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788A -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788A
KR20210085788A KR1020190179244A KR20190179244A KR20210085788A KR 20210085788 A KR20210085788 A KR 20210085788A KR 1020190179244 A KR1020190179244 A KR 1020190179244A KR 20190179244 A KR20190179244 A KR 20190179244A KR 20210085788 A KR20210085788 A KR 2021008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honeysuckle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847B1 (ko
Inventor
조혜진
소희
임한솔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LONICERA JAPONICA AND EXTRACTS OF ASTER GLEHNII FOR MOISTURIZING THE SKIN}
본 발명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피부는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표피의 외각에 수분을 함유하는 얇은 각질층을 발달시킨다. 이러한 각질층은 외부환경과 접촉하는 피부의 최외각층으로서, 유해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피부 내부의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를 보습한다.
한편, 각질층에 의한 보호에도 불구하고, 자외선, 바람, 먼지 등의 외부 요인 및 노화, 호르몬 불균형 등의 내부 요인에 의해,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피부 탄력 및 유연성이 저하되면서도 피부 건조증, 아토피, 건선, 습진 등의 피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메이크업 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아, 미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보습을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천연물질의 추출물, 세라마이드, 오일, 지질 등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0887호에서는 발효 당지질,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동백나무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알지닌 수용액, 보습제, 녹차 추출물 및 용제를 포함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9991호에서는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및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이 포함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 세라마이드, 오일 등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끈적함과 녹진한 사용감에 의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저하되며, 유화 제형의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 및 투명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오히려 과도한 유분감에 의해 피부에 자극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부 보습을 위해 천연물의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에는,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08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99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인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1.5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0.001 ~ 2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특정 혼합비로 포함함으로써, 인동덩굴 추출물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현저히 향상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에 따라, 현저히 향상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에 따라,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포함하되, 상기 두 추출물을 특정 혼합비로 포함함으로써, 인동덩굴 추출물 또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현저히 향상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은 쌍떡입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로서, 약재명으로는 금은화라고도 불린다. 인동덩굴은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데, 통상적으로 키가 약 2 ~ 5 m 정도까지 자라며, 길이가 3 ~ 8 cm 이면서도 폭이 1 ~ 3 cm 인 타원형의 잎을 가진다. 또한, 인동덩굴의 꽃은 백색에서 시들면서 황색으로 변하며 1 ~ 2 개씩 잎자루에 달리고, 열매는 9 ~ 10 월에 흑색으로 성숙하며 지름이 7 ~ 8 mm 정도로 동글게 형성된다.
인동덩굴 그 자체는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꽃과 잎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인동덩굴 추출물"은 인동덩굴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의 분획물,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에서 인동덩굴의 추출 부위는 전초일 수 있다.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인동덩굴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처리는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섬쑥부쟁이(Aster glehnii)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섬쑥부장이라고도 불린다. 섬쑥부쟁이는 높이 1 m 내외로서 줄기에는 잔털이 있으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는 특징을 가진다. 섬쑥부쟁이의 꽃은 8 ~ 10 월에 피는 백색으로, 지름이 약 1.5 cm 정도이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섬쑥부쟁이의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짧은 털과 선점이 있고, 어린 순은 나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섬쑥부쟁이의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의 분획물,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쑥부쟁이의 추출 부위는 잎, 줄기, 뿌리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부위 또는 전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쑥부쟁이의 추출 부위는 잎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섬쑥부쟁이를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처리는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되,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1.5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1.5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2.3 ~ 2.8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2.3 ~ 2.8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이 피부 보습에 대해 서로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2.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2.3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현저히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이 피부 보습에 대해 현저한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 25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 20 중량%, 더 구체적으로는 0.01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 25 중량%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0.001 중량% 미만 또는 25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보다, 현저히 향상된 피부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형제로는 피부 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유화제, 농화제 또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성분들 이외에,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또는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 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안제 또는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 통상의 세안제 또는 비누 베이스에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는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물성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이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5
(1)인동덩굴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동덩굴의 전초 400 g을 잘게 분쇄하여, 50 % 에탄올 8L에 24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고, 상기 여액을 감압·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분말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분획하여 얻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감압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인동덩굴 추출물 얻었다.
(2)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제조
섬쑥부쟁이를 물로 세척한 후, 건조된 섬쑥부쟁이의 잎 2 kg을 25 L의 50 % 에탄올과 혼합하여, 약 80 ℃에서 4 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뒤, 20 L의 에탄올 용매와 혼합하고, 80 ℃에서 2 시간 동안 2차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조추출물을 퍼라이트(Pearlite) 250 g과 혼합한 후, 필터프레스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한 뒤, 약 95 ℃에서 1 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이 후, 이를 분무건조함으로써, 분말 형태의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화장료 조성물(에센스)의 제조
표 1[단위 : 중량%]의 조성으로, 상기 (1)의 인동덩굴(전초) 추출물과 상기 (2)의 섬쑥부쟁이(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은 0.03 중량%로 사용되었으며, 상기 혼합물 내에서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표 2[단위 : 중량비]의 혼합 비율로 포함되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서 실시예 3은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0.03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0.009091 중량% 및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 0.02090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추출물의 혼합 비율을 소수점 이하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 번째 자리까지만 표기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인동덩굴 추출물을 0.009091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 0.020909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인동덩굴 추출물을 0.007895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 0.022105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인동덩굴 추출물을 0.03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표 1의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대신하여 섬쑥부쟁이 추출물 0.03 중량%만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내지 11
표 3과 같이,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혼합물을 0.03 중량%로 포함하되, 상기 두 추출물을 표 3[단위 : 중량비]의 혼합 비율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3
[ 실험예 ]
실험예 1 : 피부 보습력 평가
(1)피부 수분 증가율 평가
피부 상태(수분)가 유사한 20 ~ 40세 여성 10 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에센스를 매일 2 회씩(아침/저녁), 15 일 동안 얼굴 전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실험을 실시하기에 앞서, 항온 및 항습 조건(온도 : 24 ℃, 습도 : 40 %)에서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tk,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뒤, 이를 기본 값으로 하였다.
이 후, 상기에 따라 실험을 실시한 뒤, 15 일이 지난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수분량을 평가한 뒤, 피부 수분 증가량을 계산하여 표 4[단위 : %]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한 뒤, 피부 수분 증가량을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표 4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11 보다, 피부 수분 증가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다를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2)실시예 3과 비교예 1 내지 2의 비교를 통한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상승효과 검토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기댓값(피부 수분 증가율)을 콜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과정 및 그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콜비식 : 기댓값 = A + B - (A × B / 100)
A : 혼합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A의 관찰된 효능
B : 혼합물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농도에서의 활성 성분 B의 관찰된 효능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 예상되는 피부 수분 증가율(기댓값)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콜비식의 A에 인동덩굴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1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고, B에 섬쑥부쟁이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2의 피부 수분 증가율을 대입하여 콜비식에 따른 기댓값을 계산한 후, 그 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제값과 기대값을 이용한 상승효과의 정도[(실제값-기댓값)/기댓값*100]를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 5의 수치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 번째 자리까지만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5를 보면,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 예측되는 기댓값(84.5 %) 보다,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실제로 함께 사용한 실시예 3(95.1 %)의 경우, 약 12.5 % 정도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피부 보습력 향상에 대해 서로 상승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3)실시예 4와 비교예 3 내지 4의 비교를 통한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상승효과 검토
상기 (2)와 동일하게 상승효과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을 보면,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 예측되는 기댓값(82.3 %) 보다, 인동덩굴 추출물과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실제로 함께 사용한 실시예 4(92.0 %)가 약 11.8 % 정도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피부 보습력 향상에 대해 서로 상승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실험예 2 : 경피 수분 손실량 평가
경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의 장벽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피부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의미한다.
20 ~ 40대 여성 40 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실시예 1에 따르는 화장료 조성물을 바르고, 눈가에서 3 cm 우측으로 1 cm 아래로 떨어진 부위를 택하여, 바르기 전을 기준으로 하여 1 시간, 2 시간, 4 시간, 6 시간 후의 경피수분손실량을 테와미터(Tewameter, 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표 7[단위 : g/m²]에 나타내었다.
이때, 경피 수분 증발량의 평가는 시간당 단위면적에서 증발하는 g/m²으로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1의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표 7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11 보다, 경피수분손실량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다를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1 : 1.5 ~ 3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0.001 ~ 2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동덩굴 추출물 및 상기 섬쑥부쟁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4 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마사지 크림, 팩,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79244A 2019-12-31 2019-12-31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44A KR102327847B1 (ko) 2019-12-31 2019-12-31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44A KR102327847B1 (ko) 2019-12-31 2019-12-31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788A true KR20210085788A (ko) 2021-07-08
KR102327847B1 KR102327847B1 (ko) 2021-11-18

Family

ID=7689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244A KR102327847B1 (ko) 2019-12-31 2019-12-31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712A (ko) * 2021-07-09 2023-01-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진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446A (ko) 2022-03-18 2023-09-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432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89B1 (ko) * 2005-06-30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3459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보습효과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052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0887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일진코스메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989B1 (ko) * 2005-06-30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432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3459A (ko) *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보습효과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052A (ko)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0887A (ko)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일진코스메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712A (ko) * 2021-07-09 2023-01-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진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847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69906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3172A (ko) 병풀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자작나무수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개선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KR102327847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41802B1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3200A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9024B1 (ko) 버베나 히브리다, 시클라멘 및 세인트폴리아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201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씀바귀 및 고마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840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1358A (ko) 다크서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