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358A -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358A
KR20170121358A KR1020160049144A KR20160049144A KR20170121358A KR 20170121358 A KR20170121358 A KR 20170121358A KR 1020160049144 A KR1020160049144 A KR 1020160049144A KR 20160049144 A KR20160049144 A KR 20160049144A KR 20170121358 A KR20170121358 A KR 20170121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medicine extract
weight
composition
black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946B1 (ko
Inventor
이지형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4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5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상에서 혈류량 개선 및 눈 밑 명도차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크서클 개선 및/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Description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PREVENTION ANTI-DARK CIRCLE}
본 발명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또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다크서클이란 눈 주위의 혈관이 얇은 피부를 통해 거무스름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주로 피로,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눈가의 혈액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생기기 쉽다. 게다가 눈가 주변은 다른 부위보다 얇고 민감하기 때문에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지방조직이 늘어지면서 다크서클이 진해질 수 있다. 다크서클은 표정을 어둡게 만들고 나이 들어 보이게 한다.
다크서클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첫 번째로 눈 밑의 모세혈관에 의해 피부가 검푸르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두 번째로 눈 아래쪽의 지방이 축적되고 아래로 처지면서 그림자를 형성하여 다크서클이 생긴다. 세 번째로 눈 밑에 기미 등의 색소가 침착되면서 다크서클을 형성하게 된다. 이 외에도 호르몬 이상, 피부질환, 만성적 피로 등으로 인해 다크서클이 심화될 수 있다.
다크서클의 치료방법은 수술적인 방법을 통해서 조직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활동에 지장이 많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어 쉽게 실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미용적인 방법으로는 파운데이션이나 컨실러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 이들 외과적 시술이나 메이크업 화장법 이외에 다크서클과 같은 미용상 문제가 되는 지방층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 치료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생약재를 대상으로 다크서클과 관련된 여러 스크리닝을 수행함으로써, 혈류량 개선 등의 다크서클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를 선별하여 다크서클 개선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흑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특허문헌 1] 및 오배자, 단삼 및 자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특허문헌 2]을 개발한 바 있다.
국내 특허 출원 제2010-0080576호 국내 특허 출원 제2010-00731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크서클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 유래의 다크서클 개선 또는 예방제로서 화장품, 의약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생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고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시에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간은 붓꽃과의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eman.)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로서 피부 진균억제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염증 작용, 혈압강하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사간의 성분으로는 belamcandin, iridin, tectoridin, tectorigenin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tectoridin과 tectorigenin은 항암 작용과 항염 작용이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흑후추(Black Pepper)는 후추과(Piperaceae)인 다년생 덩굴 식물인 후추나무의 과실을 말린 후추(Piper nigrum Linne)을 미성숙 과실이 홍색으로 변하기 직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약재로서 진통, 항산화, 항암, 항염증, 살충 등의 반응뿐만 아니라 백반증의 회복, 과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혈당의 완화, 지방세포 분화 억제 등의 작용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는 산형과(UmbeI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이며, 학명은 ANGELICAE GIGANTIS RADIX이다. 당귀는 우리나라의 전라북도, 경상남북도, 강원, 경기, 평안북도, 함경남도 등에 분포하고, 중국에는 감숙, 사천, 운남, 섬서, 호북, 귀주 등에 주로 분포한다. 당귀 종류 중 참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약리학적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당귀는 5장6부를 건강하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액을 보충하고,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고, 어지럼증을 낫게 하고, 몸이 허약한데 쓰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구토와 죽은 피를 없애는 데 쓰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수 추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 조성물의 각 성분에 물을 가해 70 ℃ 이상(70 ~ 200 ℃),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2~10 시간), 바람직하게는 3 시간 이상 가열한 후,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손실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완전 추출되지 않으므로,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출액은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유기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냉침 추출하는 경우에는 실온(상온)에서 3일 이상(3일 내지 7일) 보관하여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0.5~2.5(1.5~2.5) : 0.5~1.5 : 0.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생약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약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다크서클 개선 및/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 등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어떠한 제형으로도 응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의 제조시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 함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에서 생약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생약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일반적인 피부외용제 함량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연고제, 경고제, 스프레이제, 현탁액, 유액, 크림, 젤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유효성분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임상에서 혈류량 개선 및 눈 밑 명도차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크서클 개선 및/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생약 추출물의 제조
사간, 흑후추 및 당귀 각각의 생약을 잘 건조하여 세절한 후 2: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추출용매(증류수:1,3-부틸렌글리콜=7:3)를 넣어 생약 추출물이 3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3일간 냉침(상기 용매를 3일간 상온에 보관)한 후 침전물이 생기지 않도록 0.2 ㎛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는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을 배합하고, 비교예는 생약 추출물을 배합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5500 rpm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화시킨 후 30 ℃까지 냉각(냉각 후 향료 첨가)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비교예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콜 2.5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7 0.7
PEG-40스테아레이트 0.7 0.7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 5
스쿠알란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5 5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중량% 용액) 15 15
글리세린 6 6
프로필렌글리콜 6 6
생약 추출물 1 -
후첨 향료 적량 적량
실험예 1. 혈류량 개선 효과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에 대한 혈류량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12명의 피험자를 10분 동안 충분히 안정시킨 다음, 직경 12 ㎜로 둥글게 자른 여과지에 시료 50 ㎕를 점적하여 양측 팔 안쪽에 약 3 ㎝ 간격으로 2분간 도포하였다. 여과지를 떼어내고 도포 부위를 습기가 없도록 휴지로 닦아낸 다음, LDF(Laser Doppler Flowmeter; Periflux system 5000, Perimed)의 프로브를 도포 부위에 고정시키고, 여과지를 떼어낸 2분 후, 7분 후와 15분 후의 피부 혈류(CBF: cutaneous blood flow)의 변화를 측정하여 LDF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 LDF값
2분 후 7.0
7분 후 7.6
15분 후 12.1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혈류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명도차 개선 효과
실시예에서 제조한 제품을 이용하여 눈가 피부의 명도차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25명의 피험자를 10분 동안 충분히 안정시킨 다음, Chromameter CR-400(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눈 밑 색소가 침착된 부위의 색채를 L*, a*, b* (L*은 명도, a*, b*는 색도를 의미함) 표색계를 이용하여 그 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품 도포 전(0 주), 제품 도포 4주 경과 후(4 주)로 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제품 사용 후, 눈 밑의 색채를 측정하여, 측정 전후 명도, 채도가 변화된 피험자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눈 밑 다크서클 개선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눈 밑 명도차 개선율
L* 17명 (58.29%)
a* 18명 (69.23%)
b* 17명 (65.38%)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고 현저한 눈 밑 명도차 개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화장품의 제조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 0.1 중량%
베타-1,3-글루칸 1.0 중량%
밀납 4.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중량%
유동파라핀 0.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2.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 0.2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제제예 2: 피부외용제의 제조
1. 겔의 제조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 0.2 중량%, 글리세린 4.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에탄올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중량%, 카르복시폴리머 0.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0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전체 조성 100 중량%)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2. 연고의 제조
제조예의 생약 추출물 0.2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쉐어버터 3.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적량의 정제수를 혼합(전체 조성 100 중량%)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0.5~2.5 : 0.5~1.5 : 0.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인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또는 젤인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고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0.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혼합하여 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1.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사간, 흑후추 및 당귀를 0.5~2.5 : 0.5~1.5 : 0.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인 다크서클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외용제.
KR1020160049144A 2016-04-22 2016-04-22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44A KR102515946B1 (ko) 2016-04-22 2016-04-22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144A KR102515946B1 (ko) 2016-04-22 2016-04-22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358A true KR20170121358A (ko) 2017-11-02
KR102515946B1 KR102515946B1 (ko) 2023-03-31

Family

ID=6038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144A KR102515946B1 (ko) 2016-04-22 2016-04-22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15A (ko) 2020-11-10 2022-05-17 지성일 다크서클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00578A (zh) * 2022-07-19 2022-11-08 杭州国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材提取液、淡化黑眼圈眼膜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154A (ko)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데이터 서버,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비대칭 클러스터 분산 파일 시스템
KR20100080576A (ko) 2009-01-01 2010-07-09 김기주 문자입력방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154A (ko)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타데이터 서버, 데이터 서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비대칭 클러스터 분산 파일 시스템
KR20100080576A (ko) 2009-01-01 2010-07-09 김기주 문자입력방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약용작물학회지. 제16권, 제4호, 255-260쪽, 2008년 공개*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515A (ko) 2020-11-10 2022-05-17 지성일 다크서클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00578A (zh) * 2022-07-19 2022-11-08 杭州国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材提取液、淡化黑眼圈眼膜贴及其制备方法
CN115300578B (zh) * 2022-07-19 2023-11-14 杭州国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药材提取液、淡化黑眼圈眼膜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946B1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533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and Use Thereof
KR101608258B1 (ko) 송진 추출물, 적송엽 추출물 및 적송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92056A (ja) 美白化粧料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2003261432A (ja) 皮膚外用剤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JP2003342122A (ja) 皮膚外用剤
WO2015176147A1 (pt) Ativo clareador contendo extratos vegetais, seus usos e composições contendo o mesmo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6309911B (zh) 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15946B1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8589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210085788A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