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996A -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996A
KR20120020996A KR1020100084987A KR20100084987A KR20120020996A KR 20120020996 A KR20120020996 A KR 20120020996A KR 1020100084987 A KR1020100084987 A KR 1020100084987A KR 20100084987 A KR20100084987 A KR 20100084987A KR 20120020996 A KR20120020996 A KR 2012002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extract
seeds
hypericum
chamomile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박병준
김진준
김아현
김보윤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996A/ko
Publication of KR2012002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과 노화방지를 위하여 고기능성 허브의 씨앗에서 추출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과, 상기 허브 씨앗 추출물이 일정 함량 혼합되어 형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HERB SEED EXTRACT HAVING ANTIOXIDANT, WHITENING ACTIVITY AND ATOPY IMPROVEMENT EFFECT AND COSMETIC COMPOUND COMPRISED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미용과 노화방지를 위하여 고기능성 허브의 씨앗에서 추출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조직에서 일어나는 노화 현상은 매우 복잡하여 하나의 기전으로 설명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 피부조직의 노화 현상의 기전 중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학설은 자유 라디칼 이론이며, 상기 자유 라디칼 이론에 의하면 생체 내에서의 대사 반응이나 자외선, 매연, 및 환경 호르몬 등에 의해 생체 내에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고, 상기 자유 라디칼이 생체 구성 분자들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을 지속적으로 파괴하고 산화반응 산물을 생성하여 노화 과정을 촉진시키며, 이러한 현상은 나이와 더불어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 혹은 활성산소종은 홀수전자를 갖는 원자나 원자단으로, 짝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고 에너지가 높으며, 따라서 반응성이 크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자유라디칼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및 하이드록시라디칼(OH-) 등과 같은 라디칼,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비(非)라디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노화 억제를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되는 분야는 항산화제 분야로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O2 -) 및 하이드록시라디칼 (OH-) 등과 같은 라디칼, 과산화수소 (H2O2)와 같은 비(非)라디칼에 의해 피부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세포가 손상되고 피부노화 현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산화물질에 대한 직접적인 항산화 작용을 제공하여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다음으로, 피부는 태양광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멜라닌을 생성한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소체(melanosome)에서 합성되어 수상돌기를 통하여 표피의 각질화 세포로 이동되어 피부의 색을 나타내고, 자외선이나 외부자극 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긍정적인 기능이 있는 반면, 과도한 색소 침착은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는 등의 부정적인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도파크롬 변환 인자(dopachrome conversion factor), 프로스타글라딘(PG, prostaglandin), 인터페론(IFN, interferon), 멜라노사이트 스티뮬레이팅 호르몬(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Vit D3, 히스타민(histamine) 등이 보고되어 있다. 종래에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미백활성 작용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제 저해제로는 아스코르빈산(일본특허공개 평4-9320호), 하이드로퀴논(일본특허공개 평6-192062호)이 개시되어 있고 코지산(kojic acid, 일본특허공개 소56-7710호), 알부틴(arbutin, 일본특허공개 평4-9315호) 등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지산과 알부틴은 세포독성, 돌연변이 유발 등의 부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다른 미백 화장료도 분자 안정성의 결여, 이취의 발생, 효과의 불분명 및 생체 안전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미백활성이 높은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알레르기는 인체의 면역 불균형에 의한 과민반응의 일종이며 알러젠(allergen)이라는 특정한 항원에 대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IgE급 항체가 비만 세포(mast cell)나 호염구(basophile)에 결합되어 유도되는 반응이다. 알러젠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많이 생성되면 상기 IgE 항체가 비만세포나 호염구 표면에 있는 Fc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며, 여기에 알러젠이 결합하게 되면 이들 세포가 활성화되어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루코트리엔, 히스타민, 브래디키닌, 트립테이즈 등)이 분비됨으로써, 혈관확장, 혈관의 침투성의 증가, 평활근 수축, 염증반응 등과 같은 변화가 유도된다. 상기와 같은 반응은 이들 세포가 만들어내는 매개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알레르기성 아토피, 전신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음식 알레르기, 피부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질환은 1979년에는 인구 10만명 당 0.9명이었으나 1998년에는 인구 10만명 당 1.4명으로 약 55.6% 정도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알레르기 질환의 완화 및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종래의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히스타민제 및는 항류코트리엔제로 구분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대부분 강력한 면역력제 작용을 가지므로 단기간 내에 일시적인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메스꺼움 등의 가벼운 부작용부터 성장 억제나 골다공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까지 있기 때문에 장기 복용에는 많은 문제가 따른다. 이와 같은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대안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히스타민제, 항류코트리엔제는 일시적인 알레르기 완화 효과를 보일 수는 있으나, 졸림이나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체내 부작용이 적으며 항알레르기 활성이 높은 천연 추출물에서 유래한 물질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여러 화학물질에 대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 추출물에서 얻어진 항산화, 주름 완화, 미백, 가려움증 완화 등의 기능을 지닌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천연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공보 US5,972,341호에서는 코미포라(Commiphora)속 식물, 특히 코미포라 무클(Commiphora mukul)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9-672662호에서는 하이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억제 효능을 지닌 해초류 추출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평10-85905호에서는 와카메(Wakame)에서 추출되는 푸코이단(Fucoidan)의 피부감촉 개선효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평2-245087호는 사르가숨(Sargassum)속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평3-294384호에서는 히지키아(Hizikia)속에서 추출된 항산화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고, 일본특허공개 평7-10769호는 수림 효과(astrigent efect)가 있는 페오피시에(Phaeophyceae)강 추출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0431076호에서는 백급, 자소, 에키니시아 및 발효대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0511494호에서는 하수오, 시엽,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한 추출물 및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2004-65126호에서는 천연의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복령, 백지마 및 백년초 등으로부터 얻은 한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 및 예방에 효과를 지닌 한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 특허공개 제2004-11584호에서는 감초, 창이자, 홍화, 돈지(돼지비계)와 같은 천연성분의 물질을 정제 혼합하여 구성된 아토피 피부질환의 치료레 우수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개시된 천연재료 보다도 허브 씨앗이, 근래 제시되고 있는 다양한 각종 조건을 만족하여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화장료의 소재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로 이루어져서,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부여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브 씨앗 추출물이 일정 함량 함유되어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항의 허브 씨앗 추출물 0.00001?30 중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및 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씨앗 추출물은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허브 씨앗 추출물은 각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허브 씨앗 추출물이 포함된 각종 화장료 조성물 역시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각 씨앗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각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매우 우수한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매우 우수한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허브란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허바(Herba)가 어원이다. 향과 약초라는 뜻으로 써오다가 BC 4세기경 그리스 학자인 테오프라스토스가 식물을 교목, 관목, 초본 등으로 구분하면서 처음으로 허브라는 말을 쓰게 되었다. 예로부터 진통, 진정 등의 치료 뿐만 아니라 방부나 살충을 위한 약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고대 로마가 유럽 전역을 지배한 이후에는 지중해 연안에서 유럽 각지로 확산되면서 약용에서 사치용품으로 발전하고 아로마 서로피라는 방향(芳香) 요법이 생겨났다. 고대 로마학자 디오스코리데스가 BC 1세기에 제술한 《약물지(藥物誌)》에는 600여 종, 히포크라테스의 저서에는 400여 종의 약초가 기록되어 있다. 4세기경 중부 유럽은 수렵과 목축으로 생활했기 때문에 게르만 정복 이후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의 허브가 유럽으로 퍼져갔다. 중세의 중부 유럽에는 채소라는 개념 대신 극소수의 식용식물만 있었던 탓에 치커리는 말라리아나 간장병을 고치는 약초로 쓰였고, 로즈마리는 악귀를 물리치는 신성한 식물로 여겨졌다. 15세기말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이후 에스파니아 원정대가 멕시코를 식민지로 만들면서 인디언들의 허브 재배술이 유럽에 전해졌고, 중세의 수도원을 중심으로 약용식물이나 과수류와 함께 허브도 재배하기 시작했다. 당시의 허브 관련 역사서로서 12세기경의 식물지 《허벌 Herbal》과 존 제러드가 저술한 《식물의 이야기 The Herbal of General History of Plants》(1579)가 있다.
한국에서는 서양과 달리 농경문화가 발달했기 때문에 약초 외에 미나리, 쑥갓, 마늘, 파, 생강, 고추 등의 향채소와 창포, 쑥, 익모초, 결명자 등이 예로부터 허브로 쓰여왔다. 꿀풀과, 지치과, 국화과, 미나리과, 백합과 등 전세계에 약 2,500여 종의 허브가 식생하는데, 이러한 허브들은 대체로 줄기나 꽃 등이 작아 종족 번식을 위해 멀리서도 향을 느낄 수 있도록 강한 방향성 물질을 지니고 있다.
허브들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각종 약리성분으로 소화, 수렴, 이뇨, 살균, 항균 등의 작용을 하므로, 따뜻한 물에 녹여 차로 마시거나 고기나 생선, 내장류의 냄새를 없애고 단맛, 매운맛, 쓴맛, 신맛 등의 맛에 변화를 줄 수 있어 특히 서양에서 많이 사용한다. 음식 이외에 허브를 이용하는 예로서, 카페인이 전혀 없는 허브 차는 혈액순환이 잘 되고 위가 상쾌해져 기분이 느긋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향을 이용한 아로마 테라피는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피곤할 때 또는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허브 씨앗을 추출한 허브 씨앗 추출물은 피부미용과 노화방지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은 감소된 고기능성 화장료의 원료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미용과 노화방지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은 감소된 고기능성 화장료의 원료를 개발하고자, 전세계에서 식생하는 약 2,500여 종의 허브 중에서 우선 1차적으로 카라웨이 씨앗, 애니스 씨앗, 펜넬플로렌스 씨앗, 갈릭차이브 씨앗, 보리지 씨앗, 안젤리카 씨앗, 처빌 씨앗, 크레스 씨앗, 마조람 씨앗, 세이지 씨앗, 웜우드 씨앗, 말로우 씨앗, 라벤더 씨앗, 야로우 씨앗, 히솝 씨앗, 워터크레스 씨앗, 레몬밤 씨앗, 타임잉글리쉬윈터 씨앗, 페퍼민트 씨앗, 머그워트 씨앗, 세이보리서머 씨앗, 오레가노 씨앗, 레몬그래스 씨앗, 타임프렌치서머 씨앗, 러비지 씨앗, 딜 씨앗, 타라곤 씨앗, 홀리바실 씨앗, 스위트바실 씨앗, 솝워트 씨앗, 차이브 씨앗, 하이페리쿰 씨앗,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카모마일로만 씨앗, 제노비스바실 씨앗, 캐드닢 씨앗, 부쉬바실 씨앗을 선정하였다. 상기 각 씨앗을 개별적으로 용매에 침적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씨앗 추출액을 형성하고, 상기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휘발시켜서, 고상의 씨앗 추출물을 구성하였으며, 상기 각 씨앗 추출물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 실험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씨앗을 용매에 일정한 시간동안 침적하여 상기 씨앗의 유효성분이 추출된 씨앗 추출액과 씨앗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여과 등과 같은 기 공지된 고/액 분리 방법에 의해 씨앗을 분리하여 씨앗 추출액을 수득한다. 각 씨앗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도록, 물,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과 같은 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되는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각 씨앗을 침적함으로써, 상기 씨앗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감압농축이나 감압증발과 같은 기 공지된 용매 휘발 방법에 의해 용매를 휘발시켜서 분리함으로써 고체 상태, 바람직하게는 분말 상태인 씨앗 추출물을 구성한다.
즉, 각각의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분말 상태인 씨앗 추출물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을 DPPH시약(1-1-diphenyl-2-picryl-hydrazyl)으로 처리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 씨앗 추출물의 흡광도를 전자 공여능(EDA : Electron Donating Ability, 수치가 높을수록 전자 공여능 및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기능이 탁월함) 계산식에 대입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를 산출한다.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흡광도 측정 실험에 의하여 산출된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다른 종류의 씨앗 추출물에 비하여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에서 추출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에서 추출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계측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야기(Yagi) 등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각각의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을 비교한 결과, 다른 종류의 씨앗 추출물에 비하여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매우 우수한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매우 우수한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혼합하여,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을 구성한다.
허브 씨앗 추출물의 원재료 중의 하나인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은 보편적으로 'Tutsan'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유럽에서 생장한다. 하이페리쿰의 잎은 차로 만들어 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뇨 효과 및 간세포 보호 작용으로 사용되었다. 허브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페놀릭 에시트, 젠톤이 4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허브 씨앗 추출물의 원재료 중의 다른 하나인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은 일반적으로 'babounge'로 알려져 있으며, 본래 관목으로 남동부 지역에서 자라며, 식물요법으로 사용되으며 현재에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 카모마일의 꽃을 말려 항경련제로 사용하며, 오일은 진정제, 항염, 이뇨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허브 씨앗 추출물의 원재료 중의 또 다른 하나인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은 미식을 즐기는 프랑스에서 허브의 여왕으로 여겨지며 프랑스 요리에서 빠지지 않는 허브 중에 하나이다. 기원전 5,000년 전부터 그리스에서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 허브이며, 고대에는 뱀 등에 물렸을 때 해독제로서 사용했다 전해진다. 현재에 와서는 약초의 위치 보다는 향신료로서의 위치가 매우 높은데, 육류나 생선요리에 많이 사용되고, 각종 소스를 만들 때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을 사용하여 구성된 허브 씨앗 추출물은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이페리쿰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인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이 구성된다. 하이페리쿰 씨앗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하이페리쿰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이루어진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하이페리쿰 씨앗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효율이 대폭 향상되고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의 품질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은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극히 탁월하여 피부에 노화방지 기능을 부여하고,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이 탁월하여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카모마일로만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인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이 구성된다. 카모마일로만 씨앗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카모마일로만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이루어진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카모마일로만 씨앗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효율이 대폭 향상되고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품질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은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극히 탁월하여 피부에 노화방지 기능을 부여하고,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이 탁월하여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타라곤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타라곤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인 타라곤 씨앗 추출물이 구성된다. 타라곤 씨앗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타라곤 씨앗 추출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타라곤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타라곤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이루어진 타라곤 씨앗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타라곤 씨앗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효율이 대폭 향상되고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품질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라곤 씨앗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탁월하여 피부에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이 포함되어 허브 씨앗 추출물이 구성되는데, 상기 허브 씨앗 추출물에서는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을 합하여 50?90 중량%, 타라곤 씨앗 추출물 10?5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어 조성되어야 한다. 허브 씨앗 추출물에 함유되는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허브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저하되며, 허브 씨앗 추출물에 함유되는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허브 씨앗 추출물에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프리 라디칼 소거능과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이 저하된다.
허브 씨앗 추출물 중에서도,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을 합하여 60?75 중량%, 타라곤 씨앗 추출물 25?40 중량%가 함유되어 구성된 허브 씨앗 추출물이 프리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의 밸런스가 매우 우수하고, 세포독성이 적게 발현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허브 씨앗 추출물은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의 상승 작용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허브 씨앗 추출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전세계에서 식생하는 약 2,500여 종의 허브 중에서 1차적으로 카라웨이 씨앗, 애니스 씨앗, 펜넬플로렌스 씨앗, 갈릭차이브 씨앗, 보리지 씨앗, 안젤리카 씨앗, 처빌 씨앗, 크레스 씨앗, 마조람 씨앗, 세이지 씨앗, 웜우드 씨앗, 말로우 씨앗, 라벤더 씨앗, 야로우 씨앗, 히솝 씨앗, 워터크레스 씨앗, 레몬밤 씨앗, 타임잉글리쉬윈터 씨앗, 페퍼민트 씨앗, 머그워트 씨앗, 세이보리서머 씨앗, 오레가노 씨앗, 레몬그래스 씨앗, 타임프렌치서머 씨앗, 러비지 씨앗, 딜 씨앗, 타라곤 씨앗, 홀리바실 씨앗, 스위트바실 씨앗, 솝워트 씨앗, 차이브 씨앗, 하이페리쿰 씨앗, 로켓셀러드윈터 씨앗, 카모마일로만 씨앗, 제노비스바실 씨앗, 캐드닢 씨앗, 부쉬바실 씨앗을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씨앗 추출물을 형성하고, 상기 각 씨앗 추출물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 실험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각각의 씨앗 1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에탄올 70 중량%, 증류수 30 중량%) 20 중량부에 3일간 침적하여 상기 씨앗의 유효성분이 추출된 상등액인 씨앗 추출액과 씨앗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380 메쉬의 여과용 필터로 고/액 분리하여 상등액인 씨앗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회수된 씨앗 추출액을 기공의 평균직경 0.45 ㎛인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씨앗 추출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40 ℃로 감압 농축한 후에, 감압 증발하여 고체 상태인 씨앗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1차 프리 라디칼 소거능 측정
각 씨앗 추출물을 증류수에 10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용액을 형성하였다. 각 시료용액 100 ㎕에 5×10-4 M의 DPPH시약(1-1-diphenyl-2-picryl-hydrazyl)을 혼합하여 1분간 교반하고, 25 ℃의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계측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100 ㎍/㎖의 엘-아스코르빈산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된 각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전자 공여능(EDA : Electron Donating Ability, 수치가 높을수록 전자 공여능 및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기능이 탁월함) 계산식에 대입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흡광도 측정 실험에 의하여 산출된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다른 종류의 씨앗 추출물에 비하여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에서 추출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에서 추출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극히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1차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 측정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크롬(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계측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96-well plate 내 0.1 M phosphate buffer(pH6.5) 110 ㎕에 1.5 mM L-Tyrosine용액(in 0.1M phosphate buffer(pH 6.5)) 40 ㎕ 및 시료용액 10㎕을 넣은 후, mushroom tyrosinase(2000 unit/㎖) 10 ㎕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37 ℃에서 10분간 반응시켜서 생성된 도파크롬에 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 ㎚에서 흡광도를 계측하였다.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대조구로서 동일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으며, 490 ㎚에서의 알부틴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된 각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산출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각각의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흡광도 측정 실험에 의하여 측정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를 비교한 결과, 다른 종류의 씨앗 추출물에 비하여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에서 추출된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2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선별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실험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의 각 씨앗 추출물을 증류수에 1, 5, 10, 25, 5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용액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씨앗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5×104 cells/㎖ 농도로 하여 96well plate의 배지에 200 ㎕씩 분주하여 37 ℃, CO2 인큐베이터에서 1일 동안 1차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소혈청 10 중량%와 항생제 1 중량%가 포함된 IMDM(lscove's Modified Eagle Medium, Gibco)를 이용하였다. 1차 배양을 종료하고 소혈청과 항생제가 배제된 IMDM 배지로 교체하여, 시료용액을 농도 별로 첨가한 후에, 37 ℃, CO2 인큐베이터에서 45시간동안 2차 배양하였다. 2차 배양이 종료되면 5 ㎎/㎖의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첨가하여 37 ℃, CO2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종료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시료 별로 DMSO(Dimetyl sulfoxide)을 150 ㎕씩 혼합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여 세포 독성 실험용 시료를 형성하였다. 상기 세포 독성 실험용 시료를 마이크로플레이트계수기(Micro plate reader)에서 570 ㎚로 세포 증식률을 측정하되,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대조구로서 시료용액이 첨가되지 않는 세포 독성 실험용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세포 증식률을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구 분 대조구 시료 농도(㎍/㎖)
1 5 10 25 50
하이페리쿰(%) 100 109.8 95.10 108.15 83.1 119.68
카모마일로만(%) 100 102.56 86.49 82.30 76.19 64.21
타라곤(%) 100 73 65.07 81.78 72.64 65.13
상기 표 1에서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이 공통적으로 25 ㎎/㎖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2차 프리 라디칼 소거능 측정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각각 증류수에 10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용액을 형성하였다. 각 시료용액 100 ㎕에 5×10-4 M의 DPPH시약(1-1-diphenyl-2-picryl-hydrazyl)을 혼합하여 1분간 교반하고, 25 ℃의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계측하되, 상기와 같은 시료용액의 DPPH시약 혼합 및 흡광도 계측을 각 씨앗 추출물 당 10회씩 실시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100 ㎍/㎖의 엘-아스코르빈산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측정된 각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전자 공여능 계산식에 대입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프리 라디칼 소거능 수치의 평균값을 다음 표 2에 나타낸다.
구 분 프리 라디칼 소거능(%)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 59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 56
타라곤 씨앗 추출물 4
상기 표 2에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능이 극히 탁월한 것을 명백하게 확인하여,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실히 인지할 수 있다.
<실험예 5>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각각 증류수에 10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용액을 형성하였다. 각 시료용액 20 ㎕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 ㎕을 혼합 교반하고,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 ㎕를 넣어 혼합 교반한 후에, 37 ℃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에서 450 ㎚로 흡광도를 계측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1,000units)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산출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구 분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 62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 55
타라곤 씨앗 추출물 4
상기 표 3에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서, 피부에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2차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 측정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대조구로서 동일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으며, 반응구는 96-well plate 내의 0.1 M phosphate buffer(pH6.5) 110 ㎕에 1.5 mM L-Tyrosine용액(in 0.1M phosphate buffer(pH 6.5)) 40 ㎕ 및 시료용액 10㎕을 넣은 후, mushroom tyrosinase(2000 unit/㎖) 10 ㎕을 첨가하여 반응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37 ℃에서 10분간 반응시켜서 생성된 도파크롬에 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 ㎚에서 흡광도를 계측하되, 상기와 같은 반응액의 형성 및 흡광도의 계측을 각 씨앗 추출물 당 10회씩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대조구로서 동일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으며, 490 ㎚에서의 알부틴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상기 측정된 각 시료용액의 흡광도를 산출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의 평균값을 다음 표 4에 나타낸다.
구 분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 21.8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 26.9
타라곤 씨앗 추출물 52.4
상기 표 4에서 각 씨앗에서 추출된 씨앗 추출물의 흡광도 측정 실험에 의하여 산출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수치를 비교한 결과,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이 매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항알레르기 실험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의 각 씨앗 추출물을 증류수에 12.5, 25, 50, 100 ㎍/㎖의 농도로 용해하여 시료용액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씨앗 추출물들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RBL-2H3 (Rat basophilic leukemia) 세포를 세포수가 5×105 cells/㎖ 이 되도록 계수하고, 1 ㎎/㎖ IgE 항체를 첨가하여 24 well plate에 분주한 후 37 ℃,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1차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10% 소혈청과 1% 항생제가 포함된 MEM(Modified eagle medium, Sigma)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1차 배양 후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피비에스 용액 1 ㎖로 2회 세척한 후, 릴리징 버퍼 260㎕와 시료용액을 농도 별로 넣고 37 ℃에서 10분간 2차 배양하였다. 여기에 비에스에이를 넣고 37 ℃에서 1시간동안 3차 배양하였다. 상기 3차 배양이 종료되면 배양물을 200 ㎕씩 취하여 3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에, 상등액을 50 ㎕씩 취하여 96 well plate로 옮긴 다음 기질을 50㎕씩 넣고 37 ℃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종료 후에 시료 별로 100 mM 카보네이트 버퍼 150 ㎕를 넣고 5분간 교반하여 항알레르기 실험용 시료를 형성하였다. 상기 항알레르기 실험용 시료를 마이크로플레이트계수기(Micro plate reader)에서 405 ㎚로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효과를 측정하되,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대조구로서 항히스타민제로 사용되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ketotifen fumarate)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케토티펜 푸마레이트르 기준으로 사용하여 측정된 측정된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효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낸다.
구 분 대조구 시료 농도(㎍/㎖)
12.5 25 50 100
하이페리쿰(%) 76.10 21.46 36.88 53.68 73.82
카모마일로만(%) 76.19 20.05 39.24 42.92 60.76
타라곤(%) 79.50 17.10 20.10 39.75 57.90
상기 표 5에서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은 100 ㎎/㎖의 농도에서 높은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그 효과는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항알레르기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은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허브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로 이루어진 허브 씨앗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구성된다.
즉, 허브 씨앗 추출물 0.00001?30 중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기 공지된 첨가제 및 물이 포함되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등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프리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을 기대할 수 없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허브 씨앗 추출물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실용성이 결여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도, 허브 씨앗 추출물 0.001?0.01 중량%가 함유되어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이 프리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기능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 기능의 제공, 실용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허브 씨앗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역시 인체에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허브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유연화장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성을 다음의 표 6에 나타낸다.
성 분 함량(중량%)
허브 씨앗 추출물 0.0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5
글리신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 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 량
정제수 잔 량
본 발명의 허브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영양화장수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성을 다음의 표 7에 나타낸다.
성 분 함량(중량%)
허브 씨앗 추출물 0.01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럴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산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 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적 량
정제수 잔 량
본 발명의 허브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영양화장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성을 다음의 표 8에 나타낸다.
성 분 함량(중량%)
허브 씨앗 추출물 0.001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미드 2.0
하이드록시 에틸셀루로이즈 0.2
에탄올 3.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 아민 0.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EDTA 0.1
방부제 적 량
정제수 잔 량
본 발명의 허브 씨앗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영양크림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성을 다음의 표 9에 나타낸다.
성 분 함량(중량%)
허브 씨앗 추출물 0.01
1,3-부틸렌 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트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산 1.5
세토스테아릴 알콜 2.0
폴리솔베이트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 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 량
정제수 잔 량
상기 표 6 내지 9의 조성에 의하여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및 베타-헥소사미나다제(β-hexosaminidase)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에 항산화 작용, 미백활성 작용, 아토피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 씨앗 추출물;
    카모마일로만(Anthemis Nobilis) 씨앗 추출물; 및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은 하이페리쿰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은 카모마일로만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물은 타라곤 씨앗이 용매에 의해 추출되어 상등액이 고/액 분리된 타라곤 씨앗 추출액이 형성되고, 상기 타라곤 씨앗 추출액으로부터 용매가 휘발되어 고체 상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을 합하여 50?90 중량%, 타라곤 씨앗 추출물 10?50 중량%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페리쿰 씨앗 추출물과 카모마일로만 씨앗 추출물을 합하여 60?75 중량%, 타라곤 씨앗 추출물 25?40 중량%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의 허브 씨앗 추출물 0.00001?30 중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및 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의 허브 씨앗 추출물 0.001?0.01 중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및 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84987A 2010-08-31 2010-08-31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0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87A KR20120020996A (ko) 2010-08-31 2010-08-31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87A KR20120020996A (ko) 2010-08-31 2010-08-31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96A true KR20120020996A (ko) 2012-03-08

Family

ID=4612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987A KR20120020996A (ko) 2010-08-31 2010-08-31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602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3569B1 (ko) * 2014-11-26 2016-03-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히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813815A (zh) * 2021-09-16 2023-03-21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果香菊汁液用于制备调理肌肤的组合物的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602A (ko) * 2014-01-20 2015-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항산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3569B1 (ko) * 2014-11-26 2016-03-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히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813815A (zh) * 2021-09-16 2023-03-21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果香菊汁液用于制备调理肌肤的组合物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879B2 (ja) NF−κB活性化抑制剤ならびに毛穴ケア剤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4356A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KR20120020996A (ko)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20110085543A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298532B1 (ko) 추출 수율 및 미네랄 함량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4505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2178096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