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246A - 입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246A
KR20090085246A KR1020080011047A KR20080011047A KR20090085246A KR 20090085246 A KR20090085246 A KR 20090085246A KR 1020080011047 A KR1020080011047 A KR 1020080011047A KR 20080011047 A KR20080011047 A KR 20080011047A KR 20090085246 A KR20090085246 A KR 2009008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lip gloss
water
cosmetic composition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양종택
선진규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246A/ko
Publication of KR2009008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입술에 수성성분과 보습성분을 함유시켜 수분을 공급하며 동시에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주는 이중보습력을 가지며, 끈적임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한 새로운 제형의 겔타입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총 중량에 대하여 수성성분으로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키고, 보습성분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소르비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에리스리톨,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루코스, 말티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켜 겔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 또한 포함된다.
립글로스, 화장료, 이중보습, 물, 보습성분, 겔, 입술

Description

입술 화장료 조성물{A LIP COSMETIC COMPOSITION}
일반적으로 입술은 피지선이 없으며, 각질층이 극히 엷고 표층이 각화하지 않는 등 인체의 다른 피부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입술에 있어서 수분은 특히 매우 중요하다. 일반피부에서의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e Factor) 값이 0.76 μmol/㎎인데 반하여 입술의 천연보습인자 값은 0.12 μmol/㎎으로 낮으며,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는 일반피부가 11 ~ 19 g/(m2ㆍhr)인데 반하여 입술이 40 ~ 78 g/(m2ㆍhr)로 상당히 빠르게 건조되기 쉽다. 수분량은 일반피부가 30 ~ 39 μΩ이며, 입술피부는 16 ~ 25 μΩ으로 일반피부에 비하여 수분량이 훨씬 적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일반피부와 비교할 경우 입술에서의 수분의 휘산도가 6배에 이르고, 적당한 보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과 입술의 내ㆍ외적 요인에 의해 점차적으로 입술이 트거나 거칠어지는 상태가 가속화 된다(대한민국 공개 10-2004-0058669).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현재까지 입술에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그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포스포리피트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를 이용하여 왁스 및 오일성분을 물에 유화시켜 입술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조성물은 수용성 보습성분과 안료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응집현상이 발생되어 경시변화와 함께 채도의 저하가 발생되고, 유화제품 특유의 백탁 현상이 발생되는 등 장기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부의 각질층처럼 보습성분을 레시친 등과 같은 지질성분을 사용하여 라멜라 구조로 에워싸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질성분은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일본공개특허 61-83110호).
한편, 글리세롤올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1: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오일과 보습제와의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다량의 보습제를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WO 94/06401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등과 같은 상온 이하의 크래프트 포인트를 지닌 계면활성제 및 레시친으로 보습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WO 94/0640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도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및 커플링제에 의해 극히 얇은 각질구조를 지닌 입술피부에 어느 정도 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보습 화장료가 개발 되어 왔는데, 보습 화장료라는 단어에서 사용되는 보습이라는 의미는 국어사전뿐만 아니라 어디에도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보습을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였는데, 그 첫째 의미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 준다는 의미의 보습(補濕)이 있을 수 있으며, 둘째로 피부로부터 수분을 보호해 준다는 의미의 보습(保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입술 보습 화장료는 거의 후자의 의미를 갖는 제품으로 천연보습인자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원료를 사용하여 수분 증발에 대한 단순한 물리적 차단효과를 증가시키는 제품에 불과하며, 실제적으로 전자와 같이 입술에 수분을 공급하는 의미의 보습(補濕) 기능을 주면서 동시에 후자와 같이 입술의 수분을 보호해 주는 보습(保濕) 기능을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에 광택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립글로스는 유상성분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소량이라도 물을 함유시키면 분리가 일어나거나 탁도가 높아져 제품 자체 또는 도포 시 색상이 선명하지 못하여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수용성 보습성분 등을 전혀 함유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립글로스는 제품의 성상 및 고온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오일 경화제 기능을 할 수 있는 고급알콜이나 식물성, 동물성 또는 광물성 왁스류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품 특성상 현탁 되어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왁스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 시, 고온에서 오일과 왁스의 분리현상 및 오일이 제품 표면에 이슬처럼 맺히는 발한현상을 일으키기 쉬우며, 입술에 대한 부착성 및 광택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부텐 등의 연고상 성분은 제품의 사용자에게 끈적이는 불만족스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입술에 수성성분과 보습성분을 함유시켜 수분을 공급하며 동시에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주는 이중보습력을 가지며, 끈적임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한 새로운 제형의 겔타입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총 중량에 대하여 수성성분으로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키고, 보습성분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소르비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에리스리톨,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루코스, 말티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켜 겔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립글로스는 입술의 수분증발에 대한 단순한 지연효과에 그쳤던 종래의 립글로스와는 달리 입술 전체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고 동시에 수분증발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이중보습효과를 가지며, 또한 끈적임으로 인한 불쾌한 사용감을 주는 종래의 립글로스와 달리 끈적임이 없으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한 향상된 효과를 갖는 새로운 제형의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로 화장품 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술은 피지선이 없으며, 각질층이 극히 엷고 표층이 각화하지 않는 등 인체의 다른 피부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기 때문에 입술에 있어서 수분은 특히 매우 중요하다. 일반피부에서의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e Factor) 값이 0.76 μmol/㎎인데 반하여 입술의 천연보습인자 값은 0.12 μmol/㎎으로 낮으며, 수분이 증발되는 속도는 일반피부가 11 ~ 19 g/(m2ㆍhr)인데 반하여 입술이 40 ~ 78 g/(m2ㆍhr)로 상당히 빠르게 건조되기 쉽다. 수분량은 일반피부가 30 ~ 39 μΩ이며, 입술피부는 16 ~ 25 μΩ으로 일반피부에 비하여 수분량이 훨씬 적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일반피부와 비교할 경우 입술에서의 수분의 휘산도가 6배에 이르고, 적당한 보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과 입술의 내ㆍ외적 요인에 의해 점차적으로 입술이 트거나 거칠어지는 상태가 가속화 된다.(대한민국 공개 10-2004-0058669)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현재까지 입술에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그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포스포리피트와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의 분산제를 이용하여 왁스 및 오일성분을 물에 유화시켜 입술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조성물은 수용성 보습성분과 안료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응집현상이 발생되어 경시변화와 함께 채도의 저하가 발생되고, 유화제품 특유의 백탁 현상이 발생되는 등 장기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부의 각질층처럼 보습성분을 레시 친 등과 같은 지질성분을 사용하여 라멜라 구조로 에워싸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질성분은 화학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일본공개특허 61-83110호).
한편, 글리세롤올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1:1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오일과 보습제와의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다량의 보습제를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WO 94/06401호), 솔비탄올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등과 같은 상온 이하의 크래프트 포인트를 지닌 계면활성제 및 레시친으로 보습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WO 94/0640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도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및 커플링제에 의해 극히 얇은 각질구조를 지닌 입술피부에 어느 정도 자극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보습 화장료가 개발되어 왔는데, 보습 화장료라는 단어에서 사용되는 보습이라는 의미는 국어사전뿐만 아니라 어디에도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보습을 크게 두 가지로 정의하였는데, 그 첫째 의미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 준다는 의미의 보습(補濕)이 있을 수 있으며, 둘째로 피부로부터 수분을 보호해 준다는 의미의 보습(保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입술 보습 화장료는 거의 후자의 의미를 갖는 제품으로 천연보습인자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원료를 사용하여 수분 증발에 대한 단순한 물리적 차단효과를 증가 시키는 제품에 불과하며, 실제적으로 전자와 같이 입술에 수분을 공급하는 의미의 보습(補濕) 기능을 주면서 동시에 후자와 같이 입술의 수분을 보호해 주는 보습(保濕) 기능을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 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에 광택과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립글로스는 유상성분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소량이라도 물을 함유시키면 분리가 일어나거나, 탁도가 높아져 제품 자체 또는 도포 시 색상이 선명하지 못하여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수용성 보습성분 등을 전혀 함유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립글로스는 제품의 성상 및 고온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오일 경화제 기능을 할 수 있는 고급알콜이나 식물성, 동물성 또는 광물성 왁스류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제품 특성상 현탁 되어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왁스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 시, 고온에서 오일과 왁스의 분리현상 및 오일이 제품 표면에 이슬처럼 맺히는 발한현상을 일으키기 쉬우며, 입술에 대한 부착성 및 광택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부텐 등의 연고상 성분은 제품의 사용자에게 끈적이는 불만족스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함유하지 못하는 종래의 립글로스보다 발전된 기술로, 입술에 수성성분과 보습성분을 함유시켜 수분을 공급하며 동시에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기능을 주는 이중보습력을 가지며, 끈적임 없는 부드러운 발림성을 가지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한 새로운 제형의 겔타입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총 중량에 대하여 수성성분으로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 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키고, 보습성분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소르비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에리스리톨,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루코스, 말티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켜 겔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 또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립글로스에 수성성분으로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미만 함유시킬 경우에는 입술에의 수분공급이라는 목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90%를 초과하여 함유시킬 때는 목표로 하는 립글로스 사용감을 얻기 어렵다. 또한, 보습성분으로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소르비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에리스리톨,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루코스, 말티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미만 함유시킬 경우에는 입술의 수분을 지킨다는 목표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고, 90%를 초과하여 함유시킬 때는 목표로 하는 립글로스 사용감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입술에 실질적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의 보습(補濕)을 위한 방법으 로 수성성분을 사용하며, 입술에서의 수분증발을 막아주는 기능의 보습(保濕)을 위해 수용성 보습성분을 1종 이상으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수성성분과 보습성분을 혼합 사용하였을 때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물을 함유하는 겔타입 립글로스를 제조할 수 있으며, 유성성분으로 이루어진 립글로스보다 우수하거나 또는 유사한 사용감을 갖는 겔타입 립글로스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 상기와 같은 배합에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카보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겔화제를 사용하여 성상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1. 비교예 실시예
1) 비교예의 제조
종래의 일반적인 립글로스인 비교예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의 원료 1 ~ 6을 함께 칭량한 후 80℃에서 교반기(Heidon mixer, Model BL 1200, 新東科學 Co., 일본)를 이용하여 300 rpm으로 30분간 완전히 균일혼합하여 밀폐 보관하며 실 험에 이용하였다.
원 료 비교예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46.0
2. 피토스테아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레이트 5.0
3.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5.0
4. 폴리부텐 25.0
5. 소르비탄올리베이트 3.0
6. 색소, 방부제 적량
2) 실시예의 제조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1 ~ 3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같이 겔타입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원료 1 ~ 3을 함께 칭량하여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300 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시켜 혼합물 I을 만든다. 그 후 원료 4, 5를 함께 칭량하여 상온에서 혼합기(T. K. robo mics, Model 957015B, Tokushu Kika Kogyo Co., 일본)를 이용하여 1400 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상온에서 1400 rpm으로 계속 교반하면서 혼합물 I을 서서히 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상온에서 원료 6, 7을 가하여 5분간 교반하여 밀폐 보관하며 실험에 이용하였다.
원 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프로필렌글라이콜 20.0 - 10.0
3. 1,3-부틸렌글라이콜 - 20.0 10.0
4.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5 1.5 1.5
5. 글리세린 25.0 25.0 25.0
6.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적량 적량
7. 색소,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2. 시험예
시험예 1: 보습력 실험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에서 제조한 립글로스의 피부수분 보유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20 ~ 30대의 여성 실험자 10명을 일정한 온도 및 습도(온도 22±2℃, 상대습도 40±2%)를 유지하는 항온ㆍ항습실에서 약 20분 동안 유지토록 한 후, 상기 종래의 립글로스인 비교예와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3에 대하여 각각의 시료 0.02 g을 입술 좌우에 각각 도포하여, 도포하기 전과 후의 피부수분 보유량을 피부상태측정기(Cornneometer CM 825, C+K Co., 독일)를 이용하여 사용 전, 사용 후 10분, 30분, 2시간, 3시간에 각각 측정하고, 보습증가율을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수분 보유량의 단위는 임의 단위인 Arbitrary Unit(AU)이고, 보습증가율의 단위는 %이다.
<수식>
보습증가율(%) = (Ti-To)/Ti×100
(단, 여기서 Ti는 제품 도포 후 피부수분 보유량, To는 제품 도포 전 피부수분 보유량)
비교예 실시예3
피부수분 보유량 보습증가율 (%) 피부수분 보유량 보습증가율 (%)
사용 전 36 0.0 36 0.0
10분 후 40 10.0 84 57.1
30분 후 45 20.0 84 57.1
2시간 후 46 21.7 75 52.0
3시간 후 48 25.0 72 50.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3의 립글로스는 보습증가율(%)이 종래의 립글로스보다 장시간에 걸쳐 현저히 높게 측정되어 수분공급 효과인 보습(補濕)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피부수분 보유량도 종래의 립글로스보다 현저히 높게 측정되어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보습(保濕) 효과도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한 이중보습 립글로스는 종래의 일반 립글로스가 공급하지 못하는 우수한 수분 공급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증발 방지 효과도 일반 립글로스보다 우수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이중보습효과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제형의 립글로스라 할 수 있다.
시험예 2: 안정성 실험
종래의 립글로스인 비교예와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3을 지름 1.4 cm, 길이 5.7 cm의 원통형 용기에 충전한 후, 25℃, 45℃ 및 55℃ 항온조, 일광함, 자외선함, 형광등함에서 6개월 동안 보관하며 내용물의 상태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25℃ 4.8 4.7 4.8 4.6
45℃ 4.3 4.2 4.3 4.5
55℃ 3.9 4.0 3.8 3.8
일광 3.1 3.2 3.3 3.1
자외선 3.5 3.7 3.6 3.4
형광등 3.3 3.4 3.3 3.4
<평가>
5점(매우 양호), 4점(양호),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1 ~ 3의 립글로스와 종래의 립글로스인 비교예 모두 각각의 조건 하에서 큰 문제 없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사용감 실험
20대에서 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종래의 립글로스인 비교예와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3의 립글로스를 1개월 씩 교대로 사용하게 한 후 각각의 립글로스에 대한 발림성, 끈적임 및 색 선명도를 평가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3
끈적임 4.6 2.2
발림성 2.3 4.1
색선명도 3.2 4.5
광택도 3.5 4.6
전연성 2.3 4.2
지속력 2.8 4.3
<평가>
5점(매우 양호), 4점(양호),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3의 립글로스가 비교예보다 발림성, 끈적임, 색선명도, 광택도, 전연성, 지속력 등 전 분야에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립글로스인 비교예는 끈적임이 높기 때문에 잘 발리지 못하고 전연성이 나쁘며, 광택도와 색 선명도가 떨어지고 잘 묻어나므로 지속력이 떨어지며, 본 발명을 실시한 대표적인 실시예 3은 끈적임이 적기 때문에 입술에 잘 발리고 전연성이 우수하며, 그에 따라 광택도와 색 선명도가 높아지고 잘 묻어나지 아니하기 때문에 지속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입술의 수분증발에 대한 단순한 지연효과에 그쳤던 종래의 립글로스와는 달리 입술 전체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고 동시에 수분증발 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이중보습효과를 가지며, 또한 끈적임으로 인한 불쾌한 사용감을 주는 종래의 립글로스와 달리 끈적임이 없으며, 안정성 및 색 선명도가 우수한 향상된 효과를 갖는 새로운 제형의 겔타입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로 화장품 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성성분과 보습성분을 함유하여 겔을 형성하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성성분으로 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 또는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또는 물과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키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보습성분으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아루론산, 트레할로스, 세라마이드(03), 자일리톨, 소르비톨, 판테놀, 라이신피씨에이, 우레아, 에리스리톨, 만난, 피이지-8, 메칠글루세스-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루코스, 말티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 90%가 되도록 포함시키는 립글로스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립글로스.
KR1020080011047A 2008-02-04 2008-02-04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5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47A KR20090085246A (ko) 2008-02-04 2008-02-04 입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47A KR20090085246A (ko) 2008-02-04 2008-02-04 입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46A true KR20090085246A (ko) 2009-08-07

Family

ID=4120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47A KR20090085246A (ko) 2008-02-04 2008-02-04 입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2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10B1 (ko) *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09778A3 (en) * 2010-07-22 2013-02-07 Evidence Soluções Farmacêuticas Ltda Epp A stable topical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stable topical composition
CN116650380A (zh) * 2023-06-21 2023-08-29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微循环的抗衰老茶叶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10B1 (ko) * 2009-12-31 2012-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009778A3 (en) * 2010-07-22 2013-02-07 Evidence Soluções Farmacêuticas Ltda Epp A stable topical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stable topical composition
US9572770B2 (en) 2010-07-22 2017-02-21 Evidence Solucões Farmacêuticas Ltda Epp Stable topical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stable topical composition
CN116650380A (zh) * 2023-06-21 2023-08-29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微循环的抗衰老茶叶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650380B (zh) * 2023-06-21 2024-05-17 广州中妆美业化妆品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微循环的抗衰老茶叶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0058B (zh) 水中油型皮膚外用劑
KR101878687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2172A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12857A2 (en) Surfactant-free oil-in-water type emulsion,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s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307491A (ja) ヘパリン類似物質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23915B1 (ko)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TWI535459B (zh) 化妝料
KR20090085246A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37397B1 (ko) 보습지속력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JP6169240B1 (ja) リノール酸含有組成物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033A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2008214210A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20160071744A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90009865A (ko) 입술화장료의 보습성 향상을 위한 w/o형 유화베이스 및 이를 함유한 입술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