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815A -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815A
KR20180057815A KR1020160155980A KR20160155980A KR20180057815A KR 20180057815 A KR20180057815 A KR 20180057815A KR 1020160155980 A KR1020160155980 A KR 1020160155980A KR 20160155980 A KR20160155980 A KR 20160155980A KR 20180057815 A KR20180057815 A KR 2018005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phase emulsion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687B1 (ko
Inventor
김기백
지진구
박명삼
우영화
김명성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687B1/ko
Priority to PCT/KR2017/013316 priority patent/WO2018097584A1/ko
Publication of KR2018005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 및 물을 D상 에멀젼화 한 후 이를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종래의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보습감 및 광택력이 현저하게 우수하며, 수분산 타입에서의 새로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 dispersed type makeup cosmetic compositon}
본 발명은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물의 함유로 인하여 촉촉한 수분감을 지닌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물의 증발로 인해 수분감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라지게 되어 건조한 느낌을 가지게 되며, 물의 증발과 함께 광택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점증제를 이용할 경우, 점증제의 함량을 증가시켜 이러한 문제를 다소 감소시킬 수 있으나, 끈적임 및 무거운 사용감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만족할 만한 개선은 크게 없는 실정이다. 또한, 폴리올 종류를 이용하여 수상부의 수분감 및 광택감을 지속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폴리올의 특징상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감 및 광택감이 감소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며, 폴리올 종 특유의 끈적임이 남게 된다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여 이 역시도 만족할 만한 개선이 없는 실정이다.
D상 에멀젼은 D상 유화법으로 제조된 에멀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소량의 물로 이루어진 D상에 오일을 천천히 가하면서 혼합하면, O/D 형태를 거쳐 고점성의 투명한 젤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여기에 다시 물을 가하여 미세한 입자를 갖는 저점도 O/W 에멀젼을 일컫는다.
D상 유화의 경우 다른 유화와 비교시 안정도가 매우 우수하며, HLB의 영향이 적어 넓은 영역의 계면활성제 사용이 가능하며, 좀 더 안정적인 제형 개발이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온도 변화에 민감성이 적어 온도에 따른 경시 변화, 취, 안정도 이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D상 유화의 경우 여타 유화방법과 달리 가용화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현 수분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기존 점증제를 이용한 방법 또는 폴리올을 이용한 방법이 아닌, D상 유화를 통해 얻어진 에멀젼을 가용화 타입 수분산 제형에 적용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제형을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 오일 및 물을 D상 에멀젼화 한 후 이를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수분산 타입 제형의 경우, 보습감 및 광택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우수한 보습력 및 광택감을 갖는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물의 함유로 인한 수분감을 준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의 증발로 인해 건조감이 증가함과 동시에 광택감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올을 이용하여 수분감 및 광택감을 지속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도 마찬가지로 수분감 및 광택감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수분산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은 디페닐디메치콘, 글리세린, 스쿠알란, 정제수, 트리에칠헥사노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소듐시트레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의 함량은 실제 가용화 타입 수분산 제형에 적용된 함량을 기준으로 디페닐디메치콘 0.01 ~ 10 중량%, 글리세린 1 ~ 20 중량%, 스쿠알란 0.01 ~ 7 중량%, 정제수 0.1 ~ 25 중량%, 트리에칠헥사노인 0.01 ~ 7 중량%,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0.01 ~ 3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01~0.1중량%, 소듐시트레이트 0.001~0.1중량%, 시트릭애씨드 0.001~0.1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수는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 25 중량% 일수 있다. 또한 정제수이외에 수상부로서 화장료에 널리 사용되는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디페닐디메치콘은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10 중량% 일 수 있다. 디페닐디메치콘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 함량이 적어 정상적인 D상 에멀젼으로 보기 어려우며, 디페닐디메치콘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 시 오일 함량이 높아 에멀젼의 안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디페닐디메치콘 끈적임이 적은 오일리한 사용감을 지니고 있으며,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여 촉촉한 수분감을 지속 시킬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광택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디페닐디메치콘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게 되면 오히려 D상 유화를 형성하는데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의 상기 글리세린은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 20 중량%일 수 있다. 글리세린 성분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습감이 떨어져 상기 기대효과를 지니기 어려우며, 20 중량% 초과 시에는 끈적이는 사용감으로 인해 발림성이 좋지 않다. 상기 글리세린은 폴리올 종류로서 보습감과 광택감을 향상 시키는 원료로 사용되어진다. 여타 폴리올 종류와 비교하여 높은 보습감을 지니며, 안정적인 원료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은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스쿠알란은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쿠알란은 부드럽고 끈적임이 덜한 원료로서 리치한 사용감과 부드러운 발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트리에칠헥사노인은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7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트리에칠헥사노인은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 종류로 보습감을 주는 원료로 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는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3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계(PGFE) 가용화제 겸 유화제로 사용되어지는 원료이며, 본 발명에서도 가용화제 겸 유화제로 사용되었다. 현재 PEG-free 가용화제로 추천되어지고 있는 원료이다.
본 발명의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0.1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디소퓸이디티에이는 킬레이팅제로서 유화 안정도를 높여주는 원료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소듐시트레이트는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0.1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소듐시트레이트는 pH 조절제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시트릭애씨드는 D상 에멀젼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0.1중량% 일 수 있다. 상기 시트릭애씨드는 pH 조절제로 사용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료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다양한 종류의 안료들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102호, 등색 205호, 적색104호의(1), 적색227호, 황색4호, 황색5호, 청색 1호 등의 착색용 안료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료의 종류는 상기 안료에 국한되지 않으며,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 안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방부제, 보습제, 피막형성제 및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은 수분산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상 에멀젼을 0.5 중량 % 이하로 사용시 보습감, 광택감의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 중량 % 이상 사용 시 오일감이 심하여 끈적임이 수반되어져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감, 광택감 및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원발명의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 시킨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실시예), D상 에멀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비교예1-2)보다 보습력 및 광택력이 현저하게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도 향상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본원발명 실험예 1 내지 4 참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D상 에멀젼을 가용화시킬 경우,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단점인 수분감 및 광택감 감소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리퀴드 파운데이션, 컨실러, 베이스, 등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입술용 립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료의 제형, 구체적으로는 립스틱, 액상루즈, 립밤 및 립글로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에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통상의 제조 방법으로 가열, 혼합 및 교반 등의 처리과정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과정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수분산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시 에멀젼 타입과 같은 끈적임이 없는 오일리한 발림감과 촉촉한 수분감을 주며, 광택력을 향상시켜 수분산 제형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용감을 나타낸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피부수분량과 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도포 전후 반사율을 비교한 그래프를 타나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 예 1 내지 3: 수분산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은 D상 에멀젼의 원료 및 수상부 제형의 원료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1의 함량은 중량 %를 기준으로 제조 하였다.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먼저 표 1에서의 D상 에멀젼을 제조하고, 별도의 용기에서 수상부 원료를 차례로 첨가하여 분산, 용해시켜 수분산 제형을 제조한 후, 최종적으로 D상 에멀젼을 수상부 제형에 첨가하여 분산하였다.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D상 에멀젼을 제조 한 후 수분산 제형에 D상 에멀젼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D상 에멀젼이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 소량의 정제수와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을 혼합 및 가열(70℃) 한 후 차례로 디페닐디메치콘, 스쿠알란, 트리에칠헥사노인을 소량씩 천천히 혼합하며, 분산을 시켜준다. 이 때 고점도의 OD Gel이 형상되며, 분산 후 30℃까지 냉각 후 정제수와 금은화추출물, 디소듐이디티에이, 소듐시트레이트, 시트릭애씨드, 인동덩굴꽃추출물을 차례로 투입 및 혼합하여 저점도의 O/W 에멀젼 상인 D상 에멀젼을 완성 할 수 있다.
수분산 제형의 경우 하기 정제수를 아지믹서에 투입 후 50 ~ 55℃ 까지 가열 한 후 표에 있는 원료를 차례로 투입하여 혼합하여 준다. 혼합 시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의 경우 한번에 투입 시 파우더가 뭉쳐 풀리지 않을 수 있으니 소량씩 천천히 투입하여 준다.
향료를 제외한 원료를 투입 후 D 상 에얼전을 투입하여 완전히 분산 시켜준다. 최종적으로 D 상 에멀젼의 분산이 완료되면, 향료를 투입 후 분산 한 후 탈기(탈포)를 하여 기포를 제거하면 제형이 완성된다.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D상 에멀젼 원료
디페닐디메치콘 3.15 - - 31.3992
글리세린 2.554 - - 25.4583
스쿠알란 1.9 - - 18.9392
정제수 0.706 - - 7.0374
트리에칠헥사노인 1.1 - - 10.9648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0.55 - - 5.4824
금은화추출물 0.005 - - 0.0498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 - 0.0997
소듐시트레이트 0.01 - - 0.0997
시트릭애씨드 0.01 - - 0.0997
인동덩굴꽃추출물 0.005 - - 0.0498








수상부 원료
정제수 64.98 87.38 74.98 -
부틸렌글라이콜 5 5 5 -
글리세린 5 5 5 -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 5 -
디메치콘 4 - 4 -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2.5 - 2.5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1.5 - 1.5 -
페녹시에탄올 0.72 0.5 0.72 -
레시틴 0.4 - 0.4 -
에칠헥실글리세린 0.08 - 0.08 -
메칠파라벤 - 0.3 - -
카보머 - 0.7 - -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 - - -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 - 0.4 -
안료 0.32 0.32 0.32 0.32
펜틸렌글라이콜 - - - -
트로메타민 - 0.7 - -
향료 0.1 0.1 0.1 -
비교예1, 2의 경우 기존 자사 수분산 제형의 처방이며, 비교예 1 및 2는 다른 점증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1, 2의 경우 기존 자사 수분산 제형의 처방이며, 비교예 1은 수분산 제형에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Carbomer 타입의 다른 점증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는 실시예와 동일 점증제, 동일 함량을 적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의 경우 수상부 제형에 D상 원료를 가용화 하지 않고 D상 원료 자체만 사용하였으며, 추가로 안료만 첨가하였다. 상기 비교예들의 제조과정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한 후, 이들의 제형을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수분 증발이 매우 빠르며, 건조한감이 심하게 느껴졌다 또한 시간 경과 후 광택력 감소가 매우 빠르게 확인 되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초기 수분감은 높으나, 수분 증발이 빠르게 진행 되며, 수분이 증발되면서 광택력도 빠르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D상 에멀젼만을 사용한 비교 예 3의 경우 오일리한 발림성으로 도포 시 밀착감이 매우 떨어지며, 안료 분산이 되지 않았으며, 색소 번짐 현상이 매우 심하게 확인 되었다. D상 에멀젼 자체를 이용한 상품화의 경우 불가능한 것으로 고려되어진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제품화에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어 비교예 3의 경우 경도 및 pH 측정 외에 추가적인 테스트는 제외하였다.
시험예 1: 경도 및 pH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pH 및 점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샘플들을 25℃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브룩필드사의 LVT 점도계 (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64번 PIN 12RPM으로 점도를 측정 하였으며, pH 미터 측정기(Bench pH meter HI 4221)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H 7.05 6.89 6.98 7.31
점도 19000 16000 18000 5000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과 비교 예 1 및 2의 조성물의 점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pH의 수치는 제형 안정도 및 방부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pH 부분은 실시예가 7.05 로 중성에 가까운 영역이며, 비교예 1, 2는 약 7.0 정도로 유사하게 확인 되었다.
반면에 비교 예 3은 점도가 낮으며, 실시예 및 비교 예 1, 2에 비하여 pH 가 약간 높게 확인 되었다.
시험예 2: 보습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평가방법은 건강한 성인 여성 5명(평균연령 26.2세)에 도포 후 보습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래프(도 1)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보습력 측정 시 먼저, 시험부위(하박 내측, 22 cm2)의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으며, 제품 20㎕을 시험부위에 도포하여 흡수시킨 후, 제품 도포 30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3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량과 변화율을 산출한 뒤, 무도포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피부수분변화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3 가지군 모두 무포도와 비교 시 보습력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실시예의 보습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무포도와 비교 시 약 2.7배 향상된 결과를 보이며, 비교예 1과 비교 시 약 1.8배, 비교예2와 비교 시 약 1.5배 높은 보습력을 확인하였다. 8시간까지 피부 보습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1 및 2의 경우 약 2시간 경과 후 무도포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보습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 > 비교예 2 > 비교예 1 의 순서로 보습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D상 에멀젼을 적용한 본원발명 실시예가 보습력이 가장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습 지속력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광택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ro-TRI-gloss ( BYK Gardner,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 2와 점증제가 달리 사용되었으며, 비교예 1에 적용된 점증제인 Carbomer의 경우 일반적으로 광택력이 떨어지는 원료로 육안상으로 확인 시 광택력이 떨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며, 따라서 광택력 평가에 제외하였다.
테스트를 위하여 인조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인조가죽 실험부위(48cm2)에 제품 도포 전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한 후 실험부위에 제품을 120㎕ 씩 도포 하고 해당 지점의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60℃ 반사율 측정값을 기준으로 70 이상이면 20도 반사율로, 10 이하이면 85도 반사율로 결과를 도출하여 전, 후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2의 도포전후 반사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광택력 테스트 결과, 그래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광택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포 전과 비교시 약 2.6배가량 향상된 광택력을 지니고 있으며, 비교 예2와 비교시 약 2배가량 향상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D상 에멀젼을 적용한 본원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광택력을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4의 온도에 따라 항온조에서 14일 동안 보관하여 외관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25℃
37℃
45℃
cycle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안정도가 전반적으로 여러 조건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들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7)

  1. D상 에멀젼을 수상부에 가용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은 디페닐디메치콘, 글리세린, 스쿠알란, 정제수, 트리에칠헥사노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소듐시트레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보습제, 점증제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은 D상 에멀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디페닐디메치콘 0.01 ~ 10 중량%, 글리세린 1 ~ 20 중량%, 스쿠알란 0.01 ~ 7 중량%, 정제수 0.1 ~ 25 중량%, 트리에칠헥사노인 0.01 ~ 7 중량%,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0.01 ~ 3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상 에멀젼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감, 광택감 및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액상루즈, 립밤 및 립글로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55980A 2016-11-22 2016-11-22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7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980A KR101878687B1 (ko) 2016-11-22 2016-11-22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13316 WO2018097584A1 (ko) 2016-11-22 2017-11-22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980A KR101878687B1 (ko) 2016-11-22 2016-11-22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15A true KR20180057815A (ko) 2018-05-31
KR101878687B1 KR101878687B1 (ko) 2018-07-17

Family

ID=6219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980A KR101878687B1 (ko) 2016-11-22 2016-11-22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8687B1 (ko)
WO (1) WO20180975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353A1 (ja) * 2019-06-03 2020-12-1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唇用化粧料
KR102535756B1 (ko) * 2023-02-28 2023-05-30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2201A1 (en) * 2019-06-13 2020-12-17 Aesthetics Biomedical, Inc. Biologic preserv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KR102334717B1 (ko) * 2019-10-29 2021-1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62795B1 (ko) * 2020-05-25 2022-11-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입자 및 파우더 과립을 포함하는 수분산타입 화장료 제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794B1 (ko) * 2020-10-19 2022-11-03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CN114392198A (zh) * 2022-01-14 2022-04-26 广州暨大美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879A (ko) * 2010-09-27 2012-04-04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유화 조성물
KR20130033772A (ko) * 2011-09-27 2013-04-04 한국콜마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553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KR101608688B1 (ko) * 2009-11-23 2016-04-05 (주)아모레퍼시픽 수상 검을 사용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6088901A (ja) * 2014-11-07 2016-05-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88B1 (ko) * 2009-11-23 2016-04-05 (주)아모레퍼시픽 수상 검을 사용하는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1879A (ko) * 2010-09-27 2012-04-04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유화 조성물
KR20130033772A (ko) * 2011-09-27 2013-04-04 한국콜마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553A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JP2016088901A (ja) * 2014-11-07 2016-05-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組成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353A1 (ja) * 2019-06-03 2020-12-1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唇用化粧料
JP2020196680A (ja) * 2019-06-03 2020-12-10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唇用化粧料
CN113873994A (zh) * 2019-06-03 2021-12-31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乳化唇用化妆料
CN113873994B (zh) * 2019-06-03 2024-05-24 株式会社资生堂 水包油型乳化唇用化妆料
KR102535756B1 (ko) * 2023-02-28 2023-05-30 주식회사 위즈온컴퍼니 립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687B1 (ko) 2018-07-17
WO2018097584A1 (ko)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87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E202011110588U1 (de) Alkylcellulose-haltige wässrig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CN109674687B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KR20100043453A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JP7075926B2 (ja) 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唇用化粧品およびメーキャップ方法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DE60225142T2 (de) Stabile kosmetische emulsion mit polyamid-geliermittel
JP3418881B2 (ja) 油性固型化粧料
JP2016193847A (ja) 外用組成物
JPH075449B2 (ja) W/o型の唇用化粧料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2007500749A (ja) ポリアミドを含む安定な化粧用エマルション
KR20140110400A (ko)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15127B1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5246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3529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470B1 (ko) 셀프태닝용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199519B1 (ko) 버터류를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89B1 (ko)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1544A (ko) 겔상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20180114442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