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507A -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507A
KR20220021507A KR1020200102140A KR20200102140A KR20220021507A KR 20220021507 A KR20220021507 A KR 20220021507A KR 1020200102140 A KR1020200102140 A KR 1020200102140A KR 20200102140 A KR20200102140 A KR 20200102140A KR 20220021507 A KR20220021507 A KR 20220021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test
cer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173B1 (ko
Inventor
엄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마클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마클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마클래스
Priority to KR102020010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식물 유래 성분으로 마련되어 피부의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고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facial skin and alleviating swelling}
본 발명은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 유래 성분으로 마련되어 피부의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고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skin)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외부의 세균 침입과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 장벽(defense barrier)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로부터의 열과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피부는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이 가운데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표피(epidermis)라 하고, 그 아래로 진피, 피하 지방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또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층에서 생성된 표피 세포는 14일 걸려 과립층까지 올라오고 과립층에서 케라토히알린(Keratohyalin)의 작용으로 각질화가 시작된다.
피부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 예를 들어 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화학적 자극 인자에 대해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여러 가지 위해 요인들이 늘어난 최근에 들어서는 건조 피부 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보습성분(humectant)과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밀폐성분(occlusive moisturizer)을 사용하여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습성분으로는 폴리올류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으며, 밀폐성분으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이나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이 사용되고 있다(J InvestDermatol(5), 731-740, 1994).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각질제거용 물질로서 글루코노락톤; 글루코노락톤에 의한 피부 신경 자극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육두구추출물과 함께, 우엉씨추출물, 알라닐글루타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5, 아르니카꽃추출물, 갈조추출물, 판테놀, 및 베타-글루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한 항염 복합체, 및 우레아, 아미노산, 피로리돈 카르복시산(PCA), 히야루론산나트륨, 락테이트, 글루코사민, 칼륨이온, 나트륨이온, 및 칼슘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보습인자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및 야로우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60중량% 함유하며, 상기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및 야로우 추출물의 중량비는 5.5~6.5 : 1.75~2.25 : 1.75~2.25인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1~5 중량%, 달맞이꽃 종자유 1~5 중량%,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1~5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5 중량%,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1~5 중량%, 시어버터1~5 중량%, 글리세린 10~20 중량%, 토코페롤 0.1~0.5 중량%, 히알루론산 0.05~0.2 중량%, 흰목이버섯 포자낭과 추출물 0.05~0.2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0.01~0.1 중량%, 마누카 꿀 0.01~0.1 중량% 및 참마뿌리 추출물 0.5~2 중량%를 포함하는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0854호(2018.08.1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7312호(2007.12.1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9980호(2018.10.15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내 천연 보습 인자와 항염 복합체의 조합으로 각질제거로 유발될 수 있는 원천적인 피부 신경 자극을 완화시키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과도한 세안 또는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장벽으로서의 기능이 감소된 피부를 촉촉하게 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 완화에 대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지속적으로 피부 보습 효과가 유지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제시하였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3에도 안면부의 붓기를 완화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끈적임 없이 안면부의 피부에 빠르게 흡수될 수 있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2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판테놀 0.1~2.0 중량%,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0.0001~0.01 중량%, 세라마이드엔피 0.01~1.0 중량%, 무궁화나무껍질추출물 0.00001~0.002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자일리톨, 쇠비름추출물, 아데노신, 에리스리톨, 향료,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로자일리톨, 인카르나타시계꽃전초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알파-글루칸올리고사카라이드, 로즈힙열매오일, 에델바이스캘러스배양추출물, 겔리듐 카르틸라기네움추출물, 두충나무껍질추출물, 스테아릭애씨드, 당호박씨추출물, 당호박추출물, 세라마이드엔에스, 피토스핑고신,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에이에스, 세라마이드에이피,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올리고펩타이드-1, 다이펩타이드-2, 트라이펩타이드-1, 세라마이드이오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고형비누, 물비누, 샴푸, 린스, 용액, 현탁액, 유탁액, 미네랄 화장료, 분말향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염모제, 왁스,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팩, 팩 베이스, 아이 크림, 향료, 연고, 클렌징 워터, 파우더,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중의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도 2는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개선율을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도 3은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도 4는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개선율을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부위와 대조 부위의 Antera 3D(Elevation: Very large) 측정 사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부종은 과도한 수분이 축적된 현상으로 부종이라고도 불린다. 우리의 몸에는 70% 이상의 체액이 존재하며, 이중 3분의 2는 세포 내액이며, 나머지 3분의 1은 세포 외액이다. 세포 외액 중에서 4분의 1은 혈액이고 나머지 4분의 3은 간질액이다. 간질액이 증가하면 몸이 붓게 되고, 부종이라고도 불린다. 그 중 안면부의 붓기는 인상을 변형시키고 미용상으로 양호하지 않은 영향을 주어 많은 사람의 고민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안면부(볼부위 및 눈두덩이)의 붓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사용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마련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시료를 총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2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일시적 또는 개인차가 있을 수도 있지만, 시료를 사용한 안면부(볼 부위) 시험 부위는 시료 사용 후, 피부 층별 수분량과 피부 볼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조 부위와의 비교에서도 피부 층별 수분량과 피부 볼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음을 확인하여 시험 시료가 안면부(볼 부위) 붓기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피부 보습"은 피부의 수분 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안면부"는 사용자의 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한편, 상기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2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판테놀(Panthenol)은 피부에 흡수되었을 때 수용성 비타민 B5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고, 상피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며 수분을 결합시켜 푸석한 피부에 피부 광채와 보습 효과를 제공하며, 수분 증발을 차단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고 피부 세포의 재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피부유연화제, 피부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 정전기방지제로 사용된다.
상기 판테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함유된다.
또 아르니카(Arnica)의 학명은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L.)이고, 주로 세스퀴테르펜 락톤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약리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꽃에 항염증, 항균, 저혈압, 혈소판응집억제, 간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아르니카는 알프스 고원지대를 비롯한 독일 등의 산간 지역에서 자생하는 국화과의 여러 살이 풀로서, 유럽에서는 민간요법으로 타박상, 낙상이나 멍든 근육, 유방통, 만성염증 및 만성종기에 사용되었다. 꽃에는 astralin(kaempfrol-3-glycoside), isoquercetin, 지방유, 뿌리에는 thymohydroquin-one-dimethylether, 퓨마르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아르니카 오일은 아르니카 꽃 또는 뿌리를 파쇄해서 식물유(콩기름)에 침적 후 여과하여 마련되고, 아르니카 추출물로서 물, 에탄올, 다가알코올류로 추출한 수용성 아르니카 추출물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0.0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함유된다.
또한, 세라마이드(Ceramide)는 피부 표피와 표피 내까지 작용을 하며 지속적인 보습과 피부 재생의 효과를 제공한다. 즉,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피부 도포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복원 등 피부 개선 역할을 하며, 피부 인지질 구성 성분에 해당하는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2,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포스포리피드 및 포타슘 C11-15 알킬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를 적용하며, 이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는 D-에리스로구조를 갖는 피토스핑고신에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이 결합된 합성 N-아실화스핑고리피드 성분이다. 모발에 윤기와 광택, 탄력성을 주고 손상모를 보호하거나 손상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피부 친화적인 성분으로 피부 항상성을 유지하고 피부 보호막을 강화함으로써 보습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엔피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함유된다.
한편,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낙엽관목으로 한국·싱가포르·홍콩·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 껍질 또는 뿌리껍질을 목근피 라고 하며, 무궁화의 겉껍질은 벗겨서 종이의 원료로 사용하며 말려서 청열, 이습, 해독, 지양의 효능이 있고, 장풍사혈탈항, 개선, 치질, 소갈, 심번불면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하고, 잎은 목근엽 이라고 하며, 해열의 효능이 있고, 적체, 적백적리를 치료한다. 즉, 한방에서 무궁화 나무껍질은 열을 내리고 독소를 배출해 가려움증을 멈추며, 활성산소에 대응해 노화를 예방하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UVB로 인한 피부 손상을 막아 피부 탄력을 지켜주며 우수한 미백, 항염 효과와 강력한 보습 효과를 유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은 예를 들어, 무궁화 줄기를 세정제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음건하여 분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 분량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수용액, 예를 들어 에탄올 96%로, 40 ~ 11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무궁화나무껍질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0.0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2 중량% 함유된다.
한편, 상기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은 정제수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믹서에 의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자일리톨, 쇠비름추출물, 아데노신, 에리스리톨, 향료,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로자일리톨, 인카르나타시계꽃전초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알파-글루칸올리고사카라이드, 로즈힙열매오일, 에델바이스캘러스배양추출물, 겔리듐 카르틸라기네움추출물, 두충나무껍질추출물, 스테아릭애씨드, 당호박씨추출물, 당호박추출물, 세라마이드엔에스, 피토스핑고신,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에이에스, 세라마이드에이피,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올리고펩타이드-1, 다이펩타이드-2, 트라이펩타이드-1, 세라마이드이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고형비누, 물비누, 샴푸, 린스, 용액, 현탁액, 유탁액, 미네랄 화장료, 분말향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염모제, 왁스,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팩, 팩 베이스, 아이 크림, 향료, 연고, 클렌징 워터, 파우더,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중의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에 대해 붓기 감소의 기능을 시험하였다. 또 이하의 시험에서는 안면부에서 볼 부위에 대해 시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눈두덩이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시험 물질)에 대한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에서는 시간 변화에 따른 자연적 붓기 감소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볼 부위의 경우 안면의 좌/우측에 무작위로 도포/무도포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물질은 피험자가 시험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도포 횟수는 시험물질의 용법 및 용량을 원칙으로 하며, 용법 및 용량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1일 1~2회 도포하였다(아침 및 저녁). 단, 시험 물질의 효능 및 피부 이상 반응 등을 고려하여 도포 횟수 및 도포 총량을 결정하였다.
한편, 피시험자 선정기준은 1)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사람이 피험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한 자, 2)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3) 시험기간 동안 원활한 추적관찰이 가능한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의 사용 장비는 하기와 같다.
1) F-ray(Moire)
F-RAY는 빛의 현상의 일종인 moire 현상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등고선을 그린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얼굴 표면의 고저, 윤곽, 주름과 꺼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피부진단기기이다. Moire란 백색광에서 공간적으로 주기성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반사판이나 투과판의 스크린을 겹쳐 놓을 때, 보다 큰 주기를 갖는 물결무늬 형태의 간섭무늬를 말한다. 주기적인 무늬가 겹쳐서 원래의 주기보다 큰 무늬를 만드는 현상을 "Moire 간섭"이라 하고, 이때 생기는 무늬를 "Moire 무늬"라 한다. 이러한 Moire 기법을 사용하는 F-ray는 피부 상태를 정밀하게 비교하기 위해서 이마와 턱을 고정하는 얼굴 고정장치를 활용하여 재현성을 높였으며, 총 일곱 가지의 촬영 각도(정면, 좌우 30°, 45°, 60°)로 촬영하여 다양한 각도의 촬영 이미지 비교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특수 F-ray 케이스와 암막 장치를 통해 조명과 날씨, 시간, 장소에 상관없이 동일한 밝기와 대비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1800만 화소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의 미세한 점과 주름까지 모두 확인 가능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2) ANTERA 3DTM(Miravex, Ireland)
Antera 3D® 는 고해상도 3차원 이미지 측정장비로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피부에 조사하였을 때, 반사되는 신호를 이미지화하여 피부 상태를 분석한다. 3차원 이미지를 얻기 위해 광학적 방법과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피부의 3차원 형상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피부 개선 정도를 수량화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를 통해 미세 주름의 깊이와 폭, 피부의 거칠기, 모공의 개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미지 측정 모드는 8가지이며, 각 모드에서 분석 필터에 따라 세분화된 옵션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원하는 분석 부위를 지정하여 다양한 parameter 분석 값을 얻을 수 있다.
3) MoistureMeterD Compact(Delfin Technologies, Finland)
MoistureMeter D Compact는 저에너지 고주파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특정 범위의 조직이 가지는 유전상수(TDC;Tissue)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며, 조직 유전 상수는 0 ~ 100% 범위의 물 비율로 변환되어 나타난다. 이렇게 측정된 조직의 유전상수는 조직이 가지는 수분 함량에 비례하며, 부종 등의 영향으로 조직 내 수분함량이 변하는 경우에 이러한 조직 유전상수도 증가하는 원리이다. MoistureMeter D Compact의 유효 깊이는 2~ 2.5mm이며, 독립 실행형 장치로 측정 데이터를 내장 접촉 압력 센서 및 LCD 화면으로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시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모든 방문 12시간 전부터 기초제품 사용 및 화장을 금지하고, 인체적용 시험 시작 1주 전부터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피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제, 화장품 및 의약외품 등의 사용, 의학적 처치, 마사지 등을 금하도록 하였다.
시험 방법은 시험 대상자가 시험 시작일(0주차)에 방문하여 지정된 시험 부위에 시험 물질을 4주간 사용하고 붓기 완화 효능 평가를 실시하고, 기기 측정 시점은 시험 물질의 용법, 효능, 피부 이상반응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총 2~3회 시험 기관을 방문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자연적인 안면부 붓기 및 그 감소 현상을 고려하여 피험자는 시험자가 제공하는 기준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 후 페이퍼 타월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한 후 30분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 RH)에서 안정을 취하게 하였다.
한편, 평가 시마다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정부위를 1) Moisturemeter D : 양측비익(alare)에서의 수평선과 동측 동공중심선 (mid-pupillary line)이 만나는 지점, 2) Antera 3D : 팔자주름 전체를 포함하는 양측 뺨으로 구획하였다.
또한, 평가 및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1) Antera 3D를 이용한 볼 부위 부피 감소 효과 평가
시료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피부 볼륨 정도를 기기적으로 측정한다.
볼륨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이 % 값으로 도출한다.
볼륨개선율(%) =
{(시료 사용 전 측정치-시료 사용 후 측정치)/시료 사용 전 측정치} * 100
2) MoistureMeterD Compact를 이용한 피부 층별 수분량 개선 효과 평가
시료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에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량을 기기적으로 측정한다.
피부 층별 수분량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이 % 값으로 도출한다.
피부 층별 수분량 개선율(%) =
{(시료 사용 전 측정치-시료 사용 후 측정치)/시료 사용 전 측정치} * 100
한편,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시험기간 중 피험자 방문일마다 시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및 기타 이상증)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1) Minitab 19 (Minitab® 192, Minitab Inc)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결과 값은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을 통해 정규 분포로 추정되는 경우, 아래의 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동일 그룹 내 전후 결과 값 비교 : 시험 전, 후 측정한 값의 비교는 paired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2 이상의 상이한 그룹 간 결과 값 비교 : 두 그룹 간 결과값의 비교는 Welch's t-검정을 이용하며, 3 이상의 그룹 간 결과값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반복 측정한 2 이상의 상이한 그룹의 결과값 비교 :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하며, 그룹 간 초기 측정값이 유의하게 다른 경우 초기 측정값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통해 그룹간 결과값의 차이를 확인한다.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에서 정규성이 기각되는 경우, 아래의 비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동일 그룹 내 전후 결과값 비교 : 시험 전, 후 측정한 값의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2 이상의 상이한 그룹 간 결과값 비교 : 두 그룹 간 결과값의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며, 3 이상의 그룹 간 결과값 비교는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확인한다.
반복 측정한 2 이상의 상이한 그룹의 결과값 비교 :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수준 p < 0.05 수준에서 그룹간 결과값의 차이를 확인한다.
상술한 기준에 따라 모든 자료는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요약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시험 물질을 시험하기 위한 피험자의 기본 정보는 표 1과 같다.
No 성별 나이 No 성별 나이
1 35 12 49
2 37 13 49
3 42 14 52
4 42 15 52
5 42 16 53
6 44 17 54
7 44 18 56
8 45 19 56
9 47 20 57
10 47 21 57
11 48
표 1에 적용된 피험자의 요약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1
다음의 표 3은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량 측정 결과(MoisturemeterDvalue, A.U.)를 나타낸다.
No 시험부위 대조 부위
시험 전 시험 2주 후 시험 4주 후 시험 전 시험 2주 후 시험 4주 후
1 61.40 60.40 59.60 64.20 64.00 64.80
2 43.40 42.20 42.40 41.20 41.40 42.20
3 47.20 44.80 45.40 47.60 47.40 47.80
4 45.20 43.20 42.80 42.00 47.20 43.00
5 53.40 51.40 51.00 47.40 46.80 48.60
6 44.00 44.20 42.60 42.80 42.00 41.80
7 57.00 57.40 52.00 59.20 61.40 59.20
8 45.00 44.00 42.80 47.20 47.00 45.00
9 57.60 56.40 52.20 58.90 58.20 54.40
10 57.40 57.00 56.80 60.00 63.40 62.20
11 53.20 51.60 52.00 52.80 54.60 53.60
12 49.20 43.20 42.80 49.40 49.80 49.80
13 49.80 48.20 45.20 49.20 51.00 48.60
14 48.80 46.00 43.40 44.60 44.40 44.00
15 49.00 47.80 43.80 46.00 47.60 46.00
16 55.40 54.80 51.00 55.00 54.40 52.40
17 46.40 45.40 43.40 45.80 46.40 44.80
18 59.60 57.20 53.00 55.60 56.40 54.80
19 51.20 51.00 48.80 49.60 51.40 50.60
20 53.40 51.00 51.40 53.00 53.40 52.60
21 55.80 53.00 48.40 50.20 50.40 50.20
하기 표 4는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 정규성 검정, Ryan-Joiner Normality 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하기 표 5는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전후 비교 통계, Friedman test를 나타낸다.
구분 주차 N 추정 중위수 순위 합 S P-value

시험
부위
시험 전 21 51.33 61.0
31.14

< 0.001
시험 2주차 21 50.27 40.0
시험 4주차 21 48.80 25.0
하기 표 6은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전후 비교 통계, 반복측정분산분석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하기 표 7은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통계, 사후 검정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7에서 문자를 공유하지 않은 평균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차이를 가진다.
표 8은 시험 전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측정값 동질성 통계, Welch's t-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하기 표 9는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측정값 그룹 간 비교 대조, Friedman 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하기 표 10은 시점 별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 변화량 (△) 정규성 검정, Ryan-Joiner Normality Test를 나타낸다.
구분
평균 표준 편차 N RJ P-value 검정
시험
부위
2 주차 변화량(△) 1.53 1.360 21 0.923 <0.010 정규성 기각
4 주차 변화량(△) 3.41 2.002 21 0.966 >0.100 정규 분포
대조
부위
2 주차 변화량(△) -0.82 1.495 21 0.925 <0.010 정규성 기각
4 주차 변화량(△) 0.24 1.450 21 0.961 0.099 정규 분포
하기 표 11은 시점 별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 변화량 (△) 군간 통계 분석, Mann-Whitney U test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하기 표 12는 시점 별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군간 통계 분석, Welch's t-test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하기 표 13은 피부 층별(깊이 2.5㎜) 수분량 개선 정도(Local tissue water, MoisturemeterDvalue, %)를 나타낸다.
구분 측정 값(%) 개선율 p-value

시험
부위
시험 전 51.54 -
< 0.001
시험 2주 후 50.01*** 2.97%
시험 4주 후 48.13*** 6.61%

대조
부위
시험 전 50.54 -
0.005
시험 2주 후 51.36** -1.62%
시험 4주 후 50.30 0.47%
Significant probability : *p<0.05, **p<0.01, ***p<0.001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시험 기간 동안 시험 부위의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도포 대조 부위와의 비교에서도 시점 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변화량의 감소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로 시험 부위에서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이고, 도 2는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 함량 개선율을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이다.
하기 표 14는 피부 볼륨 Antera 3D 측정 결과(Elevation: Very large, mm3)를 나타낸다.
No 시험부위 대조 부위
시험 전 시험 2주 후 시험 4주 후 시험 전 시험 2주 후 시험 4주 후
1 16.29 10.93 8.87 30.81 35.14 33.15
2 37.48 31.93 21.12 49.76 47.44 46.17
3 56.03 50.15 46.46 21.33 28.72 27.82
4 24.23 24.66 18.37 39.63 40.20 48.77
5 43.10 41.89 35.49 46.15 44.89 44.17
6 80.40 65.93 60.03 37.19 49.27 67.97
7 59.60 53.26 50.20 49.61 52.42 57.32
8 64.47 60.64 57.04 38.64 34.34 34.02
9 75.91 59.98 63.15 69.84 78.29 78.61
10 27.65 26.92 27.55 48.68 49.64 52.50
11 36.47 35.54 34.32 42.35 44.09 50.05
12 105.00 107.80 56.11 56.44 54.08 61.51
13 74.92 63.55 53.16 31.19 38.14 56.95
14 41.78 40.81 31.52 51.16 51.80 53.40
15 35.22 26.99 14.53 23.87 43.27 21.80
16 51.06 33.13 37.13 43.00 43.86 42.68
17 27.47 22.82 20.04 20.01 34.41 26.78
18 107.10 91.64 84.55 54.96 56.47 62.89
19 19.08 18.67 13.36 37.63 33.57 34.46
20 94.09 95.00 86.68 72.92 45.95 44.92
21 43.75 42.17 40.41 50.07 52.57 53.45
하기 표 15는 피부 볼륨(㎣) 정규성검정, Ryan-Joiner Normality 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하기 표 16은 피부 볼륨(㎣) 전후 비교 통계, 반복측정분산분석을 나타낸다.
구분 요인 DF Adj.SS Adj.MS F-value P-value
시험 부위 week 2 1628 814 17080 <0.001
하기 표 17은 피부 볼륨(㎣) 전후 비교 통계, Friedman 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0
하기 표 18은 피부 볼륨(㎣) 통계, 사후검정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문자를 공유하지 않는 평균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 차이를 가진다.
하기 표 19는 시험 전 피부 볼륨(㎣) 측정값 동질성 통계, Welch's t-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하기 표 20은 피부 볼륨(㎣) 측정값 그룹 간 비교 대조, Friedman test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3
하기 표 21은 시점 별 피부볼륨(㎣) 변화량 (△) 정규성 검정, Ryan-Joiner Normality Test 를 나타낸다.
구분
평균 표준 편차 N RJ P-value 검정
시험
부위
2 주차 변화량(△) 5.56 6.16 21 0.954 0.062 정규 분포
4 주차 변화량(△) 12.43 10.59 21 0.881 <0.010 정규성 기각
대조
부위
2 주차 변화량(△) -2.06 9.028 21 0.914 <0.010 정규성 기각
4 주차 변화량(△) -4.01 11.41 21 0.914 <0.010 정규성 기각
하기 표 22는 시점 별 피부 볼륨(㎣) 변화량 (△) 군간 통계 분석, Mann-Whitney U test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4
하기 표 23은 피부 볼륨(㎣) 개선 정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5
Significant probability : *p<005, **p<001, ***p<0001
시험 기간 동안 시험 부위의 피부 볼륨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 볼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도포 대조 부위와의 비교에서도 시점 별 피부 볼륨 감소 변화량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로 시험 부위에서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이고, 도 4는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지수 변화 추이로서, 안면부(볼부위) 피부 볼륨 개선율을 나타내는 시험 결과 그래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부위와 대조 부위의 Antera 3D(Elevation: Very large) 측정 사진이다.
한편, 하기 표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Figure pat00016
상술한 바와 같은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볼부위의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량 감소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2주 후에 시험 부위, 대조 부위 각각 2.97%와 -1.62%로 확인되었고, 시험 4주 후에는 각각 6.61%와 0.47%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시험 부위에서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 층별(깊이 2.5mm) 수분량이 감소한 결과이다. 또한, 무도포 대조 부위와의 비교에서도 시험 부위의 피부 층별 수분량의 감소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로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볼부위의 부피 감소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2주 후에 시험 부위, 대조 부위 각각 10.41%, -4.73%로 확인되었고, 시험 4주 후에는 각각 23.28%와 -9.19%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시험 부위에서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볼부위의 부피가 감소한 결과이다. 또한, 무도포 대조 부위와의 비교에서도 시험 부위의 볼부위 부피 감소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로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안면부(볼 부위 및 눈두덩이 부분)의 붓기를 완화시켜 견고하고 촉촉한 피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판테놀,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세라마이드엔피 및 무궁화나무껍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2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판테놀 0.1~2.0 중량%, 아르니카 몬타나꽃 추출물 0.0001~0.01 중량%, 세라마이드엔피 0.01~1.0 중량%, 무궁화나무껍질추출물 0.00001~0.002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세테아릴알코올,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자일리톨, 쇠비름추출물, 아데노신, 에리스리톨, 향료, 자일리틸글루코사이드, 안하이드로자일리톨, 인카르나타시계꽃전초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알파-글루칸올리고사카라이드, 로즈힙열매오일, 에델바이스캘러스배양추출물, 겔리듐 카르틸라기네움추출물, 두충나무껍질추출물, 스테아릭애씨드, 당호박씨추출물, 당호박추출물, 세라마이드엔에스, 피토스핑고신, 카퍼트라이펩타이드-1,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에이에스, 세라마이드에이피,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올리고펩타이드-1, 다이펩타이드-2, 트라이펩타이드-1, 세라마이드이오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고형비누, 물비누, 샴푸, 린스, 용액, 현탁액, 유탁액, 미네랄 화장료, 분말향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염모제, 왁스,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팩, 팩 베이스, 아이 크림, 향료, 연고, 클렌징 워터, 파우더,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중의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02140A 2020-08-14 2020-08-14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140A KR102450173B1 (ko) 2020-08-14 2020-08-14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140A KR102450173B1 (ko) 2020-08-14 2020-08-14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507A true KR20220021507A (ko) 2022-02-22
KR102450173B1 KR102450173B1 (ko) 2022-10-04

Family

ID=8049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140A KR102450173B1 (ko) 2020-08-14 2020-08-14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649B1 (ko) * 2023-11-28 2024-02-28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24058317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2B1 (ko) 2002-04-30 2007-12-21 (주)아모레퍼시픽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을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9302A (ko) *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목근피 추출물 함유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90854B1 (ko) 2016-08-04 2018-08-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보습 유지력이 우수한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2017-03-27 2018-10-19 (주)에이씨티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1828A (ko) * 2020-02-27 2020-07-31 (주)닥터송에이치앤비 멍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멍 제거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12B1 (ko) 2002-04-30 2007-12-21 (주)아모레퍼시픽 쟈스민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을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9302A (ko) * 2008-11-26 2010-06-04 (주)아모레퍼시픽 목근피 추출물 함유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90854B1 (ko) 2016-08-04 2018-08-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보습 유지력이 우수한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2017-03-27 2018-10-19 (주)에이씨티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1828A (ko) * 2020-02-27 2020-07-31 (주)닥터송에이치앤비 멍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멍 제거용 패치 및 상기 패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17A1 (ko) * 2022-09-13 2024-03-21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40649B1 (ko) * 2023-11-28 2024-02-28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판테놀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73B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Antiaging effects of the mixture of Panax ginseng and Crataegus pinnatifida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ealthy human skin
Akhtar et al. Evaluation of various functional skin parameters using a topical cream of Calendula officinalis extract
JP6554540B2 (ja)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Avcil et al. Efficacy of bioactive peptides loaded on hyaluronic acid microneedle patches: A monocentric clinical study
KR102450173B1 (ko) 안면부 피부 보습 및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20170020796A1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US20230000735A1 (en)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cosmetic skin treatment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4330B1 (ko) 눈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1340B1 (ko)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을 함유하는 튼살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han et al. Anti-aging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emulsion on human skin
CN113662900A (zh) 一种具有舒缓修复及提亮皮肤功效的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20090038285A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WO2012049697A1 (en) Preparation for antiwrinkle treatment based on caffeine micro - patches beta-glucan polysaccarides
CN108703917B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的化妆品
US20240074964A1 (en) A nutraceuticals formulation with an enhanced organoleptic properties used for skin care
US2022037869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KR102501047B1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하층부 수분 함유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Arterbery et al. Apigenin as an anti-aging skin treatment
WO2016179269A1 (en) Ascorbic acid and biopolymer cosmetic compositions
US20210022966A1 (en) Use of a dry film for cosmetic topical applications
Thiab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ssessing phytochemicals and natural ingredients for skin and hair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