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334A -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 Google Patents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334A
KR20200071334A KR1020180158948A KR20180158948A KR20200071334A KR 20200071334 A KR20200071334 A KR 20200071334A KR 1020180158948 A KR1020180158948 A KR 1020180158948A KR 20180158948 A KR20180158948 A KR 20180158948A KR 20200071334 A KR20200071334 A KR 2020007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
elasticity
ski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
허용
조희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팜 filed Critical (주)에이팜
Priority to KR102018015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1334A/ko
Publication of KR2020007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이 개시된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상기 알코올로서 약 40 ~ 약 95% 에탄올을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포도 추출물은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통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ribes nigrum fruit and grape fruit for improving skin wrinkle and elasticity,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and cosmetic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대체로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의 3개 층으로 구성되며, 인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기관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일상생활에서 자외선, 오염물질 등의 자극원에 빈번하게 노출된다. 피부가 자극원에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에 주름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호르몬 분비와 생화학적 변화 등과 같은 내부 원인에 의해 표피와 피하지방층이 얇아지는 등의 이유로 피부에 주름이 유발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외부 자극과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자 지방이식술 등과 같은 시술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지방이식술의 경우에 자가 지방이식술이 많이 활용되는데, 자신의 허벅지 또는 복부 등에서 지방을 채취해서 주름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여지가 있는 부위에 주입하여 피부 볼륨을 증가시켜 주름을 개선하는 시술법이다.
하지만 지방이식수술을 통한 주름 개선 방법은 이식된 지방이 다시 인체로 재흡수되어 다시 주름이 유발되거나 이식된 지방이 뭉쳐 외관상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방이식술을 대체하면서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이 지방이식수술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10-1645238 “피부주름개선용, 피부탄력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지방이식방식을 대체하고 안전성이 우려되는 합성화합물이 아닌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상기 알코올로서 약 40 ~ 약 95% 에탄올을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파쇄한 후 25℃에서 70% 에탄올에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여과 후 50℃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해 에탄올을 모두 제거하여 얻어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제1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분말화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과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을 분말화한 포도 분말을 혼합용매에 혼합하여 얻어진다. 상기 제1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물, 제2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상기 혼합용매로서 사용하여 얻어진다.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제2알코올은 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약 0.0001 ~ 약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이 개시된다.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은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물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용제에 혼합하여 얻어진다.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제1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분말화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과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을 분말화한 포도 분말을 혼합용매에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물, 제2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상기 혼합용매로서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알코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약 0.0001 ~ 약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은 유화제, 점증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습제는 1, 3 Butylene Glycol, Glycereth-26, Glycerin, Bataine, Trehalose, Allantoin, Caprylic/Capric Triglyceride, Niacinamide, Adenosine, Jojoba Oil, Squalane, Macadamia Nut Oil, Sweet Almond Oil, Dimethicone, Centella Asiatica Water, Aloe Barbadensis Leaf Water, Beta Glucan, Sodium Hyaluronate, Rosewood Oil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Hydrogenated Lecithin/C12-16 Alcohols/Palmitic Acid, Sorbitan Sesquiole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Glycerin (and) 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and) Propylene Glyc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통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얻는 방법의 하나의 예시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는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같은 베리류의 한 종류로서 러시아, 폴란드, 독일, 스칸디나비아, 영국, 뉴질랜드 및 동부유럽국가들에서 매우 가치 있는 원예작물로 연간 전 세계에서 약 5,000,000 ~ 약 6,000,000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에는 매우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류들이 함유되어 있다.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에 함유된 대표적인 안토시아닌들로는 cyanidin 3-O-rutinoside, delphinidin 3-O-rutinoside, cyanidin 3-O-glucoside, delphinidin 3-O-glucosid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에는 hydroxybenzoic acid, hydroxycinnamic acid 등과 같은 페놀릭산과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등과 같은 플라보노이드화합물도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의 발명자는 안전성이 우려되는 합성화합물이 아닌 피부관련 효능이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 조성물을 찾는 과정에서 상술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의 성분에 주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이 피부 보습효과 및 피부 주름탄력 개선에 효능을 가지며, 안전성과 안정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또는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와 포도 천연물로부터 추출 또는 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와 포도 천연물로부터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와 포도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초임계추출법 등의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와 포도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이라는 용어는 수성용매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성용매 추출물은 수성용매를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천연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추출물은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천연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수성용매 및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천연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서 탄소수 1 ~ 4의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성용매로서 물, 탄소수 1 ~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수용성 성분, 유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요구되는 용매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일례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탄소수 1 ~ 4의 알코올, 탄소수 1 ~ 4의 알코올 수용액,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은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정제 방법을 통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이라는 용어는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물, 추출액, 분획물, 정제물 또는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등을 총 망라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상기 알코올로서 약 40 ~ 약 95% 에탄올을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 중 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추출용매 중 알코올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유기 용매에 녹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알코올은 식물체에서 생리활성 물질 추출에 많이 사용되며, 추출 후 분리 정제시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일례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 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을 위한 온도조건, 추출시간, 추출반복회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생과 상태의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약 10kg 준비한 후 이를 파쇄한다. 파쇄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약 70% 에탄올에 약 24시간 동안 약 25℃ 조건에서 침지시킨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후 이를 여과(filtration)한다. 이후 약 50℃ 조건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해 에탄올을 모두 제거(evaporation)하여 농축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농축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동결건조기를 통해 파우더(powder)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여 사용하는 상기 포도 추출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포도 추출물은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도의 분쇄물을 약 20도씨 내지 약 25도씨에서 약 6 내지 약 8일간 발효시킨 뒤, 이를 여과한 여액을 약 11도씨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약 30일간 숙성시키고 감압농축한 후 분무 건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포도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상술한 방식으로 포도 추출물을 얻을 경우에 발효과정에서 효모가 죽어 발효가 중단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파우더상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또는 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제1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분말화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과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을 분말화한 포도 분말을 혼합용매에 혼합하여 얻어진다.
상기 제1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알코올의 종류 및 기능은 앞서 상술한 알코올의 종류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물, 제2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상기 혼합용매로서 사용하여 얻어진다. 상기 혼합용매 중 물은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용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 중 제2알코올은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로부터 유기 용매에 녹는 성분을 용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다. 탄소수 1인 메탄올은 인체에 흡수될 경우에 실명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물과 잘 섞이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2알코올은 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알코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은 보습기능을 가지며, 물과 잘 섞이는 특성을 가지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성분으로 많이 활용된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다양한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약 0.0001 ~ 약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약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관련 효능이 너무 미약하다. 약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며, 보관과정에서 변색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는 다양한 성분이 배합될 수 있다.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라이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라이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라이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라이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라이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라이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α-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β-알라닌칼슘, N-라우로일-β-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ε-라우로일-L-리진, Nε-팔미토일리진, Nα-파리토일올니틴, Nα-라우로일아르기닌, Nα-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α-아미노카프릴산, α-아미노라우린산 등의 α-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라이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 -(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이 개시된다. 상기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을 물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용제에 혼합하여 얻어진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제1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분말화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과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을 분말화한 포도 분말을 혼합용매에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물, 제2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상기 혼합용매로서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알코올은 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알코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약 0.0001 ~ 약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술한 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유화제, 점증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습제는 1, 3 Butylene Glycol, Glycereth-26, Glycerin, Bataine, Trehalose, Allantoin, Caprylic/Capric Triglyceride, Niacinamide, Adenosine, Jojoba Oil, Squalane, Macadamia Nut Oil, Sweet Almond Oil, Dimethicone, Centella Asiatica Water, Aloe Barbadensis Leaf Water, Beta Glucan, Sodium Hyaluronate, Rosewood Oil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Hydrogenated Lecithin/C12-16 Alcohols/Palmitic Acid, Sorbitan Sesquiole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Glycerin (and) 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and) Propylene Glyc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예시로서 상기한 예시 이외에도 상기 보습제, 상기 유화제, 상기 점증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기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한 내용에서 상술한 다양한 배합성분들이 추가로 함유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실시예, 제조예,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기술되는 실시예, 제조예, 시험예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조예,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파우더 제조
먼저, 생과 상태의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10kg 준비한 후 이를 파쇄한다. 파쇄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70% 에탄올에 24시간 동안 25℃ 조건에서 침지시킨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한 후 이를 여과(filtration)한다. 이후 50℃ 조건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해 에탄올을 모두 제거(evaporation)하여 농축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농축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동결건조기를 통해 파우더(powder)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조예 2 : 포도 추출물 파우더 제조
본 발명에서는 포도의 분쇄물을 약 20도씨 내지 약 25도씨에서 약 6 내지 약 8일간 발효시킨 뒤, 이를 여과한 여액을 약 11도씨의 항온에서 지속적으로 약 30일간 숙성시키고 감압농축한 후 분무 건조하는 방법으로 포도 추출물 파우더를 얻는다.
제조예 3 :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화장료 제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파우더를 활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사용될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화장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Water(정제수) 87
2 Butylene Glycol(부틸렌글라이콜) 10
3 1,2-Hexanediol (1,2-헥산다이올) 2
4 Ribes Nigrum Fruit Extract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1
제조예 4 : 포도 추출물 화장료 제조
포도 추출물 파우더를 활용하여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사용될 포도 추출물 화장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Water(정제수) 93.099
2 Resveratrol 0.001
3 1,2-Hexanediol (1,2-헥산다이올) 2.000
4 Vitis Vinifera (Grape) Fruit Extract(포도 추출물) 4.900
제형예 1 :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함유 세럼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이 함유된 세럼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아래에 기술되는 시험예들은 제형예 1의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이 함유된 세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시험예 1 : 피부 주름탄력 개선-일시적 탄력개선 시험을 위한 인체실험결과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 화장료의 피부 주름 탄력개선 중 일시적 탄력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부는 탄력성을 지닌 고체(solid)의 성질뿐만 아니라 점성을 갖는 유체(fluid)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며, 이와 같은 피부의 기계적 특성을 점탄성(viscoelasticity)이라고 한다. 피부 탄력(elasticity)의 경우 콜라겐(collagen)과 탄력소(elastin) 간의 연결체 구조들에 의해 발생되며, 점성(viscosity)의 경우 하이알루론산 등을 포함하는 세포외 기질들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성분에 의해 발생된다. 피부의 점탄성은 탄력에 의한 피부 변형에 부가적인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외력에 대해 좀 더 효과적으로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피부의 점탄성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단축으로 신장시키는 방법(uniaxial stretching), 탄도를 이용한 방법(ballistometry), 비틀림을 이용한 방법(torsion), 톱니형을 이용한 방법(indentation), 흡입강을 이용한 방법(suction) 등이 있으며 이중 흡입강을 이용한 방법이 최근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재현성 높은 방법이다. Cutometer®는 흡입강을 이용한 대표적인 대표적인 피부 점탄성 측정장비로서 R0~R9, F1~4 등 다양한 수치들을 피부 탄력 성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Cutometer® probe의 흡입구 구경을 달리하게 되면, 측정의 깊이 및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피부 최외곽층 표피의 탄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2mm 구경의 probe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보다 넓은 범위 및 깊이의 피부(full thickness skin)가 가진 탄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8mm 구경의 흡입구를 가진 probe를 활용하게 활용하게 된다.
본 시험은 시료 도포 전과 도포 후 Cu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는 인체 적용시험으로 2mm 구경의 흡입구를 가진 probe를 활용해 측정 지표는 생물학적 탄력(Biological Elasticity)을 나타내는 나타내는 R7 수치를 이용하여 탄력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시험자는 1)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3)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4)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5)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6)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을 사용한 사람, 7)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시술을 받은 사람, 8)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시험자 중 1)시험부위에 소양감이나 홍반 등의 유해사례가 발생한 경우, 2)피시험자가 실험진행과정 중 시험 부위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하거나 지나친 음주, 흡연 등으로 결과의 평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3)피시험자가 실험 진행 과정 중 개인 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 실험을 중지하고 시험결과에서 제외하고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2018.03)’ 및 대한피부과학연구소 자체 규정에 근거하여, 시험결과의 통계적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20명 이상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시험은 시료를 피험자 안면부에 1회 도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Cutometer MPA 580(Courage & Khazaka, Germany)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Cutometer는 흡입강을 이용하여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 property)을 이용하여 피부의 신장력(distensibility), 탄력성(elasticity)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시험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1)피험자는 시험 방법과 일정 및 위험성과 가능한 이상반응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초정보를 작성하고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2)시험자가 제공하는 기준 세정제를 이용하여 세안한 후 페이퍼 타올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하고 30분간 항온, 항습 조건(20~24℃, 40~60%RH)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3)평가 시마다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측정영역의 양측 비익(alare)에서의 수평선과 동측 동공중심선(mid-pupillary line)이 만나는 지점으로 하였다.
4)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시료 도포 전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5)피험자 시험 부위에 시험 시료를 도포하고 20분간 항온 항습 조건(20~24℃, 40~60%RH)에서 안정을 취하도록 한 뒤 시료를 흡수시킨다.
6)Cutometer MPA 580를 이용하여 시험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부위에서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7)시험 기간 중 및 시험 종료 직후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소양증, 홍반 등의 자극증상) 유무를 확인한다.
8) 시험참여비는 시험 종료 직후 피험자에게 지급한다.
시험결과에 대한 평가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Cutometer를 이용한 탄력 개선 효과 평가
- 시료 도포 전, 도포 후 Cutometer를 이용하여 탄력을 측정하였다.
- 탄력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이 %값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pat00002
2)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안전성 평가
시험기간 중 피험자 방문일 마다 시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및 기타 이상증)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Minitab 17(Minitab® 17.3.1, Minitab Inc.)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시험 부위의 측정 값은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 후 정규 분포로 추정되는 경우, 아래의 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전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p < 0.05 수준에서 paired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그룹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p < 0.05 수준에서 Welch’s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정규성이 기각되는 경우 아래의 비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전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그룹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MANOVA, ANCOVA 등 합리적인 통계를 활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다.
-모든 자료는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요약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시험 시료를 1회 도포한 시험 부위는 도포 후 표피 탄력이 탄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하여, 시험 시료가 일시적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것으로 판단된다(일시적, 개인 차 있음).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시험결과에 대한 고찰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료의 일시적 탄력 개선 효능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중도탈락자 없이 20명의 피험자가 모두 시험을 완료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다음과 같다.
1)좌측 시험 부위의 일시적 탄력 개선율은 19.42%이었으며, 우측 시험 부위의 일시적 탄력 개선율은 20.82%로 확인되었다. 이는 시험 시료를 1회 도포 후 탄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한 결과로 시험 시료가 일시적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로부터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료를 도포한 모든 시험 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한 피부 탄력을 나타내어 시험 시료가 일시적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모든 피험자들에서 특별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시료로 사료된다.
시험예 2 : 피부 주름탄력 개선-눈가 주름개선 시험을 위한 인체실험결과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 화장료의 피부 주름 탄력개선 중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노화는 비가역적인 현상으로서 인간 개체의 전체적인 노화와 평행하게 진행되는 형태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변화과정이다. 신체 다른 장기나 기관의 노화현상과는 다르게 피부 노화는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노화의 과정인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이외에도 자외선이나 흡연 및 기타 생활 습관과 연관되는 외적 인자들에 의한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 과정을 포함한다.
외인성 및 내인성 노화에 의한 피부노화 현상은 일광 탄력 섬유증(solar elastosis)이나 색소이상증(dyschromatosis) 및 거칠기 증가, 피부주름형성 등의 임상 양상으로 나타난다. 피부 미용 영역의 항노화 치료는 이와 같은 피부노화의 개별 현상들에 대한 개선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의학적 시술이나 수술적 치료 외에도 최근 화장품 영역에서 주로 기능성 제품들의 항노화 기전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화장품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는 보습인자들에 의한 보습에 의한 일시적 효과 이외에도 다양한 유효성분들에 의한 진피층 개선 효과를 그 기전으로 하며 대표적인 주름개선 화장품의 원료들인 레티놀, 비타민 C, EGF 등의 성장인자 성분들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로부터 콜라겐 신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주름 개선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주름 기능성 화장품의 임상 평가법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다양한 시험법들이 알려져 있는데,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육안 평가 이외에도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여 주름을 측정하는 간접적인 기기 평가법, 이미지 분석장치를 이용한 직접적인 기기 평가법 등을 권장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이미지 분석장치를 이용한 직접적 기기 평가법을 이용하여 4주간 시험 시료 사용으로 인한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시험자는 1)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용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3)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4)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5)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6)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을 사용한 사람, 7)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 부위에 시술을 받은 사람, 8)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시험자 중 1)시험부위에 소양감이나 홍반 등의 유해사례가 발생한 경우, 2)피시험자가 실험진행과정 중 시험 부위에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하거나 지나친 음주, 흡연 등으로 결과의 평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3)피시험자가 실험 진행 과정 중 개인 사정에 의해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 등에 해당하는 경우에 실험을 중지하고 시험결과에서 제외하고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2018.03)’ 및 대한피부과학연구소 자체 규정에 근거하여, 시험결과의 통계적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20명 이상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시험은 실제 사용법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시험의뢰자가 제공한 사용방법을 적용하였으며, ANTERA 3D™(Miravex, Ireland)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Antera 3D™는 다파장 LED 광원을 이용하여 표피와 진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서 내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2차원 및 3차원 재구성이 가능하며 파장대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목적의 분석이 가능하다.
시험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 진행되었다.
1)첫 번째 방문
-방문일 12시간 전부터 기초제품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피험자는 시험 방법과 일정 및 위험성과 가능한 이상반응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기초 정보를 작성하고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시험자가 제공하는 기준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안 후 페이퍼 타올로 가볍게 두드려 물기를 제거한 후 30분간 항온항습 조건(20~24℃, 40~60%RH)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평가 시마다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측정부위를 구획하고 기기측정을 실시하였다.
→일측 눈가주름 전체를 포함하는 양측 눈가
-피험자 주의사항과 시료 사용법을 교육한 후 시료를 배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매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 시료 사용의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2)두 번째 방문 (2주차)/세 번째 방문(4주차)
-첫 방문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부위에서 기기평가를 시행하였다.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 유무를 평가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매일 전화 등의 방법으로 시료 사용의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Antera 3D ?winkle index 분석은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모든 이미지 촬영이 완료된 마지막 방문일에 실시하였다.
시험결과에 대한 평가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1)Antera 3D를 이용한 눈가 주름 개선 효과 평가
-시험 전, 시험 2주 후, 시험 4주 후에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기기적으로 측정하였다.
-눈가 주름 개선 정도를 다음과 같이 %값으로 도출하였다.
Figure pat00011
2)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안전성 평가
시험기간 중 피험자 방문일 마다 시료 사용에 의한 부작용(홍반, 부종, 인설, 가려움, 자통, 작열감, 뻣뻣함, 따끔거림 및 기타 이상증)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1)Minitab 17(Minitab® 17.3.1, Minitab Inc.)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시험 부위의 측정 값은 정규성 검정(Ryan-Joiner Normality Test) 후 정규 분포로 추정되는 경우, 아래의 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전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p < 0.05 수준에서 paired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그룹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p < 0.05 수준에서 Welch’s t-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정규성이 기각되는 경우 아래의 비모수적인 통계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전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그룹간 비교 : 전, 후 각 1회씩 측정한 값의 비교는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며, 3회 이상 반복 측정한 경우, Friedman 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한다.
-MANOVA, ANCOVA 등 합리적인 통계를 활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다.
-모든 자료는 연속형 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범주형 변수는 빈도와 백분율로 요약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시료를 도포한 좌측 및 우측 시험 부위는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눈가 주름 지수가 감소하여 시험 시료가 눈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일시적, 개인차 있음).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시험결과에 대한 고찰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총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료 의 눈가 주름 개선 효능평가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중도탈락자 없이 20명의 피험자가 모두 시험을 완료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다음과 같다.
1)주름 지수를 Indentation index(Wrinkle: small) 측정 값은 시험 전과 비교하여 시험 2주 후, 4주 후 좌측 시험 부위에서 5.11%, 9.15% 개선율을, 우측 시험 부위에서 4.94%, 10.22%의 개선율을 보여 시험 시료로 인해 눈가 주름이 개선됨을 나타내었다.
2)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로부터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료를 도포 한 양측 시험부위는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눈가 주름 지수가 감소하여, 시험 시료가 눈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 중 특별한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안전한 시료로 사료된다(일시적, 개인차 있음).
20명의 피험자 중에서 발췌한 피험자 임상사진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20명의 피험자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6
상술한 실시예, 제조예, 시험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발명자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조성물은 단기적으로, 장기적으로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에 효능을 가지며, 안전성과 안정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되어 사람의 피부에 적용시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은 화장품으로 활용되어 사람의 피부에 적용시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Claims (12)

  1.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상기 알코올로서 40 ~ 95% 에탄올을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은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파쇄한 후 25℃에서 70% 에탄올에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여과 후 50℃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해 에탄올을 모두 제거하여 얻어지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6.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를 물, 제1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추출용매로서 사용하여 추출되는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추출물을 분말화한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과 포도를 분쇄한 후 발효 건조시켜 추출되는 포도 추출물을 분말화한 포도 분말을 혼합용매에 혼합하여 얻어지되,
    상기 제1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용매는 물, 제2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상기 혼합용매로서 사용하여 얻어지며,
    상기 제2알코올은 탄소수 2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알코올은 글라이콜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알코올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 분말 및 상기 포도 분말은 최종 화장료 조성물 기준으로 0.0001 ~ 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물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용제에 혼합하여 얻어지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유화제, 점증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1, 3 Butylene Glycol, Glycereth-26, Glycerin, Bataine, Trehalose, Allantoin, Caprylic/Capric Triglyceride, Niacinamide, Adenosine, Jojoba Oil, Squalane, Macadamia Nut Oil, Sweet Almond Oil, Dimethicone, Centella Asiatica Water, Aloe Barbadensis Leaf Water, Beta Glucan, Sodium Hyaluronate, Rosewood Oil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유화제는 Hydrogenated Lecithin/C12-16 Alcohols/Palmitic Acid, Sorbitan Sesquiole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점증제는 Glycerin (and) 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and) Propylene Glycol,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0180158948A 2018-12-11 2018-12-11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20200071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48A KR20200071334A (ko) 2018-12-11 2018-12-11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48A KR20200071334A (ko) 2018-12-11 2018-12-11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334A true KR20200071334A (ko) 2020-06-19

Family

ID=7113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948A KR20200071334A (ko) 2018-12-11 2018-12-11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13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64B1 (ko) * 2023-05-17 2024-03-05 한윤섭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064B1 (ko) * 2023-05-17 2024-03-05 한윤섭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0444C (en)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CN105050580A (zh)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
EP1226809A1 (en) Skin texture-improving agents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260721A (ja) 皮膚外用剤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5517119B2 (ja) 化粧料
JP7033160B2 (ja) ビタミンd様作用剤
KR20200071334A (ko)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090971B1 (ko) 화장료 조성물
US20030211183A1 (en) Skin-improving agent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256269A (ja) 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117126A2 (de) Hautfreundliche wirkstoffkombination gegen akne
KR101814538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537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JP5057638B2 (ja) 皮膚外用剤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3029B1 (ko)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773670B2 (ja) エラスチン様作用剤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