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54B1 -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054B1
KR102198054B1 KR1020197010309A KR20197010309A KR102198054B1 KR 102198054 B1 KR102198054 B1 KR 102198054B1 KR 1020197010309 A KR1020197010309 A KR 1020197010309A KR 20197010309 A KR20197010309 A KR 20197010309A KR 102198054 B1 KR102198054 B1 KR 10219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care
present
weight
bi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218A (ko
Inventor
샤오웨이 쳉
리우 허
Original Assignee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양 솅 탕 (상하이) 코스메틱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Abstract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스킨케어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하나, 일반적으로 별도의 성분으로서 첨가되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스킨케어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별도의 성분으로 첨가되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작나무 장뇌(camphor)로도 알려진 베툴린(betulin)은, 자작나무 껍질에서 10-35%의 양으로 발견된다. 이는 UV-차단, 염증 방지, 미백, 피부 리페어 및 기타 효능을 갖는 매우 가치있는 천연 산물이다. 따라서, 이는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화장품 Limi The Age of Innocenc, True Hydration 24H Gel Cream (GoodSkin Labs) and Solution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의 효능이 만족스럽지 않다. 현재, 홍화(safflower) 추출물,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 및 은행나무(ginko biloba) 추출물 같은 많은 약물 및 기타 기존의 경구 및 정맥 투여 경로로, 피부 문제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지만, 국소적으로 외용 도포(topical external application)한 후에도 동일한 효능을 얻을 수는 없다. 따라서, 국소적으로 외용 도포하는 것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쉽게 침투할 수 없는 활성 물질은 해당하는 효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피부의 표면상에서 작용하거나, 제품의 효과에 따라 표피 또는 진피에 들어가 그 부위에서 축적되어 작용하는, 화장품의 기능성 성분을 만드는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툴린이 보습, 미백 및 주름 개선에서 보다 우수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종래 기술과 다른 스킨케어 조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제품 내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내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여, 그로써, 종래와 다른 스킨케어 조성물, 특히, 조성물 내 수분 전체를 대신하여 자작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놀랍게도, 본 발명의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외용 도포한 후, 상기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이 조성물 내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현저하고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별도로 첨가된 수분을 함유하는 비슷한 조성물(formulation)과 비교할 때, 베툴린이 보습, 미백 및 주름 개선에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아냄으로써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자작나무 수액 30 내지 99 중량%, (B)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0.5ppm 내지 5 중량%, 및 (C) 선택적으로 스킨 케어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성분으로 첨가되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개선된 보습, 미백, 주름 개선 및 기타 스킨케어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첨가되는 수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지만, 사용된 자작나무 수액의 고유한 수분 또는 다른 성분으로부터 불가피하게 도입되는 소량 또는 미량의 수분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EDTA 염(EDTA salt), 소듐 폴리포스페이트(sodium polyphosphate), 소듐 메타포스페이트(sodium metaphosphate), 또는 글루콘산(gluconic acid) 등의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추가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수분이 첨가되지 않은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자작나무 수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베툴린 0.05-99.95 중량%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현저하게 증가시켜, 현저하게 개선된 스킨케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분이 첨가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 자작나무 수액과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베툴린 0.05-99.9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자작나무는 Betula Betulaceae에 속하며, 이것은 Betula alba, Betula Pendula 및 Betula platyphylla의 3가지 품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수액은, 눈이 녹기 시작한 때부터 나무가 발엽(foliation)하는 때까지, 자작나무 몸통(trunk)에 구멍을 뚫어 채취한, 침전물이나 불순물이 없는, 무색의 투명한 향기롭고 영양가 있는 수액이다. 자작나무 수액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그대로 사용되고, 예를 들어, Daxinganling Chaoyue Wild Berry Development Co., Ltd.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중량%의 자작나무 수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자작나무의 부드러운 껍질을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 에테르, 석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벤젠 등의 용매들 중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다. 일반적으로, 추출물 중의 베툴린 함량은 사용된 용매 및 의도된 용도에 따라, 0.05 내지 99.95%로 다양할 수 있다. 자작나무 껍질 추출액은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이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어, Chengdu Jianteng Biotechnology Co., Ltd.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베툴린에 관해서 계산할 시, 0.5ppm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의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성분 (C)로, 스킨 케어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인 비히클(vehicle),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 계면 활성제(surfactant) 및 부형제(excipient)를 포함하는 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성분 (C)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형 및 양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분 (C)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한다.
비히클(vehicle)은 예를 들어 희석제, 분산제 또는 운반체이다. 이들 비히클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형 및 양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있다. 예를 들어, 비히클은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히클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히클(vehicle)은 예를 들어 희석제, 분산제 또는 운반체이다. 이들 비히클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형 및 양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있다. 예를 들어, 비히클은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히클은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의 양으로 존재한다.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피부 연화제(emollient), 보습제, 스킨 컨디셔너 등을 포함한다. 이들 활성 성분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형 및 양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연화제는 하나 이상의, 올리브유(olive oil), 마카다미아넛오일(macadamia nut oil), 스위트아몬드오일(sweet almond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옥수수오일(corn oil), 참기름(sesame oil), 콩기름(soybean oil), 땅콩기름(peanut oil), 메도우폼씨오일(meadowfoam seed oil), 홍화씨오일(safflower seed oil), 로즈힙열매오일(rosa canina fruit oil), 아르간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해바라기씨오일(sunflower seed oil), 부루티오일(mauritia flexuosa fruit oil), 스쿠알란(squalen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틸렌(hydrogenated polyisobutylene), 이소세탄(isocetane), 이소도데케인(isododecane), 디에틸헥실 카보네이트(diethylhexyl carbonate), 디옥틸 카보네이트(dioctyl carbonate), 이소프로필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isopropyl lauroyl sarcosinate), 이소노닐 이소노네이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비스-에톡시디글리콜 사이클로헥산 1,4-디카복실레이트(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올레일 에루케이트(oleyl erucate), 옥틸도데칸올 미리스테이트(octyldodecanol myristate),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옥틸 폴리메틸실록산(octyl polymethylsiloxane), 세틸 디메티콘(cety dimethicone), 및 사이클로펜타디메틸실록산(cyclopentadimethylsiloxan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고체 피부 연화제는 하나 이상의,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스쿠알릴 알코올(squalyl alcohol),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밀랍(bees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라놀린(lanolin), 오조케라이트(ozokerite), 호호바씨왁스(jojoba seed wax),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쌀겨왁스(hydrogenated rice bran wax),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cocoglycerides), 에이코사디오에이트(glyceryl behenate/eicosadioate),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myristyl myristate),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및 야자씨드버터(astrocaryum murumuru seed butter)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중 피부 연화제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연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보습제는 하나 이상의, 글리세린(glycerin), 디글리세린(di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1,2-펜탄디올(1,2-pent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8(polyethylene glycol-8), 폴리에틸렌글리콜-32(polyethylene glycol-32), 메틸글루세스-10(methyl gluceth-10), 메틸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PEG/PPG-17/6 공중합체, 글리세레스-7(glycereth-7),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glyceryl glucoside), PPG-10 메틸 글루코오스 에테르(PPG-10 methyl glucose ether), PPG-20 메틸 글루코오스 에테르(PPG-20 methyl glucose ether), PEG/PPG/폴리부틸렌글리콜-8/5/3 글리세롤(PEG/PPG/polybutylene glycol-8/5/3 glycerol), 수크로스(sucrose), 트레할로오스(trehalose), 람노스(rhamnose), 마노스(mannose), 라피노스(raffinose), 베타인(betaine), 에리스리톨(erythritol), 자일리톨(xylitol), 우레아(urea), 글리세레스-5 락테이트(glycereth-5 lactate),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소듐 폴리글루타메이트(sodium polyglutamate), 가수분해된 스클레로튬검(sclerotium gum), 풀루란(pullulan), 트레멜람(tremellam), 및 타마린드씨 폴리사카라이드(tamarindus indica seed polysaccharid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내 보습제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습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스킨 컨디셔너는 보습, 주름 예방, 주근깨 예방, 여드름 예방 및 오일 컨트롤 등을 위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코직산(kojic acid), 아스코브산(ascorbic acid),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ascorbyl glucoside), 알부틴(arbutin), 트라넥사믹산(tranexamic acid), 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phytosteryl/behenyl/octyldodecyl lauroyl glutamate), 페닐에틸 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울금 추출물(turmeric extract),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birch bark extract), 세라마이드 2(ceramide 2), 세라마이드 3(ceramide 3), 아세틸 피토핑고신(acetyl phytosphingosine),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프테로카르푸스 육아낭 껍질 추출물(pterocarpus marsupium bark extract),  플렉트란서스 바투스 뿌리 추출물(plectranthus barbatus root extract), 후추 씨앗 추출물(pepper seed extract), 유비퀴논(ubiquinon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이트(cholesterol stearate), 아스코빌 디팔미테이트(ascorbyl dipalmitate), 토코페롤(Tocopherol)(비타민 E),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파-비사보롤(alpha-bisabolol), 아스코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ascorbyl tetraisopalmitate), 피리독신 디카프릴레이트(pyridoxine dicaprylate), 피리독신 디팔미테이트(pyridoxine dipalmitate),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phytosteryl/octyldodecyl lauroyl glutamate), 비스-베헤닐/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 다이머 딜리노레일 딜리놀리에이트(bis-behenyl/isostearyl/phytosteryl dimer dilinoleyl dilinoleate), 피토스테릴 마카다미에이트(phytosteryl macadamiate), 펩타이드(peptides), 및 식물 추출물(plant extracts)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 내 스킨 컨디셔너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킨 컨디셔너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부형제는 유화제, 증점제, 방부제, 방향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든 부형제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필요에 따라 유형 및 양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화제는 하나 이상의 세테아릴 올리베이트(ceteary olivate), 솔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폴리솔베이트-60(polysorbate-60), 폴리솔베이트-80(polysorbate-80),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PEG-20 메틸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PEG-20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카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PG-26-부테스-26(PPG-26-buteth-26), PEG-4 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레이트(PEG-4 polyglyceryl-2 stearate),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카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스테아레스-2(steareth-2), 스테아레스-21(steareth-21), PPG-13-데실테트라데세스-24(PPG-13-decyltetradeceth-24),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cetearyl glucosid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glyceryl stearate SE), 코코 글루코사이드(coco glucoside), 세테아레스-25(ceteareth-25),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폴리글리세릴-3 메틸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 glucose di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glyceryl stearate citrate),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 myristate), 폴리글리세릴-10 디올레에이트(polyglyceryl-10 dioleate),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polyglyceryl-10 oleate),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d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polyglyceryl-6 laurate),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 myristate),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sucrose stearate), 및 수크로스 폴리스테아레이트(sucrose polystearat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중의 유화제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증점제는 하나 이상의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이의 유도체인 잔탄 검(xanthan gum), 아라비아 검(gum Arabic), 폴리에틸렌글리콜-14M(polyethylene glycol-14M), 폴리에틸렌글리콜-90M(polyethylene glycol-90M), 숙시닐 다당류(succinyl polysaccharides),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와 같은 고분자 폴리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중 증점제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증점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방부제는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 hydroxybenzoate), 프로필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ropyl hydroxybenzoate),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페닐 에탄올(phenyl ethanol), 비스(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bis(hydroxymethyl)imidazolidinyl urea), 포타슘 솔베이트(potassium sorbate), 소듐 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클로로페네신(cholorophenesin), 및 소듐 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sodium dehydroacetate)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중의 방부제의 함량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부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적합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 탱크, 유화 포트, 분산기, 이송 펌프 등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container)에 의해 제조될 수있다. 제조과정에서, 수용성 물질을 수상 용해 케틀(aqueous phase dissolution kettle)에 도입하고, 유용성 물질은 유상 용해 탱크(oil phase dissolution tank)에 도입한다. 상기 탱크와 케틀을 각각 약 80℃로 가열하고; 응집된 원료(raw material)의 경우, 이들을 미리 분산기로 분산(pre-disperse)시킬 수 있다. 용해가 완료된 후, 유상 및 수상을 유화 포트로 옮기고 약 5 내지 15분 동안 균질화 및 유화시킨다. 유화가 완료된 후, 벌크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임의로 향료, 방부제 등을 첨가하며, 필요에 따라 생성물의 pH를 조정한다. 관련 테스트는 제품을 포장하고 선적하기 전에 수행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제품 형태 요건에 따라 수정 또는 조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로션, 연고, 크림 또는 겔과 같은 다양한 제품 형태가 제조될 수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탁월한 보습, 미백, 주름 개선 및 기타 스킨케어 효능을 나타내는 다음의 성분들을 갖는 스킨케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토너를 제공한다:
성분 : 자작나무 수액 70-90 중량%, 메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05-0.4 중량%,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베툴린 40% 함유) 0.00001-1 중량%, 펜탄디올 1-5 중량%, 글리세롤 1-1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0.5-5 중량%, 부탄디올 1-10 중량%, 시트르산 0.01-0.5 중량%, 아르기닌 0.05-1 중량%.
실시예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지만, 이들 실시 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결코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상이한 시스템에서의, 베툴린의 경피 흡수
이 실시예에서, 수성 및 비수성 시스템에서의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테스트하여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테스트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1
참조:
a: 본 발명에 사용된 자작나무 수액은 Daxinganling Chaoyue Wild Berry Development Co., Ltd.에서 상업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b: 본 발명에 사용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Chengdu Jianteng Biotechnology Co., Ltd.에서 상업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 베툴린이 물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양의 펜탄디올을 첨가하는 것이 용해에 도움이 된다.
상기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1.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과 펜탄디올을 혼합하여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교반 및 용해시켰다.
2. 자작나무 수액/정제수를 80℃로 가열한 다음, 1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첨가했다.
3. 결과물을 40℃로 냉각시키고, 배출시켰다.
테스트 방법:
상업적으로 얻은, 털이 뽑힌 돼지 스킨을 2.5cm×2.5cm 조각으로 잘랐다. 조성물 1 내지 4를 돼지 스킨의 각 피스에 도포하고, 각각을 30℃의 일정한 온도와 50±5%의 상대습도(RH)인 인큐베이터에 24시간 동안 두었다. 6개의 병렬 시험이 각 그룹에서 수행되었다. 그런 다음, 돼지 피부를 씻어서 잘게 썬 다음, 30분 동안 메탄올로 초음파 추출을 하였다. 추출된 액체를 혼합하여, 감압하에 5.0ml로 농축하였고, 원심분리 한 후, 그 상층액(supernatant)를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테스트를 위해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주입하였다. 베툴린의 함량은 외부표준법(external standard method)로 계산하였다. 표 2에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2
참조*: 독립표본 t(independent t)검정 결과, 조성물 1과 비교하여 조성물 2 내지 4는 베툴린의 경피 흡수가 현저히 감소되었다(P<0.01)
결과는, 자작나무 수액을 함유하지만 별도로 수분이 첨가되지 않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수성 시스템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베툴린의 경피 흡수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액체 스킨케어 조성물 1 vs. 대조군 액체 스킨케어 조성물 1-2
조성물들의 조성을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3
상기 조성물들은 다음에 따라 제조되었다:
1. B 상(phase)을 혼합하고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교반 및 용해시켰다.
2. A 상(phase)의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교반 및 용해시켰다.
3. 양호하게 용해된 상 A와 상 B를 혼합하고, 40℃로 냉각시킨 다음, C 상의 원료(raw material)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배출시켰다.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 1 및 대조군 1-2는, 그의 보습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되었다.
총 16명의 피실험자가 모집되었다. 피실험자의 오른쪽 팔뚝 내피(medial skin) 상의 템플릿(template)으로 3cm×3cm 영역을 식별하였고, 이러한 세 영역이 있었다. 테스트를 수행할 때, 다이어트나 격렬한 활동을 피하였고, 테스트 상태로 팔뚝을 노출 및 위치시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다. 한 영역이 본 발명의 조성물 1로 도포되었고, 두번째 영역이 대조군 조성물 1로 도포되었고, 세번째 영역이 대조군 조성물 2로 도포되었다. 그리고, 피실험자에게 아침 저녁으로(목욕 후에) 한번씩 테스트 샘플을 도포((2.0±0.1)mg/cm2만큼)하도록 요구하였다. 피부 표피의 수분 함량을 샘플 도포 전인 0일, 및 샘플 도포 후 7일 및 14일에 기기로 측정하였다. 각 영역마다 3번 테스트를 반복하였고, 테스트 결과를 평균하였다. SPSS16.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및 표준 편차로 표시된다. 도포 전후의 데이터가 t 테스트(t test)로 분석된다.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된다. 테스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4
참조:
a: 0일에 측정된 값에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b: 대조군 1과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c: 대조군 2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결과는, 14일간 연속적으로 도포한 결과, 본 발명 조성물 1의 피부 보습 성능은 91% 향상되고, 대조군 조성물 1의 피부 보습 성능은 30% 향상되고, 대조군 조성물 2의 피부 보습 성능은 48% 향상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1은 대조군 조성물 1-2보다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가지고, 이는 자작나무 수액 및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이 특정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스킨케어 로션 조성물 2 vs. 대조군 로션 조성물 3
조성물들의 조성을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5
상기 조성물들은 다음에 따라 제조되었다:
1. A 상의 글리세롤, 잔탄 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를 미리 컨테이너에서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A 상의 다른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전술한 미리 혼합된 원료(raw material)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 B 상의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C 상의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4. 유화 포트에 상기 A 상, B 상 및 C 상을 첨가하였고, 온도를 80oC로 유지하고, 300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동종유화(homoemulsify)하였다. 유화가 완료된 후에 D 상의 아르기닌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하였다.
5. 결과물을 교반하고 40oC까지 냉각하였고, D 상의 페녹시에탄올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배출시켰다.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본 발명의 조성물 2, 및 대조군 조성물 3의 베툴린 함량이 실시예 1의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테스트 결과는 각각 40.2%, 0.201g/샘플 100g 및 0.198g/샘플 100g이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들은 미백 효능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에 사용되었다.
피부 흑색도 값이 150을 초과하는 34명의 피실험자 중 16-18 명의 사람을 각 그룹으로 하였고, 성은 무작위 배정을 하였으며, 각 그룹의 연령 분포가 균형되게 하였다. 왼쪽 팔의 팔뚝의 내피를 테스트 부위로 하였고, 오른쪽 팔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피부색 테스트 프로브(Colorimeter CL 400)로, 샘플을 도포하기 전후의 왼쪽 팔 팔뚝 내피의 LAB값을 얻었다. "도포 전", "도포 후 4주 후", "도포 후 8주 후"에 각각의 데이터를 모았다. 데이터를 SPSS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두 샘플의 장기적인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도포 전후의 데이터는 t 검정(t test)에 의해 분석되었고,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된다. 테스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2 및 대조군 조성물 3에 대한 L 값의 평균 개선율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6
참조:
a: 0주에 측정된 값에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b: 대조군 조성물 3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결과는, 본 발명의 스킨케어 로션 조성물 2가 대조군 조성물 3보다 피부색(미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 3 vs 대조군 조성물 4
상기 조성물들의 조성을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7
상기 조성물들은 다음에 따라 제조되었다:
1. A 상의 글리세롤, 잔탄 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를 미리 컨테이너에서 균일하게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A 상의 다른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전술한 미리 혼합된 원료(raw material)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2. B 상의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C 상의 원료(raw material)를 80℃로 가열하고,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4. 유화 포트에 상기 A 상, B 상 및 C 상을 첨가하였고, 온도를 80oC로 유지하고, 3000rpm의 속도로 5분 동안 동종유화(homoemulsify)하였다. 유화가 완료된 후에 D 상의 아르기닌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하였다.
5. 결과물을 교반하고 40oC까지 냉각하였고, D 상의 페녹시에탄올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배출시켰다.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 본 발명의 조성물 3, 및 대조군 조성물 4의 베툴린 함량이 실시예 1의 테스트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테스트 결과는 각각 80.1%, 0.802g/샘플 100g 및 0.799g/샘플 100g이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들은 안티에이징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얼굴 전면 대조 실험(full face contrast experiments)에 사용되었다.
나이가 40세를 초과하는 여성 피실험자 70명을 선발하였고, 35명의 피실험자를 각 그룹으로 하였으며, 각 그룹의 연령 분포가 균형되게 하였다. 한 그룹은 조성물 3을 사용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대조군 조성물 4를 사용하였다. 2mg/cm2의 양으로 사용된다면, 얼굴 전면에 대한 사용량은 약 0.3g이 된다. 피실험자들은 일반적인 크림 화장품 도포 방식에 따라, 적당량의 샘플이 완전히 흡수될 수 있을 때까지 얼굴에 부드러운 마사지를 하였다. 하루에 2번 도포하였고, 2번의 도포 시간 간격은 8시간 이상이며, 반드시 제품이 6시간 이상 피부에 남아있도록 하였다. 제품 도포 후 1개월 및 2개월이 되는 때에, 얼굴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후, 얼굴 피부의 볼(cheek) 부분의 탄성값 R2(Germany CK (COURAGE+KHAZAKA))를 테스트하였다. 데이터를 SPSS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두 샘플의 안티에이징 효능을 평가하였다. 도포 전후의 데이터는 t 검정(t test)에 의해 분석되고,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된다. 테스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3 및 대조군 조성물 4의 안티에이징 효율
Figure 112019036719505-pct00008
참조:
a: 0주에 측정된 값에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b: 대조군 조성물 4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1)
결과는, 본 발명의 스킨케어 크림 조성물 3이 대조군 조성물 4보다 피부 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1)

  1.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30 내지 99 중량%의 자작나무 수액, 및
    (B) 조성물내 0.5ppm 내지 5 중량%의 베툴린을 제공하는 양의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별도의 단독 성분으로 첨가되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50 내지 95 중량%의 자작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0.001 내지 3 중량%의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이 0.05 내지 99.95 중량%의 베툴린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6.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베툴린의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별도의 단독 성분으로 물이 첨가되지 않는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에 자작나무 수액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은 0.05 내지 99.95 중량%의 베툴린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9 중량%의 자작나무 수액, 및
    조성물내 0.5ppm 내지 5 중량%의 베툴린을 제공하는 양의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10309A 2017-04-27 2018-03-07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KR102198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286307.6 2017-04-27
CN201710286307.6A CN107049865B (zh) 2017-04-27 2017-04-27 护肤化妆品组合物
PCT/CN2018/078208 WO2018196482A1 (zh) 2017-04-27 2018-03-07 护肤化妆品组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218A KR20190053218A (ko) 2019-05-17
KR102198054B1 true KR102198054B1 (ko) 2021-01-04

Family

ID=59604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309A KR102198054B1 (ko) 2017-04-27 2018-03-07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240134A1 (ko)
EP (2) EP4062900A3 (ko)
JP (1) JP6608561B2 (ko)
KR (1) KR102198054B1 (ko)
CN (1) CN107049865B (ko)
WO (1) WO2018196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2893B (zh) * 2017-03-21 2020-10-09 舟山昌国食品有限公司 一种冷冻虾仁品质改良剂
CN107019660B (zh) 2017-04-27 2018-05-11 养生堂(上海)化妆品研发有限公司 保湿化妆品组合物
CN107049865B (zh) * 2017-04-27 2018-03-27 养生堂(上海)化妆品研发有限公司 护肤化妆品组合物
CN108338950B (zh) * 2018-03-27 2020-04-24 上海清轩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稳定表皮与真皮间黏连作用的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
CN108309848B (zh) * 2018-03-27 2020-08-04 上海清轩生物科技有限公司 小球藻提取液的制备方法及其抗衰老组合物
CN108420780A (zh) * 2018-06-17 2018-08-21 佛山文森特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提亮肤色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CN109893471A (zh) * 2019-04-03 2019-06-18 上海龙禧投资有限公司 一种含有白桦脂醇的组合物
CN110169943A (zh) * 2019-07-09 2019-08-27 许富明 一种祛痘净白配方及其制备方法
CN110734932B (zh) * 2019-07-29 2021-10-22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发酵的桦树汁及其生产方法
CN110731924B (zh) * 2019-07-30 2022-05-17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增强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CN110731928A (zh) * 2019-07-30 2020-01-31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抗衰老化妆品组合物
CN110731927A (zh) * 2019-07-30 2020-01-31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增强的美白化妆品组合物
CN110731926A (zh) * 2019-07-30 2020-01-31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保湿化妆品组合物
CN110731974B (zh) * 2019-07-30 2022-09-02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具有增强的抗炎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CN110227088B (zh) * 2019-07-30 2021-11-19 养生堂(安吉)化妆品有限公司 具有止痒功效的皮肤外用组合物
CN110731929A (zh) * 2019-08-21 2020-01-31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混合的桦树汁及其在护肤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CN112957307B (zh) * 2019-11-28 2023-06-02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乳酸菌发酵的桦树汁及其在抗衰老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CN110787095B (zh) * 2019-12-14 2022-02-01 广州伊尔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祛痘组合物
CN111588679A (zh) * 2020-04-01 2020-08-28 爱乐星丽化妆品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保湿护肤面膜及其制备工艺
FR3110420B1 (fr) * 2020-05-20 2023-04-14 Laboratoire Dermatologique Inderma Complexe vegetal a base d’acide betulinique et d’un extrait aqueux de chaga et applications en cosmetique
KR102164119B1 (ko) * 2020-07-09 2020-10-12 김현식 저자극성 항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9102B1 (ko) * 2022-01-19 2022-09-28 임정안 워시 오프 타입의 미용 팩 조성물 제조 방법
WO2023227527A1 (de) * 2022-05-22 2023-11-30 Julia Weingardt Anwendungsprodukt zur anwendung in und/oder an einem körper, insbesondere zum auftragen auf ein körperteil, und/oder zur reinig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23B1 (ko) * 2015-10-12 2016-12-02 (주)솔티패밀리그룹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444A (ja) * 1996-11-22 1998-06-09 Nippon Flour Mill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抑制剤及び化粧料
US5750578A (en) * 1997-02-11 1998-05-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Use of betulin and analogs thereof to treat herpesvirus infection
JPH10279466A (ja) * 1997-04-07 1998-10-20 Kose Corp 外用剤
US6124362A (en) * 1998-07-17 2000-09-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regulating hair growth
EA013736B1 (ru) * 2000-03-28 2010-06-30 Биркен Гмбх Эмульсия, содержащая растительный экстракт, в частности экстракт берёзовой коры,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JP2002029979A (ja) * 2000-07-12 2002-01-29 Kanebo Ltd ヒスタミンh2受容体拮抗剤及び皮膚外用剤
AU2001294953A1 (en) * 2000-09-29 2002-04-08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riterpenes having fungicidal activity against yeast
KR20030067554A (ko) * 2002-02-07 2003-08-14 주식회사 참 존 자작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WO2006050158A2 (en) * 2004-10-29 2006-05-11 Jan Glinski Hair and skin protecting compositions based on esters or ethers of betulin
JP2006232693A (ja) * 2005-02-23 2006-09-07 Nitta Gelatin Inc 動物由来抽出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組成物
CA2649144A1 (en) * 2006-04-13 2007-10-2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erapeutic triterpenoids
JP2007320921A (ja) * 2006-06-01 2007-12-13 Nitta Gelatin Inc 樹液配合化粧料
JP2008088109A (ja) * 2006-10-02 2008-04-17 Nitta Gelatin Inc シラカバ抽出組成物およびシラカバ配合化粧料
JP5010372B2 (ja) * 2007-07-04 2012-08-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水中油乳化剤形の皮膚外用剤
JP2010143893A (ja) * 2008-12-22 2010-07-01 Nikko Chemical Co Ltd セリンプロテアーゼHtrA1及び/又はHtrA2の活性阻害剤
RU2411934C1 (ru) * 2009-09-04 2011-02-20 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Маркевич Шампунь для мытья волос
DE102009047092A1 (de) * 2009-11-24 2011-05-26 Birken Gmbh Verwendung eines triterpenhaltigen Oleogels zur Wundheilung
PL2363108T3 (pl) * 2010-03-02 2018-04-30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Formulacje piankowe zawierające co najmniej jeden triterpenoid
CN102093458B (zh) * 2010-12-20 2012-10-17 大兴安岭林格贝有机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富集纯化桦树皮中白桦酯醇的方法
CN103565705B (zh) * 2013-11-26 2016-06-15 谢伯平 一种洗发香波
CN103705425B (zh) * 2014-01-06 2016-02-17 谢伯平 一种具有祛痘及修复功能的护肤组合物
CN105662940B (zh) * 2016-01-05 2018-05-18 深圳典立生物科技有限公司 活性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或护肤品中的应用
CN105687044A (zh) * 2016-03-14 2016-06-22 珍尔姿(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祛斑的功效性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5878119B (zh) * 2016-05-26 2018-10-09 钦州学院 一种桦树液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7049865B (zh) * 2017-04-27 2018-03-27 养生堂(上海)化妆品研发有限公司 护肤化妆品组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23B1 (ko) * 2015-10-12 2016-12-02 (주)솔티패밀리그룹 자작나무 수액과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0134A1 (en) 2019-08-08
EP3510993A1 (en) 2019-07-17
KR20190053218A (ko) 2019-05-17
EP4062900A2 (en) 2022-09-28
US20210093535A1 (en) 2021-04-01
JP6608561B2 (ja) 2019-11-20
JP2019520406A (ja) 2019-07-18
WO2018196482A1 (zh) 2018-11-01
EP4062900A3 (en) 2023-08-09
CN107049865A (zh) 2017-08-18
CN107049865B (zh) 2018-03-27
EP3510993A4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054B1 (ko)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KR102183865B1 (ko)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
JP7329474B2 (ja) アンチエイジング化粧品組成物
WO2021017846A1 (zh) 增强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CN110731923B (zh) 增强的保湿化妆品组合物
JP7320666B2 (ja) 強化された抗炎症有効性を有する皮膚局所用組成物
CN111166683A (zh)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WO2021017877A1 (zh) 美白化妆品组合物
WO2021017835A1 (zh) 增强的美白化妆品组合物
WO2020137017A1 (ja) 美白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細胞内活性酸素消去剤、刺激緩和剤、シワ改善剤、複合体、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WO2021017912A1 (zh) 保湿化妆品组合物
KR20220044974A (ko) 항-습진 효과가 향상된 피부 외용 조성물
KR20220168488A (ko) 스킨케어 화장품 조성물
CN110585045A (zh) 一种纯露美白化妆品的制备
JP4076477B2 (ja) 皮膚外用剤
JP5795146B2 (ja) 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200071334A (ko)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429705B1 (ko) 노니 열매 추출물 및 노니씨오일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4077382B2 (ja) 皮膚外用剤
JP2024015465A (ja) 皮膚外用剤
CN114949056A (zh) 一种草本养护霜
JP2023024185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飲食用組成物
JP2022067580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