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86B1 -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86B1
KR102228086B1 KR1020200124685A KR20200124685A KR102228086B1 KR 102228086 B1 KR102228086 B1 KR 102228086B1 KR 1020200124685 A KR1020200124685 A KR 1020200124685A KR 20200124685 A KR20200124685 A KR 20200124685A KR 102228086 B1 KR102228086 B1 KR 102228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amples
water
lavender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이보라
Original Assignee
(주)아름다운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름다운화장품 filed Critical (주)아름다운화장품
Priority to KR102020012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효과와 암모니아 악취제거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로즈워터, 라벤더워터 및 로즈오일,라벤더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항균 및 소취 효과와 암모니아 악취제거에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자극이 적어 인체에 무해하고 염모제등 헤어제품에 적용되기에 용이하고, 항균기능이 뛰어나 방부제와 자극완화제를 줄여 경쟁 염모제품 대비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차별화된 염모제품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Hair coloring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and deodorizing activity and ammonia odor removal effet}
본 발명은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로즈워터,라벤더워터와 로즈오일,라벤더 오일을 원료로 하여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극대화시킨,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품에 있어서 일반염색의 원리는 산화염료중간체와 산화제, 알카리제의 필수성분이 모발내부의 콜텍스층에서 산화 중합작용을 일으켜 탈색과 발색을 동시에 일으켜 염색이 완료된다.
식물,금속혼합형 염색제의 염색원리는 제1제인 피로갈롤을 먼저 모발에 바르면 모발에 침투해서 연하게 만들고 20분이 지나고 제2제인 황산철을 덧 바르면 모발내에서 피로갈롤과 착염을 형성해 검은색으로 변하면서 염색이 된다.
산성 염색제의 원리는 모발내부로 염료가 침투하지 않고 열을 가하여 모발 표면에 염료를 코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색상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염색효과의 차이에 따라 영구 염모제, 반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로 구분할 수 있다.
영구 염모제는 색소 형성물질이 모발 내부의 코텍스(Cortex)또는 메듈라(Medulla)층까지 침투하여 화학변화를 일으켜 염색의 효과가 장기간으로 지속된다.
영구 염모제는 1제와 2제의 2가지로 구성되어,1제에는 PPD성분등 염료와 알카리제를 함유하고 2제에는 과산화수소등 발색제(developer)나 산화제의 역할을하는 성분을 함유하여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여 탈색시키는 동시에 인공색소를 모발 내부로 침투시켜 컬러를 바꿔준다.
염색시 1제와 2제를 혼합하여 모발에 발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주성분의 혼합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 형성된 탈색과 발색은 샴푸나 클렌져등에 의해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반영구 염모제는 코팅칼라나 헤어매니큐어로 부작용이나 모발손상이 없으며 모발 표면에만 염색되어 색상 지속력이 짧은편이다.
반영구 염모제는 탈색된 모발의 염색에 적합하고 특히 부분 탈색후 모발의 특정부위에 하이라이트를 주는데 효과적이며 염색기간은 3-4주 지속되나 샴푸를 반복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칼라가 없어지기에 다양한 칼라로 변화를 원하면 반영구 염모제를 이용하면 된다.
일시염모제는 한번하면 바꿀수 없는 영구염색제와는 달리 염색후 한번의 샴푸만으로 염색되는 색상이 다 지워지는 것으로 헤어 마스카라, 칼라 스프레이, 칼라무스,헤어스프레이등이 해당된다.
입자크기가 커서 표피층을 뚫고 들어가지 못해서 쉽게 세정된다.
처방의 색조는 흑색산화철, 염료가 주성분이고 산화 염료도 이용된다.
이들중 영구 염모제는 식물성,금속성, 산화형 염모제로 나눌수 있다.
식물성 염모제는 헤나,인디고잎가루,테너스카시아잎가루,세나잎가루등을 이용한 것으로 염색효과가 낮고 밝게 염색하기 어렵다.
금속염모제는 납이 산화될 때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것으로 인체에 독성이 있어 사용 하지 않는다.
산화형 염모제는 염색효과가 좋고 밝은 색으로 염색이 가능하며 가장 널리 사용된다.
산화형 염모제는 제1제는 염료중간체인 디아민계 화합물과 알칼리제가 함께 들어있고, 제2제는 산화제로 구성되는데 제1제의 염료중간체는 산화제와 혼합되면 염료로 바뀌면서 색을 내는 색원물질인데 이러한 염료중간체로 p-페닐렌디아민+ p-아미노페놀(암갈색-적자색),o-아미노페놀(황갈색),p아미노페놀(다갈색),모노니트로-p-페닐렌디아민(적색),p-톨루엔디아민(다갈색-흑갈색),p-페닐렌디아민(흑색)과 같이 여러종류가 비율에 따라 각각 다른색을 만들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의 알칼리제는 모발을 팽윤, 연화시켜서 모발 내부로 염료가 침투하도록 도와주는데 이런 알칼리제는 암모니아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등이 있는데 암모니아는 염색이 오래가지만 냄새가 강하고 자극이 있고 모노에탄올아민은 이취가 있고 두피에 자극과 비휘발성이라 모발에 남아 손상이 심하고 모발에 침투가 늦어 염색이 어렵다.
제2제인 산화제는 모발의 천연색소인 멜라닌을 탈색시키고 염료중간체에 작용하여 염료가 되도록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산화제로 과산화수소수를 얘기한다.
일반적인 산화염모제는 강한 산성또는 알칼리성분을 사용함으로 모발성분을 용해시켜 모발을 손상시키는 문제가있고 모발 내부에서의 산화중합에 의해 염착이 이루어지기에 모발의 윤기나 광택이 없어지고 모발이 심하게 손상되고 감촉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증상을 방지시켜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켜주는 염모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두피에 부작용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염모제품은 피부에 안전하고 제형상 안정성이 뛰어난 손상된 모발상태 개선뿐아니라 항균,염증완화등에 의한 암모니아취등 염색제의 소취가 가능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특히 암모니아취등 염모제 베이스의 취는 항균, 항염에 의한 소취로 접근 가능하다.
항균은 약제나 생리활성 물질에 의한 세균과 진균의 생육저해 작용으로 살균적인 것과 정균적인 것으로 크게 나누어 지는데 항균작용으로 중시되는 것이 항생물질(Anti-biotics)이다.
항생물질이 항균작용을 미치게 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범위를 항균역이라 한다.
항생물질의 등장에 의해 대부분의 세균감염증이 제압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항균작용에 저항하는 약제내성균의 출현과 만연은 치료에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세균에 비해서 진균에 대한 작용을 발휘하는 뛰어난 항균제는 적지만 항생물질로서는 니아스타틴이나 클세오플빈이 합성품으로는 살리실산이나 프로피온산, 소르브산염 등이 진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을 의미하며 의학의 개념으로 열, 통증, 발적, 부종을 의미하는 라틴어 calor, dolor, rubor, tumor로 정의된다.
이러한 염증의 원인은 기계적 상해작용, 온도 및 방사선등의 물리적 인자 독물 등의 화학적 인자, 세균감염 등의 기생체에 의한 것 등이 있다.
최근 인체인 두피에서 발생하는 냄새의 소취나 탈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데 악취 유발 물질은 10만종 이상이 있는데 특히, 아민류, 황화수소 및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성 물질이 대표적이고 또한 인체내에서 분비되는 땀과 피지가 취의 원인이 된다.
이중 모공에서 분비되는 피지는 땀이나 공기 중의 세균이나 곰팡이 균이 섞이면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게 되는데 많이 분비될 수록 염증이 생기면 세균에 대한 억제력이 약해져 냄새가 더 심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천연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소취 효과를 발휘하는 염모제에 기술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특히, 그 자체로 다양한 향염, 항균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 허브 성분을 활용한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
일예로, "천연허브파우더를 함유하는 태블릿 염모제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412호, 특허문헌 1)에는 레몬글라스 파우더를 염모제 조성물로 하여 제조한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모발의 염색 성능에 관한 실험만 실시되었을 뿐, 천연 허브를 활용함으로 인한 소취나, 항균 효과가 있는 지의 여부는 판단되지 못한 바 있다.
또다른 기술로, "천연물질을 함유한 저자극성 염모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607호, 특허문헌 2)에는 천연 허브인 라벤더 오일 성분이 특정 함량 포함되는 염모제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염모제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만 있었을 뿐, 소취 성능이나 항균 성능에 대해서는 판단되지 못했다.
한편, "허브컴플렉스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1422호, 특허문헌 3)에는 레몬밥, 라벤더 등을 원료로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의 조성물은 소취 효과 및 피부 질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첨가되는 허프 원료는 그 종류 및 개별 함량에 대한 설명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당나귀 껍질 추출물, 천연 발효뮬, 치자, 비트, 아로니아 등 여러 다른 원료가 포함되는 바, 허브의 종류나 함량만으로 소취 및 피부 질환 억제 효과를 달성하는 지가 불분명하다.
KR 10-2018-0080412 (2018.07.12) KR 10-1284607 (2013.07.04) KR 10-1901422 (2018.09.17)
본 발명의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항균,소취 효과가 우수한 다기능 소취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독성이 없고 피부자극이 적고 인체에 무해한 다기능 소취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즈오일,로즈워터,라벤더오일,라벤더워터를 이용해 암모니아 취등 염색제 베이스취를 극소화한 우수한 염모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의 사항들과 부합된 염모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즈오일,로즈워터,라벤더오일,라벤더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즈워터, 라벤더워터는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되고 로즈오일, 라벤더오일은 물을 혼합한 후 가열 및 증류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즈오일은 조성물 전체의 0.0001 ~ 3 중량%, 로즈워터는 0.1 ~ 45.0 중량 %, 라벤더오일은 0.1~7 중량%, 라벤더워터는 0.1~35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유효성분은 염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3001 ~ 9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조성물은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자극이 적어 인체에 무해하고 염모제등 헤어제품에 적용되기에 용이하다.
또, 항균 기능이 뛰어나 방부제와 자극완화제를 줄여 경쟁 염모제품 대비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차별화된 염모제품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녹농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로즈오일(Rose Oil),라벤더오일( Lavender oil)로즈워터(Rose Water),라벤더워터(Lavender Wate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로즈오일(Rose Oil),라벤더오일( Lavender oil)로즈워터(Rose Water),라벤더워터(Lavender Water)는 꽃,잎,줄기,뿌리중 하나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전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벤더를 분절 또는 분쇄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추출하거나 각각 추출할 수 있으며 두가지 모두 추출시 열수나 유기용매로 추출하며 이 용매가 다른 두가지 추출방법으로 효능성분은 쉽게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방법은 크게 열수,유기용매,초임계등 3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열수추출방법은 온도는25~100℃ 범위내에서 추출시간은 6~12h 범위에서 추출조건을 맞추어 액상이나 파우더 결과물에 맞추어 여과, 원심분리,냉각등의 조건을 추가해 준다.
유기용매 추출은 부틸렌글라이콜,글리세린,에틸렌글라이콜,에탄올,프로필렌글라이콜등 용매의 종류에따라 다양한 추출이 가능하면 용매의 방부능력에 맞춰 조성물의 처방도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과 에탄올을 많이 사용한는데 에탄올의 경우는 에탄올농도(%)를 25~100%중의 범위에서 추출온도를 25~100℃범위에서 그리고 시간은 6h~12h에서 비교하여 조합시험을 거쳐 최적의 수율이 좋은 농도,온도,시간 조건으로 추출가능한데 최종 결과물의 조건별 수율이 경제적 생산성과 연관된다.
초임계추출물은 특수한 장비를 추출물의 떨어뜨린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추출물의 세포벽을 무너뜨려 추출물이 갖고있는 본성분을 그대로 순도높게 추출하는 방법이다 초임계추출은 상기 열수나 유기용매추출법과 다르게 저온에서 추출이 가능하여 천연물의 종류에 따라 온도별 영양성분의 파괴에 제한되지 않게 저온추출이 가능한게 장점이나 미생물의 오염등의 부가적 문제는 자체 방부력을 통해서 개선가능하나 비용등 처방의 경제성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위의 3가지 종류중 열수와 유기용매추출법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유기용매중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추출물과 다르게 오일의 경우 추출법은 크게 용매이용과 아닌거로 나누어 지는데 크게는 냉침법,온침법,용매추출법,초임계이산화탄소추출법,수증기증류법,압착법이 있는데 용매이용법은 냉침법과 오일,물,알코올,헥산을 용매로 하는법과 초임계이산화탄소추출법이 있다.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추출방법은 과피를 압착하는 압착법과 식물을 가열하여 생긴 증기와 오일분자가 냉각터널을 통과하여 증류액과 오일로 나누어지게 하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는데 라벤더 오일은 물을 이용한 용매추출을 사용하는데 추출방법은 라벤더의 천연물을 이용하여 천연물을 200gr에 물 4,000mL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80~120℃에서 24~48h시간 가열,증류하여 오일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의 열수 추출방법은 라벤더의 천연물을 이용하여 천연물을 각각 100g에 물 4,000mL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50~100℃에서 12~24h시간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을수 있는데 이추출은 100℃에서 8시간이상 가온조건으로 가열하여 추출하여 위의 라벤더의 추출성분이 손상되지 않고 추출할 수 있었다.
위의 열수추출한후에 환류냉각추출,초음파추출,냉침추출등을 사용하여 여과,농축,건조하여 다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상기 원료들을 파우더로 진행시 크림이나 젤타입등 염모제의 다양한 제형에서 최적의 용해조건을 만족시켜주지 못할뿐 아니라 효과범위의 함량을 용해시켜도 실온과 저온에서 장시간 노출시 재석출되기에 제형의 안정성에서 부적합 요인이 되서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성분을 활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의 유기용매추출은 유기용매추출은 위의 라벤더수를 만들기위해 각각의 천연물을 분쇄한 100중량부 및 유기용매 에탄올50%에 물혼합 용매 4,000mL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100℃에서 가열하여 추출되며 유기용매는 에탄올,글리세린,프로필렌글라이콜,부틸렌글라이콜,헥산 중
알코올추출물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벤질알코올 및 폴리알코올 중에서 에틸알코올을 사용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탄올 농도(%)를 25~100%중의 범위에서 추출온도를 25~100℃범위에서 그리고 시간은 6h~12h에서 비교하여 조합시험을 거쳐 최적의 수율이 좋은 상기의 농도,온도,시간 조건으로 추출하였고 용매추출한후에 환류냉각추출,초음파추출,냉침추출등을 사용하여 여과,농축,건조하여 손상되지 않는 로즈오일,라벤더오일,로즈워터,라벤더워터의 다양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균,소취기능이 뛰어난 로즈오일,라벤더오일,로즈워터,라벤더워터가 시너지효과로 조성물에 함유시 항균,소취효과가 증대되고 염증이 개선되며 소취효과가 뛰어난 염모제 조성물을 만들수 있고 유사효과를 갖는 제품들과 비교시 혼합물수가 적은 경제적 생산성의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및 실험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명기되는 로즈워터,라벤더워터는 원료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건조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준비한 후, 각 원료별 분쇄물 100g에 물 4,000mL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00℃에서 12~24h이상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수득하였다.
이때, 분쇄물 100g당 유기용매 에탄올50%에 물혼합 용매 4,000mL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00℃에서 8시간 가열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명기되는 로즈오일,라벤더오일은 라벤더 200g에 물 4,000mL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80~120℃에서 24~48h시간 가열, 증류하여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로즈오일,라벤더오일,로즈워터,라벤더워터의 조합에의한 시너지효과 비교를 위해서 크림타입의 염모제 제형과 젤타입의 샴푸형 염모제 제형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하여 로즈오일,라벤더오일,로즈워터,라벤더워터의 효과를 데이터화 하였다. 먼저 아래 실시예,비교예는 크림타입 염모제 비교 데이터입니다.
<실시예 1, 2, 비교예 1 내지 4의 제조>
아래 표1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2 및 비교예1~4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0.0001 0.1 3.1 3.2 3.3 3.4
로즈워터 0.1 1.0 0.01 0.01 0.01 0.01
라벤더오일 0.1 0.25 7.1 7.1 7.1 7.1
라벤더워터 0.1 0.8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2 및 비교예 1~4의 염모제에 대한 피부 자극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했다.
30~60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선정인원은 10명으로하여 실시하였고 첩포부위는 왼팔 상박부를 에탄올로 닦아내어 미생물을 제거하고 30분동안 건조후 크림염모제품을 1g씩 48시간동안 첩포한후 시간별 비교하여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결과는 아래 기준에 의해 판정하고 첩포 시험결과는 표2에 기재했다.
<피부반응 검사 기준>
- : 반응 없음
≠ : 미약한 양성
+ : 양성 반응(홍반)
++ : 강한 양성반응(홍반,부종)
+++ : 심항 양성반응(홍반,부종,수포)
<피부 반응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 20.0 20.0 0 0 0 0
실시예2 20.0 20.0 0 0 0 0
비교예1 20.0 19.0 1 0 0 0
비교예2 20.0 18.0 1 1 0 0
비교예3 20.0 18.0 1 1 0 0
비교예4 20.0 19.0 0 1 0 0
위의 표2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 2와 비교예의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1~4가 실시예1~2보다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1~4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 개선의 효과가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4, 비교예 5 내지 8의 제조>
아래 표3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4 및 비교예5~8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 4 5 6 7 8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0.2 0.3 3.1 3.1 3.1 3.1
로즈워터 2.0 3.0 0.02 0.03 0.04 0.05
라벤더오일 0.4 0.55 7.1 7.1 7.1 7.1
라벤더워터 1.5 2.2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2>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3~4 및 비교예 5~8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냈다.
<피부 반응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3 20.0 20.0 0 0 0 0
실시예4 20.0 20.0 0 0 0 0
비교예5 20.0 19.0 0 1 0 0
비교예6 20.0 19.0 0 1 0 0
비교예7 20.0 18.0 0 0 0 0
비교예8 20.0 18.0 1 1 0 0
위의 표4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3, 4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5~8이 실시예3~4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5~8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6, 비교예 9 내지 12의 제조>
아래 표5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5~6 및 비교예9~1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5 6 9 10 11 12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0.4 0.5 3.1 3.1 3.1 3.1
로즈워터 4.0 5.0 0.01 0.01 0.01 0.01
라벤더오일 0.7 0.85 7.2 7.3 7.4 7.5
라벤더워터 2.9 3.6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3>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5~6 및 비교예 9~12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5 20.0 20.0 0 0 0 0
실시예6 20.0 20.0 0 0 0 0
비교예9 20.0 19.0 0 1 0 0
비교예10 20.0 18.0 1 1 0 0
비교예11 20.0 18.0 1 1 0 0
비교예12 20.0 19.0 0 1 0 0
위의 표 6의 결과를 보면 본 조성물 특허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9~12가 실시예5~6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9~12 각각이 효과 기준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8, 비교예 13 내지 16의 제조>
아래 표7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7~8 및 비교예9~1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7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7 8 13 14 15 16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0.6 0.7 3.1 3.1 3.1 3.1
로즈워터 40.0 45.0 0.01 0.01 0.01 0.01
라벤더오일 2.0 2.15 7.1 7.1 7.1 7.1
라벤더워터 4.3 5.0 35.2 35.3 35.4 35.5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4>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7~8 및 비교예 13~16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7 20.0 20.0 0 0 0 0
실시예8 20.0 20.0 0 0 0 0
비교예13 20.0 18.0 0 0 0 0
비교예14 20.0 18.0 1 1 0 0
비교예15 20.0 19.0 0 1 0 0
비교예16 20.0 19.0 1 0 0 0
위의 표8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13~16이 실시예7~8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13~16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10, 비교예 17 내지 20의 제조>
아래 표9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9~10 및 비교예17~20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9 10 17 18 19 2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0.8 0.9 3.5 3.6 3.7 3.8
로즈워터 8.0 9.0 0.01 0.01 0.01 0.01
라벤더오일 2.3 2.45 7.1 7.1 7.1 7.1
라벤더워터 30.0 35.0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5>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9~10 및 비교예 17~20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9 20.0 20.0 0 0 0 0
실시예10 20.0 20.0 0 0 0 0
비교예17 20.0 18.0 1 1 0 0
비교예18 20.0 18.0 0 0 0 0
비교예19 20.0 18.0 1 1 0 0
비교예20 20.0 19.0 0 1 0 0
위의 표9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17~20이 실시예9~10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17~20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12, 비교예 21 내지 24의 제조>
아래 표11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1~12 및 비교예21~24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1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1 12 21 22 23 24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0 1.1 3.5 3.5 3.5 3.5
로즈워터 10.0 11 0.06 0.07 0.08 0.09
라벤더오일 2.6 2.75 7.1 7.1 7.1 7.1
라벤더워터 7.1 7.8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6>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1~12 및 비교예 21~24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2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1 20.0 20.0 0 0 0 0
실시예12 20.0 20.0 0 0 0 0
비교예21 20.0 19.0 1 0 0 0
비교예22 20.0 18.0 1 1 0 0
비교예23 20.0 18.0 1 1 0 0
비교예24 20.0 19.0 1 0 0 0
위의 표11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21~24가 실시예11~12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21~24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14, 비교예 25 내지 28의 제조>
아래 표13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3~14 및 비교예25~28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3 14 25 26 27 28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2 1.25 3.5 3.5 3.5 3.5
로즈워터 12.0 13.0 0.06 0.06 0.06 0.06
라벤더오일 2.9 3.05 7.2 7.3 7.4 7.5
라벤더워터 8.5 9.2 35.1 35.1 35.1 35.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7>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3~14 및 비교예 25~28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4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3 20.0 20.0 0 0 0 0
실시예14 20.0 20.0 0 0 0 0
비교예25 20.0 19.0 0 1 0 0
비교예26 20.0 18.0 1 1 0 0
비교예27 20.0 19.0 1 0 0 0
비교예28 20.0 18.0 1 1 0 0
위의 표14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25~28가 실시예13~14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25~28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16, 비교예 29 내지 32의 제조>
아래 표15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5~16 및 비교예29~3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5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5 16 29 30 31 32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4 1.45 3.5 3.5 3.5 3.5
로즈워터 14 15 0.06 0.06 0.06 0.06
라벤더오일 3.2 3.35 7.2 7.3 7.4 7.5
라벤더워터 9.9 10.6 35.6 35.7 35.8 35.9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8>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5~16 및 비교예 29~32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5 20.0 20.0 0 0 0 0
실시예16 20.0 20.0 0 0 0 0
비교예29 20.0 19.0 0 1 0 0
비교예30 20.0 18.0 0 0 0 0
비교예31 20.0 18.0 1 1 0 0
비교예32 20.0 18.0 1 1 0 0
위의 표16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29~32가 실시예15~16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29~32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 18, 비교예 33 내지 36의 제조>
아래 표17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7~18 및 비교예33~36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7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7 18 33 34 35 36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5 1.55 3.9 4.0 4.1 4.2
로즈워터 16 17 0.06 0.06 0.06 0.06
라벤더오일 3.5 3.65 7.6 7.6 7.6 7.6
라벤더워터 11.3 12.0 35.2 35.2 35.2 35.2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9>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7~18 및 비교예 33~36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8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7 20.0 20.0 0 0 0 0
실시예18 20.0 20.0 0 0 0 0
비교예33 20.0 18.0 0 1 0 0
비교예34 20.0 18.0 1 1 0 0
비교예35 20.0 18.0 1 1 0 0
비교예36 20.0 19.0 0 1 0 0
위의 표18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33~36가 실시예17~18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33~36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9, 20, 비교예 37 내지 40의 제조>
아래 표19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19~20 및 비교예37~40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19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19 20 37 38 39 4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6 1.65 3.6 3.6 3.6 3.6
로즈워터 18 19.0 0.06 0.07 0.08 0.09
라벤더오일 3.8 3.95 7.11 7.12 7.13 7.14
라벤더워터 12.7 13.4 35.2 35.2 35.2 35.2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0>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19~20 및 비교예 37~40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9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19 20.0 20.0 0 0 0 0
실시예20 20.0 20.0 0 0 0 0
비교예37 20.0 19.0 0 1 0 0
비교예38 20.0 19.0 0 1 0 0
비교예39 20.0 18.0 1 1 0 0
비교예40 20.0 19.0 0 1 0 0
위의 표20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37~40가 실시예19~20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37~40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3, 24, 비교예 45 내지 48의 제조>
아래 표21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1~22 및 비교예41~44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21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21 22 41 42 43 44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7 1.75 3.6 3.6 3.6 3.6
로즈워터 20.0 21.0 0.07 0.07 0.07 0.07
라벤더오일 4.0 4.15 7.11 7.12 7.13 7.14
라벤더워터 14.1 14.8 35.2 35.2 35.2 35.2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1>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21~22 및 비교예 41~44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2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1 20.0 20.0 0 0 0 0
실시예22 20.0 20.0 0 0 0 0
비교예41 20.0 19.0 0 1 0 0
비교예42 20.0 19.0 1 0 0 0
비교예43 20.0 18.0 1 1 0 0
비교예44 20.0 19.0 0 1 0 0
위의 표22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41~44가 실시예21~22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41~44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3, 24, 비교예 45 내지 48의 제조>
아래 표23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3~24 및 비교예45~48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2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23 24 45 46 47 48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8 1.85 3.6 3.6 3.6 3.6
로즈워터 22 23 0.07 0.07 0.07 0.07
라벤더오일 4.3 4.45 7.11 7.12 7.13 7.14
라벤더워터 15.5 16.2 35.3 35.3 35.3 35.3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2>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23~24 및 비교예 45~48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4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3 20.0 20.0 0 0 0 0
실시예24 20.0 20.0 0 0 0 0
비교예45 20.0 18.0 1 1 0 0
비교예46 20.0 18.0 1 1 0 0
비교예47 20.0 19.0 1 0 0 0
비교예48 20.0 19.0 0 1 0 0
위의 표24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45~48가 실시예23~24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45~48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5, 26, 비교예 49 내지 52의 제조>
아래 표25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5~26 및 비교예49~5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25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25 26 49 50 51 52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1.9 1.95 3.61 3.62 3.63 3.64
로즈워터 24.0 25.0 0.08 0.08 0.08 0.08
라벤더오일 4.6 4.75 7.11 7.11 7.11 7.11
라벤더워터 16.9 17.6 35.11 35.11 35.11 35.1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3>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25~26 및 비교예 49~52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5 20.0 20.0 0 0 0 0
실시예26 20.0 20.0 0 0 0 0
비교예49 20.0 19.0 0 1 0 0
비교예50 20.0 18.0 1 1 0 0
비교예51 20.0 18.0 1 1 0 0
비교예52 20.0 19.0 0 1 0 0
위의 표26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49~52가 실시예25~26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49~52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7, 28, 비교예 53 내지 56의 제조>
아래 표27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7~28 및 비교예53~56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27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27 28 53 54 55 56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2.0 2.05 3.61 3.61 3.61 3.61
로즈워터 26 27 0.081 0.082 0.083 0.084
라벤더오일 4.8 4.95 7.11 7.11 7.11 7.11
라벤더워터 18.3 19.0 35.11 35.11 35.11 35.1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4>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27~28 및 비교예 53~56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7 20.0 20.0 0 0 0 0
실시예28 20.0 20.0 0 0 0 0
비교예53 20.0 18.0 1 1 0 0
비교예54 20.0 18.0 1 1 0 0
비교예55 20.0 19.0 0 1 0 0
비교예56 20.0 19.0 0 1 0 0
위의 표28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53~56가 실시예27~28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53~56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9, 30, 비교예 57 내지 60의 제조>
아래 표27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9~30 및 비교예57~60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29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29 30 57 58 59 6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2.1 2.15 3.61 3.61 3.61 3.61
로즈워터 28.0 29.0 0.082 0.082 0.082 0.082
라벤더오일 5.0 5.15 7.15 7.16 7.17 7.18
라벤더워터 19.7 20.4 35.11 35.11 35.11 35.11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5>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29~30 및 비교예 57~60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9 20.0 20.0 0 0 0 0
실시예30 20.0 20.0 0 0 0 0
비교예57 20.0 19.0 0 1 0 0
비교예58 20.0 18.0 1 1 0 0
비교예59 20.0 18.0 1 1 0 0
비교예60 20.0 19.0 0 1 0 0
위의 표30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57~60가 실시예29~30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57~60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 32 비교예 61 내지 64의 제조>
아래 표31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1~32 및 비교예61~64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1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크림타입 염모제의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1 32 61 62 63 64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1.0 1.0
로즈오일 2.2 2.25 3.61 3.61 3.61 3.61
로즈워터 30 31 0.082 0.082 0.082 0.082
라벤더오일 5.3 5.45 7.12 7.12 7.12 7.12
라벤더워터 21.1 21.8 35.15 35.16 35.17 35.18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0.1 0.1
<실험예 16>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31~32 및 비교예 61~64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2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31 20.0 20.0 0 0 0 0
실시예32 20.0 20.0 0 0 0 0
비교예61 20.0 19.0 1 0 0 0
비교예62 20.0 18.0 1 1 0 0
비교예63 20.0 18.0 1 1 0 0
비교예64 20.0 19.0 0 1 0 0
위의 표30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61~64가 실시예31~32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61~64의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별 추출물 효과 데이타를 내기 위해서 두 번째로 아래와 같이 젤(리퀴드)타입(샴푸형 염모제)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하였는데 이 제형은 빠른시간에 염색가능한 속성 염모제로 1분에서 10분내에 염색이 가능하다.
<실시예 33, 34 비교예 65 내지 68의 제조>
아래 표33의 작성된 젤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3~34 및 비교예65~68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3 34 65 66 67 68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3 2.35 3.611 3.612 3.613 3.614
로즈워터 32 33 0.082 0.082 0.082 0.082
라벤더오일 5.6 5.75 7.12 7.12 7.12 7.12
라벤더워터 22.5 23.2 35.15 35.16 35.17 35.18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17>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33,34 및 비교예 65~68의 염모제에 대한 피부 자극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했다.
30~60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선정인원은 10명으로하여 실시하였고 첩포부위는 왼팔 상박부를 에탄올로 닦아내어 미생물을 제거하고 30분동안 건조후 젤타입 염모제품을 1g씩 48시간동안 첩포한후 시간별 비교하여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결과는 아래 기준에 의해 판정하고 첩포 시험결과는 표34에 기재했다.
<피부반응 검사 기준>
- : 반응 없음
≠ : 미약한 양성
+ : 양성 반응(홍반)
++ : 강한 양성반응(홍반,부종)
+++ : 심항 양성반응(홍반,부종,수포)
<피부 반응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33 20.0 20.0 0 0 0 0
실시예34 20.0 20.0 0 0 0 0
비교예65 20.0 19.0 1 0 0 0
비교예66 20.0 19.0 0 1 0 0
비교예67 20.0 19.0 0 1 0 0
비교예68 20.0 18.0 1 1 0 0
위의 표34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65~68이 실시예33~34보다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 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 개선의 효과가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5, 36, 비교예 69 내지 72의 제조>
아래 표35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5,36 및 비교예33~36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5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5 36 69 70 71 72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4 2.45 3.612 3.612 3.612 3.612
로즈워터 32 35.0 45.1 45.2 45.3 45.4
라벤더오일 5.9 6.0 7.12 7.12 7.12 7.12
라벤더워터 23.9 24.6 0.01 0.01 0.01 0.01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18>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35,36 및 비교예 69~72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5에 나타냈다.
<피부 반응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35 20.0 20.0 0 0 0 0
실시예36 20.0 20.0 0 0 0 0
비교예69 20.0 19.0 1 0 0 0
비교예70 20.0 19.0 0 1 0 0
비교예71 20.0 19.0 1 0 0 0
비교예72 20.0 18.0 1 1 0 0
위의 표36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69~72이 실시예35,36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69~72 각각이 효능함량의 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7, 38 비교예 73 내지 76의 제조>
아래 표37의 작성된 젤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7,38 및 비교예73~76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7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7 38 73 74 75 76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5 2.55 3.612 3.612 3.612 3.612
로즈워터 24.5 25.5 45.2 45.2 45.2 45.2
라벤더오일 6.15 6.3 7.121 7.122 7.123 7.124
라벤더워터 16.5 17.3 0.02 0.02 0.02 0.02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19>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73~76 및 비교예 37,38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8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37 20.0 20.0 0 0 0 0
실시예38 20.0 20.0 0 0 0 0
비교예73 20.0 19.0 0 1 0 0
비교예74 20.0 18.0 1 1 0 0
비교예75 20.0 18.0 1 1 0 0
비교예76 20.0 18.0 0 0 0 0
위의 표 38의 결과를 보면 본 조성물 특허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73~76이 실시예37,38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73~76 각각이 기준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9, 40 비교예 77 내지 80의 제조>
아래 표39의 작성된 크림타입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39,40 및 비교예77~78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9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9 40 77 78 79 8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6 2.65 3.612 3.612 3.612 3.612
로즈워터 25.5 26.5 45.3 45.3 45.3 45.3
라벤더오일 6.45 6.6 7.122 7.122 7.122 7.122
라벤더워터 18.0 18.5 0.03 0.04 0.05 0.06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0>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39~40 및 비교예 77~40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22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21 20.0 20.0 0 0 0 0
실시예22 20.0 20.0 0 0 0 0
비교예41 20.0 19.0 0 1 0 0
비교예42 20.0 19.0 0 1 0 0
비교예43 20.0 18.0 1 1 0 0
비교예44 20.0 18.0 1 1 0 0
위의 표40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41~44이 실시예21~22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41~44각각이 효능의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42 비교예 81 내지 84의 제조>
아래 표41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41,42 및 비교예81~84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41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41 42 81 82 83 84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7 2.75 3.66 3.67 3.68 3.69
로즈워터 27.5 28.5 45.31 45.31 45.31 45.31
라벤더오일 6.75 6.8 7.122 7.122 7.122 7.122
라벤더워터 19.5 20.0 0.03 0.03 0.03 0.03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1>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41,42 및 비교예 81~84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2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41 20.0 20.0 0 0 0 0
실시예42 20.0 20.0 0 0 0 0
비교예81 20.0 19.0 0 1 0 0
비교예82 20.0 18.0 1 1 0 0
비교예83 20.0 19.0 1 0 0 0
비교예84 20.0 19.0 1 0 0 0
위의 표42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81~84가 실시예41,42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81~84의 각각이 범위를 벗어난 함량으로 각각 효과 기준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3, 44 비교예 85 내지 88의 제조>
아래 표25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25~26 및 비교예49~5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3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43 44 85 86 87 88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8 2.85 3.67 3.67 3.67 3.67
로즈워터 29.5 30.0 45.33 45.34 45.35 45.36
라벤더오일 6.82 6.85 7.122 7.122 7.122 7.122
라벤더워터 20.5 21.5 0.04 0.04 0.04 0.04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2>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43,44 및 비교예 85~88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4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43 20.0 20.0 0 0 0 0
실시예44 20.0 20.0 0 0 0 0
비교예85 20.0 18.0 1 1 0 0
비교예86 20.0 18.0 1 1 0 0
비교예87 20.0 18.0 1 1 0 0
비교예88 20.0 19.0 1 0 0 0
위의 표44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85~88가 실시예43~44보다는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85~88의 각각이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5, 46 비교예 89 내지 72의 제조>
아래 표45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45,46 및 비교예89~72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45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45 46 89 90 91 92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9 2.91 3.67 3.67 3.67 3.67
로즈워터 31.5 32.5 0.082 0.082 0.082 0.082
라벤더오일 6.88 6.89 7.122 7.123 7.124 7.125
라벤더워터 21.5 22.5 36.2 36.2 36.2 36.2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3>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45,46 및 비교예 89~92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6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45 20.0 20.0 0 0 0 0
실시예46 20.0 20.0 0 0 0 0
비교예89 20.0 19.0 1 0 0 0
비교예90 20.0 18.0 1 1 0 0
비교예91 20.0 18.0 1 1 0 0
비교예92 20.0 18.0 0 0 0 0
위의 표46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89~92가 실시예45,46보다는 자극이 있다.
즉, 비교예89~92의 각각이 벗어난 함량으로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7, 48 비교예 93 내지 96의 제조>
아래 표47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47,48 및 비교예93~96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47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47 48 93 94 95 96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91 2.93 3.671 3.672 3.673 3.674
로즈워터 33.1 33.3 45.01 45.01 45.01 45.01
라벤더오일 4.7 4.8 7.122 7.123 7.124 7.125
라벤더워터 22.4 22.7 0.021 0.022 0.023 0.024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4>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47,48 및 비교예 93~96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48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47 20.0 20.0 0 0 0 0
실시예48 20.0 20.0 0 0 0 0
비교예93 20.0 18.0 1 1 0 0
비교예94 20.0 18.0 1 1 0 0
비교예95 20.0 18.0 1 1 0 0
비교예96 20.0 19.0 0 1 0 0
위의 표48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93~96이 실시예47,48보다는 자극이 있다.
즉, 비교예93~96의 각각이 기준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9, 50 비교예 97 내지 100의 제조>
아래 표48의 작성된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성분과 함량을 베이스로하여 실시예49,50 및 비교예97~100의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표 49의 A상과 B상을 85℃까지 가온한 후 균질한 상을 만들기 위해 호모믹싱 유화(RPM : 3,000rpm, Time : 10분, 50℃까지 냉각)한 후 C상을 투입 및 호모믹싱 유화(RPM : 2,000rpm, Time : 10분 탈포냉각후 30℃ 완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49 50 97 98 99 10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0.8 0.8
로즈오일 2.85 3.0 3.671 3.672 3.673 3.674
로즈워터 33.0 33.1 0.082 0.082 0.082 0.082
라벤더오일 6.94 7.0 7.122 7.123 7.124 7.125
라벤더워터 22.5 22.7 36.21 36.22 36.23 36.24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1.0 1.0
<실험예 24> 피부자극 시험
위의 실시예49,50 및 비교예 97~100의 염모제에 대해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의 피부자극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50에 나타냈다.
<피부 자극 판정 결과>
처방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
실시예49 20.0 20.0 0 0 0 0
실시예50 20.0 20.0 0 0 0 0
비교예97 20.0 18.0 1 1 0 0
비교예98 20.0 18.0 1 1 0 0
비교예99 20.0 18.0 1 1 0 0
비교예100 20.0 18.0 1 1 0 0
위의 표50의 결과를 보면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염모제 조성물 비교시 비교예97~100이 실시예49,50보다는 자극이 있다.
즉, 비교예97~100의 각각이 기준범위를 벗어나 자극개선의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5 > 소취 효과 평가시험
소취정도를 평가하기위해 30~60세의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하여 5명을 한그룹으로 해서 위의 크림염모제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적용하여 1달 동안 실시하고 소취효과를 아래와 같이 평가기준에 맞춰 평가하여 결과를 표 29에 기재하였다.
<소취 평가기준>
(1:매우 부적합, 2: 부적합, 3:양호, 4:우수, 5:매우 우수)
<소취 효과 결과>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소취평가 4.4 4.5 2.8 3.0 3.2 2.7
구분 실시예 비교예
3 4 5 6 7 8
소취평가 4.2 4.4 3.3 3.4 3.5 3.1
구분 실시예 비교예
5 6 9 10 11 12
소취평가 4.5 4.6 2.8 3.0 3.1 3.2
구분 실시예 비교예
7 8 13 14 15 16
소취평가 4.4 4.6 3.2 3.0 3.2 2.9
위의 표51에서 보는바와같이 비교예와 같이 추출물의 함량이 효과범위를 벗어나는 염모제 조성물로 추출물 함량이 효과 범위내에 있는 실시예들보다 소취효과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6> 소취 효과 평가시험
소취정도를 평가하기위해 30~60세의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하여 5명을 한그룹으로 해서 위의 젤타입(샴푸형)염모제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적용하여 1달 동안 실시하고 소취효과를 아래와 같이 평가기준에 맞춰 평가하여 결과를 표 52에 기재하였다.
<소취 평가기준>
(1:매우 부적합, 2: 부적합, 3:양호, 4:우수, 5:매우 우수)
<소취 효과 결과>
구분 실시예 비교예
15 16 29 30 31 32
소취평가 4.5 4.4 2.7 3.1 3.3 32.1
구분 실시예 비교예
17 18 33 34 35 36
소취평가 4.3 4.5 3.0 3.1 2.7 3.1
구분 실시예 비교예
19 20 37 38 39 40
소취평가 4.7 4.4 3.1 2.9 2.8 3.0
구분 실시예 비교예
21 22 41 42 43 44
소취평가 4.5 4.6 2.8 3.1 3.2 2.9
위의 표52에서 보는바와같이 비교예와 같이 추출물의 함량이 효과범위를 벗어나 염모제 조성물이 추출물의 함량이 효과 범위내에 있는 실시예들보다 소취효과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7> 항균 실험
아래 조성으로 이루어진 크림염모제 즉, 상기의 실시예 11,12 및 비교예 19, 20에 대하여 대장균(E.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효과를 수행하였다.
대장규 및 녹농균에 대하여 액체배지(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배양하여 증균시킨 후 시험을 실시 하였다.
성분/함량(%) 구분(상) 비교예
19control)
실시예11
(E.coli)
비교예20
(control)
실시예12P.aeruginosa)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알란토인 0.5 0.5 0.5 0.5
글리세린 0.1 0.1 0.1 0.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B상 2.5 2.5 2.5 2.5
폴리옥시에칠렌올레일에텔 1.5 1.5 1.5 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p-아미노페놀 1.0 1.0 1.0 1.0
레조시놀 1.0 1.0 1.0 1.0
모노에탄올아민 0.6 0.6 0.6 0.6
암모니아 3.5 3.5 3.5 3.5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C상 1.0 1.0 1.0 1.0
로즈오일 3.7 1.0 3.8 1.1
로즈워터 0.01 10.0 0.01 11
라벤더오일 7.1 2.6 7.1 2.75
라벤더워터 35.1 7.1 35.1 7.8
과산화수소(30%) 17.0 17.0 17.0 17.0
인산 0.1 0.1 0.1 0.1
더불어, 준비된 TSA(Trytic Soy Agar)평판배지 위에 상기 대장균과 녹농균의 배양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접종하였다. 접종은 E.c, P.a (1.0×108 CFU/ml) 각각 PCA agar plate에 실시후 5분 건조후 멸균된 disc(8.0mm)에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35mg을 올려 놓고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하기 식에따라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폭을 측정하여 하기 표54및 도면 1,2에 나타내었다.
<항균계산식>
W=(T-D)/2
T : 시료와 미생물 저지대의 전체지름(mm)
D : 시료의 지름(mm)
W : 저지대의 폭(mm)
시료구분 T(단위 : mm) D(단위 : mm) 저지대의폭(w)(단위:mm
비교예19(Control) - - -
실시예11(E.coli) 12.8 9 1.9
비교예20(Control) - - -
실시예12(P.aeruginosa) 11.2 8 1.6
실험 결과 실시예11, 12의 시료에 대한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E.Coli에 대해 1.9mm의 저지대를 형성했고, P.aeruginosa 에 대해 1.6mm의 저지대를 형성하여 표31의 실시예11,12의 조성물은 각각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항균에 의한 소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면1,2 참조)
<실험예 28> 항균 실험
아래 조성으로 이루어진 젤타입 염모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대장균(E.coli)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효과를 수행하였다.
대장규 및 녹농균에 대하여 액체배지(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배양하여 증균시킨 후 시험을 실시 하였다.
<젤타입(샴푸형) 염모제 제조>
성분/함량(%) 구분(상) 실시예 비교예
35 36 69 70
정제수 A상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5 1.5 1.5 1.5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 1.0 1.0 1.0
에틸헥실옥타노에이트 B상 1.7 1.7 1.7 1.7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2.0 1.0 1.0 1.0
코카마이드디이에이 1.5 1.0 1.0 1.0
올레익애씨드 2.5 1.0 1.0 1.0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1.5 1.5 1.5 1.5
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라우릴알코올 1.0 1.0 1.0 1.0
p-아미노페놀 C상 0.35 0.35 0.35 0.35
p-페닐렌디아민 2.1 2.1 2.1 2.1
o-아미노페놀 0.05 0.05 0.05 0.05
m-아미노페놀 0.6 0.6 0.6 0.6
치오글리콘산암모늄 0.5 0.5 0.5 0.5
아스토르빈산나트륨 0.3 0.3 0.3 0.3
건조아황산나트륨 0.9 0.9 0.9 0.9
모노에탄올아민 2.8 2.8 2.8 2.8
암모니아 3.0 3.0 3.0 3.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레소르신 0.8 0.8 0.8 0.8
로즈오일 2.4 2.45 3.612 3.612
로즈워터 32 35.0 0.0821 0.082
라벤더오일 5.9 6.0 7.12 7.12
라벤더워터 23.9 24.6 35.151 35.11
치오글리콘산나트륨 4 4 4 4
하이드로라이즈드콜라겐 1.0 1.0 1.0 1.0
더불어, 준비된 TSA(Trytic Soy Agar)평판배지 위에 상기 대장균과 녹농균의 배양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접종하였다. 접종은 E.c, P.a (1.0×108 CFU/ml) 각각 PCA agar plate에 실시후 5분 건조후 멸균된 disc(8.0mm)에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35mg을 올려 놓고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하기 식에따라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폭을 측정하여 하기 표56에 나타내었다.
<항균계산식>
W=(T-D)/2
T : 시료와 미생물 저지대의 전체지름(mm)
D : 시료의 지름(mm)
W : 저지대의 폭(mm)
시료구분 T(단위 : mm) D(단위 : mm) 저지대의폭(w)(단위:mm
비교예69(Control) - - -
실시예35(E.coli) 10.6 6 2.3
비교예70(Control) - - -
실시예36(P.aeruginosa) 11.2 6 2.6
실험 결과 실시예35, 36의 시료에 대한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E.Coli에 대해 2.3mm의 저지대를 형성했고, P.aeruginosa 에 대해 2.6mm의 저지대를 형성하여 표34의 실시예35,3
6의 조성물은 각각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나 항균에 의한 소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삭제
  2. 염모제 조성물에 있어서,
    로즈오일, 로즈워터, 라벤더오일 및 라벤더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로즈오일은 조성물 전체의 0.0001 ~ 3 중량%, 로즈워터는 0.1 ~ 45.0 중량 %, 라벤더오일은 0.1~7 중량%, 라벤더워터는 0.1~35 중량%가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염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3001 ~ 68.05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워터와 라벤더워터는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되고,
    상기 로즈오일과 라벤더 오일은 물을 혼합한 후 가열 및 증류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4. 제 2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제형이 크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5. 제 2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 조성물은 제형이 젤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6. 삭제
KR1020200124685A 2020-09-25 2020-09-25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222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685A KR102228086B1 (ko) 2020-09-25 2020-09-25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685A KR102228086B1 (ko) 2020-09-25 2020-09-25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086B1 true KR102228086B1 (ko) 2021-03-16

Family

ID=7522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685A KR102228086B1 (ko) 2020-09-25 2020-09-25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95B1 (ko) * 2021-11-04 2022-02-14 ㈜ 아름다운화장품 모발 컨디셔닝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탈색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871A (ko) * 2008-12-12 2010-06-22 전갑수 가공된 허브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284607B1 (ko) 2010-09-17 2013-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물질을 함유한 저자극성 염모제
JP2014169227A (ja) * 2013-03-01 2014-09-18 Dariya:Kk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7210436A (ja) * 2016-05-25 2017-11-30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粉末染毛剤用香料組成物
KR20180080412A (ko) 2017-01-03 2018-07-12 문영란 천연허브파우더를 함유하는 태블릿 염모제 조성물
KR101901422B1 (ko) 2018-03-19 2018-09-21 주식회사 씨티코스메틱 허브컴플렉스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KR20190065623A (ko) * 2017-12-04 2019-06-12 김연심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한 염색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871A (ko) * 2008-12-12 2010-06-22 전갑수 가공된 허브를 함유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284607B1 (ko) 2010-09-17 2013-07-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물질을 함유한 저자극성 염모제
JP2014169227A (ja) * 2013-03-01 2014-09-18 Dariya:Kk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17210436A (ja) * 2016-05-25 2017-11-30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粉末染毛剤用香料組成物
KR20180080412A (ko) 2017-01-03 2018-07-12 문영란 천연허브파우더를 함유하는 태블릿 염모제 조성물
KR20190065623A (ko) * 2017-12-04 2019-06-12 김연심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한 염색약 조성물
KR101901422B1 (ko) 2018-03-19 2018-09-21 주식회사 씨티코스메틱 허브컴플렉스를 이용한 염모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895B1 (ko) * 2021-11-04 2022-02-14 ㈜ 아름다운화장품 모발 컨디셔닝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탈색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90097406A (ko) 1,2-헥산디올로 추출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상기 보존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3600A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SG19013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102142426B1 (ko)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2162904B1 (ko) 항균, 피부 자극 완화,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제거에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2293A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07144723A2 (en) Use of plants of carpobrotus edulis as anti-itching and/or anti-inflammatory agents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85292B1 (ko) 모하비유카, 모란뿌리, 지치뿌리 및 밀배아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00045091A (ko) 비듬방지용 헤어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