩 첨가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구멍의 배지 중의 I형 콜라겐량을 ELISA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I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은, 시료 무첨가 시의 I형 콜라겐량을 100%로 하여 산출하였다. I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I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피험 시료 첨가 시의 I형 콜라겐량, B는 피험 시료 무첨가 시의 I형 콜라겐량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표 12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및 홍류의 추출물이,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후추등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선유아세포(NB1RGB)를, 10 질량%의 FBS 함유 둘베코 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6×105 세포/mL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둘베코 MEM 배지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96 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 구멍당 100 μL씩 파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25 질량%의 FBS 함유 둘베코 MEM 배지에 용해한 각 시료 용액(시료 농도: 100 ㎍/mL)을 각 구멍에 150 μL씩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각 구멍의 배지 중의 IV형 콜라겐량을 ELISA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5에 따라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을 산출하였다. 시료 농도 100 ㎍/mL에서의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의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수식 5>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수식 5 중, A는 시료 용액 첨가 시의 IV형 콜라겐량을 나타내고, B는 시료 용액 무첨가 시의 IV형 콜라겐량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표 13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이,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시험-
하기 표 14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선유아세포(NB1RGB)를 α-MEM 배지(GIBCO BLR사 제품, pH 7.2)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2.5×105 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α-MEM 배지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48 구멍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1 구멍당 200 μL씩 파종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1 질량% FBS 함유 α-MEM로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구멍에 200 μ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400 μL의 PBS(-)로 세정하였다. 세정 후, 행크스 완충액에 용해한 과산화수소(1 m㏖/L), 혹은, 행크스 완충액만을 각 구멍에 200 μL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400 μL의 PBS(-)로 세정하고, 최종 농도 0.05 ㎎/mL이며 1 질량% FBS 함유 α-MEM에 용해한 뉴트럴레드를 각 구멍에 200 μL 첨가하였다. 2.5시간 배양한 후, 뉴트럴레드 용액을 버리고, 에탄올·초산 용액(에탄올:초산:물=50:1:49)을 각 구멍에 200 μL 첨가하고, 색소를 추출하였다. 추출 후, 파장 54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6에 따라,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율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수식 6>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율(%)={1-(C-A)/(C-B)}×100
단, 상기 수식 6 중, A는 과산화수소 처리·피험 시료 처리의 흡광도, B는 과산화수소 처리·피험 시료 무처리의 흡광도, C는 과산화수소 무처리·피험 시료 무처리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표 14의 결과로부터,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이, 높은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12)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15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80 ㎠의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로 37℃, 5% CO2 하에서 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0×105 개/mL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EpiLife-KG2로 희석한 후, 24 구멍 플레이트에 1 구멍당 200 μL씩 파종하여, 5% CO2 하,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EpiLife-KG2로 용해한 시료 용액을 각 구멍에 500 μL씩 첨가하여, 37℃, 5% CO2 하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청 100 μL를 엘리사 플레이트에 옮겨 밤새 4℃에서 플레이트에 흡착시킨 후, 용액을 버리고, 0.05 질량% 트윈-20을 포함하는 인산 생리 완충액(PBS-T)으로, 세정을 행하였다. 그 후, 1 질량% 소혈청 알부민을 포함하는 인산 생리 완충액으로, 블로킹 조작을 행하였다. 용액을 버리고, 0.05 질량% 트윈-20을 포함하는 인산 생리 완충액(PBS-T)으로, 세정을 행하고, 항인간 라미닌-5 항체(마우스 IgG, 케미콘사 제조)를 반응시켰다. 용액을 버리고, 0.05 질량% 트윈-20을 포함하는 인산 생리 완충액(PBS-T)으로, 세정을 행하고, 비오틴 표지 항체 마우스 IgG(아머샴바이오사이언스사 제조)를 반응시켰다. 용액을 버리고, 0.05 질량% 트윈-20을 포함하는 인산 생리 완충액(PBS-T)으로, 세정을 행하고, 아비딘-비오틴화 페록시다아제 복합체와 반응시킨 후, 동일한 세정 조작을 행하고, 발색 반응을 행하였다.
라미닌-5 산생 촉진율은, 시료 무첨가 시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100%로 하여 산출하였다. 각 시료의 라미닌-5 산생 촉진율(%)을 표 1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표 15의 결과로부터,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각화세포의 라미닌-5 산생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16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105 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EpiLife-KG2로 희석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1 웰당 100 μL씩 파종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EpiLife-KG2로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웰에 100 μ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세포 표면에 발현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의 양을, 단일 클론 항인간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항체를 이용한 ELISA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6에 나타낸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피험 시료 첨가 시의 파장 405 ㎚에서의 흡광도, B는 피험 시료 무첨가 시(컨트롤)의 파장 40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표 16의 결과로부터,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시험-
하기 표 17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선유아세포(NB1RGB)를 10 질량% FBS 함유 α-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α-MEM을 이용하여 2.0×105 세포/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48 웰 플레이트에 1 웰당 200 μL씩 파종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100 μL의 PBS(-)로 교환하고, 1.0 J/㎠의 UVB를 조사하였다. 조사 후, 즉시, PBS(-)를 제거하고, 10 질량% FBS 함유 D-MEM에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웰에 400 μL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자외선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효과는, MTT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최종 농도 0.4 ㎎/mL로 용해한 MTT를 각 웰에 200 μL씩 첨가하였다. 2시간 배양한 후에, 세포 내에 생성된 블루 포르마잔을 2-프로판올 200 μL로 추출하였다. 추출 후, 파장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탁도로서 파장 6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양자의 차를 가지고 블루 포르마잔 생성량으로 하였다. 또한, 마찬가지로 세포 파종한 후, UVB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 및 세포 파종 후 UVB를 조사하며 피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여, 각각 비조사군과 조사군으로 하였다.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률(%)={(Nt-C)-(Nt-Sa)}/(Nt-C)×100
단, 상기 식 중, Nt는 UVB를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흡광도, C는 UVB를 조사하며 피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흡광도, Sa는 UVB를 조사하며 피험 시료를 첨가한 세포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표 17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카우스립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2.0×104 세포/mL의 농도로 EpiLife-KG2로 희석한 후, 콜라겐 코팅한 96 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 구멍당 100 μL씩 파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EpiLife-KG2로 용해한 시료 용액을 각 구멍에 100 μL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에,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은,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최종 농도 0.4 ㎎/mL이며 PBS(-)에 용해한 MTT〔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르타졸륨 브로마이드〕를 각 구멍에 100 μL씩 첨가하였다. 2시간 배양한 후에, 세포 내에 생성된 블루 포르마잔을 2-프로판올 100 μL로 추출하였다. 추출 후, 파장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탁도로서 파장 6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양자의 차를 가지고 블루 포르마잔 생성량으로 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7에 따라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율을 산출하였다. 시료 농도 3.13 ㎍/mL에서의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율을 표 18에 나타낸다.
<수식 7>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율(%)=(St/Ct)×100
단, 상기 수식 7 중, St는 시료 용액을 첨가한 세포에서의 흡광도, Ct는 시료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8
표 18의 결과로부터, 카우스립의 추출물이,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시험-
후추등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선유아세포(NB1RGB)를, 10 질량%의 FBS 함유 α-MEM을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5 질량%의 FBS 함유 α-MEM에서 7.0×104 세포/mL의 농도로 희석한 후, 96 구멍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1 구멍당 100 μL 파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5 질량% FBS 함유 α-MEM에 용해한 시료 용액(농도: 400 ㎍/mL)을 각 구멍에 100 μL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계속해서,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은,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구멍으로부터 100 μL씩 배지를 제거하고, 최종 농도 5 ㎎/mL이며 PBS(-)에 용해한 MTT〔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르타졸륨 브로마이드〕를 각 구멍에 20 μL씩 첨가하였다. 4.5시간 배양한 후, 10 질량%의 SDS를 용해한 0.01 ㏖/L의 염산 용액을 각 구멍에 100 μL 첨가하여, 밤새 배양한 후, 파장 57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탁도로서 파장 6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양자의 차를 가지고 블루 포르마잔 생성량으로 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8에 따라 시료 농도 200 ㎍/mL의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9에 나타낸다.
<수식 8>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율(%)=(St-Sb)/(Ct-Cb)×100
단, 상기 수식 8 중, St는 시료 용액을 첨가한 세포에서의 흡광도, Sb는 시료 용액을 첨가한 공시험의 흡광도, Ct는 시료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흡광도, Cb는 시료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공시험의 흡광도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19
표 19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이,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7)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시험-
카우스립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80 ㎠의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로 37℃, 5% CO2 하에서 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1.0×105 개/mL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EpiLife-KG2로 희석한 후, 48 구멍 플레이트에 1 구멍당 200 μL씩 파종하여, 5% CO2 하,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EpiLife-KG2로 용해한 시료 용액을 각 구멍에 200 μL씩 첨가하여, 37℃, 5% CO2 하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세포 표면에 발현된 인보루크린의 양을 단일 클론 항인간 인보루크린 항체를 이용한 ELISA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 9에 따라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0에 나타낸다.
<수식 9>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수식 9 중, A는 시료 첨가 시의 파장 405 ㎚에서의 흡광도, B는 시료 무첨가 시의 파장 405 ㎚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표 20의 결과로부터, 카우스립의 추출물이, 높은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18)
-아데노신3인산(ATP)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21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ATP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2.0×105 세포/mL의 농도로 EpiLife-KG2로 희석한 후, 콜라겐 코팅한 96 웰 플레이트에 1 웰당 100 μL씩 파종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EpiLife-KG2로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웰에 100 μL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하였다. ATP 산생 촉진 작용은, 반딧불이 루시페라아제 발광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ATP량을 측정하였다. 즉, 배양 종료 후, 『「세포의」 ATP 측정 시약』(토요비네트사 제조)을 각 웰에 100 μL씩 첨가하였다. 반응 후, 화학 발광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ATP 산생 촉진율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ATP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피험 시료를 첨가한 세포에서의 화학 발광량, B는 피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화학 발광량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표 21의 결과로부터, 베이베리의 추출물, 및 레몬버베나의 추출물이, ATP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9)
-프로필라그린·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22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HEK)를,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동배지로 1.5×105 개/mL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조정하고, 2 mL씩 6 구멍 콜라겐 코팅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0.5 질량% DMSO에 용해한 시료(시료 농도는 표 22를 참조)를 포함하는 EpiLife-KG2 2 mL로 교환하고,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통상법에 따라 총 단백의 조정을 행하였다.
<웨스턴 블롯팅>
10 ㎍/열로 조정한 샘플을 SDS-PAGE에 의해 전개하고, PVDF막에 전사하였다. 5% 탈지유를 포함하는 PBS(-)로 블로킹을 행한 후, 항인간 필라그린 단일 클론 항체(Harbor Bio-Products사 제조), 비오틴 표지 항마우스 Ig(Whole Ab, Amersham Biosciences사 제조) 및 스트렙타아비딘-페록시다아제 복합체(CALBIOCHEM사 제조)를, 0.1% Tween 20, 0.3% 탈지유를 포함하는 PBS(-)에서 1000배로 희석하여 순차 반응시키고, ECL 웨스턴 블롯팅 검출 시약 및 분석 시스템(Amersham Biosciences사 제조)의 발광에 의해 프로필라그린 및 필라그린을 검출하였다. 검출한 밴드를 KODAK 1D Image Analysis Software EDAS290 Version3.5로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시료 첨가 및 무첨가로 배양한 세포의 각각으로부터 조제한 단백 10 ㎍ 중의 프로필라그린 및 필라그린의 순 강도(밴드 강도)를 합산한 값을 이용하여, 시료의 프로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을 평가하고, 프로필라그린 산생 촉진율(%)을 하기 수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프로필라그린·필라그린 산생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시료 첨가 시의 순 강도(프로필라그린 및 필라그린의 합계값)」을, B는 「시료 무첨가 시(컨트롤)의 순 강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표 22의 결과로부터,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이,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0)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23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35 ㎜의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씩 파종하고,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EpiLife-KG2를 이용하여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EpiLife-KG2로 용해한 시료 용액(시료 농도는 표 23 참조)을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여, 37℃, 5% CO2-95% 공기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닛뽄진사 제조,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m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제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HAS3(Hyaluronan Synthase 3)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 Smart cycler(Cepheid사 제조)를 이용하여, TaKaRa SYBR Prime Script RT-PCR kit(Perfect Real Time, codeNo.RR063A)에 의한 리얼 타임 2 Step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HAS3의 발현량은, 「시료 무첨가」 및 「시료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시료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시료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하기 수식에 따라 HAS3 mRNA 발현 촉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HAS3 mRNA 발현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시료 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내고, B는 「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3
표 23의 결과로부터, 후추등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및 레몬버베나의 추출물이,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시험-
하기 표 24의 각 추출물을 시료로서 이용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우선, 정상 인간 신생아 피부 표피 각화 세포(normal human epidermis keratinocyte; NHEK)를 80 ㎠ 플라스크에서 인간 정상 신생아 표피 각화 세포 장기간 배양용 배지(EpiLife-KG2)에 있어서, 37℃, 5% CO2 하에서 전배양하고,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모았다. EpiLife-KG2를 이용하여 35 ㎜의 페트리 접시(FALCON사 제조)에 40×104 세포/2 mL/페트리 접시씩 뿌리고, 37℃, 5% CO2 하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양액을 버리고, EpiLife-KG2로 필요 농도로 용해한 피험 시료를 각 페트리 접시에 2 mL씩 첨가하여, 37℃, 5% CO2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ISOGEN(NIPPON GENE; Cat.no.311-02501)으로 총 RNA를 추출하고, 각각의 RNA량을 분광 광도계로 측정하여, 200 ng/μL가 되도록 총 RNA를 조제하였다.
이 총 RNA를 주형으로 하여, AQP3 및 내부 표준인 GAPDH의 mRNA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검출은 리얼 타임 PCR 장치 Smart Cycler(등록 상표)(Cepheid사)를 이용하여, TaKaRa SYBR(등록상표) PrimeScriptTM RT-PCR Kit(Perfect Real Time)(code No.RR063A)에 의한 리얼 타임 2 Step RT-PCR 반응에 의해 행하였다. AQP3의 발현량은, 피험 시료 무첨가, 피험 시료 첨가로 각각 배양한 세포로부터 조제한 총 RNA 표품을 기초로 하여, GAPDH의 값으로 보정값을 구하고, 또한 피험 시료 무첨가의 보정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피험 시료 첨가의 보정값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4에 나타낸다.
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의 계산식은, 이하의 대로이다.
AQP3 mRNA 발현 촉진율(%)=A/B×100
단, 상기 식 중, A는 피험 시료 첨가 시의 보정값, B는 피험 시료 무첨가 시의 보정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표 24의 결과로부터,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및 셀러리의 추출물이,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합 실시예 1)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베이베리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2)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블루플래그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3)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후추등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4)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카우스립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5)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레몬버베나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6)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짚신나물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7)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블루베리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8)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셀러리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9)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홍류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10)
-유액-
하기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호호바 오일···4.0 g
·태반 엑기스···0.1 g
·올리브 오일···2.0 g
·스쿠알렌···2.0 g
·세탄올···2.0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2.0 g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 E.O)···2.5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2.0 g
·1,3-부틸렌글리콜···3.0 g
·히노키티올···0.15 g
·향료···0.05 g
·패션후르츠의 5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2)···0.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11)
-크림-
하기 조성의 크림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유동 파라핀···5.0 g
·백색 밀랍···4.0 g
·세탄올···3.0 g
·스쿠알렌···10.0 g
·라놀린···2.0 g
·스테아린산···1.0 g
·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E.O)···1.5 g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릴···3.0 g
·1,3-부틸렌글리콜···6.0 g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1.5 g
·향료···0.1 g
·블루플래그의 80 질량% 에탄올 추출물(제조예 3)···0.1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배합 실시예 12)
-팩-
하기 조성의 팩을, 통상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15 g
·폴리에틸렌글리콜···3 g
·프로필렌글리콜···7 g
·에탄올···10 g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틸···0.05 g
·향료···0.05 g
·후추등의 물 추출물(제조예 1)···0.05 g
·정제수···잔부(전체량을 100 g으로 함)
본 발명의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는,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 산생 촉진 작용, 및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고 있으며, 예컨대, 연고, 크림, 유액, 로션, 팩, 젤리, 립크림, 립스틱, 입욕제, 아스트린젠트 등의 피부 화장료에 폭 넓게 이용된다.

Claims (5)

  1.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2. 제1항에 있어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작용, 멜라닌 산생 억제 작용, SCF mRNA 발현 억제 작용, 엔도텔린-1 mRNA 발현 억제 작용, bFGF mRNA 발현 억제 작용, 및 POMC mRNA 발현 억제 작용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미백제.
  3. 베이베리의 추출물, 블루플래그의 추출물, 후추등의 추출물, 카우스립의 추출물, 레몬버베나의 추출물, 짚신나물의 추출물, 블루베리의 추출물, 셀러리의 추출물, 홍류의 추출물,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제.
  4. 제3항에 있어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작용, MMP-1 활성 저해 작용, I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IV형 콜라겐 산생 촉진 작용, 과산화수소에 대한 손상 억제 작용, 라미닌-5 산생 촉진 작용,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1 산생 촉진 작용, UVB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작용, 표피 각화 세포 증식 촉진 작용, 피부 선유아세포 증식 촉진 작용, 인보루크린(involucrin) 산생 촉진 작용, ATP 산생 촉진 작용, 필라그린 산생 촉진 작용,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AS3) mRNA 발현 촉진 작용, 및 아쿠아포린 3(AQP3) mRNA 발현 촉진 작용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항노화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미백제, 및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항노화제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KR1020117006566A 2008-09-12 2009-09-10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20110054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5415 2008-09-12
JP2008235415A JP5970148B2 (ja) 2008-09-12 2008-09-12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SCFmRNA発現抑制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022A true KR20110054022A (ko) 2011-05-24

Family

ID=4200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66A KR20110054022A (ko) 2008-09-12 2009-09-10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12041A1 (ko)
EP (1) EP2335685A4 (ko)
JP (1) JP5970148B2 (ko)
KR (1) KR20110054022A (ko)
CN (1) CN102149366A (ko)
WO (1) WO201002997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13B1 (ko) * 2012-02-02 2014-05-16 (주)모아캠 레몬버베나 유래 루테오닌­7­디글루쿠로니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078A (ko) * 2015-10-06 2015-10-21 한국콜마주식회사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1258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748B1 (ko) * 2019-08-30 2020-05-08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5926A (ko) * 2019-06-20 2020-12-31 조자용 패션 후르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식품첨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7385A (ko) 2020-05-28 2021-12-07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추출물과 열대과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창상 치유 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99B1 (ko) * 2010-09-30 2013-01-04 주식회사 케이엠포유 산화 억제능 또는 피부 미백능이 증진된 선학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17201B1 (ko) * 2011-10-07 2018-11-09 (주)아모레퍼시픽 고보습 세정제 조성물
JP2013151457A (ja) * 2012-01-25 2013-08-08 Morinaga &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阻害剤
JP2014040398A (ja) * 2012-08-23 2014-03-06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ロリクリン産生促進剤、コルネオデスモシン産生促進剤他
WO2014034802A1 (ja) * 2012-08-29 2014-03-06 花王株式会社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活性化剤
KR101289432B1 (ko) * 2012-08-30 2013-07-24 (주)모아캠 레몬버베나 유래 폴리사카라이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5531380A (ja) * 2012-10-01 2015-11-02 ナチュラ コスメティコス ソシエダッド アノニマ 角質物質の機能を調節するための植物脂質組成物、前記の機能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前記の植物脂質の使用
CN103100023B (zh) * 2012-11-13 2014-04-02 陈键 治疗皮肤病的外用药酒及其制备方法
JP6320833B2 (ja) * 2014-04-21 2018-05-09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美白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6609401B2 (ja) * 2014-06-16 2019-11-20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カリクレイン7産生促進剤
JPWO2016076310A1 (ja) * 2014-11-10 2017-08-17 昭和電工株式会社 保湿剤
JP6877332B2 (ja) * 2015-03-06 2021-05-2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産生抑制剤
CN116832890A (zh) * 2015-04-06 2023-10-03 中尺度技术有限责任公司 操作测定系统的方法及ecl免疫测定系统
JP6909569B2 (ja) * 2016-09-16 2021-07-28 オリザ油化株式会社 肌質改善剤
JPWO2019098352A1 (ja) * 2017-11-17 2021-01-14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美容組成物、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美容方法
FR3077202B1 (fr) * 2018-02-01 2020-01-10 Sederma Utilisation de cyclopeptides en cosmetique
JP7116589B2 (ja) * 2018-05-16 2022-08-10 株式会社ファンケル Discoidin Domain Receptor2(DDR2)産生促進用組成物
CN108635264A (zh) * 2018-06-17 2018-10-12 佛山文森特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舒敏护肤组合物及其应用
FR3087657B1 (fr) * 2018-10-29 2022-01-21 Greenpharma Sa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nutraceutiques, contenant un extrait de primeveres
SG11202105579VA (en) * 2018-12-27 2021-07-29 Suntory Holdings Ltd Agent for inhibiting reduction in decomposition of denatured elastin, agent for maintaining normal elastin fibers, agent for inhibiting formation of elastin-elafine composite, and screening method for substance having elastin-elafine composite formation inhibitory effect
JP7269067B2 (ja) * 2019-03-29 2023-05-08 森永製菓株式会社 遺伝子発現増強剤
CN114259444B (zh) * 2022-01-18 2023-06-02 湖南环境生物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美白作用的黑老虎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在制备具有美白作用的沐浴露中的应用
CN116251049B (zh) * 2023-05-06 2023-07-25 北京一品堂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功效的白晶番茄籽油冻干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262A (en) * 1976-12-29 1982-03-23 Burnett Harvey L Medicament for arthritic conditions
JPS5753407A (en) * 1980-09-17 1982-03-30 Kao Corp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extract of japanese toothache tree berry
JP2774882B2 (ja) * 1991-07-12 1998-07-09 恒雄 難波 美白及び老化防止化粧料
JPH0977636A (ja) * 1995-09-14 1997-03-25 Mikimoto Pharmaceut Co Ltd 美白化粧品
JPH11269081A (ja) * 1998-03-18 1999-10-05 Pola Chem Ind Inc P関連遺伝子発現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763075B2 (ja) * 1998-04-24 2006-04-0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周病の予防又は治療用の食品組成物、口腔用組成物及び医薬組成物
FR2782919B1 (fr) * 1998-09-04 2001-05-25 Roc Sa Composition contre le vieillissement et son utilisation
JP2001316221A (ja) * 2000-05-10 2001-11-13 Naris Cosmetics Co Ltd 抗老化剤および化粧料
EP1361853A1 (de) * 2001-02-16 2003-11-19 Pentapharm AG Kosmetisch wirksam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xtrakte aus malva sylvestris und mentha piperita
JP2003192605A (ja) * 2001-12-27 2003-07-09 Fancl Corp リパーゼ阻害剤
JP2003342123A (ja) * 2002-05-31 2003-12-03 Ichimaru Pharcos Co Ltd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及び化粧料組成物
EP2465491A1 (en) * 2002-06-25 2012-06-20 Shiseido Company, Ltd. Anti-aging preparation
KR100513082B1 (ko) * 2002-11-27 2005-09-0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및 식물복합추출액을 포함하는 세라리포좀함유 화장료 조성물
JP2004182711A (ja) * 2002-12-04 2004-07-02 Koei Kogyo Kk 皮膚外用剤
WO2004058213A1 (en) * 2002-12-27 2004-07-15 Hankook Pharm. Co., Inc. Extract of cercis chinensi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ging activity, and cosme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for anti-oxidation, skin-aging protection and wrinkle improvement
US20040166069A1 (en) * 2003-02-21 2004-08-26 Gupta Shyam K. Boosting Tyrosinase Inhibiting Activity of Skin Whitening and Sunscreen Compositions
JP4644787B2 (ja) * 2003-08-19 2011-03-02 沖縄県 リパーゼ阻害活性且つ抗酸化性を有する抗肥満剤
FR2858932B1 (fr) * 2003-08-22 2009-10-30 Oreal Composition destinee a lutter contre la degradation des fibres de collagene induite en condition d'exposition solaire naturelle
WO2006053415A1 (en) * 2004-11-18 2006-05-26 Biopharmacopae Design International Inc. Plant extract having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ing activity and dermatological uses thereof
JP2005306850A (ja) * 2004-03-24 2005-11-04 Kose Corp 抗皮膚障害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R2871061B1 (fr) * 2004-06-04 2007-08-10 Coletica Sa Principe actif capable d'induire la transformation du tgbf- latent inactif en tgfb actif
JP4698167B2 (ja) * 2004-06-10 2011-06-08 株式会社ノエビア アルツハイマー病予防・治療剤
JP2006008566A (ja) * 2004-06-24 2006-01-12 Ichimaru Pharcos Co Ltd 果汁の乳酸菌醗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美容剤とその応用
JP2006075084A (ja) *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セロリ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4647991B2 (ja) * 2004-12-22 2011-03-09 花王株式会社 Scf発現阻害剤
WO2006075865A1 (en) * 2005-01-11 2006-07-20 Se Young Chung Skin-condition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DE102005012832A1 (de) * 2005-03-17 2006-09-28 Schrezenmeier, Jürgen, Prof. Dr. Arzneimittel aus Pflanzenextrakten als Lipaseinhibitor
IE20050411A1 (en) * 2005-06-17 2007-01-10 Oriflame Global Technical Ct L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lingonberry (vaccinium vitis idea) extracts
JP5039314B2 (ja) * 2006-03-28 2012-10-03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アクロレイン付加体形成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JP2009040753A (ja) * 2007-08-10 2009-02-26 Advangen Inc 皮膚補修組成物及びそれ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5430891B2 (ja) * 2007-10-04 2014-03-05 森永製菓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13B1 (ko) * 2012-02-02 2014-05-16 (주)모아캠 레몬버베나 유래 루테오닌­7­디글루쿠로니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078A (ko) * 2015-10-06 2015-10-21 한국콜마주식회사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1258A (ko) 2018-08-20 2020-02-2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5926A (ko) * 2019-06-20 2020-12-31 조자용 패션 후르츠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식품첨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7748B1 (ko) * 2019-08-30 2020-05-08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7385A (ko) 2020-05-28 2021-12-07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추출물과 열대과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창상 치유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9973A1 (ja) 2010-03-18
JP2010065009A (ja) 2010-03-25
JP5970148B2 (ja) 2016-08-17
US20110212041A1 (en) 2011-09-01
EP2335685A1 (en) 2011-06-22
CN102149366A (zh) 2011-08-10
EP2335685A4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4022A (ko)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101877801B1 (ko)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090093A (ja)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及び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
KR10174202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1149B1 (ko) 천마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805872B1 (ko)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566733B2 (ja)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幹細胞増殖因子(SCF)mRNA発現抑制剤、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bFGF)mRNA発現抑制剤、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及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
KR20150136857A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6545B1 (ko)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01326A (ja)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
KR20180050624A (ko) 식물 추출물로부터 엽록소 또는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KR20190018100A (ko) 창포 뿌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 미백 및 모근세포증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5991A (ko) 한방 약재성분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4911B1 (ko) 노간주나무 또는 노간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2196B1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31484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9090B1 (ko) 적하수오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449559B1 (ko) 범의귀과 식물로부터 유래된 피부 미백효능을 가지는 식물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