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856A -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856A
KR20190107856A KR1020180029108A KR20180029108A KR20190107856A KR 20190107856 A KR20190107856 A KR 20190107856A KR 1020180029108 A KR1020180029108 A KR 1020180029108A KR 20180029108 A KR20180029108 A KR 20180029108A KR 20190107856 A KR20190107856 A KR 2019010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blue light
oil
block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647B1 (ko
Inventor
곽창곤
박명삼
신병모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 추출물, 수상부, 유상부 및 유화제를 포함하여 청색광 차단 및 자외선 차단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UV and Bule-light Protection}
본 발명은, 루테인(Lutein)이 함유된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단파장 청색광(블루라이트)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 시장은 최근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다.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은 파장 길이에 따라 UVA(320~390nm)와 UVB(290~320nm)로 나뉘며, 그 중 UVA는 UVB에 비해 긴 파장을 갖는 광선으로 에너지는 적지만 높은 투과성을 가져 진피층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콜라겐 등 결합조직에 영향을 미치고 피부 광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Taichi, M et al. Fragrance Journal, 43, p31, 2015. 의 연구에서는 UVA 파장의 유리창 투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UVA 차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UVA 차단 지수인 PA(Protection Factor for UVA) 표기에 대해서도 PA+++에서 PA++++로 규정이 변경되어, 일본은 2013년 1월부터 시행해 왔으며, 한국과 중국은 2016년 12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또한 자외선 A 영역 부근의 단파장 청색광, 즉 가시광선 내에서 푸른빛을 내는 380~500nm의 파장을 갖는 청색광(blue light)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파장 청색광, 즉 블루 라이트는 고에너지 가시광선(High-Energy Visible Light, HEV Light)대의 블루와 바이올렛 스펙트럼을 뜻한다. PLoS One. 2013 Sep 17;8(9)e73678 에서는 블루 라이트가 자외선에 비하여 에너지는 작지만 피부 투과도가 높아 유해하다고 밝히고 있으며, 블루 라이트 영역대 중에서 바이올렛 라이트(410nm)가 피부의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s)에서 발현되는 광수용체 중 로돕신의 mRNA를 과발현시켜, CREB(cAMP esponsiv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를 감소시키고, 특정 각질 세포의 분화 마커인 Keratin-10(K10)과 Keratin-1(K1)의 mRNA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의 분화를 감소시키며,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을 지연시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청색광은 태양광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2010년도 이후 스마트기기가 본격 보급되면서 TV,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등의 청색광에 오래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청색광 차단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 KR10-2017-0003391에서는 옥분말을 함유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개시하고 있지만, 옥분말의 경우 무기 분체로 사용감이 무겁고 선젤 타입에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블루라이트 산란 반사를 통한 차단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지 않을 경우 고르게 단파장 청색광을 차단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의 엽록체에 다량 존재하는 루테인의 단파장 청색광 흡수성질에 기인하여 자외선과 동시에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개발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루테인 추출에 이용한 잇꼿씨 오일은 올레익 애씨드, 리놀레닉애씨드 등의 함량이 높아 항진균 활성이 있고 습진과 거친 피부를 완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멜라닌 색소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눈과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접촉성 과민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Interntional Journl of Toxycology, Vol 4, Issue 5, 1985)
본 발명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자외선 차단제를 조합하여, 자외선과 피부에 유해한 단파장 청색광(블루라이트)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사용감이 우수한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을 용매로 이용하여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을 온침법(Marceration)으로 추출하고, 이러한 루테인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제조하여, 단파장 청색광과 자외선을 함께 차단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루테인(lutein)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식물 추출물은 루테인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분리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루테인을 함유하는 식물은 마리골드꽃(Tagetes Erecta Flower), 구기자(Lycium Chinense Fruit),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Fruit), 케일(Brassica Oleracea Acephala), 시금치(Spinacia Oleracea (Spinach)),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Italica (Broccoli)), 호박(CucurbitaPepo (Pumpkin)), 당근(Daucus Carota Sativa (Carrot) Root), 키위(Actinidia Chinensis (Kiwi) Fruit), 오렌지(Citrus AurantiumDulcis(Orange)), 로우스위트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Blueberry) Fruit)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마리골드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일을 용매로 하는 온침법을 이용하여,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로부터 루테인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루테인 추출에 사용되는 오일은 실리콘 오일, 에스터류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에 포함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A 영역의 차단제, 자외선 B 영역의 차단제, 자외선 A, B 영역의 차단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O/W)형, 실리콘중수(W/S)형 또는 유중수(W/O)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에 식물 추출물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과 동시에 단파장 청색광을 차단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광안정성 테스트 결과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단파장 청색광 영역의 흡광도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로부터 추출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하기 화학식 1의 루테인(lutein)은 화학식 C40H56O2을 갖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의 일종으로, 잔토필류(xanthophyl)중에서 가장 다량으로 존재하는 색소이다. 루테인은 식물의 엽록체 속에 *j카로틴과 함께 다량으로 존재하며, *j카로틴의 알코올형으로, 자줏빛의 막대모양의 결정이며 녹는점은 193℃이다. 루테인은 물에 녹지 않고 유기용매에 녹으며, 단파장 청색광 영역인 508nm, 475nm, 445nm의 흡수 영역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루테인의 단파장 청색광 흡수성질에 기인하여 자외선과 동시에 청색광을 차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은 오일을 용매로 이용하여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을 온침법(Marceration)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파장 청색광과 자외선을 함께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감 또한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루테인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분리한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루테인을 함유하는 식물은 마리골드꽃(Tagetes Erecta Flower), 구기자(Lycium Chinense Fruit),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Fruit), 케일(Brassica Oleracea Acephala), 시금치(Spinacia Oleracea (Spinach)),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Italica (Broccoli)), 호박(CucurbitaPepo (Pumpkin)), 당근(Daucus Carota Sativa (Carrot) Root), 키위(Actinidia Chinensis (Kiwi) Fruit), 오렌지(Citrus AurantiumDulcis(Orange)), 로우스위트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Blueberry) Fruit)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루테인 함량 측면에서 마리골드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루테인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에 포함된 루테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추출법(예컨대 침용(marceration), 인퓨전(infusion), 퍼콜레이션(percolation), 다이제스천(digestion), 디콕션(decoction), 핫 컨티뉴어스 추출(hot continuous extraction), 수용성-알콜성 추출(aqueous-alcoholic extract), 역류 추출(counter currentextract),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초음파 추출(ultrasoundextraction), 초임계 유체 추출(supercritical fluid extracts), 파이토닉 추출(phytonic extract)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을 오일 등의 용매에 침지하여 가열하는 등의 온침법을 이용해 추출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루테인 추출에 사용되는 오일은 실리콘 오일, 에스터류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디메치콘올, 세틸디메치콘, 카프릴릴메치콘, 아모디메치콘, 메칠트리메치콘, 피씨에이디메치콘, 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에스터류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릴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C12-15알킬벤조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인, 콜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디(C12-13)알킬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릴린, 디에톡시에칠석시네이트 및 트리카프릴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식물성 오일은 잇꽃씨오일, 올리브오일, 호호바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로즈힙열매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티트리잎오일, 스쿠알란,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미국개암씨오일, 산자나무오일, 동백오일, 행인오일, 기름야자오일, 해바리기씨오일 및 바자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동물성 오일은 호오스팻, 밍크오일, 난황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광물성 오일은 미네랄오일, 이소도데칸, 폴리부텐 및 페트롤라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루테인 추출에 사용되는 오일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잇꽃씨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O/W)형, 실리콘중수(W/S)형 또는 유중수(W/O)형의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수상부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수계 점증제, 폴리올, 정제수 등을 포함하는 수상(water phase)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고, 유상부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자외선 차단제 등을 포함하는 유상(oil phase)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단파장 청색광의 차단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으며, 0.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루테인 특유의 붉은 빛이 나고 투입량 대비 단파장 청색광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계 점증제를 0.05 이상 5.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2.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1.5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상 0.5 중량% 이하 포함한다. 수계 점증제가 0.05 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고, 5.0 중량% 초과 시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카보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아마이드/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트리데세스-6/미네랄솔트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리튬마그네슘소듐실리케이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몬모릴로나이트, 세틸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아가, 옥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13, 옥수수전분,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옥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만난, 젤란검,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 잔탄검, 캐럽콩검, 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및 소듐스테아록시피지-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폴리올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보습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 초과 시 무겁고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글리세레스-26, 피이지-3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8, 피이지-75,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말티톨 및 메칠글루세스-1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 포함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A 영역의 차단제, 자외선 B 영역의 차단제, 자외선 A, B 영역의 차단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A 영역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아보벤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및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B 영역 차단제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벤조페논-3, 벤조페논-4, 폴리실리콘-1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트리스바이페닐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자외선 A, B 영역의 차단제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부는 추가적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예컨대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30.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 미만 시 원하는 자외선차단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30.0중량% 초과 시 제형 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무겁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부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 초과 35.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초과 25.0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유상부에 추가적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로 인해 유기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35.0 중량% 초과로 사용 시 무겁고 답답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상부에는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20.0 중량% 이하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이 3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 불안하여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무거운 사용감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시 필요한 유화제는 일반적인 수중유(O/W)형의 유화제, 실리콘중수(W/S) 또는 오일중수(W/O)형의 유화제, 및 가용화 타입의 유화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수중유(O/W)형의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피이지-7글리세릴코코에이트,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포스페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5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23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스스테아레이트, 바틸알콜, 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 피이지-150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롤리베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세테아레스-30, 스테아레스-20, 피이지-12디이소스테아레?, 피이지-8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일알코올, 피피지-4세테스-20, 하이드로제니이티드레시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라우레이터, 폴리소르베이터85, 소르베스-30테트라올리베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스테아레스-2, 및 스테아레스-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실리콘중수(W/S) 또는 오일중수(W/O)형의 유화제는 라우릴피이지, 피피지-18, 18디메치콘, 피이지-7디메치콘, 피이지-10디메치콘,세틸피이지 피피지-10 1디메치콘, 피이지-3디메치콘, 피피지-19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피이지-8디메치콘, 피이지-7디메치콘, 포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및 라우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용화 타입의 유화제는 피이지-2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C12-14파레스-12, 폴리글리세릴-19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콜레스-14, 콜레스-20, 콜레스-24, 피이지-20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및 세테스-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6.0 중량% 이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5 중량% 미만일 경우 유화제로서의 역할이 어려워 제형 안정성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감이 무거워지며 끈끈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수상부, 유상부, 루테인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유화제;에 추가적으로 보존제, 예컨대 페녹시 에탄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에칠헥실글리세린, 클로로페네신, 클로로헥시딘디글루코네이트, 소듐하이드로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트리콜로산,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칠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트리클로카반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루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단파장 청색광 영역을 흡수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로서, 태양광뿐만 아니라 인공광에 의한 피부의 손상까지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뿐만 아니라, 피부결 보정용, 사용감 조절용 등의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에 식물 추출물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조상 구체적인 조건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1. 식물성 원료 추출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식물을 이용하여 루테인을 추출하였다. 표 1의 조성 400g을 계량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온침법을 이용, 80℃에서 24시간 침출하여 실시예 1~11의 오일(루테인을 포함하는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2
1.2. 루테인 함량 분석
실시예 1~11의 오일을 50 ml Dioxane에 녹여 스텐다드 루테인 (Sigma aldrich 순도 99.8%) 과 비교하여 함량 비교하여 표 2와 같은 분석 값을 얻었다.
Figure pat00003
측정 기기 HPLC (Agilent  HPLC 1200)
* STD_sigma aldrich : 시그마 알드리치에서 구입한 시약(COA상 순도 99.8%)
* STD 대비 : 시약 대비 해당 샘플의 순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값 = Area(샘플)/Area(STD) x 100
* Area : HPLC 크로마토그램의 Bis-EMT peak의 면적값
* mg/50mL : 샘플 전처리시 채취한 시료양(50mL dioxane에 녹임)
* Area/mg : Area값을 mg 수로 나눔 (mg당 Area값).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모든 추출오일에서 루테인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중 마리골드꽃의 루테인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제조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수성 및 유성 성분, 유화제 및 보존제에 실시예 1의 추출물 함량을 달리 혼합하여, 비교예 1 및 제조예 1~3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4
호모믹서(HOMOGENIZING MXER Model 2.5 PRIX사 일본)를 이용하여 수상을 5,000rpm으로 5분간 분산 후 5,000rpm 유상을 천천히 5분에 걸쳐 투입 1차 유화 후 2차 분산하였다.
① 베이스 제조를 위해 정제수를 제외한 가상의 원료를 정밀하게 계량하여 용기에 계량한 다음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정제수에 분산시킨다.
② 나상에 다상(실시예 1의 추출물) 및 라상(유화제)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75℃로 가온한 후 혼합한다.
③ 50℃를 유지하며 나, 다, 라 혼합상을 가상에 혼합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유화한다.
④ 유화 완료 후, 마상(보존제)을 투입한다.
⑤ 내용물을 30℃까지 냉각한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성능 테스트
2.1. 제형 안정성 테스트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에 대하여 25℃, 4℃, 50℃에서 각 당일, 익일, 1주일, 한달 보관 후 점도 변화 및 pH 변화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의 경우 모두 장기 안정도 및 가혹조건에서 안정된 제형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적용하여도 안정도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분석조건 : Brookfiled Viscometer DV3TLV 64Spindle 12RPM 1.0min
Figure pat00005
2.2. 광안정성 테스트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에 대하여 광조사 후의 변색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4시간 자외선(280~400nm) 조사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 하였다.
상기 자외선 조사 결과,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 모두 색상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적용하여도 광 안정도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광조사 조건 : Solar simulator : 250~765 W/m2 Xenon lamp by Atlas
2.3. 단파장 청색광 흡광도 측정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 자외선 차단 화장료의 단파장 청색광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측정결과 도 2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0.1, 0.2, 1.0 중량%를 포함한 제조예 1, 2, 3에서 확연히 단파장 청색광을 차단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또한 0.1 중량% 포함하는 제조예 1과 0.2 중량% 포함하는 제조예 2의 유의적 차이가 크지 않았고, 1.0 중량% 포함하는 제조예 3의 경우 함량에 비례하여 차단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조건 : Multi-reader(synergy) 단파장 청색광 (Blue light, 400~500nm)영여역에서의 흡광도 측정
시험방법 :
① 3M Transpore Tape 규격 2mg/cm2 일측면에 시험물질 시료 도포
② 6-well plate에 시료가 도포된 테이프 부착
③ MultiPlate Reader를 이용하여 350~700 nm 파장에서 흡광도 측정
④ 단파장 청색광 영역에서의 흡광도를 측정값에서 3M Transpore Tape만을 부착하여 시험한 공시험 측정값을 제외한 값을 해당 파장에서의 흡광도로 측정
2.4. 자외선 차단 효과 확인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의 시료를 SPF ANALAZER를 이용하여 각 10회 자외선 차단능을 시험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하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제조예 1, 2, 3이 자외선 차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리골드꽃 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여도 자외선 차단 효과에는 영향이 없음을 나타낸다.
분석 조건: Labsphere UV-2000S : In-vitro test
Figure pat00006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당해 분야의 기본 원리를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 추출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 추출물이 0.0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마리골드꽃(Tagetes Erecta Flower), 구기자(Lycium Chinense Fruit),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 Fruit), 케일(Brassica Oleracea Acephala), 시금치(Spinacia Oleracea (Spinach)),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Italica (Broccoli)), 호박(Cucurbita Pepo (Pumpkin)), 당근(Daucus Carota Sativa (Carrot) Root), 키위(Actinidia Chinensis (Kiwi) Fruit), 오렌지(Citrus AurantiumDulcis(Orange)) 및 로우스위트블루베리(Vaccinium Angustifolium (Blueberry) Frui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오일을 용매로 하는 온침법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로부터 루테인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오일은 실리콘 오일, 에스터류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잇꽃씨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0 내지 3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0 초과 35.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에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청구항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 초과 35.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O/W)형, 실리콘중수(W/S)형 또는 유중수(W/O)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6. 수계 점증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부와 상기 유상부의 혼합액에 루테인을 함유한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 추출물 및 유화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색광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29108A 2018-03-13 2018-03-13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8A KR102490647B1 (ko) 2018-03-13 2018-03-13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108A KR102490647B1 (ko) 2018-03-13 2018-03-13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856A true KR20190107856A (ko) 2019-09-23
KR102490647B1 KR102490647B1 (ko) 2023-01-20

Family

ID=6806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108A KR102490647B1 (ko) 2018-03-13 2018-03-13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3795A (zh) * 2020-07-29 2020-10-09 苏州讯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蓝光功能的修复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20210087134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304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4809A (ko) * 2020-11-27 2022-06-03 이민정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모동물용 자외선 차단제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27027A (zh) * 2017-01-18 2017-05-31 韩后化妆品股份有限公司 抗蓝光、抗氧化、清除自由基组合物、护肤品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209A (ko) * 2011-09-05 2013-03-13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27027A (zh) * 2017-01-18 2017-05-31 韩后化妆品股份有限公司 抗蓝光、抗氧化、清除自由基组合物、护肤品及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134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6304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43795A (zh) * 2020-07-29 2020-10-09 苏州讯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蓝光功能的修复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20220074809A (ko) * 2020-11-27 2022-06-03 이민정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모동물용 자외선 차단제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647B1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647B1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077044B2 (en) Compositions that brighten skin, provide sun protection, and permit vitamin D production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265459B (zh) 一种儿童防晒乳及其制备方法
CN103813776A (zh) 防红外辐射的化妆品用途
GB2439618A (en) Skincare composition
KR20140142302A (ko)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품 피부용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2228419A (zh) 一种乳化型防晒化妆品
KR102033473B1 (ko) 한천을 함유하는 고형 스틱 제형 수중 유형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856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skin containing extracts from paper mulberry flowers and fruits
WO2024066643A1 (zh) 一种防晒组合物及其应用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2720B1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528590B (zh) 一种保湿防护乳及其制备方法
KR102080458B1 (ko)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1150670B (zh) 一种抗紫外线和抗蓝光的液晶纳米脂质液及其制备方法
CN108379159A (zh) 一种透明防晒凝胶产品及其制备方法
KR20210050957A (ko)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9713B1 (ko) 화장품의 pH범위가 약산성으로 변하는 것을 화장품 색의 변화로 알 수 있게 하는 2제형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618781B1 (ko)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전 형태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2B (zh) 糊精棕榈酸酯作为防晒增效剂在防晒化妆品中的应用
CN115025028A (zh) 一种具有抗蓝光功效的护肤组合物及制备方法、应用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