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11A -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111A
KR20150106111A KR1020140028201A KR20140028201A KR20150106111A KR 20150106111 A KR20150106111 A KR 20150106111A KR 1020140028201 A KR1020140028201 A KR 1020140028201A KR 20140028201 A KR20140028201 A KR 20140028201A KR 20150106111 A KR20150106111 A KR 20150106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rays
composition
plant extract
skin damage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현
홍우진
조희경
채준병
김영선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제주알로에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제주알로에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111A/ko
Publication of KR2015010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을 현저히 증가시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ULTRAVILET-INDUCED SKIN DAMAGE}
본 발명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표피 각질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사멸을 현저히 억제하는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이고 물리적인 기능이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이 조직은 크게 3가지 즉,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그리고 피하(hypodermis)로 나누어진다.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외선, 환경오염물질, 급격한 기온의 변화 등과 같은 자극들은 피부 세포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손상 반응을 일으킨다. 이중 자외선은 피부와 접촉하여 DNA 손상 및/또는 활성산소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세포의 변성 또는 사멸(apoptosis)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문제가 중요하게 대두하고 있으며, 이중 대기 오염 등에 의해 오존층의 파괴가 심각해져 인체가 자외선에 쉽게 노출될 위험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피부에 조사된 자외선은 피부층의 경계에서 직접 반사(즉, 표피반사, 진피반사)되거나, 피부조직 내에서 세포, 섬유나 입자에 부딪힌 후 산란되거나, 흡수, 투과되는 4가지 경로 중 하나를 거치게 된다. 이중 흡수된 자외선은 피부 내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피부 병변을 야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UVA, UVB 그리고 UVC로 나누어지는데, 파장이 짧을수록 광에너지의 양은 증가하고, 이는 구성분자간의 결합을 파괴할 정도로 커서 생체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UVC(200~280 nm)는 오존층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고, UVA(320~400 nm) 및 UVB(280~320 nm) 만이 지표에 도달한다.
피부에 대한 자외선 영향은, UVA는 진피의 유두층, 그물층까지 영향을 미치고 탄력소와 아교질의 붕괴로 탄력감소, 조기노화, 모세혈관의 확장 및 손상으로 피부의 기저층을 와해시키며, 피부암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 UVB는 진피 상부층까지 도달하고, 급속한 화상이나 홍반을 일으킨다. 더욱 진행되며 멜라닌 색소 형성, 색소 침착으로 선탠이 일어나고, 손상된 피부 세포를 수복하여 각화 이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각질층의 수분감소와 만성 노출 시 주름 및 피부암을 유발한다. UVB는 일명 'burning ray'로 알려져 있으며 태양광의 적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UVA에 비해 1000배 이상의 일광 화상을 일으킨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산소 유리기는 자외선에 의한 색소의 침착, 노화 및 피부암 발생 등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예로, 폴리페놀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Elmets CA et al. Cutaneous photoprotection from ultraviolet injury by green tea polyphenols. J Am Acad Dermatol. 44:425-32,2001). 또한 항산화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항산화 기능을 증진시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미국특허 제4,865,840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C와 E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Jing-Yi Lin et al. UV photoprotection by combination topical antioxidants vitamin C and vitamin E. J Am Acad Dermatol 2003;48:866-74), 실리비닌은 DNA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Sivanandhan Dhanalakshmi et al. Silibinin prevents ultraviolet radiation-caused skin damages in SKH-1hairless mice via a decrease in thymine dimer positive cells and an up-regulation of p53-p21/Cip1 in epidermis. Carcinogenesis. 25:8,1459-1465,2004).
피부암의 발생과 자외선이 밀접한 관계가 있어 더욱 많은 천연 추출물과 항산화 물질들을 중심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과 회복 효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007218호는 애기마디잘록이의 에탄올 추출물(L. hakodatensisethanol extract, LHE)이 활성산소종(ROS)를 소거하고 UVB 광선을 흡수함으로써 UVB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여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개시하고 있다.
US 4865840 R KR 2014-0007218 A
본 발명의 과제는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사멸을 현저히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자외선의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식물 추출물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와 피부 진피의 섬유아세포의 사멸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구아바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백수오 추출물, 섬오가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식물 추출물 처리에 따른 UVA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사멸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구아바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백수오 추출물, 섬오가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식물 추출물 처리에 따른 UVB 조사에 의한 피부 상피 각질형성세포 사멸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구아바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백수오 추출물, 섬오가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식물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의 추출물이 모두 가능하다.
명세서에서, 유기농이란 농약,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자연유기비료만으로 재배한 것을 말하며, 이러한 유기농산물은 농약 등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식품 및 화장품 원료로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원료는 다음과 같다.
구아바는 도금양과(Myrtaceae과) Psidium 속의 미국산 열대성 식물로서, 화분식물은 물론 잎, 나무껍질, 열매 등을 건강식 및 약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약용식물이다. 구아바에는 비타민 C, 마그네슘, 칼륨, 칼슘 등 비타민과 미네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산화변이억제 작용(암예방), 과산화수소 소거 작용(노화방지), 활성산소발생억제작용(미백효과), 항비만 작용(아밀라제 억제), 항당뇨증작용 (당흡수억제, 유사 인슐린 작용-함유하고 있는 폴리페놀 성분), 항 알레르기 작용(히스타민류 억제) 등이 보고되어 있다.
조릿대(Sasa borealis (Hack.) Makino)는 죽엽 (Bambusae Folium)이라고도 하며,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대나무 속 식물의 잎이다. 조릿대는 다양한 대나무류 가운데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종류이다. 조릿대는 암, 고열, 위염, 십이지장염, 고혈압의 증세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 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트리터펜 계통의 프리델린 및 글루티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통의 트리신 7-O-b-D-글루코피라노사이드(tricin 7-O-b-D-glucopyranoside) 및 루테올린 6-C-a-L-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luteolin 6-C-a-L-arabinopyranoside)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윤기동, 김철명, 허훈. 조릿대잎의 플라본 배당체 성분. 생약학회지 31:224-227, 2000].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중국 남부와 인도, 오키나와를 비롯한 동남 아시아에서 자생하며 우리나라 중남부 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예로부터 식용, 염색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담즙 분비, 배설 촉진, 혈액순환 등의 약용 기능을 지닌다고 알려져 왔다.
백수오(白首烏, Cynanchum wilfordii)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우피소(牛皮消)의 괴근(塊根)이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시난콜(cynanchol)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pp. 984-985, 영림사, 1998).
오가피(五加皮)는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의 근피로서, 두릅나무과 낙엽관목으로 일명 오갈피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소아 발육 부진, 류마티즘, 허약체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임상에서는 항염작용, 진통, 해열작용, 적응원적(adaptogen)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리그난, 사포닌, 세사민 및 각종 피마란 계열 배당체가 분리 보고된 바 있다. 오가피의 종류로는 섬오가피(Acanthopanax koreanum),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 HARMS), 오가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et MAX.) SEEM.), 왕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var.subinermis KITAGAWA) 등 15종이 한국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서, 상기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는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천연재료의 각종 성분으로 인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원료 식물을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추출,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원료 유기농 식물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v/v)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때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원료 중량의 10 내지 30 배 부피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배이다.
추출온도와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40 내지 100℃에서 3 내지 10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0 내지 70℃에서 1일 내지 5일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결과물을 여과 또는 정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합 식물 추출물의 조성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아바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조릿대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울금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백수오 추출물 1 내지 30 중량%, 및 섬오가피 추출물 1 내지 3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은 자외선에 의한 DNA 손상, 활성산소의 증가, 이들로 인한 세포의 변성 또는 사멸을 포함하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증상으로는 자외선에 의해 표피 또는 진피에 발생하는 화상, 홍반 또는 색소침착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에 따르면, 복합 식물 추출물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와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의 사멸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콜라겐 생합성을 월등히 증가시켰다.
따라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통상의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액제, 시럽제, 캡슐제, 과립제, 분말,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를 여러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으로 외용액제, 에멀젼, 연고제 등의 경피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한다. 이렇게 제조된 약학 조성물은 1회 당 0.00001㎎/㎏ 내지 400㎎/㎏의 유효함량으로 사용하고,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이다. 최소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복합 식물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복합 식물 추출물
1. 식물 추출물 제조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섬오가피 각각 200 g을 마쇄기로 갈아 분말화 한 후, 물 1.5 ℓ를 가하여 100 ℃에서 3 시간 추출한 다음, 회전 감압 농축기(EYELA Digital water bath SB-1000, Japan)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하였다.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100 ㎖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 ℃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45 um 막여과를 실시하여 각각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섬오가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복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에서 수득한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섬오가피 추출물을 각각 1:1:1:1:1 비율 즉,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섬오가피 추출물 10 g씩 혼합하여 복합 식물 추출물(50 g)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UVA 조사에 따른 섬유 아세포 증식능 측정
1.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의 배양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는 Gibco사(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DMEM 배지(Gibco사) 중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부착된 세포들이 80% 합류(confluence) 때까지 유지하고 80 % 합류시기에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합류 때까지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상기 계대 배양은 배양액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하고 0.25 % 트립신-EDTA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한 후, 세포 수를 측정하고, 배양액에서 다시 3 배로 계대 배양하였다.
2. 증식능(proliferation) 측정
60mm 배양접시(dish)에 10% 혈청이 첨가된 DMEM 배지(Gibco사)를 각각 넣고,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5 X 105 를 접종하여, 5% CO2 및 37℃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킨 다음, 24시간 동안 혈청을 제거 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후, 음성대조군(control), 양성대조군(대조군), 추출물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음성대조군은 UV 처리하지 않은 군이며, 양성대조군은 UV 처리군이다. 추출물 처리군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10 중량%로 용해시켜 10㎕을 처리하였다(처리농도 100㎍/mL).
상기 처리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한 다음, UV 조사기를 이용하여 UVA 3J/cm2을 조사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200 ㎕를 가하여 포마잔 결정체 (formazan crystal)를 용해 시킨 후 마이크로평판 판독기 (microplate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이리된 조건에서 세포증식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UVB 조사에 따른 각질 형성 세포 증식능 측정
1. 인간 피부상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
인간 피부상피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는 Gibco사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EpiLife 배지 (Gibco사) 중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부착된 세포들이 80% 합류(confluence) 때까지 유지하고 80 % 합류시기에 계대 배양을 수행하였다. 합류 때까지 배지는 2일 마다 교체하였다. 상기 계대 배양은 배양액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 PBS)로 세척하고 0.25 % 트립신-EDTA(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떨어뜨린 후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한 후, 세포 수를 측정하고, 배양액에서 다시 3 배로 계대 배양하였다.
2. 증식능(proliferation) 측정
96 웰 플레이트에 10% HKGS(Human Keratinocyte Growth Supplement)가 첨가된 Epilife(Gibco) 배지를 각각 넣고, 인간 각질형성세포 1x104을 접종하여, 5% CO2 및 37 ℃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배양 접시에 부착시킨 다음 UV 조사기를 이용하여 UVB를 0mJ/(음성 대조군, NC), UVB 300mJ.cm2를 조사하였다. UVB를 조사한 인간 피부 상피 각질형성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중량 10%로 용해시켜 10㎕을 처리한 다음 37 ℃,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처리농도 100㎍/mL). 이 후, 포마잔(Formazan) 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 mg/ml 3-(4,5-dimethylthiazoy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solution 20ul를 가하고 4 시간 동안 반응시 킨 후 배지를 제거하였다. 생성된 포마잔을 DMSO에 녹여 A540을 측정하여, 세포 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음성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UVB에 노출된 피부 상피 각질형성세포는 약 50% 세포 사멸이 이루어졌지만, 각 추출물을 적용한 경우 모두 UVB에 의한 피부 상피 각질형성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복합 식물 추출물을 적용한 경우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3: Type I collagen 생합성 촉진 효과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1x105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추출물이 100㎍/mL 농도로 함유된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만들고, 이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였다. 타카라사(Takara Shuzo Co., Ltd. 일본국)의 콜라겐 단백질 측정키트를 사용하여, 채취한 세포 배양액에서 생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함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대조군에 비해 복합 식물 추출물이 처리된 조건에서 콜라겐 합성능이 월등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피부 외용연고,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피부 외용연고
하기의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10
디에틸 세바케이트 8
경납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셀린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 (스킨)
하기의 표 2와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1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베타인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에탄올 5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0
쉐어버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
광물유 5
스쿠알란 3
사이클로메치콘 2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보머 0.12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트리에탄올아민 0.1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
스테아린산 1.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사이클로메치콘 5
디메치콘 1
초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탄올아민 1
산탄검 0.0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
스쿠알란 5
광물유 35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
1,3-부틸렌글리콜 3
트리에탄올아민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 에센스
하기의 표 6과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3
글리세린 6
베타인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0.6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세라마이드 0.2
옥틸도데칸올 3
스쿠알란 3
폴리소르베이트 60 0.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7과 같이 실시예 1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복합 식물 추출물 1
폴리비닐알콜 15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
PEG 1500 2
베타인 2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8)

  1.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이 자외선에 의해 표피 또는 진피에 발생하는 화상, 홍반, 또는 색소침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이 자외선에 의해 표피 또는 진피에 발생하는 화상, 홍반, 또는 색소침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28201A 2014-03-11 2014-03-11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6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01A KR20150106111A (ko) 2014-03-11 2014-03-11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01A KR20150106111A (ko) 2014-03-11 2014-03-11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11A true KR20150106111A (ko) 2015-09-21

Family

ID=5424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201A KR20150106111A (ko) 2014-03-11 2014-03-11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1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308A (ko) 2019-11-28 2021-06-07 (주)아모레퍼시픽 피루브산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308A (ko) 2019-11-28 2021-06-07 (주)아모레퍼시픽 피루브산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723B1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305529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150106111A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701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0802B1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