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996B1 -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996B1
KR102313996B1 KR1020190144957A KR20190144957A KR102313996B1 KR 102313996 B1 KR102313996 B1 KR 102313996B1 KR 1020190144957 A KR1020190144957 A KR 1020190144957A KR 20190144957 A KR20190144957 A KR 20190144957A KR 102313996 B1 KR102313996 B1 KR 10231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rice
skin moisture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031A (ko
Inventor
정수현
최형철
김홍주
김홍숙
조석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앤씨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앤씨,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앤씨
Priority to KR102019014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9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로부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추출하여 피부 수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없이 수분 유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쌀단백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oisture comprising a hydrolyzed rice prote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로부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추출하여 자극 없이 피부 수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로부터 추출된 쌀단백질(rice protein)은 상대적으로 단백질의 함량이 낮지만, 양질의 단백질원으로 쌀단백질에 대한 양적 및 질적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쌀에는 약 7%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다른 곡류의 단백질과 비교하여 소화율이 90% 이상 되며 동시에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높고, 균형 잡힌 아미노산 조성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단백질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강(米糠, rice bran)은 쌀겨의 한자어로서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피, 종피(種皮), 호분층 등의 분쇄혼합물을 말하는데, 도정 전 현미에 대한 미강의 중량비율은 불과 10%에 지나지 않지만, 쌀 전체의 약 75%에 상당하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과 영양소, 기능성 성분이 미강에 함유되어 있다. 특히, 미강에는 식이섬유, 식물성 단백질, 기타 유용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항산화 효과, 혈압상승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Nicolsi et al., 1993; Capro et al., 1997), 항산화력 등 생리활성이 우수한 토코페롤(tocopherol), 피틱산(phytic acid), 페놀산(phenolic acid), 오리자놀(oryzanol), 페룰산(ferul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Andreason et al., 1999; Kikuzaki et al., 2002).
이와 같이 쌀의 식품으로서의 우수한 기능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산업에서는 그 활용 빈도가 매우 부족하였다. 이는 기존의 미강으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소재를 화장품에 적용시 변색, 변취되는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단백질 정제 단계에서 다양한 유효성분(감마오리자놀, 옥타코사늘, 세라마이드 등)이 제거되어 화장품원료로서의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쌀단백질 정제방법으로 쌀 단백질과 전분의 혼합물을 다량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수 시간 동안 침지시켜 분리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부산물로 다량의 염류(salts) 및 유해물질이 생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한 쌀단백질 정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한 결과, 쌀을 분쇄한 후 당분해효소 및 단백질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쌀 단백질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와 효소를 특정하고 정제조건을 최적화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로부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추출하여 자극 없이 피부 수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쌀로부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추출하는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0 내지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4 내지 6중량%, 스쿠알란(squalane) 1 내지 3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 내지 3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1 내지 3 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0.5 내지 1.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1.5 중량%, 베타인(betaine) 0.6 내지 1 중량%, 라놀린(lanoline) 0.4 내지 0.6 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thylhexanoate) 0.4 내지 0.6 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0.4 내지 0.6 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4 내지 0.6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0.4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2 내지 0.4 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0.2 내지 0.4 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2 내지 0.4 중량%,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0.1 내지 0.3 중량%,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1 내지 0.3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1 내지 0.3 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내지 0.15 중량%, 카보머(Carbomer) 0.05 내지 0.15중량%, 향료 0.05 내지 0.15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5 내지 0.15중량%,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5 내지 0.15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uim EDTA) 0.02 내지 0.04중량% 및 정제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중량%, 스쿠알란(squalane) 2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2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중량%, 베타인(betaine) 0.8중량%, 라놀린(lanoline) 0.5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thylhexanoate) 0.5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0.5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5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0.4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3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0.3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3중량%,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0.2중량%,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2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2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중량%, 카보머(Carbomer) 0.1중량%, 향료 0.1중량%, 잔탄검(Xanthan Gum) 0.1중량%,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1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uim EDTA) 0.03중량% 및 정제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essence)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8 내지 12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4 내지 6 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2 내지 4 중량%,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Pentaerythrityladipate/Caprate/Caprylate/Heptanoate) 2 내지 4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1 내지 3 중량%,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0.5 내지 1.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1.5 중량%, 에탄올(Ethanol) 0.4 내지 0.6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0.4 내지 0.6 중량%,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0.2 내지 0.4 중량%,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Myristyl Glucoside) 0.1 내지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1 내지 0.3 중량%,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0.1 내지 0.3 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1 내지 0.3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5 내지 0.15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내지 0.15 중량%, 향료 0.05 내지 0.15 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내지 0.15 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0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5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중량%,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Pentaerythrityladipate/Caprate/Caprylate/Heptanoate) 2.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2중량%,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중량%, 에탄올(Ethanol) 0.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0.5중량%,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0.3중량%,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Myristyl Glucoside) 0.2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2중량%,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0.2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1중량%, 향료 0.1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lotion)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1) 쌀을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고 45℃로 가온하는 단계; S2) 전체 쌀 100중량%에 대하여 당분해효소 1중량%를 혼합한 반응액을 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S3)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당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4) 반응액을 45℃로 냉각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과 혼합하여 pH7로 조절하는 단계; S5) 반응액에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45℃에서 5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S6)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단백질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7) 반응액을 30℃로 냉각시키고 48시간 동안 30% 에탄올을 이용하여 쌀단백질을 추출하는 단계; S8) 추출한 쌀단백질을 여과(0.45um~3um) 후 65~75℃에서 농축하는 단계; S9) 상기 농축된 쌀단백질에 용매(1,3-부틸렌글라이콜 30%)를 첨가한 후 여과(0.2um~0.45um)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쌀은 큰눈현미, 녹찰현미, 향찰현미, 흑미, 또는 홍찰현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분해효소는 누룩정제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는 Alcalase 2.4L, Bromelain 1200 GDU 또는 Papain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없이 수분 유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뿐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쌀단백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의 제조공정을 제공한다.
도 1은 쌀단백질 함유 화장품 원료 제조공정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첨가되는 최적의 정제수 양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수비율(정제수:쌀)에 따른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당분해효소로서 누룩정제효소 또는 BAN 480L을 첨가한 경우의 단백질 함량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단백질효소 반응시(Alcalase, Bromelain, Papain) 반응시간에 따른 단백질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에탄올 사용량에 따른 고형분 및 단백질의 함량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원료(쌀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단백질 함량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원료(쌀 종류)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원료(쌀 종류)에 따른 ABST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0 내지 20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4 내지 6중량%, 스쿠알란(squalane) 1 내지 3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 내지 3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1 내지 3 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0.5 내지 1.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1.5 중량%, 베타인(betaine) 0.6 내지 1 중량%, 라놀린(lanoline) 0.4 내지 0.6 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thylhexanoate) 0.4 내지 0.6 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0.4 내지 0.6 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4 내지 0.6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0.4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2 내지 0.4 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0.2 내지 0.4 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2 내지 0.4 중량%,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0.1 내지 0.3 중량%,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1 내지 0.3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1 내지 0.3 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내지 0.15 중량%, 카보머(Carbomer) 0.05 내지 0.15중량%, 향료 0.05 내지 0.15 중량%, 잔탄검(Xanthan Gum) 0.05 내지 0.15중량%,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05 내지 0.15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uim EDTA) 0.02 내지 0.04중량% 및 정제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5중량%, 스쿠알란(squalane) 2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2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중량%, 베타인(betaine) 0.8중량%, 라놀린(lanoline) 0.5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thylhexanoate) 0.5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0.5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5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0.4중량%,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3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0.3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3중량%,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0.2중량%,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2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0.2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중량%, 카보머(Carbomer) 0.1중량%, 향료 0.1중량%, 잔탄검(Xanthan Gum) 0.1중량%, 폴리솔베이트20(Polysorbate 20) 0.1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Disoduim EDTA) 0.03중량% 및 정제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essence)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8 내지 12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4 내지 6 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2 내지 4 중량%,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Pentaerythrityladipate/Caprate/Caprylate/Heptanoate) 2 내지 4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1 내지 3 중량%,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0.5 내지 1.5 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0.5 내지 1.5 중량%, 에탄올(Ethanol) 0.4 내지 0.6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0.4 내지 0.6 중량%,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0.2 내지 0.4 중량%,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Myristyl Glucoside) 0.1 내지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1 내지 0.3 중량%,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0.1 내지 0.3 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1 내지 0.3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5 내지 0.15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내지 0.15 중량%, 향료 0.05 내지 0.15 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내지 0.15 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Glycerin) 10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5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중량%,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Pentaerythrityladipate/Caprate/Caprylate/Heptanoate) 2.5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2중량%, 프로판다이올(Propanediol) 1중량%,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1중량%, 에탄올(Ethanol) 0.5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Glyceryl Stearate SE) 0.5중량%,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0.3중량%,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Myristyl Glucoside) 0.2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2중량%,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0.2중량%, 다이메티콘(Dimethicone) 0.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1중량%, 향료 0.1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lotion)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1) 쌀을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고 45℃로 가온하는 단계; S2) 전체 쌀 100중량%에 대하여 당분해효소 1중량%를 혼합한 반응액을 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S3)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당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4) 반응액을 45℃로 냉각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과 혼합하여 pH7로 조절하는 단계; S5) 반응액에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45℃에서 5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S6)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단백질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7) 반응액을 30℃로 냉각시키고 48시간 동안 30% 에탄올을 이용하여 쌀단백질을 추출하는 단계; S8) 추출한 쌀단백질을 여과(0.45um~3um) 후 65~75℃에서 농축하는 단계; S9) 상기 농축된 쌀단백질에 용매(1,3-부틸렌글라이콜 30%)를 첨가한 후 여과(0.2um~0.45um)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쌀은 큰눈현미, 녹찰현미, 향찰현미, 흑미, 또는 홍찰현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분해효소는 누룩정제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누룩은 술을 만드는 효소를 갖는 곰팡이를 곡류에 번식시켜 만든 발효제를 말하는데, 누룩으로부터 정제된 효소는 전분의 α-1,4 결합과 α-1,6 결합에 모두 작용하여 전분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는 Alcalase 2.4L, Bromelain 1200 GDU 또는 Papain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쌀단백질 함유 화장품원료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쌀단백질 함유 화장품원료 제조공정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는 바, 구체적인 쌀단백질 함유 화장품원료 제조공정은 하기와 같다.
1-1. 쌀과 정제수 혼합단계
먼저, 쌀을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고, 45℃로 가온하였다. 이 때 첨가되는 최적의 정제수의 양을 설정하기 위하여 가수비율(정제수:쌀)에 따른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을 비교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따르면, 가수비율(정제수:쌀)이 5:1 부터 10:1 까지는 수율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10:1 부터 40:1 까지는 수율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제수 증가에 따른 설비증가를 고려하여 최적의 가수비율(정제수:쌀)은 10:1로 결정되었다.
1-2. 당분해효소 처리 단계
당분해효소로서 누룩정제효소(SK-바이오랜드, 한국) 또는 BAN 480L(Novozymes, 덴마크)를 첨가하고 4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켰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따르면, 누룩정제효소 1.0%를 사용한 시료에서 가장 높은 단백질 추출량을 나타내었으며, 사용된 쌀 대비 추출된 단백질 함량을 환산하면 약 68.5mg/㎖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쌀의 단백질 함량 7~8% 대부분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3. 당분해효소 실활 단계
단백질인 효소의 기능을 상실시키기 위하여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 후, 45℃로 냉각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절하였다.
1-4. 단백질분해효소 처리 단계
본 발명에서 단백질 분해를 위하여 사용된 효소는 하기 표 1과 같다.
시료 단백질분해효소 제조사 조건
A 무처리 - -
B Alcalase 2.4L Novozymes, 덴마크 55-70℃, pH6.5-8.5
C Bromelain 1200 GDU Novozymes, 덴마크 45-50℃, pH6.0-8.0
D Papain Novozymes, 덴마크 50-70℃, pH5.0-7.5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효과는 일정시간 반응 후 얻어진 효소반응액을 0.45㎛ 여과하여 TaKaRa BCA Protein Assay Kit(TAKARA, 일본)을 이용하여 단백질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따르면, 22시간 효소반응시 Alcalase, Bromelain, Papain 순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았으며, Alcalase를 이용한 경우 단백질함량(4,380㎍/㎖)이 무처리군의 단백질함량(1,720㎍/㎖)보다 2.54배 높게 나타났다.
각 반응액은 7~8시간이 지나며 악취가 발생함에 따라, 이후 실험은 단백질 효소 처리시간을 5시간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1-5. 단백질분해효소 실활 단계
단백질인 효소의 기능을 상실시키기 위하여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이 후, 30℃로 냉각시켰다.
1-6. 에탄올을 이용한 단백질추출단계
단백질분해효소를 실활 시킨 후 에탄올 일정량을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0.45㎛ 여과를 진행하였다. 이 때 최적의 에탄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0%, 15%, 30%, 50%, 70% 에탄올에 대하여 각각 고형분 및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따르면, 고형분은 15%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단백질은 70% 에탄올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30% 1,3-부틸렌글라이이콜을 첨가하여 화장료 제형을 제조하는 경우 15%, 50% 및 70% 에탄올추출로 제조된 시료는 현탁/침전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는 바(도 5 우측상단 참조), 최적의 에탄올 농도는 30%로 결정하였다.
1-7. 화장료 제형 제조단계
추출한 단백질을 여과(0.45um~3um) 후 65~75℃에서 농축하고, 농축된 단백질에 용매(30% 1,3-부틸렌글라이콜)를 첨가한 후 다시 여과(0.2um~0.45um)하여 쌀단백질을 함유하는 화장품원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원료에 따른 기능성 효과 비교
2-1. 원료에 따른 단백질 함량 비교
원료로 큰눈현미, 녹찰현미, 향찰현미, 흑미, 홍찰현미(맵쌀), 홍찰현미(찹쌀)를 사용한 경우 단백질 함량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따르면, 흑미에서 추출되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고, 홍찰현미(맵쌀), 향찰현미 순으로 나타났다.
2-2. 원료에 따른 항산화 효과 비교 - DPPH radical 소거능
DPPH radical 소거능은 Shimada K 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Shimada K, Fujikawa K, Yahara K, et al.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1992;40:945-948).
3.94mg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M.W. 394.32g)를 100% 메탄올 100㎖에 용해한 DPPH용액(약 0.1Mm) 0.45㎖와 반응용액내에서 일정 농도가 되게 희석한 각각의 시료를 0.55㎖에 혼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37℃에서 10분간 방치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517nm에서 흡광도 측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용매를 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시료 자체의 색에 대한 흡광도 값을 보정해주기 위해 0.1Mm DPPH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하기 식 1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고, 모든 농도에서 흑미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1 - 시료처리구의 흡광도/무처리구의 흡광도) X 100
2-3. 원료에 따른 항산화 효과 비교 - ABTS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ABTS freeradical이 샘플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Vanden Berg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Vanden Berg R. Haenen GR. Vanden Berg H. Bast A.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 Food Chem. 1999;66 p511-517)
7.4mM 2,2-azino-bis(3-r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ABTS)와 2.6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농도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를 형성한 후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5(±0.1)이 되게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radical 용액 900㎕에 농도별 시료 100㎕를 가하여 혼합 후 10분 후에 측정하였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하기 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고, 모든 농도에서 흑미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식 2]
ABTS scavenging ability(%)= (1 - 시료처리구 흡광도 / 무처리구 흡광도) x 100
실시예 3. 에센스 및 로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일 태양으로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물로 구성되는 에센스와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물로 구성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순번 에센스 조성물 함량(중량%)
1 정제수 Up to 100
2 글리세린 15%
3 부틸렌글라이콜 5%
4 스쿠알란 2%
5 나이아신아마이드 2%
6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 2%
7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1%
8 1,2-헥산다이올 1%
9 베타인 0.8%
10 라놀린 0.5%
11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0.5%
12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0.5%
13 다이메티콘 0.5%
14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0.4%
15 스테아릭애씨드 0.3%
16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3%
17 카프릴릴글라이콜 0.3%
18 스테아릴알코올 0.2%
19 세틸알코올 0.2%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2%
21 트로메타민 0.1%
22 카보머 0.1%
23 향료 0.1%
24 잔탄검 0.1%
25 폴리솔베이트20 0.1%
26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3%
순번 로션 조성물 함량(중량%)
1 정제수 Up to 100
2 글리세린 10%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
4 세테아릴알코올 3%
5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2.5%
6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 2%
7 프로판다이올 1.0%
8 1,2-헥산다이올 1.0%
9 에탄올 0.5%
1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5%
11 미리스틸알코올 0.3%
12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 0.2%
13 부틸렌글라이콜 0.2%
14 세테아레스-20 0.2%
15 다이메티콘 0.2%
1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17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18 향료 0.1%
19 트로메타민 0.1%
실시예 4. 에센스 및 로션의 피부 수분 개선 시험
(1) 피부 수분 개선 시험 방법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를 통하여 만 20~55세의 성인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를 깨끗하고 마른 상태로 유지 하였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항온항습(22±2℃, 상대습도 40~60%)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안정을 취한 후 진행되었다.
수분측정은 Corneometer(CM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전완부를 측정하였으며, 3개의 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Corneometer는 수분이 높을수록 측정 수치가 높아지며, 측정 계수는 Arbitrary unit(A.U.)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센스를 전완부의 선정된 시험부위(1.5cm X 1.5cm)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2㎕/cm2의 양으로 4site에 도포하였고, 측정은 제품 도포 전, 도포 30분 후, 도포 3시간 후, 도포 6시간 후에 각각 실시하였다.
(2) 피부 수분 개선 시험 결과
제품 도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도포 전 도포 30분 후 도포 3시간 후 도포 6시간 후
무도포 31.24 30.98 30.74 30.39
에센스 31.31 63.31 56.44 52.51
로션 31.40 58.31 54.39 52.67
(단위: A.U.) 본 발명에 의한 에센스를 도포한 경우, 도포 30분 후 63.31 A.U., 도포 3시간 후 56.44 A.U., 도포 6시간 후 52.51 A.U.로 측정되었고, 본 발명에 의한 로션을 도포한 경우, 도포 30분 후 58.31 A.U., 도포 3시간 후 54.39 A.U., 도포 6시간 후 52.67 A.U.로 측정되었는 바, 무도포 부위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에센스 및 로션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에센스 및 로션의 피부 첩포에 대한 안전성 시험
(1) 피부 첩포에 대한 안전성 시험방법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를 통하여 만 20~55세의 성인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국제 접촉성 피부염 학회에서 제시하는 평가 기준에 따른 피부자극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를 깨끗하고 마른 상태로 유지 하였으며 최소 30분간 항온항습(22±2℃, 상대습도 40~60%)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피부안정을 취한 후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에센스 및 로션을 25㎕씩 Finn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피험자의 등 부위에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후 제거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2) 피부 첩포에 대한 안전성 시험결과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에서 제공하는 판정기준은 하기 표 5와 같다.
기호 판 정 기 준
-
±
+
++
+++
Negative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Erythema + Induration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 + ++ +++
Score 0 0.5 1 2 3
(※ 피부반응 판정기준1. Negative (-): 무자극
2.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3. Erythema + Induration (+) :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4.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 :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5.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본 발명에서 평균 피부반응도 (Mean score) 산출은 하기 식 3에 의하였고, Mean score에 의한 결과 판정표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식 3]
Figure 112019116402299-pat00001
i = 패치 제거 30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j = 패치 제거 24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k = 패치 제거 48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Scorei,j,k = 패치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각각의 평가결과를 ICDRG 판정기준에 따라 score로 표기된 점수
피부첩포시험(Patch Test) 결과 판정표
판정(Grade) Mean Score
무자극(1) 0.00 - 0.75
미자극(2) 0.76 - 1.50
경자극(3) 1.51 - 2.50
중자극(4) 2.51 - 4.00
강자극(5) 4.01 이상
상기 판정표에 따른 피부 첩포시험 결과는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센스의 피부첩포시험(Patch Test) 결과
No. 피검자 Initial 첩포 30분 후 첩포 24시간 후 첩포 48시간 후
1 KIS - -- -
2 JMH - - -
3 KSH-1 - - -
4 HYM - - -
5 PBK - - -
6 PMH - - -
7 CEY - - -
8 PMJ - - -
9 YJS - - -
10 SYH - - -
11 LHJ - - -
12 PHM - - -
13 KSH-2 - - -
14 PJO - - -
15 PJJ - - -
16 KHJ - - -
17 GEJ - - -
18 KYJ - - -
19 KAR - - -
20 JDH - - -
21 CSO - - -
22 BMH - - -
23 KSJ - - -
24 SYJ - - -
25 KYS - - -
26 SYM - - -
27 KHS - - -
28 YEJ - - -
29 YYH - - -
30 JHJ - - -
반응도 ± 0 0 0
+ 0 0 0
++ 0 0 0
+++ 0 0 0
Mean Score 0.00
판정 무자극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센스의 피부첩포시험결과에 따르면 모든 피검자에 대하여 Mean Score는 0으로 무자극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션의 피부첩포시험(Patch Test) 결과
No. 피검자 Initial 첩포 30분 후 첩포 24시간 후 첩포 48시간 후
1 KIS - -- -
2 JMH - - -
3 KSH-1 - - -
4 HYM - - -
5 PBK - - -
6 PMH - - -
7 CEY - - -
8 PMJ - - -
9 YJS - - -
10 SYH - - -
11 LHJ - - -
12 PHM - - -
13 KSH-2 - - -
14 PJO - - -
15 PJJ - - -
16 KHJ - - -
17 GEJ - - -
18 KYJ - - -
19 KAR - - -
20 JDH - - -
21 CSO - - -
22 BMH - - -
23 KSJ - - -
24 SYJ - - -
25 KYS - - -
26 SYM - - -
27 KHS - - -
28 YEJ - - -
29 YYH - - -
30 JHJ - - -
반응도 ± 0 0 0
+ 0 0 0
++ 0 0 0
+++ 0 0 0
Mean Score 0.00
판정 무자극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션도 모든 피검자에 대하여 Mean Score는 0으로 무자극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1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 중량%, 스쿠알란 2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 2 중량%,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1 중량%, 1, 2-헥산다이올 1 중량%, 베타인 0.8 중량%, 라놀린 0.5 중량%,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0.5 중량%,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0.5 중량%, 다이메티콘 0.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0.4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0.3 중량%,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3 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3 중량%, 스테아릴알코올 0.2 중량%, 세틸알코올 0.2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2 중량%, 트로메타민 0.1 중량%, 카보머 0.1 중량%, 향료 0.1 중량%, 잔탄검 0.1 중량%, 폴리솔베이트20 0.1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은 흑미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essence)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100중량%를 기준으로, 글리세린 1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3 중량%, 펜타에리스리틸아디페이트/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헵타노에이트 2.5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 2 중량%, 프로판다이올 1 중량%, 1, 2-헥산다이올 1 중량%,, 에탄올 0.5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5 중량%, 미리스틸알코올 0.3 중량%,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 0.2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2 중량%, 세테아레스-20 0.2 중량%, 다이메티콘 0.2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1 중량%, 향료 0.1 중량%, 트로메타민 0.1 중량%,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은 흑미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lotion)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은
    S1) 쌀을 분쇄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고 45℃로 가온하는 단계;
    S2) 전체 쌀 100중량%에 대하여 당분해효소 1중량%를 혼합한 반응액을 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S3)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당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4) 반응액을 45℃로 냉각시키고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과 혼합하여 pH7로 조절하는 단계;
    S5) 반응액에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여 45℃에서 5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시키는 단계;
    S6) 반응액을 85~95℃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단백질분해효소를 실활시키는 단계;
    S7) 반응액을 30℃로 냉각시키고 48시간 동안 30% 에탄올을 이용하여 쌀단백질을 추출하는 단계;
    S8) 추출한 쌀단백질을 여과(0.45um~3um) 후 65~75℃에서 농축하는 단계;
    S9) 상기 농축된 쌀단백질에 용매(1,3-부틸렌글라이콜 30%)를 첨가한 후 여과(0.2um~0.45um)하는 단계;
    를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분해효소는 누룩정제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분해효소는 Alcalase 2.4L, Bromelain 1200 GDU 또는 Papain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44957A 2019-11-13 2019-11-13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57A KR102313996B1 (ko) 2019-11-13 2019-11-13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57A KR102313996B1 (ko) 2019-11-13 2019-11-13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31A KR20210058031A (ko) 2021-05-24
KR102313996B1 true KR102313996B1 (ko) 2021-10-19

Family

ID=7615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57A KR102313996B1 (ko) 2019-11-13 2019-11-13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72431A1 (en) 2006-01-20 2007-07-26 Matthew Galumbeck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skin care
WO2008115165A2 (en) * 2004-04-20 2008-09-25 Mgp Ingredients, Inc. Method of hydrolyzing rice protein concentrate with protease enzymes
KR101682123B1 (ko) 2015-10-12 2016-12-02 (주)솔티패밀리그룹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45A (ko) * 2002-02-18 2003-08-25 애경산업(주)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101166775B1 (ko) * 2010-10-12 2012-07-27 대한민국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3518A (ko) *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피부 보습 강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165A2 (en) * 2004-04-20 2008-09-25 Mgp Ingredients, Inc. Method of hydrolyzing rice protein concentrate with protease enzymes
US20070172431A1 (en) 2006-01-20 2007-07-26 Matthew Galumbeck Methods, systems and compositions for skin care
KR101682123B1 (ko) 2015-10-12 2016-12-02 (주)솔티패밀리그룹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31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835B1 (ko)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4477A (ko) 은이 버섯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10006444A (ko)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567A (ko) 감자 추출물 및/또는 육쪽 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502415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044485A (ja) 活性酸素種消去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7870A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갈파래과 해조류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0004A (ko) 항당화 및 항노화 활성이 우수한 캐럽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313996B1 (ko) 하이드롤라이즈드쌀단백질을 포함하는 피부 수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59589B1 (ko) 피부노화 억제를 위한 발효쌀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수득된 발효쌀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61848B1 (ko)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0624A (ko) 식물 추출물로부터 엽록소 또는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KR102125409B1 (ko) 백당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2236A (ko) 미세먼지 차단 및 항노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8226A (ko) 발아된 검은콩 및 검은쌀 효소분해 펩타이드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FR3066118A1 (fr) Extrait de sechium edule pour lutter contre les effets nocifs des rayonnements ultravio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