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24B1 -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24B1
KR101719124B1 KR1020160168451A KR20160168451A KR101719124B1 KR 101719124 B1 KR101719124 B1 KR 101719124B1 KR 1020160168451 A KR1020160168451 A KR 1020160168451A KR 20160168451 A KR20160168451 A KR 20160168451A KR 101719124 B1 KR101719124 B1 KR 10171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mineral
extract
skin
natural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임
Priority to KR102016016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진주 추출물 및 감람석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고,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MOISTURING COMPRISING NATURAL MINERALS EXTRACT}
본 발명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침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과중한 사회적, 업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골프 등과 같은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회에서의 레저활동 중에는 신체 피부가 상기한 오염원 등에 더욱 쉽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훼손 및 피부노화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야외 레저활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쾌적하게 즐기고자 하는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기본적인 신진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막아주는 일차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장벽기능을 통한 보호작용, 체온조절작용, 감각작용, 분비 및 배설작용, 흡수작용, 저장작용, 재생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가장 손상을 받기 쉽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배기가스, 황사, 환경오염물, 중금속, 온도변화, 미생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통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함으로써, 항산화 방어체계를 붕괴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오늘날 동양권의 여성들은 백옥같이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피부색소 이상 침착의 치료 및 미용욕구 충족을 위한 미백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피부 흑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를 저해하거나 멜라닌 중합반응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물질들이 화장료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 히드로퀴논 (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지산(koj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 알파히드록시산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 대부분이 그 자체가 불안정하거나, 미백효과가 미약하고 또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백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 추출물은 활성성분이 미량 함유되어 있고, 산지나 수확시기에 따라 함량 변화가 심해 품질의 균질성을 갖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각종의 화합물이 함께 추출됨으로써 피부 부작용 및 색상 등에서의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는데, 종래의 피부 보습제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습하여 수분 함유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가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이나, 건조하기 쉽고 수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41613호(2016년 07월 15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33857호(2013년 02월 08일 등록)
본 발명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진주 추출물 및 감람석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진주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및 감람석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비로 배합되고,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미네랄 솔트, 진주 및 감람석으로 이루어진 천연광물을 준비하는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천연광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하는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 상기 분쇄된 천연광물을 가열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열처리하는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 상기 열처리 된 천연광물을 세척하여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열처리시 생성된 연소 잔류물들을 제거한 후,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된 천연광물 및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천연광물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정제수를 원심분리하는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 및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천연광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에서 상기 천연광물은 10 내지 2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는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3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세척은 50 내지 70℃의 정제수로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숙성은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50℃ 온도의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 내지 10일 동안 밀봉하여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에서는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천연광물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천연광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36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43세 남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3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3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피부 미백"은, 멜라닌 등의 색소의 과다로 인하여 명도가 감소한 피부의 명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명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명도가 증가한 피부 등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피부 보습"은, 피부의 수분손실(수분 증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고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Amethyst Extract), 미네랄 솔트 추출물(Mineral Salt or Sea Salt Extract), 진주 추출물(Pearl Extract) 및 감람석 추출물(Olivine Extract)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진주 추출물 2 내지 5 중량부 및 감람석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비로 배합되어 포함되고,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중량 범위에서 피부 자극 없이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와 화장료의 보관성 및 제형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자수정 추출물(Amethyst Extract)은 자수정(紫水晶, Amethyst)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자수정은 화산 분출시 마그마 (용암) 식으면서 페그마타이트 암석에서 생성되는데, 보통 6천만 년 열수에 결정되는 약성 광물로서 자석영(紫石英)이라고도 한다.
상기 자수정은 성분이 99%의 규소 성분으로 결정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방사능력이나 음이온 기타 파동 그리고 생체 파동 육각 정계의 신비로운 힘이 알려지면서 화장품 원료, 페인트 원료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건강 신소재 바이오 원료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 추출물(Mineral Salt or Sea Salt Extract)은 미네랄 솔트(Mineral Salt)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미네랄 솔트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고 있는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며, 화학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대부분 무색 투명하지만 노랑, 빨강, 파랑, 보라색을 띠기도 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를 구성하는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섭취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도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바, 피부의 천연 보습인자 성분인 요소(urea) 보다도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으며, 각종 피부트러블 완화(피부진정), 피부 노폐물 제거 및 각질제거, 여드름, 주름, 아토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진주 추출물(Pearl Extract)은 진주(Pearl)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진주는 수산생물인 조개류로부터 얻어지는 보석이며, 주요성분은 탄산칼슘이 대략 90% 이상이고, 기타의 유기물 및 수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물은 대부분이 골격성 단백질로 알려진 콘키올린(conchiolin)으로, 콘키올린은 7 내지 14종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천연단백질로서 진주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을 서로 결합시켜 진주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자연결합성 물질이다.
상기 진주는 한방 약재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진주를 섭취할 경우 뼈를 강화하며 혈압을 낮추고 소화촉진 및 건위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진주는 얼굴과 피부에 바를 경우 화상의 치료제 또는 발모촉진제로도 유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감람석 추출물(Olivine Extract)은 감람석(Olivine)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으로, 상기 감람석은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나며, 상기 감람석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이 피부 속 40mm까지 침투하여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독소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람석은 음이온을 통해 체내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을 하며, 혈액순환과 물질대사를 더욱 활발하게 하여 노폐물의 배출 및 면역력 증가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 및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1.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
상기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는 추출물을 제조할 천연광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에서는 상기 천연광물로 자수정, 미네랄 솔트, 진주 및 감람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수정은 화산 분출시 마그마 (용암) 식으면서 페그마타이트 암석에서 생성되는데, 보통 6천만 년 열수에 결정되는 약성 광물로서 자석영(紫石英)이라고도 한다. 상기 자수정은 성분이 99%의 규소 성분으로 결정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방사능력이나 음이온 기타 파동 그리고 생체 파동 육각 정계의 신비로운 힘이 알려지면서 화장품 원료, 페인트 원료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건강 신소재 바이오 원료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고 있는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며, 화학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대부분 무색 투명하지만 노랑, 빨강, 파랑, 보라색을 띠기도 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다.
상기 미네랄 솔트를 구성하는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솔트는 섭취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도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바, 피부의 천연 보습인자 성분인 요소(urea) 보다도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으며, 각종 피부트러블 완화(피부진정), 피부 노폐물 제거 및 각질제거, 여드름, 주름, 아토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진주는 수산생물인 조개류로부터 얻어지는 보석이며, 주요성분은 탄산칼슘이 대략 90% 이상이고, 기타의 유기물 및 수분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물은 대부분이 골격성 단백질로 알려진 콘키올린(conchiolin)으로, 콘키올린은 7 내지 14종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천연단백질로서 진주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을 서로 결합시켜 진주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자연결합성 물질이다.
상기 진주는 한방 약재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진주를 섭취할 경우 뼈를 강화하며 혈압을 낮추고 소화촉진 및 건위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진주는 얼굴과 피부에 바를 경우 화상의 치료제 또는 발모촉진제로도 유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감람석은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뛰어나며, 상기 감람석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이 피부 속 40mm까지 침투하여 인체의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독소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람석은 음이온을 통해 체내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을 하며, 혈액순환과 물질대사를 더욱 활발하게 하여 노폐물의 배출 및 면역력 증가효과를 가질 수 있다.
2.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는 상기 준비된 천연광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는 볼 밀링(ball milling) 장치와 같은 공지된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에서 상기 천연광물은 10 내지 2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에서 상기 천연광물이 10㎛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에는 분진이나 미세 분말에 의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0㎛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천연광물의 내부에 있는 유효성분들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는 상기 분쇄된 천연광물을 가열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열처리 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는 상기 분쇄된 천연광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분쇄된 천연광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과 잔류 유기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는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3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가 1000℃ 미만의 온도 또는 30분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천연광물로부터 불순물이나 잔류 유기물들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00℃ 초과의 온도 또는 100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4.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는 상기 열처리 된 천연광물을 세척하여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열처리시 생성된 연소 잔류물들을 제거한 후,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세척은 증류수나 정제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광물 세척은 50 내지 70℃의 정제수로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숙성은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50℃ 온도의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 내지 10일 동안 밀봉하여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상기 천연광물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일정시간 동안 밀봉하여 보관함으로써 상기 천연광물의 유효성분들이 상기 정제수에 침출될 수 있다.
5.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
상기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는 상기 숙성된 천연광물 및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천연광물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정제수를 원심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를 거친 정제수에는 천연광물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있는데, 상기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를 거쳐 정제수를 원심분리함으로써, 천연광물의 미세입자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6.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
상기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는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천연광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에서는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천연광물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천연광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자수정 추출물 12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7 중량부, 진주 추출물 3 중량부 및 감람석 추출물 13 중량부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천연광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수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진주 추출물 및 감람석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천연광물 추출단계를 거쳐 제조되었다.
1.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자극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건강한 20명(남자 7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문제가 없는 피부 부위에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비누 세안 후 일정량(2㎎/cm2)씩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평가표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상기 [표 1]의 자극 정도에 대한 실험 대상자의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평가 결과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2 명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18 명
상기의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홍반, 부종 등의 자극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3]과 같은 성분들을 배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천연광물 추출물은 상기한 실시예 1과 같은 중량비율로 자수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진주 추출물 및 감람석 추출물을 배합하여 제조되었다.
성분 실시예 2(중량%) 비교예(중량%)
천연광물 추출물 5.0 -
글리세린 3.0 3.0
프로필렌글라이콜 3.5 3.5
에탄올 2.3 2.3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2 0.2
디메치콘 0.2 0.2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25 0.25
향료 0.004 0.004
방부제 0.004 0.004
정제수 잔량 전부 잔량 전부
2. 화장료의 피부 자극성 실험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에 대하여 실시예 2,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는데, 0점 - 전혀없음, 1점 - 아주 가벼운 증상, 2점 - 분명한 증상, 3점 - 약간 심한 증상, 4점 - 심한 증상으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2(명) 비교예(명)
홍반 형성 0 0
가피(痂皮) 형성 0 0
부종 형성 0 0
가려움증 0 0
여드름 형성 0 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얼굴에 도포한 후 홍반, 가려품증,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3.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 실험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에 대하여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피부 탄력 및 보습 개선에 대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는 1점에서 5점 스케일(scale)의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것을 의미한다.
구분 사용 전 사용 후
피부 보습 2.0 3.5
피부 탄력 2.1 3.2
피부 주름 1.9 2.2
피부 잡티, 색소 침착 2.3 2.5
피부 톤 2.2 3.3
모공 2.5 2.6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를 하루에 1회씩 2주 동안 얼굴에 도포한 후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실험자 중 7명이 피부 탄력 및 보습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그 중 3명은 월등하게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4. 미백 개선에 대한 실험
멜라닌 색소는 기미나 검버섯 등 피부노화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티로시네이즈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인데,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합성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네이즈로 생긴 DOPA( 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chrome 생성량을 비교하여 시험물질의 효소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 반응액에 넣어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생성물인 dopachrome의 흡수파장인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500㎕에 L-tyrosine (0.3㎎/㎖) 500㎕와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를 각각 450㎕를 넣고 37℃ 수욕 상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신속하게 냉장고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tyrosinase(1,250 units/㎖) 50㎕를 넣어 10분간 incubation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ntrol은 검액 대신 시료 용매 450㎕를 넣는다. 색 보정인 Blank는 tyrosinase 대신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6.8, 0.1 M)을 50㎕ 첨가하며,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시료를 첨가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티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 inhibition = [(A-B)/A] ⅹ 100
A: 시험시료(inhibitor)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control)의 반응 후 흡광도
B: 시험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reaction)의 반응 후 흡광도.
구분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률(%)
실시예 2 36.29
비교예 15.65
양성대조군(Arbutin) 40.22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천연광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 2의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에서 36.29%의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을 보인 반면,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는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이 15.65%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는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간 작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네이즈 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 미백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에 대한 미백 개선에 대한 육안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실시예 2)를 36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2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2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실시예 2)를 43세 남성에게 도포하기 전(도 3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도 3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는 사용 후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장기간 사용시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6. 보습 효과 측정
코르네오메타(Corneometer) CM820(독일 Courage)을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시료는 실시예 2와 비교예를 사용하여 보습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20세 내지 50세의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 하박 내측면을 대상으로 항온항습실에서 20분 동안 적응하게 한 다음, 피부 수분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다음, 코르네오메타 C820을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양을 측정한 후, 실시예 2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도포하였다.
도포 20분 후에 수분증감율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 다시 수분증감율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피부 수분 증감율을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수분증감율(%) = (Tdi-Tdo)-(Ntdi-NTdo) / ((Ntdi-Ntdo) + Tdo) * 100
Tdi : 시료 도포 부위의 n번째 측정값
Tdo : 시료 도포 전 측정값
Ntdi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n번째 측정값
NTdo :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의 도포 전 측정값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20분 30.26 6.38
120분 18.24 1.67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2와 같이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화장료가 비교예와 같이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화장료보다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여도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미네랄 솔트 추출물, 진주 추출물 및 감람석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추출물 12 중량부, 미네랄 솔트 추출물 7 중량부, 진주 추출물 3 중량부 및 감람석 추출물 13 중량부의 중량비로 배합되고,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물 추출물은,
    자수정, 미네랄 솔트, 진주 및 감람석으로 이루어진 천연광물을 준비하는 천연광물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천연광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하는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
    상기 분쇄된 천연광물을 가열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열처리하는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
    상기 열처리 된 천연광물을 세척하여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열처리시 생성된 연소 잔류물들을 제거한 후,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
    상기 숙성된 천연광물 및 정제수의 혼합물에서 천연광물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상기 정제수를 원심분리하는 천연광물 분리 및 정제수 원심분리 단계(S500); 및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을 가열하여 천연광물 추출액을 제조하는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물 분쇄 단계(S200)에서 상기 천연광물은 10 내지 2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물 열처리 단계(S300)는 1000 내지 1500℃의 온도에서 30 내지 100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세척은 50 내지 70℃의 정제수로 상기 천연광물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천연광물 세척 및 숙성 단계(S400)에서 천연광물의 숙성은 상기 세척된 천연광물 100 중량부에 대해 30 내지 50℃ 온도의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 내지 10일 동안 밀봉하여 보관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층액, 상층액 분리 및 가열 단계(S600)에서는 상기 원심분리된 정제수의 중층액 및 상층액을 분리한 후, 11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천연광물의 유효성분들이 침출되어 형성된 겔 상태의 천연광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68451A 2016-12-12 2016-12-12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51A KR101719124B1 (ko) 2016-12-12 2016-12-12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51A KR101719124B1 (ko) 2016-12-12 2016-12-12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124B1 true KR101719124B1 (ko) 2017-03-23

Family

ID=5849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451A KR101719124B1 (ko) 2016-12-12 2016-12-12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80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2253894B1 (ko) 2020-01-20 2021-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10064443A (ko) 2019-11-25 2021-06-03 박주현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페그마타이트를 함유하는 수국차 혼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수국차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264A (ja) * 2000-07-08 2002-01-23 Takaaki Kuga 化粧料
KR101233857B1 (ko)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8609A (ko) *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떠오름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5379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포셀 언양산 자수정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641613B1 (ko) 2014-08-25 2016-07-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5743A (ko) * 2014-03-14 2016-11-28 오스문 바이오로지컬 씨오.,엘티디. 진주로부터 진주 추출물을 분리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264A (ja) * 2000-07-08 2002-01-23 Takaaki Kuga 化粧料
KR101233857B1 (ko) 2010-03-18 2013-02-15 (주)솜니허브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8609A (ko) * 2013-07-15 2015-01-23 주식회사 떠오름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5743A (ko) * 2014-03-14 2016-11-28 오스문 바이오로지컬 씨오.,엘티디. 진주로부터 진주 추출물을 분리 제조하는 방법
KR20150115379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포셀 언양산 자수정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641613B1 (ko) 2014-08-25 2016-07-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880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KR101988586B1 (ko) * 2017-11-30 2019-09-30 주식회사 하연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팩
US20190290575A1 (en) 2018-03-23 2019-09-26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701322B2 (en) 2018-03-23 2023-07-1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10064443A (ko) 2019-11-25 2021-06-03 박주현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페그마타이트를 함유하는 수국차 혼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수국차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894B1 (ko) 2020-01-20 2021-05-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24B1 (ko)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3075B1 (ko) 피부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해면동물 유래의 치료조성물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1821A (ko)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86894A (ko) 폐각의 알카리성 분말 그리고 칼슘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191712B2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s, masks, and related methods
FR2985424A1 (fr) Nouvelle utilisation topique de la zerumbone
CN1703231A (zh) 马齿苋处理面部皱纹的应用
WO2019234635A1 (zh) 包含金钗石斛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1682123B1 (ko)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6837A (ko)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JP7357983B2 (ja) モリンガ・ペレグリナ種子固形物の抽出物、それを得るための方法、及び美容用品組成物若しくはニュートリコスメティクス組成物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854840B1 (ko) 포조란이 함유된 마스크 팩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20100124132A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CN108186542A (zh) 具有舒缓抗敏作用的护唇口红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04026743A (ja) ポリリジン製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86440A (zh) 可抗菌护肤的中药植物沐浴露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253894B1 (ko)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JP3235919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