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123B1 -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123B1
KR101682123B1 KR1020150142393A KR20150142393A KR101682123B1 KR 101682123 B1 KR101682123 B1 KR 101682123B1 KR 1020150142393 A KR1020150142393 A KR 1020150142393A KR 20150142393 A KR20150142393 A KR 20150142393A KR 101682123 B1 KR101682123 B1 KR 10168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일한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주)솔티패밀리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티패밀리그룹 filed Critical (주)솔티패밀리그룹
Priority to KR102015014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추출물,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고,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IRCH SAP AND HERBAL EXTRACTS FOR SKIN WHITENING AND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AND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침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의 주요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과중한 사회적, 업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골프 등과 같은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회에서의 레저활동 중에는 신체 피부가 상기한 오염원 등에 더욱 쉽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훼손 및 피부노화를 피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야외 레저활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쾌적하게 즐기고자 하는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기본적인 신진대사 과정을 통하여 우리 몸의 항상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위해를 막아주는 일차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피부는 신체 가장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장벽기능을 통한 보호작용, 체온조절작용, 감각작용, 분비 및 배설작용, 흡수작용, 저장작용, 재생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 가장 손상을 받기 쉽다. 이러한 외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배기가스, 황사, 환경오염물, 중금속, 온도변화, 미생물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주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통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함으로써, 항산화 방어체계를 붕괴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야기하게 된다.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인하여 공해와 환경오염 등을 통하여 여러 가지 피부손상요인이 발생하였고, 특히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오염물질이 피부에 착상됨으로 인한 체질 변화로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적정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어야 외견상 부드럽고 유연하고 건강하게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수분 증발량이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면, 표피의 상층부가 거칠고 건조하며 유연성이 저하된다. 피부의 건조 상태가 심화되면 각질이 과도하게 탈리되거나 갈라지기도 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아예 피부질환으로 분류된다. 또한, 건조한 피부에서는 각질 세포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지질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며, 각질의 수분 보유력이 감소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정상적인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유지하기 위한 피부 보습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종래에 개발된 피부 보습제들은 단순히 피부를 보습하여 수분 함유량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습제가 표피를 통과하여 피부 깊숙하게 침투하는 기능이나, 건조하기 쉽고 수분에 대한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층에서 수분을 고정하는 기능이 매우 부족하여, 적정한 정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28238호(2011년 04월 0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72133호(2011년 10월 04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189991호(2012년 10월 04일 등록)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되,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추출물,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10 내지 95 중량%, 자작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산자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오렌지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껍질 및 잎 100 중량부, 산자나무 전초 100g, 오렌지 열매 100g, 화이트윌로우 껍질 100g을 각각 정제수 2리터에 넣은 후 1리터가 될 때까지 중탕하여 추출하되, 상기 중탕은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을 1마이크로미터 필터로 필터링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는 자작나무 수액 10 내지 95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로 혼합된 수상의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 80 내지 90 중량부에 프로판디올 3 내지 7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5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0.3 내지 0.7 중량부, 카보머 0.2 내지 0.4 중량부, 슈크로오스 0.02 내지 0.04 중량부, 베타글루칸 0.03 내지 0.07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전분 0.03 내지 0.07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내지 0.04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를 교반탱크에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완전 분산하며, 유상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1.5 중량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디에칠헥실말리에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베헤네이트 0.1 내지 0.3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0.1 내지 0.3 중량부를 80 내지 90℃의 온도범위에서 완전 용해 후 수상과 섞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다시 분산하고, 상기 수상과 액상이 교반되어 혼합된 혼합액을 55 내지 65℃로 냉각한 후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1 내지 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산하고, 상기 분산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냉각한 후 나이아신아마이드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황금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 알부틴 0.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제형 형성의 목적으로 pH 첨가제인 구연산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pH를 5.5 내지 6.5로 맞춤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껍질 및 잎 100 중량부, 산자나무 전초 100g, 오렌지 열매 100g, 화이트윌로우 껍질 100g을 각각 정제수 2리터에 넣은 후 1리터가 될 때까지 중탕하여 추출하되, 상기 중탕은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을 1마이크로미터 필터로 필터링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화장료는 영양크림, 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용 로션 크림, 세안용 화장품, 헤어 샴푸 및 트리트먼트와 같은 헤어제품, 팩, 바디용 제품 및 베이비용 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는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을 실험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의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보여주는 임상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35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45세 남성에게 도포하기 전(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미백, 프리라디칼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피부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건조 및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추출물,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땅속에서 나무의 줄기를 통하여 잎으로 올라가는 액을 말하며 잎이 나기 전인 이른 봄에 채취한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10 내지 15℃일 때 나무의 증산작용으로 수액 채취가 가장 용이하며, 시기적으로는 지역, 위치, 기상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월 20일(곡우) 전후 10일이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일반적으로 자작나무 직경 10cm당 연간 약 7.5L를 채취할 수 있는데, 상기 자작나무 수액의 채취 방법은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를 V자형으로 자르고 홈을 내어 채취하는 사구법과,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에 지름 1.2cm 깊이 1.5cm 깊이의 천공을 낸 후 호스를 연결하여 채취하는 천공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10 내지 9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작나무 추출물은 자작나무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자작나무 추출물은 자작나무의 껍질 및 잎으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는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고, 높이는 15 내지 20m까지 자랄 수 있다. 상기 자작나무는 주로 북부 지방의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데, 흰빛을 띠는 나무껍질은 옆으로 얇게 벗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자작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의 전초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보리수나무과 식물로서 일명 비타민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고비사막에서 자생하는 수종으로 뿌리혹 박테리아가 있어 질소 고정능력이 강하며 내한성이 강한 수종이다. 상기 산자나무의 성분을 보면 비타민C 함유량이 사과의 약 40 내지 300배, 감귤의 5 내지 40배 정도이며 그 밖에 다양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 열매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는 운향과에 속하는 늘푸른 작은키나무이다. 상기 오렌지는 버들잎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의 잎이 어긋나게 붙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오렌지 열매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렌지 열매에는 비타민씨, 식이섬유, 폴리페놀, 카로티노이드, 리모넨 및 식이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렌지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화이트윌로부로부터 추출된 물질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화이트윌로우 껍질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화이트윌로우(Salix Alba L.)는 유라시아 지역과 북부 아프리카의 나무 잿빛의 버드나무로서 연회색의 나뭇잎과 회색 껍질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화이트윌로우 껍질에는 아스피린의 전구체인 실리신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화이트윌로부 추출물은 상기 화이트윌로우 껍질을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10 내지 95 중량%, 자작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산자나무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오렌지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0.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기능의 개선이 어려우며,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변색, 변취 등 제형상의 어려움이 있고, 첨가량 증가에 따른 개선효과의 증가율이 미미한 바,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은 상기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10 내지 95 중량%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자작나무 수액의 경우에는 그 속성상 그대로 음용할 수 있는 물질이고, 그것이 제형 상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며, 내용물의 구성 성분이 보습과 미네랄이므로 과량 함유하여도 무방한 바,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대신에 자작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자작나무 수액은 5월경에 지리산 구례 등에서 채취한 것을 멸균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자나무, 오렌지 및 화이트윌로우를 건조한 후 90℃ 이상의 온도에서 정제수로 열수추출하고, 이를 냉각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자작나무 껍질 및 잎 100g, 산자나무 전초 100g, 오렌지 열매 100g, 화이트윌로우 껍질 100g을 각각 정제수 2리터에 넣은 후 1리터가 될 때까지 중탕하여 추출하였는데, 상기 중탕은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을 1마이크로미터 필터로 필터링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한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상기 자작나무 껍질 및 잎, 산자나무 전초, 오렌지 열매 및 화이트윌로우 껍질을 동시에 정제수에 투입하여 추출하는 것보다 상기 자작나무 껍질 및 잎, 산자나무 전초, 오렌지 열매 및 화이트윌로우 껍질을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 정제수에 투입하여 추출하는 것이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작나무 껍질 및 잎, 산자나무 전초, 오렌지 열매 및 화이트윌로우 껍질을 각각의 정제수에 투입한 후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세균 등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고자 멸균 처리를 한 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로 영양크림에 대한 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화장료"는 영양크림 이외에 화장수, 영양로션, 마사지용 로션 크림, 세안용 화장품, 헤어 샴푸 및 트리트먼트 등의 헤어제품, 팩, 바디용 제품이나 베이비용 제품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기 위해서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은 자작나무 수액 10 내지 95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로 혼합된 수상의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 80 내지 90 중량부에 프로판디올 3 내지 7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5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0.3 내지 0.7 중량부, 카보머 0.2 내지 0.4 중량부, 슈크로오스 0.02 내지 0.04 중량부, 베타글루칸 0.03 내지 0.07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전분 0.03 내지 0.07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내지 0.04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를 교반탱크에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완전 분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유상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1.5 중량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디에칠헥실말리에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베헤네이트 0.1 내지 0.3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0.1 내지 0.3 중량부를 80 내지 90℃의 온도범위에서 완전 용해 후 수상과 섞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다시 분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수상과 액상이 교반되어 혼합된 혼합액을 55 내지 65℃로 냉각한 후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1 내지 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산하고, 상기 분산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냉각한 후 나이아신아마이드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황금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 알부틴 0.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제형 형성의 목적으로 pH 첨가제인 구연산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pH를 5.5 내지 6.5로 맞춤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양크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는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자작나무 수액 65.5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5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5 중량부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로 혼합된 수상의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에 프로판디올 5 중량부, 1,2-헥산디올 1.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7 중량부, 글리세린 0.5 중량부, 카보머 0.3 중량부, 슈크로오스 0.03 중량부, 베타글루칸 0.0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전분 0.05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02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02 중량부를 교반탱크에 투입한 후 80℃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완전 분산하였다.
그 다음으로, 유상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0 중량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5 중량부, 디에칠헥실말리에이트 1.2 중량부, 글리세릴베헤네이트 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0.2 중량부를 85℃의 온도에서 완전 용해한 후 수상과 섞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다시 분산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상과 액상이 교반되어 혼합된 혼합액을 60℃로 냉각한 후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2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산하고, 상기 분산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냉각한 후 나이아신아마이드 0.1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 1.0 중량부, 황금추출물 1.0 중량부, 향료 0.2 중량부, 알부틴 0.1 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제형 형성의 목적으로 pH 첨가제인 구연산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pH를 6.0으로 맞춤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작나무 수액 65.5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5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5 중량부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을 제조하지 않고 정제수 85.5 중량부를 이용하였으며, 이외의 조성물들은 실시예와 동일하게 포함함으로써 비교예에 따른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1.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자극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건강한 21명(남자 7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문제가 없는 피부 부위에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비누 세안 후 일정량(2㎎/cm2)씩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평가표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상기 [표 1]의 자극 정도에 대한 실험 대상자의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평가 결과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18 명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3 명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
상기의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홍반 등의 자극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영양크림의 자극 실험
상기와 같이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에 대한 자극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건강한 20명(남자 6명, 여자 14명)실시예, 비교예 각 10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문제가 없는 피부 부위에 영양크림을 비누 세안 후 일정량(3㎎/cm2)씩 도포하였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평가표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상기 [표 3]의 자극 정도에 대한 실험 대상자의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4]와 같다.
실험 항목 평가 결과


자극 정도
실시예 비교예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8 명 9 명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2 명 1 명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 -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 -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 -
상기의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은 홍반 등의 자극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피부 장벽에 대한 임상실험 1(경피수분 손실량(TEWL) 회복률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임상실험 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임상실험은 하기와 같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일반 사람들 20명(실시예, 비교예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1주 전부터 다른 보습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급성 피부 장벽 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일 부위에 D-Squame tape (Cu-Derm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tape-stripping을 수행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이 35-40g/hr/m2이 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등에 1일 1회 일정량(3㎎/cm2)씩 도포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영양크림을 피부에 적용한 후, Tewameter TM300(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대한 결과는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임상실험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도포 1일 후, 2일 후, 5일 후, 8일 후, 11일 후 각각 16.82%, 51.43%, 76.23%, 90.72%, 96.47%의 우수한 경피 수분 손실량 회복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군인 무도포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측정되었다.
도 1에서, 경피수분손실 회복율(% Recovery of TEWL) =
[1-(일정시간 경과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직후의 TEWL 측정값) - 피부장벽 손상 전의 TEWL 측정값)] X 100
4. 피부 장벽 개선에 대한 임상실험 2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임상실험은 하기와 같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일반 사람들 20명(실시예, 비교예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1주 전부터 다른 보습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한 비누는 일반 미용비누로서 pH 10.2(1% solution)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손등에 일정량(3㎎/cm2)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양크림을 피부에 적용한 전후에 Skin-pH-Meter PH90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pH를 측정하였다.
원래 pH를 측정한 후 비누로 손 세정 후 pH가 원래대로 돌아오는 시간을 1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2시간을 그대로 방치한 후 상기 영양크림을 사용하고 30분 경과 후 비누로 세정하고 pH 회복 시간을 1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임상실험 결과, 원래 pH 회복시간이 평균 23분이 단축되었고, pH는 평균 0.2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영양크림은 우수한 pH 회복시간 단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호 원래 pH 비누사용 후
pH 회복시간
제품 사용 후 pH 비누사용 후
pH 회복시간
pH
증감
회복시간
증감
1 5.6 40분 5.5 30분 -0.1 10분
2 5.6 40분 5.5 30분 -0.1 10분
3 5.7 40분 5.5 30분 -0.2 10분
4 5.7 1시간 5.6 40분 -0.1 20분
5 5.7 1시간 5.6 40분 -0.1 20분
6 5.7 1시간 5.7 50분 - 10분
7 5.7 1시간 10분 5.6 50분 -0.1 20분
8 5.8 1시간 10분 5.6 50분 -0.2 20분
9 5.8 1시간 20분 5.4 1시간 -0.4 20분
10 5.8 1시간 20분 5.6 1시간 -0.2 20분
11 5.8 1시간 20분 5.8 1시간 10분 - 10분
12 5.8 1시간 30분 5.6 1시간 -0.2 20분
13 5.8 1시간 30분 5.7 1시간 10분 -0.1 20분
14 5.8 1시간 30분 5.8 1시간 20분 - 10분
15 5.9 1시간 40분 5.7 1시간 20분 -0.2 20분
16 6.0 1시간 50분 5.7 1시간 10분 -0.3 40분
17 6.0 1시간 50분 5.6 50분 -0.4 60분
18 6.1 2시간 5.7 1시간 20분 -0.4 40분
19 6.2 2시간 5.8 1시간 20분 -0.4 40분
20 6.4 2시간 10분 5.8 1시간 30분 -0.6 40분
평균 값 -0.205 23분
5. 미백 개선에 대한 실험
일반적으로 멜라닌 색소는 기미나 검버섯 등 피부노화 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티로시네이즈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합성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네이즈로 생긴 DOPA( dihydroxyphenylalanine) 또는 dopachrome 생성량을 비교하여 시험물질의 효소활성 억제능을 측정한다. 시험방법은 tyrosine을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 반응액에 넣어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생성물인 dopachrome의 흡수파장인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8) 500㎕에 L-tyrosine (0.3㎎/㎖) 500㎕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추 출물물, 산자나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화이트윌로우 추출물을 각각 450㎕를 넣고 37℃ 수욕상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신속하게 냉장고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킨다. tyrosinase (1,250 units/㎖) 50㎕를 넣어 10분간 incubation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ntrol은 검액 대신 시료 용매 450㎕를 넣는다. 색 보정인 Blank는 tyrosinase 대신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6.8, 0.1 M)을 50㎕ 첨가하며,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의 시료를 첨가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티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 inhibition = [(A-B)/A] ⅹ 100
A: 시험시료(inhibitor)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control)의 반응 후 흡광도
B: 시험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reaction)의 반응 후 흡광도.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활성률(%)
처방예 실시예 38.24
비교예 17.14
한방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30.12
자작나무추 출물물 27.58
산자나무 추출물 37.26
오렌지 추출물 38.42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35.28
피부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41.15
양성대조군 Arbutin 40.22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영양크림에서 38%의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을 보인 반면, 비교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영양크리은 티로시네이즈 억제율이 17%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영양크림과 그 조성물은 각각 대조군인 Arbutin과 거의 비슷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네이즈 억제에 효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35세 여성에게 도포하기 전(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45세 남성에게 도포하기 전(a)과, 2개월 동안 도포한 후(b)의 상태변화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영양크림은 사용 후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장기간 사용시 피부가 맑게 되고 깨끗해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작나무 수액 10 내지 95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 및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0.1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로 혼합된 수상의 자작나무 수액 및 한방 추출물의 혼합액 80 내지 90 중량부에 프로판디올 3 내지 7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0.5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0.3 내지 0.7 중량부, 카보머 0.2 내지 0.4 중량부, 슈크로오스 0.02 내지 0.04 중량부, 베타글루칸 0.03 내지 0.07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옥수수전분 0.03 내지 0.07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내지 0.04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0.01 내지 0.03 중량부를 교반탱크에 투입한 후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용해하여 완전 분산하며,
    유상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5 내지 1.5 중량부,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디에칠헥실말리에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글리세릴베헤네이트 0.1 내지 0.3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옥타스테아레이트 0.1 내지 0.3 중량부를 80 내지 90℃의 온도범위에서 완전 용해 후 수상과 섞어 교반기를 이용하여 다시 분산하고,
    상기 수상과 액상이 교반되어 혼합된 혼합액을 55 내지 65℃로 냉각한 후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1 내지 0.3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분산하고, 상기 분산된 혼합액을 상온에서 냉각한 후 나이아신아마이드 0.05 내지 0.15 중량부, 모란뿌리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황금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향료 0.1 내지 0.3 중량부, 알부틴 0.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고, 여기에 제형 형성의 목적으로 pH 첨가제인 구연산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하여 pH를 5.5 내지 6.5로 맞춤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
  5. 삭제
KR1020150142393A 2015-10-12 2015-10-12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68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93A KR101682123B1 (ko) 2015-10-12 2015-10-12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393A KR101682123B1 (ko) 2015-10-12 2015-10-12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123B1 true KR101682123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393A KR101682123B1 (ko) 2015-10-12 2015-10-12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1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1943A1 (es) * 2017-03-27 2017-07-05 Ona Investigacion, S.L. Producto cosmético
KR20190053218A (ko) * 2017-04-27 2019-05-17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US10799445B2 (en) 2017-04-27 2020-10-13 Yang Sheng Tang (Shanghai) Cosmetic R&D Co., Ltd.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KR20210058031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3531B1 (ko) * 2022-06-17 2023-0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883A (ja) * 2003-11-14 2005-06-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1028238B1 (ko) 2008-12-05 2011-04-11 장문식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72133B1 (ko) 2004-01-15 2011-10-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효능을 상승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9804A (ko) * 2013-02-22 2014-09-16 제닉 (상하이) 코스메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유화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마스크 팩
KR20150101810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883A (ja) * 2003-11-14 2005-06-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1072133B1 (ko) 2004-01-15 2011-10-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 효능을 상승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2008-12-05 2011-04-11 장문식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9804A (ko) * 2013-02-22 2014-09-16 제닉 (상하이) 코스메틱스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유화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마스크 팩
KR20150101810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화장품성분바로알기 게시글 "화이트윌로우껍질추출물" http://blog.naver.com/proformula/220262766750 (2015.02.04.)*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1943A1 (es) * 2017-03-27 2017-07-05 Ona Investigacion, S.L. Producto cosmético
KR20190053218A (ko) * 2017-04-27 2019-05-17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EP3510993A4 (en) * 2017-04-27 2020-06-03 Yang Sheng Tang (Shanghai) Cosmetic R&D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ARE
US10799445B2 (en) 2017-04-27 2020-10-13 Yang Sheng Tang (Shanghai) Cosmetic R&D Co., Ltd.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KR102198054B1 (ko) * 2017-04-27 2021-01-04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EP4062900A3 (en) * 2017-04-27 2023-08-09 Yang Sheng Tang (Shanghai) Cosmetic R&D Co., Ltd. Skin care cosmetic composition
KR20210058031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에이치피앤씨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996B1 (ko) 2019-11-13 2021-10-19 (주)에이치피앤씨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3531B1 (ko) * 2022-06-17 2023-01-04 한국콜마주식회사 연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58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on MAGP-1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skin
KR101682123B1 (ko)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N101528194B (zh) 用于化妆品中的海洋提取物和生物发酵物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EP260583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n and/or paulownia extracts and uses thereof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CN111450005A (zh) 一种养颜亮肤组合物、养颜亮肤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6137875B (zh) 一种组合物及面膜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456059B1 (ko)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EP2291173A2 (fr) Association d&#39;extraits de passiflore et d&#39;anchuse utilisable en cosmetique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43A (ko) 흰목이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81129A (ja)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1514A (ko)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499B1 (ko)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JP7197228B2 (ja) 多目的美容液
KR101028701B1 (ko) 동백수술 분말 또는 동백수술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