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48B1 -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48B1
KR102107748B1 KR1020190107398A KR20190107398A KR102107748B1 KR 102107748 B1 KR102107748 B1 KR 102107748B1 KR 1020190107398 A KR1020190107398 A KR 1020190107398A KR 20190107398 A KR20190107398 A KR 20190107398A KR 102107748 B1 KR102107748 B1 KR 10210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itching
omija
extrac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정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10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 시, POMC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므로,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료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s for anti-itching of skin and preventing or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from Ageratum houstonianum, Schisandra chinensis and Bupleurum falcatum}
본 발명은 불로화(Ageratum houstonianum),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 시호(Bupleurum falcatum)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은 피부 질환의 핵심 증상으로 이는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불유쾌한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피부 가려움증은 두드러기, 아토피피부염, 접촉피부염, 화폐상 습진, 신경 피부염, 건선, 피부 건조증, 노인 가려움증, 피부의 악성 림프종인 균상식육종 등이 있으며 침범된 부위와 환자의 감수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아토피(Atopy) 또는 아토피 증후군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직접 접촉 없이 신체가 극도로 민감해지는 알러지 반응을 말하며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및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년 3월보도 자료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2012년 연평균 진료인원은 104만 명이었고, 이중 남성은 49만 명, 여성은 55만 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진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발생원인은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고, 가족력, 성별, 신체비만지수(Body mass index), 거주 지역, 애완동물, 출생주수, 사회경제적 요인 등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다인자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자의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상 증상도 피부 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게 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학 조성물에 의한 아토피 증상 완화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으로 아토피 증상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자연(특히,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가 각광받고 있다.
불로화는 Ageratum houstonianum이라는 학명을 가진 국화과 등골나무아재비속의 일년생 풀이다. 잡초로 취급하기도 하고 관상용으로 보기도 하는 풀인데 꽃이 봄부터 가을까지 오래 핀다고 해서 불로화라고 불린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에 속하는 오미자나무의 열매로써 주로 중국 북동부, 한국, 일본, 및 러시아의 동쪽지역에 분포한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및 매운맛의 5가지 맛이 나서 오미자라고 불리며, 약 1cm 지름의 공모양으로 짙은 붉은 빛깔의 생김새를 가진다. 오미자에는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시트럴(citral), 사과산, 및 구연산 등의 성분이 들어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강장제 및 진정제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폐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거담 작용이 있어 호흡곤란, 만성 기침, 갈증을 치료하며, 발한, 건망증 및 불면증에도 널리 사용된다. 오미자 추출물 및 이의 단일 성분들은 천식, 위궤양, 간독성, 염증, HIV 감염, 간염, 암의 치료 등 약학적 용도로써도 이용되고 있다.
시호 (柴胡, Bupleurum Root, Bupleuri Radix)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또는 그 변종(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를 지칭하는 한약재이다. 시호의 주요 약리활성으로는, 해열, 진정, 진통작용,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등의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어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생성되는 베타-엔돌핀 전구물질인 POMC(proopiomelanocortin)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상기 복합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 시 가려움을 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 활성이 억제되어 가려움증을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므로,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료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IL-31 자극에 의한 POMC mRNA 발현 상태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과 각각의 단일추출물의 POMC mRNA 발현 감소 효과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과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의한 POMC mRNA 발현양 감소 효과를 정량적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al time-PCR)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POMC 유전자 프로모터 리포터인 pGL4.17/POMC-Luc(-74/+297) 벡터를 도식화한 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과 각각의 단일 추출물의 POMC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를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 분쇄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또는 추출액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방법에 있어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온침 추출, 가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수득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 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용매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또는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가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비극성 유기용매, 예를 들어, 헥산,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하도록 하고, 이를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가려움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하는 질병을 의미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급성 병소에서는 혈청 면역글로불린 E(IgE)의 유의한 증가현상이 특징으로 나타나며, 이에 부가하여 병소의 조직병리학적인 변화 및 피부염 병변에 대한 관능평가 등을 행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진단 및 심각도를 판정하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지만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한다고 보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발병 대상의 연령에 따라, 영·유아 아토피(0~3세), 유·소아 아토피(3세~12세), 성인 아토피(13세~50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유아 아토피는 습진형으로 발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자극성 피부염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계란, 우유, 대두 등의 음식에 의해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소아 아토피는 영·유아 아토피 피부염보다는 건조한 것이 특징이고, 가려움증이 심해 계속적으로 피부를 긁게 되어 딱딱하게 되며 색소 침착이 일어날 수 있다. 환절기에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주변 환경의 먼지, 진드기, 곰팡이균, 섬유, 쓰레기, 꽃가루 등이 피부 또는 호흡기관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는 것에 기인한다. 마지막으로, 성인 아토피의 경우 피부가 건조하고 거친 증상이 악화되는 것이 특징이며, 흔히 천식 또는 알러지성 비염을 동반하기도 한다. 주로 생활방식, 환경, 스트레스가 주요 악화요인이다. 본 발명에서의 아토피 피부염은 바람직하게는 성인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증상에 따라, 열성아토피, 만성아토피, 건성아토피, 스트레스성 아토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성아토피는 주로 세포 기능 이상으로 인한 열과 독소의 과잉에 의해 발병하며, 이에 따라 심폐기능 저하, 해독기능 및 면역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것이 피부 열사화로 이어져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열이 과잉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나 환경에서 악화될 수 있다. 만성아토피는 5~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아토피 피부염이 호전악화를 반복하며 지속된 경우를 말하며, 피부 변형 정도가 심하고 피부가 태선화되어 있거나 반복적인 피부염으로 피부착색이 될 수 있다. 건성아토피는 피부가 매우 건조하고 마른 각질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 아토피 피부염으로서, 피부 건조로 인한 가려움증으로 고통을 겪으며, 환절기, 겨울 등 습도가 낮은 계절에 특히 악화된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성 아토피는 스트레스 정도나 심리 상태에 따라 피부염의 증상이 악화 혹은 호전되는 아토피 피부염으로서, 심리적 원인에 의해 아토피 증성이 갑자기 악화되며 병변부위가 붉어지고 가려움증이나 진물이 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소도포 등을 통한 경피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 및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총칭하며, 여기에는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치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또는 젤제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및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테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오미자, 불로화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으며, 시호는 열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의 IL-31자극에 의한 POMC mRNA 발현 증가 효과 확인
Th2 임파구에서 생성되는 IL-31이 각질형성세포를 자극하면 베타-엔돌핀 전구체인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 proopiomelanocortin) mRNA 발현이 증가되어 베타-엔돌핀이 축적되면 가려움이 촉진 된다 (Br J Dermatol 2012;167:794-803). 따라서, IL-31 자극에 의한 POMC mRNA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인 HaCaT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HaCaT 세포(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Thermo Fisher Scientific), 항생제-항균제 용액(Thermo Fisher Scientific)이 포함된 DMEM(Thermo Fisher Scientific) 세포 배양액을 사용하여 2일에 한 번씩 100-mm 세포배양접시에서 1 x 106의 접종 밀도(seed density)로 계대하면서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에 50 ng/ml IL-31을 처리 한 후, 0, 6, 12, 24 시간 후에 세포를 수확하고 TRIzol RNA Isolation Reagents(QIAGEN)를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이 중에서 0.5 μg RNA를 iScript cDNA synthesis kit(Bio-Rad, 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제조회사의 권장 실험방법에 따라 역전사반응을 수행하여 이중나선 상보적 cDNA를 합성하였다. 이중나선 cDNA 0.0125 μg 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프라이머를 마크로젠(Seoul, Korea) 회사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각 실험군의 상대적양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항존유전자(housekeeping gene)로 알려져 있는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의 mRNA 발현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PCR은 95℃, 5분에서 DNA를 변성시킨 후, 94℃, 1분; 65℃, 2분; 및 70℃, 1분간 반응시키는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으며 PCR 최종 산물은 1%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였고, EtBr(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31로 자극된 HaCaT 세포에서 6 시간 후부터 POMC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이 점차 증가되기 시작해서 12 시간 후에는 최대치를 나타냈다. IL-31 처리 12 시간 후의 POMC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3.87+0.404 배 증가되었음을 확인한 바, IL-31은 HaCaT 각질형성세포를 자극하여 POMC 유전자 발현을 현저히 증가 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 역전사-연쇄중합반응 프라이머 염기서열
POMC Forward 5'-CCT GCC TGG AAG ATG CCG AGA T-3'
Reverse 5'-TGC TGC CGC TGC TGC TGC TGT-3'
GAPDH Forward 5'-ACC CAC TCC TCC ACC TTT G-3'
Reverse 5'-CTC TTG TGC TCT TGC TGG G-3'
실시예 3.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에 의한 IL-31 유도 POMC mRNA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이 IL-31에 의해 증가되는 POMC mRNA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20 μg/ml 불로화, 20 μg/ml 오미자, 20 μg/ml 시호 각각의 단일추출물과 각각의 10 μg/ml 3종(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식물추출 혼합물을 각각 HaCaT 세포에 전처리하고 1 시간 후에 IL-31을 처리한 후, 12 시간 후 세포를 수확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RNA를 추출한 후, 역전사-중합효소반응을 수행하여 POMC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전처리한 경우, 불로화, 오미자 및 시호의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POMC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정량적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한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의 IL-31 유도 POMC mRNA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의 POMC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al time-PCR)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HaCaT 세포에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20 μg/ml 불로화, 20 μg/ml 오미자, 20 μg/ml 시호 각각의 단일추출물과 각각의 10 μg/ml 3종(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식물추출 혼합물을 각각 처리 한 후, 세포를 수확하여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cDNA를 합성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은 iCycler iQTM (Bio-Rad)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반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유전자 실시간-연쇄중합반응 프라이머 염기서열
POMC Forward PrimePCR™ PreAmp for Probe Assay: POMC,
CAT:BRqHsaCIP0041643
Reverse
GAPDH Forward 5'-TCG ACA GTC AGC CGC ATC TTC-3'
Reverse 5'-CGC CCA ATA CGA CCA AAT CCG-3'
데이터 분석은 제조업자에 의하여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3회 반복하여 평균+표준오차(standard deviation)로 표시했으며, 통계 유의성 분석은 GraphPad Prism 8.2.0(435) 버전의 소포트웨어(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one-way ANOVA(Sidak’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값 유의성은 p<0.05로 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타나낸 바와 같이, IL-31 자극에 의한 POMC mRNA 발현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약 20.3+1.53배 증가되었다. 이때, 불로화, 오미자, 시호 단일 추출물을 IL-31을 처리하기 30분전에 전처리한 경우 POMC mRNA 발현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각각 17.3+0.577, 18.0+1.00, 15.7+3.21 배 증가하였으며, 3종(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식물추출 혼합물을 혼합하여 전처리한 경우 mRNA 발현이 4.57+0.723 배 증가하였다(도 3A).
상기의 결과를 % 억제 효과로 환산하면, 불로화, 오미자, 시호 단일 추출물은 각각 14.1+2.57%, 13.0+2.89%, 26.6+12.8%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3종(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IL-31에 의한 POMC mRNA 발현을76.9+3.24%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B).
따라서, 3종(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약 4.5배의 POMC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의 POMC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의 유전자 프로모터 수준에서의 POMC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OMC 유전자 프로모터를 클로닝하고 루시퍼라제 리포터 실험법(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을 통해 각 식물 추출물의 POMC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POMC 유전자 프로모터 리포터는 사람 POMC 유전자의 전사 조절 부위 (염기서열 -74 ~ +297; +1은 전사 개시점)를 PCR로 증폭하고, pGL4.17-Luc 리포터 플라스미드의 KpnI과 BglII 제한효소 자리에 삽입하여 pPOMC-Luc(-74/+297)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도 4A). POMC 유전자의 -74 ~ +297 부위를 증폭하기 위한 PCR 반응에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과 같다.
유전자 POMC 유전자 프로모터 클로닝 프라이머 염기서열
POMC -74 Forward 5'-GGT GGT GGT ACC TAA CTT CAC CCT CGC CTC
AA-3'
+297 Reverse 5'-GTT GTT AGA TCT GGC TCT TCT TCC CCT CCT
TC-3'
상기와 같이 제작된 pPOMC-Luc(-74/+297) 플라스미드 DNA 0.5 μg을 퓨진6 (Fugene6)를 이용하여 HaCaT 각질형성세포내로 주입(transfection)시킨 후, 48 시간 후에 50 ng/mL 농도의 IL-31 단독 또는 각 식물 추출물과 병행 처리하고 12시간 더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를 수확하여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액 50 ㎕에 Promega사(Madision, WI, USA)에서 구입한 루시퍼라제 기질인 루시페린(luciferin)을 50 ㎕ 첨가하였다. 이때 발생되는 형광양을 루미노미터 (Centro LB960; Berthold Tech, Bad Wildbad, Germany) 기기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값은 3회 반복하여 평균+표준오차(standard deviation)로 표시했으며, 통계 유의성 분석은 GraphPad Prism 8.2.0(435) 버전의 소포트웨어를 이용하여 one-way ANOVA(Sidak’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값 유의성은 p<0.05로 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L-31은 루시퍼라제 효소 활성을 4.83+0.351배 증가시켰다. 불로화, 오미자, 시호 단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POMC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은 각각 3.57+0.153, 3.87+0.208, 3.20+0.300 배 증가하였으나,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1.80+0.300 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B).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IL-31에 의해 활성되는 POMC 유전자 발현을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전사 수준에서도 유의미한 POMC 유전자 프로모터 활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p<0.0001)

Claims (5)

  1.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POMC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은 C1-C6의 알콜,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3. 삭제
  4.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07398A 2019-08-30 2019-08-30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98A KR102107748B1 (ko) 2019-08-30 2019-08-30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98A KR102107748B1 (ko) 2019-08-30 2019-08-30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48B1 true KR102107748B1 (ko) 2020-05-08

Family

ID=7067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98A KR102107748B1 (ko) 2019-08-30 2019-08-30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57B1 (ko) * 2023-02-28 2023-11-03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4248A (ja) * 1991-05-24 1993-08-03 Takeda Chem Ind Ltd 皮膚炎の予防治療外用剤
JP2006062988A (ja) * 2004-08-25 2006-03-09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0823078B1 (ko) * 2006-12-12 2008-04-18 (주)아모레퍼시픽 파그라에아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4022A (ko) * 2008-09-12 2011-05-24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20110116593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4114241A (ja) * 2012-12-10 2014-06-26 Ichimaru Pharcos Co Ltd プロオピオメラノコルチン発現抑制剤
JP2015030719A (ja) * 2013-08-07 2015-02-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プロオピオメラノコルチン発現抑制剤
KR20150141449A (ko) * 2014-06-10 2015-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18090568A (ja) * 2016-11-30 2018-06-14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漢方薬草抽出物を含む医薬組成物、ならびに漢方薬草抽出物およびステロイドを含む医薬組成物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4579B1 (ko) * 2017-11-29 2019-06-07 김좌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4248A (ja) * 1991-05-24 1993-08-03 Takeda Chem Ind Ltd 皮膚炎の予防治療外用剤
JP2006062988A (ja) * 2004-08-25 2006-03-09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0823078B1 (ko) * 2006-12-12 2008-04-18 (주)아모레퍼시픽 파그라에아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4022A (ko) * 2008-09-12 2011-05-24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
KR20110116593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4114241A (ja) * 2012-12-10 2014-06-26 Ichimaru Pharcos Co Ltd プロオピオメラノコルチン発現抑制剤
JP2015030719A (ja) * 2013-08-07 2015-02-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プロオピオメラノコルチン発現抑制剤
KR20150141449A (ko) * 2014-06-10 2015-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18090568A (ja) * 2016-11-30 2018-06-14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漢方薬草抽出物を含む医薬組成物、ならびに漢方薬草抽出物およびステロイドを含む医薬組成物
KR101984579B1 (ko) * 2017-11-29 2019-06-07 김좌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MMUNOPHARMACOLOGY AND IMMUNOTOXICOLOGY, 2012 *
SCIENTIFIC REPORTS, 20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57B1 (ko) * 2023-02-28 2023-11-03 대한민국(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장)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EP2630961B1 (en) Agent for promoting healing of a wound of a living body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90080821A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7748B1 (ko)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042651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noacetyldiacylglycer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708761B1 (ko) 퓨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633837B1 (ko) 류마티스 관절염의 개선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한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방법 및 상기 혼합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38121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hypersensitivity immune disease containing galactose
KR102451304B1 (ko) 꿩의다리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US20230039133A1 (en) Composition for skin elasticity enhancement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milk exosomes
KR20100000026A (ko) 돼지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00004737A (ko)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섭취로 인한 유해독소 저감용 조성물
KR20230096822A (ko) 천일담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49861A (ko)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10013497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