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416B1 -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416B1
KR101769416B1 KR1020160027139A KR20160027139A KR101769416B1 KR 101769416 B1 KR101769416 B1 KR 101769416B1 KR 1020160027139 A KR1020160027139 A KR 1020160027139A KR 20160027139 A KR20160027139 A KR 20160027139A KR 101769416 B1 KR101769416 B1 KR 10176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rinkle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란
Original Assignee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유효성분 27.13 내지 47.35wt%, 점증제 2.7 내지 5.1wt%, 가용화제 0.05 내지 0.25wt%, 첨가제 1.45 내지 3.8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여 보습, 탄력증진, 주름개선, 피부 리프팅, 노화억제, 미백, 모공축소, 항산화, 항균, 항염 효과 등 다양한 피부문제 요소를 복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Multifunctional mask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including anti-wrinkles and whitening functions}
본 발명은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피부미용 및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수 (스킨), 로션, 에센스, 수분크림, 유분크림, 아이크림, 넥크림, 립크림, 페이스밤, 마스크팩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된 화장품류가 시판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소비자들은 미백, 노화지연, 주름억제, 탄력증진, 모공축소, 피부 결 개선 등의 다양한 화장품의 피부개선효과 중 하나의 효과만을 요구하지 않으며 복합적으로 피부고민을 해소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현재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자들은 각 제형 별 단순 기능의 화장품류를 제조 및 공급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류의 사용자는 목적하는 피부개선 기능을 모두 충족하기 위하여 상이한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을 여러 단계로 피부에 도포함에 따라 시간적·경제적 문제점 및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으며, 제형과 성분이 상이한 화장품을 여러 단계로 피부에 도포함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문제 요소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품이 복합적으로 피부고민을 개선하면서도 피부문제를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성이 확보된 화장품류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99332호 (발명의 명칭: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이하 종래기술 1이라고 한다.)는 숯분말, 황토분말, 전기석분말, 칼륨장석분말 및 머드분말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서 입도 300~400메쉬 (mesh)의 기능성 충전제 10~40중량부 및 여러 종류의 식물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식물 추출물 5~10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223683호 (발명의 명칭: 동아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한다.)는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동아 및 동아씨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또한 미백효과 등 피부를 가꾸는 효능은 물론 안전성도 미리 알려져 있는 통상의 재료들 중에서 천연 재료로 된 것을 부재료로 엄선하여 상기 동아 몸통 속 내부에 넣고서 일정 기간 발효를 시킴으로써 피부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KR 2005-0099332 KR 10-1223683
종래기술 1은 기능성 충전제, 복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피부생리기능 활성화, 보습, 항균, 탈취, 미백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며, 복합식물 추출물이 함유되어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복합식물 추출물만으로 복합적인 피부개선 효과를 확보하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 1은 다중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임상시험으로 아로마 테라피 효과만을 확인하였을 뿐,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미백 등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가 없다.
또한, 종래기술 2는 동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피부미백 및 항균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로 다양한 피부문제를 개선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징적으로 사용되어 지지 않은 허브로부터 화장품에 적용 가능한 물질을 추출하여 화장품류의 유효물질로 적용하고, 목적하는 제형으로 제조하여 유효성, 사용감, 안정성이 우수한 다중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양한 피부문제 요소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유효성분 27.13 내지 47.35wt%, 점증제 2.7 내지 5.1wt%, 가용화제 0.05 내지 0.25wt%, 첨가제 1.45 내지 3.8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점증제는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카보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가용화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첨가제는 보존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원료물질 중 수상원료인 금사연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카보머, 1,2 헥산디올,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차가버섯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코엔자임 Q10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원료물질 중 유상원료인 시트릭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을 혼합하여 유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의 유상혼합물을 제1단계의 수상혼합물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3단계로부터의 유수상 혼합물에 보존제와 EDT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시킨 다음 밀봉하여 7일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기능성 마스크형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고 기능성 마스크용 리퀴드를 하이드로겔 원단지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하이드로겔 타입 원단지에 본 마스크액을 주입하여 충분히 적신 다음 얼굴에 부착하면, 공기 층을 거의 제거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효과로 인하여 약 15분의 짧은 시간의 부착 동안 기존의 일반 원단지에 비하여 영양분 흡수 효과가 우수한 점을 이용하여 본 마스크의 효과를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물질들을 하나의 제품에 포함함에 따라 보습, 탄력증진, 주름개선, 피부 리프팅, 노화억제, 미백, 모공축소, 항산화, 항균, 항염 효과 등 다양한 피부문제 요소를 복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조성물은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물질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보습, 탄력, 주름, 피부 리프팅, 노화억제, 미백, 모공축소, 항산화, 항균 및 항염 등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 조성물의 일실시예는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유효성분 27.13 내지 47.35wt%, 점증제 2.7 내지 5.1wt%, 가용화제 0.05 내지 0.25wt%, 첨가제 1.45 내지 3.8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조성물을 각각의 성분별로 상술하는 방식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가버섯추출물은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차가버섯으로부터 추출되는 성분으로, 이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단백질 용해성 효소인 엘라스타아제와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의 일종인 MMP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결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차가버섯 추출물은 보습과 동시에 미백과 모공을 수축작용이 우수한 LS8865라는 성분을 과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 미백, 보습 및 모공수축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금사연추출물 EGF (표피세포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FGF(섬유아세포 증식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및 시알산을 다량 함유하는데, 이러한 성분은 피부의 표피 내부에 작용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 피부의 탄력증진에 관계된 세포의 생성을 촉진시켜 탄력개선, 주름개선 및 피부리프팅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피부보습인자로 알려진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 및 미백효과도 가져 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알루로닉애씨드 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로닉애씨드의 결합으로 얻은 뮤코폴리사카라이드이며, 천연 보습 인자(NMF)로 피부 진피층에 수분을 축적시키고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당기는 뛰어난 흡수력을 지니며, 피부의 섬유들 사이에서 수분 증발을 막고 수분을 고정시키는 보습막을 형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은 항산화, 항균, 림프활성화, 배농 촉진, 모공축소, 보습,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부틸렌글라이콜은 발효시킨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지방산에 나온 물질로 만든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을 공급해 주고, 수분이 달아나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보습제로 사용되며 제품 안정화 기능을 보완하는 용도로도 사용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은 팜열매나 코코넛 등 야자수 열매에서 추출한 식물성 성분으로 강한 흡습력을 가지고 있고, 독성이 없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연고와 같은 의약품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리세린은 건조함을 막아주고, 공기중의 수분을 끌어당겨 촉촉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화장품의 보습제로 많이 사용되며 보습력 외에도 방부작용과 함께 외부 자극을 막아주고,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글루타믹애씨드는 글루타믹애시드의 폴리머를 원료로 청국장이나 낫또에서 바실러를 이용해 발효 추출한 천연 발효 보습성분으로 피부 내 천연보습인자를 증가시켜주며 pH밸러스를 안정적으로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한 보습 능력과 수분응집력을 가지고 있어 피부 수분력을 강화시키고 산화 방지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베테인은 베타인과은 같은 성분으로 거의 모든 자연 생물체에 존재하며 특히 새우 등과 같은 갑각류에서 많이 발견되며 식물, 동물, 사람의 몸 속에서도 발견되는 양성이온의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아미노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물에선 사탕무, 면화, 구기자, 죽순 등에 다량 함유 되어있고 천연식물에서 추출하는 천연성분의 생체 신진대사 중간물질로 인체에 안전한 천연 보습성분이다. 베테인은 빠른 피부 흡수력과 뛰어난 보습력이 있어 화장품 원료로 많이 사용되며 혼용성이 좋아 보습크림 원료뿐 아니라 다른 화장품 제조에도 널리 사용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달팽이점액추출물은 달팽이가 기어 다닐 때 분비하는 점액성 성분으로 피부 상처를 재생시키고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끈끈한 성분인 뮤신은 당질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로 콘드로이친 황산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직 중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며 세포 위축, 수분 감소, 색소 침착 등의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비타민 A, C, D, E, B12, 아미노산, 알로에신 등 약 300여가지의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피부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하고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건강한 피부로 개선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 유지에 관여하며, 민감하고 예민해진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치현추출물은 마치현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을 원료로 전통적으로 피부 연고 원료로 많이 이용되어 왔을 정도로 피부를 진정시키고 자극을 줄여주는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의 건조함을 예방해주며 뛰어난 보습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자운영 종자 추출물은 연화초, 홍화채, 쇄미제, 야화생이라고도 불리우며 두과초본의 월년초로서 콩과에 속하는 자운영으로부터 추출된 성분이다. 자운영 종자는 항상화제 및 항염증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초는 외상출혈이나 대상포진 등의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쓰이는 자원이 풍부한 약용식물이다. 또한, 자운영의 전초에는 트리고넬린(trigonelline), 카나바닌(canava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종자에는 카나린(canaline), 카나바닌, 호모세린(homoserin), 쿠메스트롤(coumest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자운영의 전초는 홍화채, 종자는 자운영 종자라 하여 약용으로 쓰이며, 홍화채는 3 내지 4월에 채취한 것으로 트리고넬린, 콜린(choline) 및 아데닌(adenine) 등이 함유되어 청열과 해독의 효능이 있고, 종자에는 카나린, 카나바닌 및 호모세린 등의 성분이 혈액순환을 돕고,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실험을 통해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 노화억제,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을 확인하여 이를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원료물질로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염, 탄력증진, 모공축소, 미백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추출물을 구성하는 각 조성물질의 구체적인 효능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초는 광과감초 (Glycyrrhiza glabra) 또는 창과감초 (Glycyrrhiza inflata)의 뿌리에서 추출한 감초 추출물로 해독작용과 염증에 효과적이며 세포를 재생하는 효능이 있어 노화를 방지한다. 또한 소염작용이 뛰어나 상처를 치유하며 아토피와 트러블성 피부를 위한 화장품에도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A, B 및 C등이 풍부하여 피부의 윤기를 공급하고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녹두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에 속하며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유로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리놀레익애씨드(linoleic acid) 그리고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컨디셔닝 역할을 하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는 보습력을 부여하여 건조함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지모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살이 풀로 지모의 뿌리줄기에는 인삼의 주요원료와 동일한 사포닌이 다량 함유 되어 있으며 약재의 용도로도 사용 되고 있으며, 사포닌은 피부의 탄력강화와, 영양분공급, 피부진정, 피부톤 개선, 보습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백수오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에 속하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둥근 덩이뿌리가 생기는 덩굴식물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약용식물 중 하나이다. 백수오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성분은 항산화, 항균 및 항염 기능 이외에 피부의 면역을 증강시키고 탄력증진에 기여하여 주름개선, 미백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칠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교목에 속하며 황칠나무의 추출물은 콜라겐을 분해하는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주고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여 젊은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 피부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병풀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며 병풀의 잎과 줄기에 있는 마데카식산이라는 성분은 피부의 과민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연고나 화장품 등의 원료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는 항균 및 항염작용을 주기능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며 미백, 탄력증진, 항산화, 주름개선 등의 기능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혼합추출수를 구성하는 각 조성물질의 효능 및 효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황금은 약용식물로써 이의 뿌리를 한방에서는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황금 추출물은 황금의 뿌리로부터 추출하며, 항염, 항균, 항알레르기, 항산화 등의 작용을 할 수 있으며, 미백 및 보습기능을 가져 피부 화장품류의 원료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련은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며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련 추출물은 황련의 뿌리로부터 추출하며, 외부 유해물질이 피부표면에 증식하지 못하도록 활성을 억제하며 유해물로 인한 피부의 과민반응을 억제하고, 산화방지기능을 하여 화장품류의 변질 및 부패를 억제하는 천연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황백 추출물은 황벽나무의 수피에서 추출하여 얻어지며, 베르베린(berberine)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피부에 유해한 물질의 활성 및 성장을 억제하여 피부관리에 도움을 주고 피부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게르마늄 워터는 산삼과 영지 버섯 등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해독작용, 산소 공급 촉진, 면역력 증강, 호르몬 분비 조절 등에 도움을 주며 색소침착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수용성 비타민B의 복합체로서 니코틴산, 나이아신이라고 명명하기도 하며, 피부의 변색 유도 성분인 멜라닌 세포는 표피층 가장 아래층인 기저층에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기저층에서부터 피부의 표면에 가까운 각질층까지 이동하여 색소침착을 유발하는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러한 이동을 방해하여 색소침착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각질층에 침착된 색소를 옅게 만들어 피부 미백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포간지질의 합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수분 손실방지에 기여할 수도 있다. 아울러, 피부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도 가져 주기능인 미백효과 이외에 탄력증진 및 주름개선 효과도 갖는다. 나이아신아마이드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는 전체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wt% 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배합량이 과도하면 눈시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2 내지 4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데노신은 아데닌과 리보스 성분이 결합한 화합물로 동·식물 및 미생물 등 모든 생물체에 소량으로 존재하며, 식약처에서 인증한 주름개선 성분으로 피부의 진피층에서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세포의 자생력을 강화시켜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리프팅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데노신은 전체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4wt%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는 팔미틱애씨드 및 펜타펩타이드-4의 반응물 성분으로 생물계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지방산 성분인 팔미틱애씨드와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물질인 펜타펩타이드-4가 반응하여 얻어진 물질로 피부 친화력이 높다. 팔미틱애씨드 및 펜타펩타이드-4는 피부 활성을 증가시켜 노화로 인해 주름진 피부의 굴곡을 완화하고, 주름의 생성을 예방하는데 관여하여 탄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또한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여 건조함을 예방하고 자외선 및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코엔자임 Q10은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땅콩과 같은 견과류, 시금치뿐만 아니라 고등어, 연어, 참치, 정어리등 등푸른 생선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우리의 몸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효소의 보조인자로 인체의 모든 조직과 장기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다. 코엔자임 Q10은 체내에서 유일하게 만들어지는 지용성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산화손상, DNA손상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에너지 생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효성분과 함께 배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점증제로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카보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가용화제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보존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 조성물은 원료물질 중 수상원료인 금사연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카보머, 1,2 헥산디올,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차가버섯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코엔자임 Q10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원료물질 중 유상원료인 시트릭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을 혼합하여 유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로부터의 유상혼합물을 상기 제1단계의 수상혼합물에 교반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제 3단계로부터의 유수상 혼합물에 보존제와 EDT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시킨 다음 밀봉하여 7일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은 차가버섯추출물 1.5 내지 2.5wt%, 금사연추출물 0.5 내지 1.5wt%, 하이알루로닉애씨드 4 내지 6wt%,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0.1 내지 0.3wt%, 부틸렌글라이콜 3 내지 4.5wt%, 글리세린 2 내지 3wt%, 폴리글루타믹애씨드 1.5 내지 2.5wt%, 베테인 2 내지 3wt%, 달팽이점액추출물 2 내지 3.5wt%, 알로에베라추출물 0.5 내지 1.5wt%, 마치현추출물 0.5 내지 1.5wt%, 자운영 종자 추출물 0.5 내지 1.5wt%,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4 내지 5.5wt%,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1 내지 2.5wt%, 나이아신아마이드 1 내지 3wt%, 아데노신 0.03 내지 0.05wt%,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2.5 내지 3.5wt%, 코엔자임 Q10 0.5 내지 1.5w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점증제 2.7 내지 5.1wt%, 가용화제 0.05 내지 0.25wt%, 첨가제 1.45 내지 3.85wt% 및 상기 전제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의 제조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기재한다.
[실험예 1]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 실험
1. MTT 분석에 의한 세포독성 및 생존율 측정
세포 생존율 측정은 카르미카엘(Carmichael) 등의 방법(Cancer Res 1987; 47(4): 936-942)에 의해 측정하였다. Raw 264.7 생쥐 대식 세포주를 10% 우태혈청(FBS; Fetal Bovine Serum)과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이산화탄소,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1*104 세포/웰의 농도로 100㎕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각 농도 별 추출물을 10㎕씩 처리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10㎕를 각각 가하여 다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웰 바닥에 형성된 포마잔(formazan)이 흩어지지 않도록 상등액을 제거하고 디메틸설폭사이드를 100㎕ 가하여 30분 방치한 뒤, 54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12.5㎎/㎖, 25㎎/㎖, 50㎎/㎖의 각 농도 별로 6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구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MTT 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12.5㎎/㎖에서 91.84±6.24%, 25㎎/㎖에서 103.00±5.22%, 50㎎/㎖에서 96.61±7.56%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MMT 분석 결과, 추출물의 25㎎/㎖ 농도에서는 103%의 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하였으며, 50㎎/㎖의 농도에서도 96.61%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수치는 뱀 딸기 열매의 세포 생존율이 50 내지 80%,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 500ppm에서 80% 정도의 세포 생존율 및 물 추출물과 비타민C의 500ppm 농도에서 60%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복숭아 꽃의 수치와 비교해볼 때 자운영 종자 추출물은 세포독성에 대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피부는 생리적 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노화되며 세포내에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인 자유라디칼이 생체분자들의 변형을 유발하여 노화현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블로이스(Blois)의 방법(Nature 1958; 26: 1199-1120)으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시그마 사)를 이용하여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에 농도별로 용해시킨 시료액 10㎕와 DPPH용액(300μM) 190㎕를 혼합하여 15분간 암실에서 방치한 후, 517㎚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2.5㎎/㎖, 5㎎/㎖, 10㎎/㎖의 농도별로 각각 6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시료액 대신 10㎕ 메탄올에 혼합한 반응액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소거능을 계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체내 항산화 활성제인 아스코르빈산을 사용하였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5㎎/㎖에서 63.52±2.86%, 5.0㎎/㎖에서 90.71±0.65%, 10.0㎎/㎖에서 91.6±0.21%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2.5㎎/㎖에서 93.56±0.07%, 5.0㎎/㎖에서 93.72±0.04%, 10.0㎎/㎖에서 93.71±0.05%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어 5.0㎎/㎖와 10.0㎎/㎖에서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농도에서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소거능과 아스코르빈산의 소거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자운영 종자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5.0 내지 10.0㎎/㎖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수치는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비교하여 거의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활성 측정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칸넬(Cannell) 등의 방법(Plaanta Med 1988; 54(1): 10-14)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간 백혈구 엘라스타아제(human leukocyte elastase)를 50m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용액(sodium acetate buffer solution)(pH 5.3)에 용해시켜 1단위/㎖ 용액을 제조하였다. 파라-니트로아닐리드를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켜 20mM 저장용액(stock solution)을 만든 후, 엘라스타아제 20㎕와 시료 20㎕를 48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sodium phosphate buffer)(pH 6.8)에 용해시킨 400μM 파라-니트로아닐리드를 200㎕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37℃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여 반응액 120㎕씩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41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25㎍/㎖, 50㎍/㎖, 100㎍/㎖, 250㎍/㎖의 농도별로 각각 5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항산화제로서 진피의 구성물질 등의 변성을 억제하는 퀘르세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엘라스타아제의 저해활성(%) = {1-(S-B)/C}*100
상기 식에서, S는 시료와 효소 포함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B는 효소 대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그리고 C는 시료 대신 10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을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은 25㎍/㎖에서 73.33±1.58%, 50㎍/㎖에서 80.25±2.07%, 100㎍/㎖에서 90.82±2.46%, 250㎍/㎖에서 97.36±1.6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의 퀘르세틴은 25㎍/㎖에서 75.60±1.69%, 50㎍/㎖에서 79.12±1.03%, 100㎍/㎖에서 85.03±1.03%, 250㎍/㎖에서 105.28±3.6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아제는 엘라스틴을 분해시키는 효소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진피의 그물망 구조결합을 절단하여 탄력감소와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측정 결과,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100㎍/㎖에서는 90.82%의 저해활성을 보이며, 이와 같은 수치는 대조군인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물질인 퀘르세틴과 비교하여 100㎍/㎖에서는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대조군의 퀘르세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4.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 측정
자외선에 의해 콜라겐(교원질)분해효소와 같은 MMP의 발현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면서 콜라겐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 피부의 탄력감소와 주름이 나타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 실험은 피부의 지지역할을 하는 콜라겐을 가수분해하는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피부노화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MMP-1 저해활성을 심(Sim) 등의 방법(J Soc CometScientists 2004; 30: 439-444)에 의해 측정하였다. 1,500㎕, PBS(pH 6.0)에 용해한 콜라겐 용액(0.25㎎/㎖) 300㎕, 시료 600㎕, 콜라겐 분해효소 용액(0.5단위) 600㎕를 첨가하였다. 암소 실온에서 20분 경과 후, 형광분광광도계(히타치)를 이용하여 흡수파장 280㎚, 방출파장 300㎚에서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동량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 농도 50㎍/㎖, 100㎍/㎖, 250㎍/㎖, 500㎍/㎖의 농도별로 각각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항산화제로서 콜라겐 변성을 억제하는 퀘르세틴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콜라겐분해효소의 저해활성(%) = {(C-S)/C}*100
상기 식에서, S는 시료와 효소 포함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C는 시료 대신 PBS를 첨가한 반응액의 형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의 저해활성은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50㎍/㎖에서 23.00±0.06%, 100㎍/㎖에서 43.9±0.06%, 250㎍/㎖에서 76.9±0.02%, 500㎍/㎖에서 95.24±0.03%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퀘르세틴은 50㎍/㎖에서 69.95±0.12%, 100㎍/㎖에서 84.2±0.09%, 250㎍/㎖에서 98.4±0.02%, 500㎍/㎖에서 99.95±0.0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각 농도에서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콜라겐분해효소 저해활성이 대조군인 퀘르세틴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그러나,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MMP-1 저해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피부노화예방과 세포재생에 효과적인 코엔자임큐10의 경우에도 농도 1%에서 91.1%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점과 비교하면 자운영 종자 추출물은500㎍/㎖에서 95.24%를 보여 MMP-1의 저해활성 효과가 우수한 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저해활성 측정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비정상적인 색소 생성의 원인 물질인 멜라닌의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메이슨(Mason) 등의 방법(Biochim. Biophys Acta 1965; 111: 134-14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0㎕ 엘-티로신 용액(1.5mM),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6.5) 220㎕, 0.1M 인산염 완충용액(pH 6.5)에 녹인 시료 20㎕를 혼합하였다. 혼합액에 20㎕의 버섯 티로시나아제(1,000단위/㎖)를 분주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으로 생성된 도파크롬(dopachrome)의 양을 490㎚에서 흡광도(Power Wave X340, BIO-TEK)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각 농도 6.25㎎/㎖, 12.5㎎/㎖, 25㎎/㎖, 50㎎/㎖의 농도별로 각각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멜라닌을 환원시키는 아스코르빈산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3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3]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 = {(C-S)/C}*100
상기 식에서, C는 시료 대신 PBS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그리고 S는 시료를 포함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자운영 종자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를 나타내었다. 6.25㎎/㎖에서 61.77±2.85%, 12.5㎎/㎖에서 73.65±1.47%, 25㎎/㎖에서 89.41±5.77%, 50㎎/㎖에서 94.41±9.15%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은 6.25㎎/㎖에서 68.81±0.29%, 12.5㎎/㎖에서 88.75±1.58%, 25㎎/㎖에서90.18±0.44%, 50㎎/㎖에서 89.99±0.2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표적인 미백물질인 아스코르빈산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6.25㎎/㎖, 12.5㎎/㎖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50㎎/㎖에서는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실시예 1]
하기 표1에 나타낸 조성을 가지는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원료들을 유상과 수상으로 나누어 칭량하고 혼합하여 준비한다. 먼저, 수상의 혼합물과 유상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하였으며, 유수상 혼합물에 보존제와 EDT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시킨 다음 밀봉하여 7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원료 기능 함량 [%] 상의분류
정제수 용제 55.06








수상













금사연추출물 미백, 주름, 재생 1.00
부틸렌글라이콜 보습 4.00
글리세린 보습 2.50
잔탄검 점증제 0.2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점증제 0.15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보습 2.00
베테인 보습 2.50
달팽이점액추출물 보습, 재생 3.00
알로에베라추출물 항균, 항염, 보습, 재생 1.00
마치현추출물 항균, 항염 1.00
자운영 종자 추출물 미백, 노화억제, 주름개선 1.00
감초/녹두/지모/백수오/황칠/병풀 혼합추출물 항산화, 항균, 항염 5.00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점증제 5.00
카보머 점증제 3.50
1,2 헥산디올 보존제 1.00
황금/황련/황백/게르마늄 워터 항산화, 항균, 항염 2.00
차가버섯추출물 모공축소, 탄력증진 2.00
나이아신아마이드 미백 2.00
아데노신 주름개선 0.04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Palmitoyl Penta Peptide-4
(보톡스펩타이드/500 ppm)
주름개선 3.00
코엔자임 Q10 미백, 노화억제 1.00 수상
EDTA 보존제 1.00
시트릭애씨드 PH 조절제 0.30

유상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가용화제 0.15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피부유연화제 0.35
로즈/사이프러스/라벤더/로즈우드/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모공축소, 보습, 주름개선 0.20
합계
100.0
[비교예 1]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성분원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의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안정성 테스트는 총 3차례 (마스크용 화장품을 완성한 직후, 3일 숙성 후, 7일 숙성 후)에 걸쳐 pH 측정 및 제형의 안정성을 육안 및 냄새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사람 피부의 산도는 병원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pH 4 내지 6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러한 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중성 또는 약산성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3차례에 걸쳐 pH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 평균 pH가 5.5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형의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유상과 수상의 분리현상, 색 등에 있어서 별다른 변질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기와 같이 피부자극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소 피부질환 및 알러지가 없는 20 내지 40대의 피실험자 10명(남자 4명, 여자 6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대상으로 상박부 내측에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 부위에 소독을 실시한 후, 실시예 1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이 첨가된 핀챔버를 시험부위에 부착하였다. 24시간 후에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시험 부위의 피부반응을 하기 표 2의 피부자극 판정기준을 기반으로 판독하였다. 판정기준에 의해 판독한 결과는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기호 판정기준
- 무자극
± 미세한 홍반의 발생
+ 약한 홍반, 발진 및 구진의 발생
++ 홍반, 구진 및 물집의 발생
+++ 수포의 발생
하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실험자 10명 모두 알레르기나 기타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호 - ± + ++ +++
결과(n=10) 10 - - - -
[실험예 4]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을 규칙적으로 피부에 바르게 한 후, 피부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1. 연구대상 선정과 배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임상시험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고, 특정한 질병이 없이 건강상태가 양호한 동일 학년 학생으로 임상시험자를 제한한다는 조건을 설명을 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이해하고 임상시험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30명의 여학생들을 선정하여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응답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응답이 부족한 설문지 6매를 제외한 34명을 임의적으로 대조군, 시험군의 순서대로 1매씩 놓아가며 두 그룹으로 분리하여 각 그룹당 17명씩 임상시험자를 배정하였다. 그러나 개인 사유로 임상시험에 대한 참여를 철회한 4명을 추가로 제외하고, 최종 30명을 선정하여 각각 15명씩 배정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2. 설문자료의 수집
피부 임상시험 전 조사한 설문지의 구성은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피부 관리 임상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피부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 중, 연령, 건강상태 인식, 하루 평균 수면시간, 규칙적인 운동의 빈도, 하루 물 섭취량, 하루 식사 횟수를 알아보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3.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의 도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이 피부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평가를 위해 시험군 1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마스크용 화장품을 규칙적으로 얼굴에 바르도록 하였다. 마스크용 화장품은 아침과 저녁 세안 후, 마사지 하듯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바르게 하였으며, 8주 동안 실시하였다. 또한, 대조군 15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의 마스크용 화장품을 시험군과 동일한 주기 및 방법으로 바르도록 하였으며, 8주 동안 실시하였다.
4. 피부미용 효과 측정 방법
눈 꼬리와 코의 외방이 교차하는 볼 지점을 임상시험 전과 임상시험 8주후의 수분지수, 탄력지수, 색소지수, 거칠기지수, 모공크기를 각각 아람 휴비스사의 Aramo TS Diagnosis System을 이용하여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1 수분지수 측정
피부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미세전기부하 저장능력으로 계량화하여 측정하며,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탐침자 사이의 전도 및 부하도를 계수화하여 계측하는 원리이다. 피부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이 많을수록 전도계기가 높게 측정되어 피부 손상에 따른 변화를 평가하며, 측정값이 1 내지 30의 범위 이내의 경우, 수분 매우 부족, 31내지 40의 범위 이내의 경우, 수분부족, 41 내지 100의 범위 이내의 경우, 수분양호를 나타내며, 20대의 평균 표준 값은 수분지수 37AU(arbitrary unit)이다.
4-2 탄력지수 측정
탄력지수 측정의 원리는 흡입과 흡입시간의 지속에 따른 피부 변화와 복원력을 기본원리로 측정하며, 기기 내부에 300mmbar의 마이너스압력을 주어 피부를 빠르고 균일하게 흡입하여 측정 부위의 피부 변화 값을 광학측정시스템이 인지하여 수치가 변화하게 된다. 탄력지수는 0 내지 100의 범위 이내이며, 0 내지 30의 범위 이내는 낮음, 30 내지 70의 범위 이내는 보통, 70 내지 100의 범위 이내는 높은 상태이며, 20대의 표준 값은 탄력지수 68Ur/Uf이다.
4-3 색소지수 측정
색소지수(MI: melanin index)는 반사율 분광 광도계의 반사되는 광선의 정도를 광학적 측정기법에 의하여 색소지수를 나타내며, 1 내지 100의 범위 이내의 MI로 20대의 표준 MI 값은 25MI이다.
4-4 거칠기지수 측정
거칠기지수는 화상분석기를 통해 측정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여 얻어진 평활도를 R-값으로 나타내고, R-값은 1 내지 100의 범위 이내이며, 20대의 거칠기 표준 값은 50R-값이다.
4-5 모공크기 측정
모공크기의 측정은 화상분석기를 통해 측정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4-5 통계처리 방법
피부미용에 미치는 임상시험 효과 검정에서 대조군과 시험군간 특성의 차이는 변량분석, 카이-스퀘어시험(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시험 전후의 피부상태의 변화 정도는 변량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 집단 또는 조건 간의 평균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적 절차, 각 조건 수준의 대변하는 모집단이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기법)을 이용하였고 각 군별 차이를 보기 위한 사후검정은 던칸 검정(duncan test)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0.05로 하였다.
4-6 임상시험 결과
상기 설문 및 통계분석을 통해 대조군과 시험군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두 그룹의 평균연령, 건강상태 인식, 하루 평균 수면시간, 규칙적인 운동의 빈도, 하루 물 섭취량, 하루 식사 횟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p<0.05)
대조군은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후로 구분하여 하기 각 지수들을 측정하였으며, 시험군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과 후로 구분하여 하기 각 지수들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항목 대조군(n=15) 시험군(n=15)
수분지수 47.38±5.72 47.19±4.40
45.35±6.40 51.02±5.86
탄력지수 57.07±8.30 58.40±8.95
54.17±8.23 63.00±9.69
색소지수 49.92±14.86 48.51±13.82
55.33±15.57 25.15±12.44
거칠기지수 24.08±3.43 26.65±2.84
28.13±3.64 23.32±3.79
모공크기 - 81.20±13.78
- 77.80±9.7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분지수 및 탄력지수에 있어서 대조군은 마스크용 화장품 사용 후 수분지수 및 탄력지수가 감소하는 반면에 시험군의 경우 실시예 1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품 사용 후 수분지수 및 탄력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 4를 계속 참조하면, 색소지수, 거칠기지수에 있어서 대조군은 마스크용 화장품 사용 후 지수가 증가한 반면에 시험군은 마스크용 화장품 사용 후 색소지수 및 거칠기지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공크기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마스크용 화장품 사용 후 모공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용 화장품이 피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기와 같이 피부 부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소 피부질환 및 알러지가 없는 20 내지 60대의 피실험자 22명 (남자 7명, 여자 15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1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을 하이드로겔 타입 원단지에 주입하여 충분히 적신 다음 피부에 부착하였다. 약 20분 경과 후, 시험 부위의 피부수축력, 보습력, 리프팅, 주름감소, 미백효과, 모공수축, 진정효과를 보기 위해 표 5의 판정기준을 기반으로 판독하였다. 판정기준에 의해 판독한 결과는 표 6에 기재하였다.
등급 판정기준
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조금 변화되었다
1 변화 없다
하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실험자 22명 모두에게서 보통이상의 만족도로 피부수축력, 보습력, 리프팅, 주름감소, 미백효과, 모공수축, 진정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대부분의 피실험자에게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등급 피부
수축력
보습력 리프팅 주름감소 미백효과 모공수축 진정효과
5 19 22 18 16 22 17 18
4 3 0 3 3 0 4 4
3 0 0 1 3 0 1 0
2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차가버섯추출물; 금사연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및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유효성분 27.13 내지 47.35wt%, 점증제 2.7 내지 5.1wt%, 가용화제 0.05 내지 0.25wt%, 첨가제 1.45 내지 3.85wt% 및 전체 혼합 조성물이 100wt%가 되도록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및 카보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보존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pH 조절제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원료물질 중 수상원료인 금사연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폴리글루타믹애씨드, 베테인, 달팽이점액추출물, 알로에베라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자운영 종자 추출물, 감초, 녹두, 지모, 백수오, 황칠, 병풀 혼합추출물,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카보머, 1,2 헥산디올, 황금, 황련, 황백, 게르마늄 워터, 차가버섯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코엔자임 Q10 및 금속이온봉쇄제를 혼합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원료물질 중 유상원료인 시트릭애씨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페녹시에탄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로즈, 사이프러스, 라벤더,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혼합아로마오일을 혼합하여 유상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로부터의 유상혼합물을 상기 제1단계의 수상혼합물에 교반하여 유수상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제 3단계로부터의 유수상 혼합물에 보존제 EDT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시킨 다음 밀봉하여 7일간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포함한 마스크용 화장품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27139A 2016-03-07 2016-03-07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39A KR101769416B1 (ko) 2016-03-07 2016-03-07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139A KR101769416B1 (ko) 2016-03-07 2016-03-07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416B1 true KR101769416B1 (ko) 2017-08-18

Family

ID=5975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39A KR101769416B1 (ko) 2016-03-07 2016-03-07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41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6B1 (ko) * 2018-09-07 2019-02-21 고가인 금화규가 함유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화규 비누
KR101955261B1 (ko) * 2018-07-30 2019-03-08 이봉수 피부보습 효능 및 피부 탄력성 효능이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7354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화장료 조성물
WO2019045483A3 (ko) * 2017-08-31 2019-05-09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63880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00075553A (ko) * 2018-12-18 2020-06-26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803400A (zh) * 2020-08-18 2020-10-23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中药多糖补水祛斑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257667B1 (ko) * 2020-04-20 2021-05-28 그린코스 주식회사 커피콩, 녹두 및 죽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체취 발생 억제 및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7938B1 (ko) * 2020-04-07 2021-06-23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1606B1 (ko) * 2021-04-16 2021-07-26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8361A (ko) * 2021-01-27 2022-08-0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US11571378B2 (en) 2021-01-22 2023-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5702875A (zh) * 2021-08-11 2023-02-17 上海悦目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糖化抗氧化功效的美白抗衰面膜贴及其制备方法
CN116115508A (zh) * 2022-10-25 2023-05-16 广州欧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修护抗皱美颜面膜液及其制备方法
US11771637B2 (en) 2021-01-22 2023-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7694549A (zh) * 2024-02-05 2024-03-15 北京衡美金叶营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祛斑美白的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483A3 (ko) * 2017-08-31 2019-05-09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0971B1 (ko) * 2017-10-27 2020-03-19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7354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화장료 조성물
KR101988586B1 (ko) * 2017-11-30 2019-09-3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KR20190063880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955261B1 (ko) * 2018-07-30 2019-03-08 이봉수 피부보습 효능 및 피부 탄력성 효능이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1156B1 (ko) * 2018-09-07 2019-02-21 고가인 금화규가 함유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화규 비누
KR20200075553A (ko) * 2018-12-18 2020-06-26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05B1 (ko) 2018-12-18 2020-10-14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7938B1 (ko) * 2020-04-07 2021-06-23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7667B1 (ko) * 2020-04-20 2021-05-28 그린코스 주식회사 커피콩, 녹두 및 죽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체취 발생 억제 및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1803400A (zh) * 2020-08-18 2020-10-23 黑龙江中医药大学 一种中药多糖补水祛斑面膜及其制备方法
US11571378B2 (en) 2021-01-22 2023-0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771637B2 (en) 2021-01-22 2023-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850299B2 (en) 2021-01-22 2023-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20108361A (ko) * 2021-01-27 2022-08-0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573909B1 (ko) * 2021-01-27 2023-09-0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281606B1 (ko) * 2021-04-16 2021-07-26 (주)바이오신펩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5702875A (zh) * 2021-08-11 2023-02-17 上海悦目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糖化抗氧化功效的美白抗衰面膜贴及其制备方法
CN115702875B (zh) * 2021-08-11 2023-11-24 上海悦目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抗糖化抗氧化功效的美白抗衰面膜贴及其制备方法
CN116115508A (zh) * 2022-10-25 2023-05-16 广州欧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修护抗皱美颜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7694549A (zh) * 2024-02-05 2024-03-15 北京衡美金叶营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祛斑美白的组合物、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420150A (zh) 一种含有辣木籽提取物的抗衰老护肤品组合物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5261B1 (ko) 피부보습 효능 및 피부 탄력성 효능이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84441A (ja) 細胞増殖促進用皮膚外用剤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2957304A (zh) 一种用于化妆品的植物组合物、混合提取液及制备方法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116504A (ko)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