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124A -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124A
KR20170100124A KR1020160022270A KR20160022270A KR20170100124A KR 20170100124 A KR20170100124 A KR 20170100124A KR 1020160022270 A KR1020160022270 A KR 1020160022270A KR 20160022270 A KR20160022270 A KR 20160022270A KR 20170100124 A KR20170100124 A KR 2017010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lor correction
skin color
ultraviole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386B1 (ko
Inventor
김란
Original Assignee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38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유효성분,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 피부유연화제, 유화제, 점증제, 보습제, 첨가제 및 정제수를 소정의 비율로 포함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크림 제형 화장품은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며,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피부결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보습, 항균, 항산화, 항염, 탄력증진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Cream type cosmetic composition having skin tone correcting, UV protecting, anti-wrinkle and whitening effect,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오존층파괴가 가속화되고 있고, 스키, 골프 등의 야외 레저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은 피부 표피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장벽 강화에 이로울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노출될 시에는 화상, 피부흑화, 홍반, 콜라겐 파괴, 색소침착, 주름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부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차단제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할 수 있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켜 자외선이 피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원리이며, 이는 차단효과가 우수하고 자극이 적으나 불투명하여 백탁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피부로 자외선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원리이며, 이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와 달리 투명하여 백탁 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나, 자외선 흡수로 인한 화학작용이 피부에서 발생함에 따라 배합량이 증가하면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 등의 피부자극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고 있으며, 이에 더불어 피부미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욕구 증대에 부합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자외선 차단제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6410호(발명의 명칭: 돌외잎추출물과 호장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이하 종래기술 1이라고 한다.)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돌외의 잎에서 추출한 돌외잎추출물을 0.1 내지 30.0 중량 %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호장근에서 추출한 호장근추출물을 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하여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는 돌외잎추출물과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891호(발명의 명칭: 플라타너스 나무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미백, 주름, 노화방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성분을 함유한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한다.)는 플라타너스나무를 물, 탄소수 1 ~ 4개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KR 10-1216410 KR 10-1477891
상기 종래기술 1은 돌외잎추출물과 호장근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여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색소침착, 노화, 주름증가, 탄력저하, 건조 등의 다양한 피부개선효과를 복합적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기술 2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플라타너스 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여 미백, 주름, 노화방지, 자외선차단 등의 기능을 가지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플라타너스 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이제 활성저해 효과만을 확인하였을 뿐, 플라타너스 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제조예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차단 및 피부색보정 기능 성분을 포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피부미용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보습, 미백, 주름개선, 탄력증진, 항산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단일 제품으로 다양한 피부문제 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3 내지 10wt%;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 8 내지 15wt%; 피부유연화제 10.5 내지 38wt%; 유화제 3.5 내지 6.5wt%; 점증제 4.5 내지 11wt%; 보습제 5 내지 15wt%; 첨가제 0.5 내지 10.5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은, 결정성 무기광물, 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유연화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헥사데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 스위트아몬드 오일, 포도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소르비탄세시퀴올리에이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이지-10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소듐클로라이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유화안정제, 분산안정제, 보존제, 결합제, 피막형성제, 산화방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원료물질 중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보습제 및 정제수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여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원료물질 중 자운영 추출물, 피부유연화제, 유화제, 유상의 점증제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수상 혼합물과 유상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유수상 혼합물의 온도를 30 내지 45℃로 낮추고,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분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로부터의 혼합물을 탈포 처리한 뒤,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색을 보정하고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피부결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할 수 있는 피부유연화제 및 보습제를 포함하여 피부유연 및 보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다양한 허브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라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및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효성분 3 내지 10wt%,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 8 내지 15wt%, 피부유연화제 10.5 내지 38wt%, 유화제 3.5 내지 6.5wt%, 점증제 4.5 내지 11wt%, 보습제 5 내지 15wt%, 첨가제 0.5 내지 10.5wt% 및 정제수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별로 상술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는 항균 및 항염작용을 주기능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미백, 탄력증진, 항산화, 주름개선 등의 기능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추출수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질의 효능 및 효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황금은 약용식물로써 이의 뿌리를 한방에서는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황금 추출물은 황금의 뿌리로부터 추출하며,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항산화 등의 작용을 할 수 있으며, 미백 및 보습기능을 가져 피부 화장품류의 원료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련은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며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련 추출물은 황련의 뿌리로부터 추출하며, 외부 유해물질이 피부표면에 증식하지 못하도록 활성을 억제하며 유해물로 인한 피부의 과민반응을 억제하고, 산화방지기능을 하여 화장품류의 변질 및 부패를 억제하는 천연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황백 추출물은 황벽나무의 수피에서 추출하여 얻어지며, 베르베린(berberine)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피부에 유해한 물질의 활성 및 성장을 억제하여 피부관리에 도움을 주고 피부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녹두 추출물은 녹두의 씨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팔믹산, 스테아릭산, 레놀레익산,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균 및 항염 작용 이외에 피부 표면의 과각화층의 제거로 피부톤을 맑게하며 탄력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 추출물은 피부에 유해한 물질이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도록 하며, 피부의 과민반응을 억제하고, 피부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의 산화반응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의 혼합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염, 탄력증진, 모공축도 미백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추출물을 구성하는 각 조성물질의 구체적인 효능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황칠지엽의 추출물은 상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에 속하는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로부터 추출된 성분으로 이는 항균 및 항염 작용이 탁월한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콜라겐을 보호하여 탄력증진 및 보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멜라닌을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백수오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에 속하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둥근 덩이뿌리가 생기는 덩굴식물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약용식물 중 하나이다. 백수오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성분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기능 이외에 피부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탄력증진에 기여하여 주름개선, 미백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모 추출물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살이 풀인 지모의 뿌리줄기로부터 추출되며, 지모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성분인 보르피린은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세포활성 성분을 가져 피부탄력 증진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류의 원료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모 추출물에 포함된 보르피린은 미백효과 및 피부재생의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게르마늄분말은 적정량을 사용할 시에 인체에 무해하고 인체세포 내 산소공급을 촉진하는 등의 생리활성기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표면 및 모공 속에 피지를 포함한 노폐물을 흡착하여 모공축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피부에 흡수된 미량의 게르마늄은 활성화 효소에 의해 피부의 탄력증진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데노신은 아데닌과 리보스 성분이 결합한 화합물로 동·식물 및 미생물 등 모든 생물체에 소량으로 존재하며, 식약처에서 인증한 주름개선 성분으로 피부의 진피층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세포의 자생력을 강화시켜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리프팅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데노신은 전체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4wt%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수용성 비타민B의 복합체로서 니코틴산, 나이아신이라고 명명하기도 하며, 피부의 변색 유도 성분인 멜라닌 세포는 표피층 가장 아래층인 기저층에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기저층에서부터 피부의 표면에 가까운 각질층까지 이동하여 색소침착을 유발하는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러한 이동을 방해하여 색소침착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각질층에 침착된 색소를 옅게 만들어 피부 미백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포간지질의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수분 손실방지에 기여할 수도 있다. 아울러, 피부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도 가져 주기능인 미백효과 이외에 탄력증진 및 주름개선 효과도 갖는다.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는 전체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wt%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배합량이 과도하면 눈시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2 내지 3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운영 추출물은 연화초, 홍화채, 쇄미제, 야화생이라고도 불리우며 두과초본의 월년초로서 콩과에 속하는 자운영으로부터 추출된 성분이다. 자운영 종자는 항상화제 및 항염증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초는 외상출혈이나 대상포진 등의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자원이 풍부한 약용식물이다. 또한, 자운영의 전초에는 트리고넬린(trigonelline), 카나바닌(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종자에는 카나린(canaline), 카나바닌, 호모세린(homoserin), 쿠메스트롤(coumest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자운영의 전초는 홍화채, 종자는 자운영 종자라 하여 약용으로 쓰이며, 홍화채는 3 내지 4월에 채취한 것으로 트리고넬린, 콜린(choline) 및 아데닌(adenine) 등이 함유되어 청열과 해독의 효능이 있고, 종자에는 카나린, 카나바닌 및 호모세린 등의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실험을 통해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 노화억제,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을 확인하여 이를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적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효성분과 함께 배합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은 결정성 무기광물, 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 황색산화철(Cl 77492), 적색산화철(Cl 77491), 흑색산화철(Cl 77499),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성 무기광물은 피부광택효과, 피부톤개선 및 자외선차단 효과를 가지는 원료로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나, 루비, 사파이어, 커런덤 등의 광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은 전체 혼합 조성물 100wt% 대비 8 내지 15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8wt%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효과가 미비하여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제외하고는 무기계 안료성분으로 15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안료의 함량이 증가하여 균일한 조성의 화장품을 제조하기에 곤란할 수 있고, 필요이상의 피부색보정 성분이 함유되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유연화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헥사데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 스위트아몬드 오일, 포도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유연화제는 전체 혼합 조성물 100wt% 대비 10.5 내지 38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38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유상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화안정제를 필요로 할 수 있고, 상분리가 발생하는 등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곤란 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혼합 조성물의 점성을 높여 흐름성을 낮추고 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잔탄검, 소듐클로라이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는 전제 혼합 조성물 100wt% 대비 4.5 내지 11wt%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4.5wt% 미만일 경우, 제품의 흐름성이 높아 제품을 피부에 바르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함량이 11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보습효과를 강화시키고, 지속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보습제의 함량은 전체 혼합 조성물 100wt% 대비 5 내지 15wt%일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5wt% 미만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보습효과 및 보습의 지속시간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이 15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상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여 혼합 조성물 제조 시 유상성분과의 혼합이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전제 조성물 100wt% 대비 0.5 내지 10.5wt%의 함량으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는 유화안정제, 분산안정제, 보존제, 결합제, 피막형성제, 산화방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원료물질 중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보습제 및 정제수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원료물질 중 자운영 추출물, 피부유연화제, 유화제, 유상의 점증제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수상 혼합물과 유상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유수상 혼합물의 온도를 30 내지 45℃로 낮추고,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분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로부터의 혼합물을 탈포 처리한 뒤,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0.06 내지 1.4wt%,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0.5 내지 2.5wt%, 아데노신 0.04 내지 0.1wt%, 나이아신아마이드 2 내지 3wt% 및 자운영 추출물 0.4 내지 3w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합성 사파이어, 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및 흑색산화철을 포함하는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 5 내지 15wt%,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내지 10wt%, 이소헥사데칸 0.1 내지 0.5wt%, 사이클로헥사실록산 4 내지 12wt%,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2 내지 2wt%, 디메치콘 2.5내지 7.5wt%, 스위트아몬드오일 0.5 내지 4wt%, 포도씨 오일 0.1 내지 1wt%, 마다카미아씨 오일 0.1 내지 1wt%를 포함하는 피부유연화제, 5 내지 15wt%의 보습제, 3.5 내지 6.5wt%의 유화제, 4.5 내지 11wt%의 점증제, 0.1 내지 1wt%의 분산안정제, 0.11 내지 0.55wt%의 보존제, 0.14 내지 2.9wt%의 결합제, 0.05 내지 2wt%의 피막형성제, 0.05 내지 2wt%의 산화방지제, 0.5 내지 2.05wt%의 향료 및 전제 조성물의 중량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의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험예를 기재한다.
[ 실험예 1]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실험
1. MTT 분석에 의한 세포독성 및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 측정은 카르미카엘(Carmichael) 등의 방법(Cancer Res 1987; 47(4): 936-942)에 의해 측정하였다. Raw 264.7 생쥐 대식 세포주를 10% 우태혈청(FBS; Fetal Bovine Serum)과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이산화탄소,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1*104 세포/웰의 농도로 100㎕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각 농도 별 추출물을 10㎕씩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10㎕를 각각 가하여 다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웰 바닥에 형성된 포마잔(formazan)이 흩어지지 않도록 상등액을 제거하고 디메틸설폭사이드를 100㎕ 가하여 30분 방치한 뒤, 54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12.5㎎/㎖, 25㎎/㎖, 50㎎/㎖의 각 농도 별로 6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구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MTT 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12.5㎎/㎖에서 91.84±6.24%, 25㎎/㎖에서 103.00±5.22%, 50㎎/㎖에서 96.61±7.56%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MMT 분석 결과, 추출물의 25㎎/㎖ 농도에서는 103%의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하였으며, 50㎎/㎖의 농도에서도 96.61%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수치는 뱀 딸기 열매의 세포 생존율이 50 내지 80%,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 500ppm에서 80% 정도의 세포 생존율 및 물 추출물과 비타민C의 500ppm 농도에서 60%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복숭아 꽃의 수치와 비교해볼 때 자운영 종자 추출물은 세포독성에 대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피부는 생리적 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노화되며 세포내에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인 자유라디칼이 생체분자들의 변형을 유발하여 노화현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블로이스(Blois)의 방법(Nature 1958; 26: 1199-1120)으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시그마 사)를 이용하여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에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 10㎕와 DPPH용액(300μM) 190㎕를 혼합하여 15분간 암실에서 방치한 후, 517㎚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2.5㎎/㎖, 5㎎/㎖, 10㎎/㎖의 농도별로 각각 6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시료액 대신 10㎕ 메탄올에 혼합한 반응액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소거능을 계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체내 항산화 활성제인 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5㎎/㎖에서 63.52±2.86%, 5.0㎎/㎖에서 90.71±0.65%, 10.0㎎/㎖에서 91.6±0.2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2.5㎎/㎖에서 93.56±0.07%, 5.0㎎/㎖에서 93.72±0.04%, 10.0㎎/㎖에서 93.71±0.05%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5.0㎎/㎖와 10.0㎎/㎖에서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농도에서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소거능과 아스코르빈산의 소거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자운영 종자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 내지 10.0㎎/㎖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수치는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하여 거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활성 측정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칸넬(Cannell) 등의 방법(Plaanta Med 1988; 54(1): 10-14)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아제(human leukocyte elastase)를 50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용액(sodium acetate buffer solution)(pH 5.3)에 용해시켜 1단위/㎖ 용액을 제조하였다. 파라-니트로아닐리드를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켜 20mM 저장용액(stock solution)을 만든 후, 엘라스타아제 20㎕와 시료 20㎕를 48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용해시킨 400μM 파라-니트로아닐리드를 200㎕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37℃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여 반응액 120㎕씩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41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25㎍/㎖, 50㎍/㎖, 100㎍/㎖, 250㎍/㎖의 농도별로 각각 5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항산화제로서 진피의 구성물질 등의 변성을 억제하는 퀘르세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 = {1-(S-B)/C}*100
상기 식에서, S는 시료와 효소 포함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B는 효소 대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그리고 C는 시료 대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은 25㎍/㎖에서 73.33±1.58%, 50㎍/㎖에서 80.25±2.07%, 100㎍/㎖에서 90.82±2.46%, 250㎍/㎖에서 97.36±1.6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의 퀘르세틴은 25㎍/㎖에서 75.60±1.69%, 50㎍/㎖에서 79.12±1.03%, 100㎍/㎖에서 85.03±1.03%, 250㎍/㎖에서 105.28±3.6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아제는 엘라스틴을 분해시키는 효소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진피의 그물망 구조결합을 절단하여 탄력감소와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측정 결과,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100㎍/㎖에서는 90.82%의 저해활성을 보이며, 이와 같은 수치는 대조군인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물질인 퀘르세틴과 비교하여 100㎍/㎖에서는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대조군의 퀘르세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4.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 측정
자외선에 의해 콜라겐(교원질)분해효소와 같은 MMP의 발현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면서 콜라겐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 피부의 탄력감소와 주름이 나타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 실험은 피부의 지지역할을 하는 콜라겐을 가수분해하는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피부노화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MMP-1 저해활성을 심(Sim) 등의 방법(J Soc CometScientists 2004; 30: 439-444)에 의해 측정하였다. 1,500㎕, PBS(pH 6.0)에 용해한 콜라겐 용액(0.25㎎/㎖) 300㎕, 시료 600㎕, 콜라겐 분해효소 용액(0.5단위) 600㎕를 첨가하였다. 암소 실온에서 20분 경과 후, 형광분광광도계(히타치)를 이용하여 흡수파장 280㎚, 방출파장 300㎚에서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동량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 농도 50㎍/㎖, 100㎍/㎖, 250㎍/㎖, 500㎍/㎖의 농도별로 각각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항산화제로서 콜라겐 변성을 억제하는 퀘르세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 = {(C-S)/C}*100
상기 식에서, S는 시료와 효소 포함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C는 시료 대신 PBS를 첨가한 반응액의 형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의 저해활성은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50㎍/㎖에서 23.00±0.06%, 100㎍/㎖에서 43.9±0.06%, 250㎍/㎖에서 76.9±0.02%, 500㎍/㎖에서 95.24±0.03%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퀘르세틴은 50㎍/㎖에서 69.95±0.12%, 100㎍/㎖에서 84.2±0.09%, 250㎍/㎖에서 98.4±0.02%, 500㎍/㎖에서 99.95±0.0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 농도에서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이 대조군인 퀘르세틴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그러나,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 저해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노화예방과 세포재생에 효과적인 코엔자임큐10의 경우에도 농도 1%에서 91.1%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점과 비교하면 자운영 종자 추출물은500㎍/㎖에서 95.24%를 보여 MMP-1의 저해활성 효과가 우수한 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활성 측정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비정상적인 색소 생성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메이슨(Mason) 등의 방법(Biochim. Biophys Acta 1965; 111: 134-14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0㎕ 엘-티로신 용액(1.5mM),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6.5) 220㎕,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6.5)에 녹인 시료 20㎕를 혼합하였다. 혼합액에 20㎕의 버섯 티로시나아제(1,000단위/㎖)를 분주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으로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49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 농도 6.25㎎/㎖, 12.5㎎/㎖, 25㎎/㎖, 50㎎/㎖의 농도별로 각각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멜라닌을 환원시키는 아스코르빈산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3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3]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 = {(C-S)/C}*100
상기 식에서, C는 시료 대신 PBS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그리고 S는 시료를 포함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를 나타내었다. 6.25㎎/㎖에서 61.77±2.85%, 12.5㎎/㎖에서 73.65±1.47%, 25㎎/㎖에서 89.41±5.77%, 50㎎/㎖에서 94.41±9.15%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은 6.25㎎/㎖에서 68.81±0.29%, 12.5㎎/㎖에서 88.75±1.58%, 25㎎/㎖에서90.18±0.44%, 50㎎/㎖에서 89.99±0.2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표적인 미백물질인 아스코르빈산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6.25㎎/㎖, 12.5㎎/㎖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50㎎/㎖에서는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 제조예 1]
1. 자운영 추출물의 제조
80wt%의 아세톤으로 22 내지 23℃의 실온에서 3회 추출하여 여과한 뒤, 감압농축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자운영 추출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2. 황금, 황련 , 황백 ,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의 제조
건조된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의 혼합분말 5wt%로하여 증류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3. 황칠지엽 , 백수오 ,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황칠지엽 분말 4wt%, 백수오 분말 4wt%, 지모근엽 4wt% 및 게르마늄 미세분말 3wt%를 칭량하여 준비한 뒤, 소독된 면주머니에 상기 칭량한 허브와 게르마늄 분말을 넣어 느슨하게 묶어 준비하였다. 보습성분인 부틸렌글라이콜(1,3-butylene glycol) 42wt% 및 증류수 43wt%를 넣은 원적외선 추출기에 상기 혼합 분말이 들어있는 면주머니를 넣어 충분히 가라앉게 만든 다음 42 내지 45℃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며 7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4.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원료들을 수상, 제1유상, 제2유상 및 부상으로 분류한 뒤, 각각의 상별로 성분원료를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제1유상의 혼합물과 제2유상의 혼합물을 혼합한 뒤, 80℃로 가열하여 고르게 교반하고, 이에 수상의 혼합물을 80℃에서 고르게 혼합하였다. 유수상 혼합물의 온도를 40℃로 낮추고, 부상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될 때까지 온도를 유지하며 교반하였다. 목적하는 크림제형의 혼합물이 형성되면 탈포처리 후 상온(22~23도)에서 7일간 숙성시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성분원료 기능(부기능) 함량 [wt%] 원료의 분류
정제수 용제 37.63





수상



잔탄검 점증제(피부유연화제) 0.100
소듐클로라이드 점증제(중화제) 1.000
1,2-헥산디올 보존제(보습제) 1.00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점증제(결합제) 0.500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항균, 항염, 항산화 0.500
황칠지염,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항균, 항염, 항산화 1.500
글리세린 보습제 2.000
부틸렌글라이콜 보습제 5.00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산화방지제 0.200
디소듐이디티에이 보존제(금속이온봉쇄제) 0.030
아데노신 주름개선 0.040 수상
나이아신아마이드 미백 2.00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자외선차단제 0.500


제1유상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유화제 0.800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유화제(피부유연화제) 2.0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유화제 0.800
피이지-10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유화제(점증제) 1.000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점증제(피부유연화제) 6.300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막형성제(보습제) 0.200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분산안정화제 0.320
합성 사파이어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1.5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피부유연화제 7.000
제2유상
이소헥사데칸 피부유연화제 0.100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피부유연화제 9.0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피부유연화제 0.500


제2유상
디메치콘 피부유연화제 5.000
스위트아몬드 오일 피부유연화제 2.000
포도씨 오일 피부유연화제 0.300
마카다미아씨 오일 피부유연화제 0.100
자운영 추출물 미백, 주름개선 1.000
헵틸운데실레네이트 결합제(피부유연화제) 0.300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혼합물 보존제 0.310
티타늄디옥사이드,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마이카,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디스타치포스페이트,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의 혼합물

자외선차단, 피부색보정


9.070



부상
향료 0.400
합계 100
[ 실험예 2]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의 안정성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제조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을 25℃에서 30일 동안 보관하며, 상의 분리 발생하는 지의 여부, 냄새나 색상 등의 변질 여부를 조사한 결과, 상의 분리 및 별다른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성 평가
본 발명의 제조예 1에 따른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2 내지 56세의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수입화장품 브랜드 S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으며, 빈용기에 비교예인 S사의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의 화장품을 각각 담고 A(비교예)와 B(제조예 1)라고 표기하여 준비하였다. 블라인드 테스트는 얼굴에 A와 B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각각 0.1g 정도 덜어서 손으로 도포하고, 발림성, 퍼짐성, 밀착성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 1 비교예 구분이 어려움
발림성 9 2
퍼짐성 6 5
밀착성 5 5 1
피부색보정력 11
지속력 9 2
마무리감 (촉촉함, 매끈함 등의 효과) 8 2 1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은 발림성, 퍼짐성, 피부색보정력, 지속력, 마무리감에 있어서 비교예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피부색보정력에 있어서 비교예 대비 더욱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아신아마이드, 자운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3 내지 10wt%;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 8 내지 15wt%; 피부유연화제 10.5 내지 38wt%; 유화제 3.5 내지 6.5wt%; 점증제 4.5 내지 11wt%; 보습제 5 내지 15wt%; 첨가제 0.5 내지 10.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은, 결정성 무기광물, 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유연화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헥사데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 스위트아몬드 오일, 포도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이지-10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소듐클로라이드,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메칠메타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솔비톨,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유화안정제, 분산안정제, 보존제, 결합제, 피막형성제, 산화방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물질 중 황금, 황련, 황백, 녹두, 감초 혼합추출수, 황칠지엽, 백수오, 지모, 게르마늄분말 혼합추출물,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보습제 및 정제수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여 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원료물질 중 자운영 추출물, 피부유연화제, 유화제, 유상의 점증제를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수상 혼합물과 상기 유상 혼합물을 70 내지 90℃에서 교반하며 혼합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유수상 혼합물의 온도를 30 내지 45℃로 낮추고, 피부색보정 및 자외선차단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하며 분산시키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로부터의 혼합물을 탈포 처리한 뒤,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22270A 2016-02-25 2016-02-25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28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270A KR101928386B1 (ko) 2016-02-25 2016-02-25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270A KR101928386B1 (ko) 2016-02-25 2016-02-25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24A true KR20170100124A (ko) 2017-09-04
KR101928386B1 KR101928386B1 (ko) 2018-12-12

Family

ID=5992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270A KR101928386B1 (ko) 2016-02-25 2016-02-25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3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92B1 (ko) * 2017-12-15 2019-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5634A (ko) * 2018-11-30 2020-06-09 (주)한국생명과학연구소 국내 자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70A (zh) * 2020-04-15 2020-08-11 宁波巨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抗氧化洁面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10135837A (ko) * 2020-05-06 2021-11-16 휴먼피아코스텍주식회사 복분자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197B1 (ko) * 2021-05-21 2022-03-03 미소로이 주식회사 두 단계의 발림성을 갖는 크림형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3112A (ko) * 2020-11-26 2022-06-03 충청북도 음성군 들깨유를 이용한 주름과 미백 이중기능성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4210A (ko) * 2021-02-08 2022-08-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3171A (ja) * 2001-12-21 2003-07-03 Ichimaru Pharcos Co Ltd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1387308B1 (ko) * 2012-12-03 2014-04-18 음준영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54874B1 (ko) * 2013-05-31 2014-11-04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식이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함유 항균화장품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692B1 (ko) * 2017-12-15 2019-05-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5634A (ko) * 2018-11-30 2020-06-09 (주)한국생명과학연구소 국내 자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70A (zh) * 2020-04-15 2020-08-11 宁波巨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抗氧化洁面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10135837A (ko) * 2020-05-06 2021-11-16 휴먼피아코스텍주식회사 복분자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3112A (ko) * 2020-11-26 2022-06-03 충청북도 음성군 들깨유를 이용한 주름과 미백 이중기능성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114210A (ko) * 2021-02-08 2022-08-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368197B1 (ko) * 2021-05-21 2022-03-03 미소로이 주식회사 두 단계의 발림성을 갖는 크림형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386B1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486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211120A (ja) 皮膚外用剤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65126A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63381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8A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299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바나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