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649B1 -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649B1
KR102640649B1 KR1020230168096A KR20230168096A KR102640649B1 KR 102640649 B1 KR102640649 B1 KR 102640649B1 KR 1020230168096 A KR1020230168096 A KR 1020230168096A KR 20230168096 A KR20230168096 A KR 20230168096A KR 102640649 B1 KR102640649 B1 KR 10264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3016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매 10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내지 5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13 중량부, 산도조절제 0.2 내지 0.3 중량부,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20 내지 25 중량부 및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2,3-부탄디올, 베타인, 폴리쿼터늄-51 및 트레할로오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판테놀, 메도우폼씨 오일,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쌀배아 오일, 아데노신 및 패션프룻씨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pH 개선,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적합하게 조절하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ANTHENOL}
본 발명은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pH 개선,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적합하게 조절하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몸을 보호해주고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으면 느낄 수 있는 신경말단이 위치해 있으며 체온 조절, 비타민 합성 등의 화학적 및 물리적 반응이 이루어지는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분되며, 진피는 표피보다 수분이 많으며 표피에 영양을 공급해 준다. 표피에 영양이나 수분이 부족해지면 진피에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표피층이 외부로부터 수분을 빼앗기지 않도록 피부보호와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표피층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피부 건조현상이 일어나면서 각질 세포의 결합력이 감소하여 각질층을 포함한 표피 그리고 진피의 수분 밸런스에 영양을 주게 되는데, 이러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과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야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피부는 보이는 부분으로 미적 아름다움을 결정하는데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 유지는 필수적이며, 피부 보습이 부족하면 대부분은 피부가 건조하다고 표현한다. 하지만, 피부 건조현상이 무조건 피부 수분함량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피부 건조현상은 피부가 건조함을 느낄 때 보습제를 수시로 도포하면 건조현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여드름은 특히 호르몬의 변화가 많은 사춘기에 주로 발병하며 면포, 구진, 농포 및 결절 등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지성 질환(pilosebaceous disease)으로 최근에는 성인에게도 여드름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서구에서는 10대 청소년의 약 79 내지 95% 정도가 여드름 질환을 앓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4000 내지 5000만 명 정도가 여드름 환자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은 청소년에 국한되지 않고 성인에게도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25세 이상의 성인 중 남성 인구의 40%, 여성 인구의 54% 정도가 여드름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바르는 약제를 사용하거나 먹는 약을 사용한다. 바르는 약은 항균제, 항생제 및 각질제거제 등이 있으며 먹는 약으로는 항생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및 피지분비 억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바르는 약의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며 부작용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기고, 먹는 약은 전신에 작용하므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986513호(2019.05.31.) 한국특허등록 제10-2591640호(2023.10.16.)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pH 개선,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적합하게 조절하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매 10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내지 5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13 중량부, 산도조절제 0.2 내지 0.3 중량부,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20 내지 25 중량부 및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2,3-부탄디올, 베타인, 폴리쿼터늄-51 및 트레할로오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판테놀, 메도우폼씨 오일,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쌀배아 오일, 아데노신 및 패션프룻씨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피부장벽 개선제 0.5 내지 2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피부장벽 개선제는 호호바오일 및 로즈힙열매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피부탄력 개선제 0.1 내지 0.5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피부탄력개선제는 에델바이스 추출물 100 중량부에 펩타이드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은 아세틸헥사펩타이드-30, 노나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트라이펩타이드-1,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및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여드름 개선제 0.1 내지 1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여드름 개선제는 버드나무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pH 개선,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적합하게 조절하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 계면활성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증점제, 피부컨디셔닝제 및 향료로 이루어지며, 용매 10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내지 5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13 중량부, 산도조절제 0.2 내지 0.3 중량부,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20 내지 25 중량부 및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티콘, 메틸프로판디올 및 1,2-헥산디올로 이루어지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디프로필렌글리콜 6 내지 10 중량부, 디메티콘 4 내지 6 중량부, 메틸프로판디올 3 내지 4 중량부 및 1,2-헥산디올 3 내지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3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며,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이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피부자극이 지나치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보습제는 10 내지 13 중량부가 함유되며, 글리세린, 2,3-부탄디올, 베타인, 폴리쿼터늄-51 및 트레할로오스로 이루어지는데, 글리세린 100 중량부, 2,3-부탄디올 5 내지 10 중량부, 베타인 3 내지 5 중량부, 폴리쿼터늄-51 0.1 내지 0.2 중량부 및 트레할로오스 0.02 내지 0.0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보습제는 본 발명을 통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1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임이 지나치게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피부컨디셔닝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0.2 내지 0.3 중량부가 함유되며, 트로메타민(Tromethamine)으로 이루어지는데, 알칼리성 및 완충성을 모두 나타내는 3차 아민으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산성도 또는 알칼리성을 조절하여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피부 흡수력과 효능을 향상시키며, 피부 속 세포를 유연하게 하여 모공이 막히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도조절제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산도조절제의 함량이 0.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증점제는 0.4 내지 0.6 중량부가 함유되며 카보머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점도를 향상시켜 피부도포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4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0.6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임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20 내지 25 중량부가 함유되며, 판테놀, 메도우폼씨 오일,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쌀배아 오일, 아데노신 및 패션프룻씨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판테놀 100 중량부 대비 메도우폼씨 오일 180 내지 220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90 내지 120 중량부, 병풀추출물 1 내지 1.5 중량부, 무화과추출물 1 내지 1.5 중량부,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2 내지 4 중량부, 쌀배아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아데노신 1 내지 3 중량부 및 패션프룻씨오일 0.4 내지 0.6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테놀은 비타민 B5의 유도체로 체내에 들어오게 되면 피부재생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B5로 변해 '프로비타민 B5'라고도 불리는 성분인데, 우수한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건조한 피부에 부족한 수분을 직접 공급해주며, 가려움이나 붉은기 등을 가라앉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메도우폼씨오일은 메도우폼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로 피부보습과 피부재생효과가 우수하며, 영양분을 피부속까지 전달하여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피부진정 및 피부미백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염증완화 및 피부장벽개선 및 주름개선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병풀추출물은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애씨드,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아시아틱애씨드 등이 함유되어 피부진정에 도움을 주고, 염증을 예방하며 피부재생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항상화 효능을 부여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무화과추출물은 무화과나무(Ficus carica) 열매에서 추출된 성분으로, 피부 결을 부드럽게 해주며 부족한 수분을 충족해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인해 피부 노화와 트러블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은 피부를 환하게 하고 피부톤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쌀배아 오일은 쌀(Oryza sativa)의 배아에서 얻은 오일로 수분증발을 차단하는 역할을 통해 피부에 보습효과 부여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아데노신은 체내에 존재하지만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아데노신은 피부주름개선 효과, 지성피부의 트러블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피부장벽 개선제 0.5 내지 2 중량부가 더 함유될수도 있는데, 상기 피부장벽 개선제는 호호바오일 및 로즈힙열매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호호바오일 및 로즈힙열매오일이 1:1의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피부장벽 개선제는 피부장벽 보호 효과가 우수하여 얼굴 뿐만 아니라 목과 같이 주름이 다량 형성되는 부분의 피부장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호바오일은 피부의 피지와 유사한 성분으로 피부 흡수력이 높고, 끈적임이 적어 사용감이 좋으며 수분 공급 작용과 함께 다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장벽을 보호함과 동시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즈힙열매오일은 장미나무 종자에서 추출되는 오일 성분으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조직재생 효과가 우수한데, 비타민의 함량은 오렌지의 20배 및 레본의 60배 정도로,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항산화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콜라겐의 합성작용을 돕고 뼈, 잇몸, 치아의 조직세포 성장과 회복에 도움을 준다.
또한, 로즈힙열매에 함유된 베타카로틴은 체내에서 필요한 양만큼 비타민A로 전환되어 피부 표피세포, 눈, 소화기관 및 호흡기관과 관련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세포 재생 및 성장을 돕는다. 이러한 베타카로틴은 자외선 작용을 중성화시켜 내부의 자외선 차단효과 및 함암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피부장벽 개선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피부장벽 개선제의 함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피부탄력 개선제 0.1 내지 0.5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피부탄력개선제는 에델바이스 추출물 100 중량부에 펩타이드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에델바이스 꽃을 완전 건조한 후 추출하는데,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는 건조된 에델바이스 꽃 대비 5 내지 10배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온도는 40 내지 50℃, 추출시간은 4 내지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천연 안티 에이징의 효능을 내는 천연 노화방지제이며 혈액순환 증진을 통해 피부가 세포 생성을 활성화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탄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에델바이스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40 내지 8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아세틸헥사펩타이드-30, 노나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트라이펩타이드-1,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및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작아 피부탄력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탄력개선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피부탄력개선제의 함량이 0.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용매 100 중량부 대비 여드름 개선제 0.1 내지 1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여드름 개선제는 버드나무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드나무 추출물은 주요 활성 성분으로 살리신(Salicin)이 함유되어 해열, 진통, 항염 효능을 갖는 아스피린의 활성 대사물질인 살리실산(Salicylic acid)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물질로, 살리실산은 대표적인 베타-하이드록시 애씨드(beta-hydroxy acid; BHA)로 피부의 각질 제거에 효과적인 물질이며 항균 및 항염에도 효과를 나타내어 여드름균 저해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각질 제거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데, 산화질소(Nitric Oxide)와 Il-1, Il-6, Il-8, Il-12,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대식세포(macrophages)의 활성을 향상시켜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에키네시아 추출물의 주된 활성 성분은 폴리페놀인 Caffeic Acid의 유도체로서, Caftaric acid, Chlorogenic acid, Cynarin, Echinacoside 및 Cichoric acid와 같은 성분들이기 때문에, 강력한 항산화 작용 및 면역 작용을 통해 산화 물질 등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꽃 추출물과 상기 질경이 추출물에는 뮤신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뮤신은 동물의 외분비 샘에서 분비되는 점성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당질과 결합된 복합단백질인데, 항균작용의 특성을 나타내어 여드름균의 성장과 여드름균에 의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결명자 추출물은 피지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eroxisome-proliferation activated receptor γ; PPARγ)와 지방산 합성(fatty acid synthesis; FAS)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드나무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드름 개선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여드림 개선제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피부독성이 지나치게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클랜져,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미스트, 크림 미스트, 에센스, 팩, 에멀젼 및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피부장벽개선제의 제조
호호바오일 및 로즈힙열매오일을 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피부장벽개선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에델바이스 추출물의 제조
에델바이스 꽃잎 건조한 후에, 건조된 에델바이스 꽃잎 100 중량부에 정제수 800 중량부를 혼합하고 4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고형분을 제거하여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피부탄력개선제의 제조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에델바이스 추출물 100 중량부에 노나펩타이드-1 20 중량부,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20 중량부 및 트라이펩타이드-1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부탄력개선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여드름 개선제의 제조
연꽃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을 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여드름 개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아래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피부장벽개선제 1.2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피부탄력개선제 0.3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제 0.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피부장벽개선제 1.25 중량부,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피부탄력개선제 0.3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4를 통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제 0.5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판테놀, 메도우폼씨 오일,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쌀배아 오일, 아데노신 및 패션프룻씨오일을 혼합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자극 여부, 피부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자극, 피부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1mL를 하루 2번 12시간 간격으로 목부위에 도포하는 과정을 15일 동안 진행한 후에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5점: 매우 개선, 4점: 약간 개선, 3점: 개선 없음, 2점: 악화 1점: 매우 악화}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목부위와 같이 주름이 다량 발생한 부위에 대해서도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자극, 피부 진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4 및 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여드름 개선 효과는 여드름 피부를 나타내는 피시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되, 10명씩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1m씩 여드름 발생 부위에 도포하는 과정을 4주 동안 진행한 후에,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5점: 매우 개선, 4점: 약간 개선, 3점: 개선 없음, 2점: 악화 1점: 매우 악화}
<표 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에 1, 4 및 5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 4 내지 5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단, 피부 주름개선 효과는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된 피부 주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10%로 증류수에 녹여 적용하였으며,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선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씩 10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과 10% 농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1일 2회 0.5㎖/㎠(건조추출물로 50mg/㎠)씩 6주간 처리한 군(5개)을 대상으로 주름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하여 육안 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각각의 추출물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 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정하였다.}
<표 4>
상기 표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pH 개선, 피부장벽 개선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적합하게 조절하며 여드름 피부를 개선한다.

Claims (5)

  1. 용매 10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내지 5 중량부, 보습제 10 내지 13 중량부, 산도조절제 0.2 내지 0.3 중량부, 증점제 0.4 내지 0.6 중량부, 피부컨디셔닝제 20 내지 25 중량부,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 피부장벽 개선제 0.5 내지 2 중량부, 피부탄력 개선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여드름 개선제 0.1 내지 1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2,3-부탄디올, 베타인, 폴리쿼터늄-51 및 트레할로오스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판테놀, 메도우폼씨 오일, 나이아신아마이드, 병풀추출물, 무화과추출물, 칸디다/가르시니아발효물, 쌀배아 오일, 아데노신 및 패션프룻씨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장벽 개선제는 호호바오일 및 로즈힙열매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탄력개선제는 에델바이스 추출물 100 중량부에 펩타이드 혼합물 4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은 노나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및 트라이펩타이드-1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여드름 개선제는 버드나무 추출물, 에키네시아 추출물, 연꽃 추출물, 질경이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68096A 2023-11-28 2023-11-28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4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096A KR102640649B1 (ko) 2023-11-28 2023-11-28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8096A KR102640649B1 (ko) 2023-11-28 2023-11-28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649B1 true KR102640649B1 (ko) 2024-02-28

Family

ID=9012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8096A KR102640649B1 (ko) 2023-11-28 2023-11-28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6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6513B1 (ko) 2016-07-27 2019-06-07 한국콜마주식회사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1507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더마클래스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131A (ko) * 2021-09-29 2023-04-05 문은빈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585994B1 (ko) * 2022-06-24 2023-10-06 (주) 디에스테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1640B1 (ko) 2022-11-07 2023-10-20 주식회사 비아르랩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13B1 (ko) 2016-07-27 2019-06-07 한국콜마주식회사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1507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더마클래스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131A (ko) * 2021-09-29 2023-04-05 문은빈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KR102585994B1 (ko) * 2022-06-24 2023-10-06 (주) 디에스테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1640B1 (ko) 2022-11-07 2023-10-20 주식회사 비아르랩 여드름 개선 및 예방과 여드름 상처 치유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6420488B (zh) 一种新生滋养抗皱眼霜
CN108653142A (zh) 一种保湿组合物
US7160560B2 (en) Skin-care composition
KR101987903B1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7509B1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1913808B1 (ko)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CN111529450A (zh) 深层补水修复组合物,其护肤品及制备方法
CN104027280A (zh) 一种抗衰老中药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20100087522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US20180353413A9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CN105287272A (zh) 含有肉苁蓉提取物苯乙醇总苷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90040426A (ko) 두피노화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9608B1 (ko) 리쥬버네이팅 세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40649B1 (ko)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9113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05499B1 (ko) 피부자극이 완화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초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