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880A -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880A
KR20190063880A KR1020170162992A KR20170162992A KR20190063880A KR 20190063880 A KR20190063880 A KR 20190063880A KR 1020170162992 A KR1020170162992 A KR 1020170162992A KR 20170162992 A KR20170162992 A KR 20170162992A KR 20190063880 A KR20190063880 A KR 2019006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mprovement
mask pack
improv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586B1 (ko
Inventor
김경애
최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연
Priority to KR102017016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정 추출물 및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이 원산지인 새싹인삼과 차풀의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외국산 식물에서만 추출되는 천연화장품 원재료인 샤프토사이드를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며 한국인 원산지인 자수정 추출물을 사용하므로 국제적 특허분쟁의 소지가 없으면서도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에 포함된 샤프토사이드는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원재료로서 국내를 원산지로 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100% 수입에 의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새싹인삼과 차풀을 열수추출하여 샤프토사이드가 포함된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므로 샤프토사이드의 수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Functional Mask Pack Comprising Complex Extract Of Sprout Ginseng And Cassia Mimosides}
본 발명은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화장품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성장 추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소비자의 윤리의식 향상과 환경에 대한 경각심 심화 등으로 인해 앞으로의 전망이 밝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천연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자수정 추출물 및 한국을 원산으로 하는 천연물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자수정은 화산 분출시 마그마 (용암) 가 식으면서 패그마 타이트 암석에서 생성되는데 보통 6천만년 열수에 결정되는 약성광물로서 자석영(紫石英)이라 불린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자수정을 생산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자수정은 인체에 무해하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고, 심장에서 갈려 나온 경락과 간에 딸린 경락에 작용하며, 심장의 기가 부족한 것을 보하고, 경계증을 치료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를 내리고,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며, 얼굴에 윤기가 나게 하고, 폐의 기를 좋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자수정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과가 있어 자수정을 착용할 경우 상기 방사에너지에 의해 항균효과 및 혈류의 순환을 향상시켜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새싹인삼과 차풀은 피부 주름방지 및 세포부활작용 화장품의 주요 원료 천연물로서 사용된다. 상기 새싹인삼은 2008년 농촌진흥청에서 인삼을 먹기 좋게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것으로 2년 미만의 인삼을 2~4개월 동안 수경 재배하여 생산한다. 상기 새싹인삼을 천연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한 예로서 하기의 선행문헌이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3-0143284호에는 인삼의 어린 새싹부위를 30% 부틸렌글리콜로 열 또는 냉침 추출 후 얻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개선, 미백, 항산화, 및 피부 항염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풀은 한국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높이 30 내지 60㎝이며 잎은 어긋나기하고 줄 모양 타원형인 특징이 있다. 상기 차풀은 식물의 전체부위(전초)가 식용 가능한 원료로써 별도의 화장품 원료 등록 절차 없이도 바로 활용이 가능한 천연 소재이다. 상기 차풀은 안전한 식품으로 분류될 수 있고 항산화 효과가 알려져 있어 안전한 천연화장품 원료로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한국출원특허 10-2006-0102755호에는 차풀의 지상부를 80% 메탄올로 추출하고, 그 중 항산화 활성을 갖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루테오린 화합물을 획득하여 항산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출원특허 10-2011-0135360호에는 차풀의 전초 분말을 열수 추출 후 획득한 농축물로부터 제형을 제작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조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은 한국을 원산지로 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최근 천연화장품의 원료로서 샤프토사이드(schaftoside)가 주목받고 있다. 한국출원특허 10-2015-0019577호에는 상기 샤프토사이드가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을 위한 의약품, 화장료, 건강식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기재되어 있으며, 출원특허 WO 2016167385 A1에는 이소샤프토사이드(iso-schaftoside)가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샤프토사이드 또는 이소샤프토사이드는 시계초(passionflower) 또는 석송강(Lycopodiella cernua)에서 추출된 추출물에서 확인되는 유효성분이다. 상기 시계초는 미국 동부를 원산지로 하는 쌍떡잎식물강의 시계초과 식물로서 허브의 일종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의해 염증 완화용 약제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상기 석송강은 석송과에 딸린 양치식물로서 대부분 열대지방에 분포하며 미국 최남부 및 하와이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전라남도 완도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수십년 만에 발견될 만큼 귀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로부터 추출된 사프토사이드 또는 이소-사프토사이드를 산업적으로 이용하게 되면 식물의 원산지 국가와 이익을 공유해야 하는 나고야 의정서에 따라 국제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식물을 구하기가 어려워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쉽게도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식물로부터 샤프토사이드를 생산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한 사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허문헌 및 참고문헌은 각각의 문헌이 참조에 의해 개별적이고 명확하게 특정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된다.
한국출원특허 10-2015-0019577호 한국출원특허 10-2013-0143284호 한국출원특허 10-2006-0102755호 한국출원특허 10-2011-0135360호 한국등록특허 10-0852777호 WO 2016167385 A1
천연화장품의 기능성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에 따른 산업적 이용은 국가간 특허장벽에 의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자수정 추출물과 새싹인삼, 차출을 이용하여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가 있는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으므로 천연화장품의 기능성 원재료에 대한 국가간 특허장벽으로부터 자유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국에서 생산되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므로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자수정 추출물과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새싹인삼과 차풀을 열수추출하여 샤프토사이드(schaftoside)를 함유하는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본 발명은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및 자수정 추출물(Amethyst Extract)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상기 마스크 팩은 0.5 내지 2 중량%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자수정추출물, 3 내지 7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 히알루론산, 2 내지 4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0.5 내지 3 중량% 알부틴(arbutin), 0.5 내지 2 중량%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0.5 내지 2 중량%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0.5 내지 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내지 2 중량% 판테놀(pantenol), 0.2 내지 0.7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0.3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1 내지 0.1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및 25 내지 67 중량% 미네랄 수(mineral water)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 마스크 팩은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자수정추출물, 미네랄수, 라벤더수, 알로에베라잎수, 편백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부틴, 또는 아데노신(adenosine)을 포함하는 제 1 기능성원료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제 1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혼합용액에 잔찬검을 포함하는 점증제를 첨가하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아르간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을 포함하는 제 2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수상층 용액과 유상층 용액을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2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혼합용액을 30 내지 35℃로 냉각시킨 후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 또는 코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을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3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3 혼합용액에 향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4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4 혼합용액을 24 내지 48시간동안 숙성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을 제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에 상기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침지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수정 추출물 및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이 원산지인 새싹인삼과 차풀의 혼합물을 열수추출하여 외국산 식물에서만 추출되는 천연화장품 원재료인 샤프토사이드를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며 한국인 원산지인 자수정 추출물을 사용하므로 국제적 특허분쟁의 소지가 없으면서도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에 포함된 샤프토사이드는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원재료로서 국내를 원산지로 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100% 수입에 의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새싹인삼과 차풀을 열수추출하여 샤프토사이드가 포함된 복합추출물을 사용하므로 샤프토사이드의 수입을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의 원재료인 국내산 새싹인삼(패널 A))와 국내산 차풀(패널 B))을 보여준다.
도 2는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결과(패널 A)) 및 B16F10 세포주 활성 측정결과(패널 B))를 보여준다.
도 3은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의 지표성분 설정결과를 보여준다. 패널 A)는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의 HPLC 결과를 보여주며 retention time 9.7min에서 샤프토사이드가 확인된 결과를 보여준다. 패널 B)는 기준 물질로서 구입한 샤프토사이드시약을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한 HPLC를 보여준다. 패널C)는 기준 물질로서 구입한 샤프토사이드 시약을 이용하여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에 함유된 샤프토사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및 자수정 추출물(amethyst extract)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은 새싹인삼과 차풀을 혼합한 후 열수추출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상기 열수추출은 뜨거운 물이나 용매를 이용하여 새싹인삼, 차풀 또는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물을 용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을 혼합하고 열수추출을 수행하므로 새싹인삼의 성분과 차풀의 성분이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열수추출화합물로서 용출된다. 상기 열수추출화합물은 수용성의 함유화합물이므로 일반적인 혼합물과 구별되며 원재료의 성분 이외에 새로운 화합물이 열수추출화합물로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을 혼합하고 이를 85℃의 온도에서 4시간동안 열수추출을 수행한 결과, 새싹인삼과 차풀에 함유되지 않은 샤프토사이드가 열수추출물로서 확인된 것이 밝혀졌다.
상기 샤프토사이드는 시계초(passionflower) 또는 석송강(Lycopodiella cernua)에서 추출되는 유효성분으로서 피부재생 효과 및 알츠하이머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이나 의약품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원료물질이다. 그러나 상기 샤프토사이드는 미국 동부를 원산지로 하는 쌍떡잎식물강의 시계초과 식물 또는 대부분 열대지방에 분포하며 미국 최남부 및 하와이에 자생하는 희귀한 석송과에 딸린 양치식물인 석송강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수급이 어려운 신규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새싹인삼과 차풀을 혼합하고 이를 열수추출하며 상기 샤프토사이드가 열수추출물로서 추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샤프토사이드의 대량생산 및 산업적 이용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세포활성 저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수정 추출물은 혈류순환을 촉진해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므로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상기 자수정 추출물로 인하여 피부미용 효과가 있으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스크팩은 0.5 내지 2 중량%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자수정추출물, 3 내지 7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 히알루론산, 2 내지 4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0.5 내지 3 중량% 알부틴(arbutin), 0.5 내지 2 중량%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0.5 내지 2 중량%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0.5 내지 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내지 2 중량% 판테놀(pantenol), 0.2 내지 0.7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0.3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1 내지 0.1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및 25 내지 67 중량% 미네랄수(mineral water)를 포함한다.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은 샤프토사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상태 개선효과가 있다. 상기 피부상태 개선이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이 0.5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상기 피부상태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추출물이 2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마스크 팩 용액의 물성이 변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대비하여 피부상태 개선효과의 향상이 미미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에는 1 내지 10ppm의 샤프토사이드(schaftoside)가 포함된다.
상기 자수정추출물은 피부의 혈류순환을 촉진해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므로 피부미용효과가 있다. 상기 자수정 추출물이 2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혈류순환 촉진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마스크 팩 용액의 점성이 낮아 부직포 및 피부의 흡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점도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점도를 향상시키는 잔탄검과 함께 사용되어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 및 잔탄검이 각각 3 내지 7 중량% 및 0.1 내지 0.3 중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가 너무 낮거나 높아 부직포 및 피부의 흡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피부컨디셔닝제로서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며 피부를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이 3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며 보습효과 및 피부재생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히알루론산이 7 중량%을 초과하여 사용되면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보습효과 및 방부효과가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의 함량이 2 내지 4 중량%를 벗어나 사용되면 보습효과 및 방부효과가 미미하거나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를 변화시켜 부직포 및 피부의 흡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1,2-헥산디올은 방부제로서 사용되며 1 내지 3 중량%로 사용하며 우수한 방부효과를 보이면서도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상기 알부틴과 아데노신은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방지효과가 있다. 상기 알부틴과 아데노신의 사용량인 0.5 내지 3 중량% 및 0.01 내지 0.1 중량%은 미백효과 및 피부주름 방지 화장품의 효과인증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용량으로 상기 용량으로 사용되면 상기 미백효과 및 피부주름 방지 효과가 있으면서도 마스크 팩 용액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상기 아르간커넬 오일, 호호바씨 오일,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은 피부컨디셔닝제 및 보습제로 사용되며 0.5 내지 2 중량%을 벗어나 사용하게 되면 보습효과가 미미하거나 보습효과의 향상보다는 마스크 팩 용액의 물성을 변화시켜 부직포 또는 피부의 흡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은 유화제 효과가 있어 마스크 팩 용액 제조시 수상층과 유상층의 적절한 혼합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어 상기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이 0.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면 마스크 팩 용액이 수상층과 유상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상기 오일의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0.2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마스크팩의 오일의 보존기간이 짧아질 수 있으며 0.7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상기 오일의 산화를 방지효과는 유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자수정추출물, 미네랄수, 라벤더수, 알로에베라잎수, 편백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부틴, 또는 아데노신(adenosine)을 포함하는 제 1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제 1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혼합용액에 잔탄검을 첨가하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아르간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을 포함하는 제 2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수상층 용액과 유상층 용액을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2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혼합용액을 30 내지 35℃로 냉각시킨 후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 또는 코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을 포함하는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3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3 혼합용액에 향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4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4 혼합용액을 24 내지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을 제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에 상기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침지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제 9 단계;로 구성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기능성 원료 및 상기 제 2 기능성 원료는 수용성 및 소수성의 성질을 띠는 재료로 구성되므로 각각 제조된 후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펩타이드류의 원료물질로서 열에 약하므로 상기 제 1 기능성 원료 및 상기 제 2 기능성 원료의 혼합에 적용하는 교반온도인 60 내지 70℃에서는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제 1 기능성 원료 및 상기 제 2 기능성 원료가 완전히 혼합된 후 상기 기능성 첨가물이 안전한 온도인 30 내지 35℃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또한 높은 온도에서 혼합하게 되면 쉽게 증발되어 버리므로 상기 기능성 원료가 혼합되는 온도조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제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2년 미만의 인삼을 2 내지 4개월간 수경재배한 새싹인삼 및 차풀 준비하였다. 상기 새싹인삼 및 차풀은 모두 전초의 상태이며 이를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상기 준비한 새싹인삼과 차풀의 혼합물 1Kg에 대하여 10 내지 50%의 알코올을 첨가하고 중형 추출기에서 8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열수추출을 수행하여 수득한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은 총 122㎎/㎖이었으며 상기 복합추출물은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보관 및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및 자수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하여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및 자수정 추출물, 용제, 피부컨디셔닝제, 변성제, 피부보습제, 점증제, 점도감소제, 방부제, 미백기능성 원료, 주름기능성 원료,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새싹인삼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스크 팩(마스크 팩 1)을 제조하고 새싹인삼 및 차풀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마스크 팩 2, 3, 4)을 제조하였다(표 1 참조).
상기 마스크 팩은 자수정추출물, 미네랄수, 라벤더수, 알로에베라잎수, 편백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부틴, 또는 아데노신(adenosine)등의 기능성 원료를 혼합한 후 점증제를 첨가하여 60 내지 7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층 용액을 제조하였다. 아르간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등의 오일류를 혼합하여 유상층을 제조하고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을 혼합하였다.
마스크 팩 1 마스크 팩 2 마스크 팩 3 마스크 팩 4
원 료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자수정추출물 21.16 29.26 39.66 33.26
미네랄수 - - - 10
라벤더수 15 15 15 10
알로에베라잎수 15 15 15 10
편백수 - - - 10
로즈마리수 10 10 15 -
인삼추출수 - 10 - -
위치하젤수 10 - - -
글리세린 - - - 5
부틸렌글라이콜 - - - 3
1,2헥산디올 - 2 2 2
알부틴 2 1.5 1.5 1.5
카보머 -   0.25 -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0.3 0.2 0.55 -
아르간커넬오일 - - - 1
호호바씨오일 1 0.5 - 1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 - 2 0.5 1
피이지-7 올리베이트(PEG-7 olivate) - - 1.5 -
판테놀 - - - 1
쉐어버터 1.5 0.5 - -
MCT(caprylic triglyceride) 1 0.5 0.5 -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3 2 2 5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0.5 0.5 0.5 0.5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2 1.5 0.5 0.25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 - - - 0.25
헥사펩타이드(acetyl hexapeptide-8) 2 1.5 1 -
진주단백질(hydrolyzed conchiolin protein) 2 1.5 1 -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0.5 0.4 0.5
콜라겐 1 0.5 - -
시카카이열매추출물 1 0.5 0.5 -
3 3 1 1.5
자몽추출물 1 1 1 2
부활초추출물 3 - - -
새싹인삼추출물 2 - - -
안동참마뮤신 2 - - -
새싹인삼-차풀 복합추출물 - 1 0.5 1
L-알기닌(L-arginine) - - 0.1 -
잔탄검 - - - 0.2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총합 100 100 100 100
혼합은 6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수상층과 유상층의 혼합용액은 35도 이하로 냉각시킨 후 열에 약한 기능성 원료인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 -1), 또는 코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을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열에 약한 기능성 원료가 포함된 용액에 향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였으며 24 내지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마스크 팩 용액을 제조하였다.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준비하여 상기 마스크팩 용액에 침지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부직포 및 피부에 대한 마스크팩 용액의 흡수도 및 보습력의 최적화를 위하여 마스크 팩 용액의 점도 조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마스크팩 용액에 카보머, PEG, 잔탄검, 글리세린를 첨가하고 이의 농도를 조절하여 마스크 팩 용액을 제조한 후 하였다. 실험결과 카보머를 사용한 마스크 팩(마스크팩 3)의 경우 점증효과는 향상되었으나 부직포에 대한 흡수도 및 첩포피부에 대한 흡수도 저하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점증제로서 잔탄검과 점도감소제로서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이들의 비율을 조절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한 후 부직포 및 피부에 대한 흡수도 및 보습력을 확인한 결과 잔탄검 0.12 중량%와 글리세린 3 중량%를 사용한 경우에서 부직포 및 피부에 대한 마스크팩 용액의 흡수도 및 보습력이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 확인
상기 제조한 새싹인삼과 복합추출물에 재한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ssay법을 이용하였다. 시험재료는 DPPH, L-ascorbic acid, 메탄올, 96 well plate을 사용하였으며 각 농도별 희석 샘플 20㎕와 0.15mM DPPH 200㎕와 혼합 후 30분 암실 반응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미백활성은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B16F10 세포주는 멜라닌 세포로서 세포활성이 억제되면 피부색소의 생산이 억제되어 미백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등의 미백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B16F10 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x106 cells/well 농도로 분주한 후 상기 제조한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을 농도별(100~1,000ug/㎖)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세포에 대하여 MTT 시약을 처리하고 3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50ppm을 사용한 경우 80%의 DPPH 제거활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00ppm이상 사용한 경우 대부분의 DPPH가 제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미백 활성 실험결과,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200ppm을 사용한 경우 세포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500ppm을 사용하는 경우 세포활성이 50% 미만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지표성분 설정
상기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된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지표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복합추출물에 대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HPLC 분석은 ACQUITY BEH C18 컬럼(2.1 x 150 mm, 1.7 um)을 사용하였으며 Flow rate 0.23㎖/min의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Mobile phase는 ACN(acetonitrile)의농도를 5에서 40%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9.7분에서 샤프토사이드(schaftoside)의 peak이 확인되었으며 그 양은 평균 211.89ppm이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또는 예시를 대표하는 의미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변형과 다른 용도가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8)

  1.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및 자수정 추출물(amethyst extract)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용은 상기 자수정 추출물의 피부 신진대사 활성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은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항산화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개선은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의 멜라닌 세포활성 저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은 0.5 내지 2 중량%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자수정추출물, 3 내지 7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 히알루론산, 2 내지 4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 내지 3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0.5 내지 3 중량% 알부틴(arbutin), 0.5 내지 2 중량% 아르간커넬 오일 (argania spinosa kernel oil), 0.5 내지 2 중량%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0.5 내지 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내지 2 중량% 판테놀(pantenol), 0.2 내지 0.7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 내지 0.3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1 내지 0.1 중량% 아데노신(adenosine) 및 25 내지 67 중량% 미네랄수(mineral wa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추출물은 1 내지 10ppm의 샤프토사이드(schaftos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
  7.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준비하는 제 1 단계;
    제 1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제 1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혼합용액에 점증제를 첨가하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수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단계;
    제 2 기능성 원료를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유상층 용액을 제조하는 제 4 단계;
    상기 수상층 용액과 유상층 용액을 혼합하고 60 내지 70℃에서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2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혼합용액을 30 내지 35℃로 냉각시킨 후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3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3 혼합용액에 향료를 첨가하고 20 내지 40분간 1000 내지 1500 rpm으로 교반하여 제 4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4 혼합용액을 24 내지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을 제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 용액에 상기 얼굴모양의 부직포를 침지하여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팩을 제조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능성 원료는 자수정추출물, 미네랄수, 라벤더수, 알로에베라잎수, 편백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알부틴, 또는 아데노신(adenosine)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능성 원료는 아르간커넬 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호호바씨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또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을 포함하며;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세라마이드엔피(Ceramide NP),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 또는 코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 및 피부 미백 개선용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70162992A 2017-11-30 2017-11-30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KR10198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992A KR101988586B1 (ko) 2017-11-30 2017-11-30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992A KR101988586B1 (ko) 2017-11-30 2017-11-30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880A true KR20190063880A (ko) 2019-06-10
KR101988586B1 KR101988586B1 (ko) 2019-09-30

Family

ID=6684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992A KR101988586B1 (ko) 2017-11-30 2017-11-30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58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55A (ko) 2005-03-24 2006-09-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중성빔 식각장치를 이용한 식각방법
KR20080036302A (ko) * 2006-10-23 2008-04-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852777B1 (ko) 2007-01-30 2008-08-19 강대중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KR20110135360A (ko) 2011-07-12 2011-12-16 석 규 이 볼트의 나사산이 유동하는 풀림방지 볼트
KR20130143284A (ko)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이라이콤 백라이트유닛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50019577A (ko)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9551A (ko) * 2013-11-22 2015-06-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WO2016167385A1 (ko) 2015-04-14 2016-10-2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석송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ⅱ
KR101719124B1 (ko) * 2016-12-12 2017-03-23 주식회사 라임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16B1 (ko) * 2016-03-07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55A (ko) 2005-03-24 2006-09-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중성빔 식각장치를 이용한 식각방법
KR20080036302A (ko) * 2006-10-23 2008-04-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852777B1 (ko) 2007-01-30 2008-08-19 강대중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KR20110135360A (ko) 2011-07-12 2011-12-16 석 규 이 볼트의 나사산이 유동하는 풀림방지 볼트
KR20130143284A (ko)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이라이콤 백라이트유닛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20150019577A (ko) 2013-08-14 2015-02-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산화, 항염증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59551A (ko) * 2013-11-22 2015-06-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WO2016167385A1 (ko) 2015-04-14 2016-10-2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석송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ⅱ
KR101769416B1 (ko) * 2016-03-07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19124B1 (ko) * 2016-12-12 2017-03-23 주식회사 라임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586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3218A (zh)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复方精华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82883B1 (ko)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2641232B (zh) 一种具有嫩白滋养功效的大花红景天身体乳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esam et al. The importance of natural products in cosmetics
CN105997827A (zh) 复方山茶油保湿液及其制备方法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20130113729A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1050472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82443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composition with whitening skin-care function adn its preparation method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Wang Beneficial medicinal effects and material applications of rose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275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20140096738A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및 피부미백제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CN107823004A (zh) 具有防晒作用的植物组合物及其在防晒产品中的应用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3012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