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764B1 -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64B1
KR102647764B1 KR1020210129242A KR20210129242A KR102647764B1 KR 102647764 B1 KR102647764 B1 KR 102647764B1 KR 1020210129242 A KR1020210129242 A KR 1020210129242A KR 20210129242 A KR20210129242 A KR 20210129242A KR 102647764 B1 KR102647764 B1 KR 10264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extrac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131A (ko
Inventor
문은빈
Original Assignee
문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은빈 filed Critical 문은빈
Priority to KR102021012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7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의 함량과 천연 추출물, 콜라겐간 배합비를 제어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의 조성비를 제어하여 사용감과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itamins}
본 발명은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모가 건강에 대한 하나의 척도로 인식되고 이에 따라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는 인체에는 무해하면서 피부에는 기능적인 영향을 미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장품에 함유되는 합성 계면활성제, 색소, 산화방지제 및 화학 방부제 등이 피부를 더 건조하게 하거나, 발진, 염증, 피부병, 심지어 피부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피부에 유해한 화학 성분 대신 천연 물질을 주원료로 이용하는 화장품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천연 유래 추출물이나 화합물들이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 내부로의 흡수율이 높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며 무엇보다 주름 개선, 탄력 강화, 보습, 염증 완화, 진정 효과, 미백 등의 피부에 대한 기능적 효과에 대해 실제 사용자가 체감하는 정도가 미미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비타민은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등의 다양한 피부 내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타민은 불안정한 요소를 가지고 있어 효능이 약화되거나 변취, 변색하기 쉽고, 피부의 끈적임을 야기하여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018호와 같이 비타민 안정화 요소를 포함하여 안정도와 사용감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비타민의 원료로 천연 추출물 또는 합성 비타민을 선택 및 배합하여 함량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기타 기능성 물질과의 비율을 조절하여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등 기능성을 향상하되, 안정성과 사용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에 오일을 첨가하여 화장품의 사용감을 개선하고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와 보습효과를 높이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성분과 관련하여 전성분의 유해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201호와 같이 천연 오일을 이용하여 사용감과 보습도를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0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20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비타민의 함량과 구성 물질의 배합비를 제어하여 사용감을 개선하고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을 증진하는 비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련초잎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올레라케아아크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판테놀, 폴릭애씨드, 레티닐팔미테이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판토테닉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바이오틴, 리보플라빈, 사이아노코발아민, 티아민에이치씨엘, 메나다이온,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비타민 혼합물; 및 100~1000 Da의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 유효성분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제2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유효성분 중,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은, 5 ~ 15 : 0.5 ~ 2.0 : 5 ~ 1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효성분 중,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는 18 ~ 20 : 9 ~ 12 : 3 ~ 6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크림, 아이크림, 영양크림, 수분크림, 로션 또는 시트마스크 유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의 함량과 천연 추출물, 콜라겐간 배합비를 제어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의 조성비를 제어하여 사용감과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식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련초잎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올레라케아아크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판테놀, 폴릭애씨드, 레티닐팔미테이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판토테닉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바이오틴, 리보플라빈, 사이아노코발아민, 티아민에이치씨엘, 메나다이온,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비타민 혼합물; 및 100~1000 Da의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 유효성분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제2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먼저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 유효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천연 추출물과 관련하여, 한련초잎(Eclipta prostrata)은 높이 10~70 cm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우리 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한련초잎 추출물은 적어도 2000pp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화과(Ficus carica)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고 해서 무화과라고 하나 실제로 꽃은 과실내에서 피므로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과육은 꽃받기와 씨방이 발달된 것으로 단백질과 섬유질이 많은 알칼리성과일이다. 무화과는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A, B1, B2, B6, C, E, 식이섬유,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등 다양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에 적용하고 있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센텔라, 병풀 혹은 호랑이풀(tiger herb)이라고도 불리며, 병풀의 정량 추출물(Titrated Extract of Cetella asiatica: TECA)이 의약학 분야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식 애시드(madecassic acid), 아시아틱 애시드(asiatic acid)가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피부 상처 및 만성 궤양 치료 활성 등을 나타내 화장료에 첨가되어 손상 피부 재생,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용으로 적용하고 있다.
올레라케아아크멜라(Acmella oleracea) 추출물은 주름 개선과 노화 방지 특징이 있다.주름 생성을 막는 작용과 노화를 늦추는 작용에 크게 관련되어 있다. 스필란톨이라는 지방산 아미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보툴리눔 독과 유사하게 피하 근육, 특히 얼굴 피부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보톡스의 천연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련초잎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올레라케아아크멜라 추출물의 중량비는 25 ~ 30 : 1 : 1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련초잎 추출물을 주 추출성분으로 하여 무화과, 병풀, 올레라케아아크멜라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첨가하여 각 유효성분의 유효효과를 증진하면서, 사용감을 개선한다.
이에 더하여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타민(Vitamin)은 피부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먹어서 섭취하는 것 보다 피부에 직접 발랐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커지므로 본 조성물에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판테놀(Panthenol)은 판토테닉산(비타민 B5)의 프로비타민이다. 즉, 체내에서 비타민 B5로 변하는 물질이다. 판테놀이 피부세포 내로 들어오면 판토텐산(비타민 B5)로 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타민 B5로 불리기도 한다. 보습 효과, 광택,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폴릭애씨드(Folic Acid)는 비타민 B복합체로,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고, 콜라겐 합성에 관여한다.
레티닐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는 티놀(Retinol; Vitamin A)과 팔미산(Palmitic acid)의 합성물인 레티놀 유도체로 비타민 A의 안정화된 형태이며 피부에 흡수된 후 에스테라제에 의해 분화되어 레티놀을 거쳐 레틴산으로 대사되어 효과가 있다.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s)는 비타민 P로, 비타민 C가 산화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고, 비타민 C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판토테닉애씨드(Pantothenic Acid)는 비타민 B5로, 피부를 진정하는 효과가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니코틴아마이드 또는 피리딘-3-카복스아마이드로 지칭되고, 나이아신의 아마이드(비타민 B3)이다. 국소용 성물인 상기한 바와 같은 미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예를 들어 피부컨디셔닝 및 보습 조성물, 피부 미백 조성물 및 검버섯 치료제, 노화방지 또는 재생 조성물, 주름살의 예방, 감소 또는 치료용 조성물, 산화방지 또는 유리 라디칼 포집 조성물, 및 정제, 클린징, 각질제거 또는 탈취 조성물, 또는 여드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 현재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국내에서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 인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틴(Biotin)은 비타민 B7로, 뾰루지와 같은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한다.
리보플라빈(Riboflavin)은 비타민 B2로, 비타민B6(피리독신)의 흡수를 돕고 피부 조직에서의 산소 이용을 촉진하여 피부 재생, 피부 톤 개선 효과가 있다.
사이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은 비타민 B12로, 분자 안에 코발트가 위치하며, 피부 컨디션을 조절한다.
티아민에이치씨엘(Thiamine HCl)은 비타민 B1으로, 피부 진정효과를 가진다.
메나다이온(Menadione)은 비타민 K로,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피리독신(Pyridoxine)은 비타민 B6로, 피부 지방의 신진대사에 관여하여 안드로겐과 같은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국소 부분에 투여하면 여드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타민 혼합물의 성분 비율을 제어하여 사용감을 개선하고 각 성분의 유효 효과를 증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테놀과 폴릭애씨드의 중량비는 4.0 ~ 4.5 : 1이다.
나아가 레티닐팔미테이트과 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중량이 동일하고, 판토테닉애씨드와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중량이 동일하고, 바이오틴, 리보플라빈, 사이아노코발아민, 티아민에이치씨엘, 메나다이온, 및 피리독신의 중량이 동일하다. 상기 비율은 비타민의 유효 효과를 최대화하며 안정성을 유지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비율일 수 있다.
또한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한다. 콜라겐은 단백질의 한 종류로서 피부, 뼈, 연골, 머리카락, 치아, 소화관 및 혈관 등에 존재하고 있으며 세포와 세포사이를 메워 주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며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섬유상태의 아주 특수한 고분자 구조 단백질이다. 콜라겐은 인체 내의 피부(진피의 70%)를 건강하고 탄력 있게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저분자량 콜라겐은 식물성 또는 마린 콜라겐일 수 있고, 100 ~ 1000 Da의 분자량을 가져 피부층으로의 흡수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유효성분은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이 10 ~ 30 : 0.5 ~ 2.0 : 10 ~ 30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12 ~ 30 : 0.5 ~ 1.0 : 12 ~ 3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 1 : 20 ~ 30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각 성분 간 조화를 이루어 유효성분의 효과를 증대하면서, 안정성과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범위이다.
다음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제2 유효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은 폴리데센에 수소를 첨가하여 얻은 것으로, 석유에서 추출한 미네랄 오일을 대체하며, 식물성 스쿠알란과 비슷한 구조식을 가져 수분증발을 차단하여 보습을 유지하고 각질의 상태를 정상화하고 피부결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은 신진대사 방식과 동일하게 인체에 작용해 효과와 안정성이 뛰어나고, 활성 성분을 풍부하게 제공한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Coconut oil), 동백 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녹차씨 오일(Camellia sinensis seed oil), 유차 오일(Camellia oleifera seed oil), 카놀라유(Canol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포도씨 오일, 대두유(Soybean oil), 로즈힙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메도우폼씨드 오일, 보리지 오일, 면실유, 미강유, 살구씨유, 옥수수 오일(Corn oil), 팜 오일, 팜커넬 오일, 피마자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oil), 헤이즐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두 오일(Walnut oil), 낙화생유(Peanut oil), 아르간 오일 및 이들의 수 첨가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는 올리브 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과 세테알릴알코올의 에스터로, 피부의 단백질을 보호하고 수분 손실을 방지하며, 피부 침투력이 높아 고보습 성분으로 사용되고, 사용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2 유효성분을 구성하는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의 중량비를 제어하여 사용감을 개선하고 유수분 균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은 18 ~ 20 중량부, 상기 식물성 오일은 9 ~ 12 중량부, 상기 세테아릴올리베이트는 3 ~ 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의 비율이 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감이 지나치게 가볍거나 무겁고, 수분의 증발 속도 빨라 건조감을 유발하거나, 유분감이 지나쳐 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더하여 아로마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오일은 릴렉싱 작용과 기분 전환효과가 우수하고,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오일은 로즈마리 오일, 라벤다 오일, 샌달우드 오일, 버가못 오일, 제라늄 오일, 페퍼민트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로마 오일은, 단일향의 아로마 오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 가지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하여 시용하는 경우가 단일향의 오일을 사용할 때보다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면서도, 단일향을 사용할 때 느끼던 자극적인 향기에 의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성분으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피부보습에 많이 활용되는 천연보습인자(NMF)이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10 : 6의 중량비로 첨가된다. 상기 비율은 피부 속 및 피부 겉 보습감을 부여하면서도,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최적의 비율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Hydrogenated Poly(C6-14 Olefin)),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아데노신(Adenosine), 세라마이드3(세라마이드엔피, Ceramide NP), 베타인(Betaine),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Fructooligosaccharides), 베타-글루칸(Beta-Glucan), 글루코오스(Glucose), 라피노오스(Raffinos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다이카프릴릴에터(Dicaprylyl Ether),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성분은 0.1 ~ 2.0 중량%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효성분은 3 ~ 15 중량%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크림, 아이크림, 영양크림, 수분크림, 로션 또는 시트마스크 유액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 1~8의 제조
하기 제1 유효성분 및 제2 유효성분의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표의 수치는 각 성분 간 중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유효성분과 관련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2는 비타민 혼합물 중 판테놀과 폴릭애씨드를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3은 콜라겐을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4는 판테놀, 폴릭애씨드 및 콜라겐을 포함하지 않도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2 유효성분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분 원료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제1
유효성분
천연
추출물
한련초잎
추출물
100 - 100 100 100
무화과
추출물
3.76 - 3.76 3.76 5
병풀
추출물
3.76 - 3.76 3.76 5
올레라케아
아크멜라
추출물
3.76 - 3.76 3.76 5
비타민
혼합물
판테놀 3.26 100 - 3.26 -
폴릭애씨드 0.75 15 - 0.75 -
레티닐
팔미테이트
0.001 0.001 0.001 0.001 0.001
바이오
플라보노이드
0.001 0.001 0.001 0.001 0.001
판토테닉
애씨드
0.00001 0.00001 0.00001 0.00001 0.00001
나이아신
아마이드
0.00001 0.00001 0.00001 0.00001 0.00001
바이오틴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리보플라빈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사이아노
코발아민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티아민
에이치씨엘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메나다이온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피리독신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0.000001
저분자량 콜라겐 100 100 100 - -
제2 유효성분과 관련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6은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7은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지 않고, 비교예 8은 식물성 오일만 포함하도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1 유효성분은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분 원료 실시예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제2
유효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 - 30 20 -
식물성
오일
10 30 - 10 30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5 5 5 - -
아로마
오일
0.5 0.5 0.5 0.5 0.5
실험예
주름 개선 효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8을 각각 20~40세 여성 10명씩 상대로 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해보았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2번씩 나누어준 화장품을 눈가를 포함한 얼굴에 도포하도록 하였고, 2주 및 4주가 경과한 후, 피부미세주름영상측정장치인 Visiometer SV600(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R1~R5의 주름 파라미터 중 피부 주름 평균 깊이를 나타내는 R4 측정하였다. R4는 주름 프로필 중 가장 꼭대기 값과 프로필이 이루는 면적을 적분하여 프로필의 중간선의 길이로 나눈 값을 측정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8를 각각 시험한 각 시험군의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각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도포 전 15.68 15.73 14.87 15.21 16.13 15.85 14.96 15.34 17.54
2주 후 12.17 14.25 13.52 13.84 15.29 13.66 12.28 12.98 15.58
4주 후 9.83 12.72 11.95 12.45 14.17 11.24 10.64 10.61 13.26
한련초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은 주름 개선 효과에 있어서 서로 상승 효과를 갖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험 여성들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20~40세 여성 90명을 대상으로 10명을 1개 군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시작 전 측정 결과와 실험 완료 후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8의 피부 탄력 개선도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각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고, 피부 탄력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38 19 20 18 12 29 29 31 24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은 탄력 증진과 관련하여 상호 조성비에 따라 상승 효과를 가지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탄력을 증진 및 유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 보습 효과
실험 여성들의 수분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부위에 수분측정기(corneometer)의 탐침을 올려놓은 후 탐침을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측정부위를 달리 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각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40 미만은 피부가 건조한 상태, 40~50은 일반적인 상태, 50 이상은 보습이 충분한 상태이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도포 후
(0시간)
57 58 54 56 55 55 53 55 56
1시간 후 54 54 51 50 51 48 45 51 51
6시간 후 46 45 44 43 43 37 36 43 42
위의 실험 결과를 통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가 함께 첨가되어 보습막을 형성함에 따라 우수한 수분 유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 평가
한편,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향, 발림성, 흡수도, 피부 건조증 개선도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평가기준은 9점: 아주좋음, 7점: 좋음, 5점 보통, 3점: 나쁨, 1점: 매우나쁨으로 하였다.
구분 발림성 흡수도 피부 건조증
개선도
평균
실시예 8.7 8.4 8.6 8.8 8.63
비교예1 6.5 8.1 8.5 8.1 7.8
비교예2 7.2 8.3 8.4 8.5 8.10
비교예3 8.1 8.5 7.8 8.3 8.18
비교예4 7.3 8.1 7.4 7.8 7.66
비교예5 8.2 7.5 7.2 7.5 7.60
비교예6 7.9 7.1 8.1 7.4 7.63
비교예7 8.5 6.8 8.2 8.0 7.88
비교예8 8.2 6.7 7.1 7.3 7.33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 유효성분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제2 유효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향, 발림성, 흡수도, 피부 건조증 개선도까지 모든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일부 성분을 포함하지 않거나, 조성비율이 상이하면 사용감에서 불편함이 나타났고, 보습 효과의 체감도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한련초잎 추출물, 무화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올레라케아아크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판테놀, 폴릭애씨드, 레티닐팔미테이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판토테닉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바이오틴, 리보플라빈, 사이아노코발아민, 티아민에이치씨엘, 메나다이온,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비타민 혼합물; 및 100~1000 Da의 저분자량 콜라겐;을 포함하는 제1 유효성분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를 포함하는 제2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효성분 중, 천연 추출물, 비타민 혼합물 및 저분자량 콜라겐은, 5 ~ 15 : 0.5 ~ 2.0 : 5 ~ 1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효성분 중,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식물성 오일, 및 세테아릴올리베이트는 18 ~ 20 : 9 ~ 12 : 3 ~ 6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에센스, 세럼, 크림, 아이크림, 영양크림, 수분크림, 로션 또는 시트마스크 유액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129242A 2021-09-29 2021-09-29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64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42A KR102647764B1 (ko) 2021-09-29 2021-09-29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42A KR102647764B1 (ko) 2021-09-29 2021-09-29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31A KR20230046131A (ko) 2023-04-05
KR102647764B1 true KR102647764B1 (ko) 2024-03-13

Family

ID=8588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242A KR102647764B1 (ko) 2021-09-29 2021-09-29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49B1 (ko) * 2023-11-28 2024-02-28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11B1 (ko) 2019-06-26 2021-04-14 주식회사 팜스메틱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018B1 (ko) 2016-12-23 2018-02-27 정윤주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3201B1 (ko) 2018-07-24 2020-03-2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11B1 (ko) 2019-06-26 2021-04-14 주식회사 팜스메틱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화장품 연구원의 성분분석] 닥터자르트 세라마이딘 크림' (2021.4.14) [https://blog.naver.com/redcherry89/222310221198]
네이버 블로그 '센텔리안24 엑스퍼트 마데카 크림 랩핑 마스크 사용후기' (2019.12.13) [https://blog.naver.com/aryun8970/221735815538]
네이버 블로그 '피부 본연의 힘을 길러주는 이자녹스 바이탈 콜라겐 크림' (2021.9.15) [https://blog.naver.com/joccund/222506950095]
인터넷 자료 '헬로셀 비타민K 닥터쁘띠 크림 솔직리뷰' (2021.2.5) [https://cuddly282.tistory.com/7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31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798B (zh) 一种全效眼霜及制备方法
MXPA04000002A (es) Agente con un contenido de gasa (aceite), que contiene un extracto de cebolla su preparacion y su utilizacion para el cuidado,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un tejido cutaneo danado, en particular de cicatrices.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03425A (zh) 一种高渗透护肤组合物及其纳米乳液和制备方法
KR20210043318A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KR101167936B1 (ko) 지속적인 보습효능을 가진 천연 성분 화장료 조성물
CN113499281A (zh) 一种稳定悬浮体系及其制备方法和化妆品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US2022037869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KR102647764B1 (ko)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611063B1 (ko) 마사지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73486A (zh) 一种神经酰胺滋润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1543B1 (ko) 클랜징 및 각질제거, 보습용 천연화장품의 조성물
CN109363977A (zh) 一种滋润水润清透cc霜及其制备方法
CN112675108A (zh) 保湿舒缓抗皱眼霜及其制备方法
CN111973501A (zh) 一种神经酰胺赋活乳及其制备方法
CN115154375A (zh) 一种稳定且具有修护及舒缓功效的清洁组合物
KR20190017420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20230007680A (ko) 봉독 추출물 및 식물성 플라센타를 포함하는 보습 영양 크림 화장료 조성물
CN112057386A (zh) 一种清爽保湿美白修复的防晒乳及其制备方法
CN111840140A (zh) 一种维生素e眼霜的制备方法
KR102402021B1 (ko) 영양공급 및 스타일링 유지 헤어오일 조성물
RU2816012C1 (ru) Кремы косметические для рук на основе гидролатов эфиромасличных раст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