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29B1 -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29B1
KR102543029B1 KR1020220148576A KR20220148576A KR102543029B1 KR 102543029 B1 KR102543029 B1 KR 102543029B1 KR 1020220148576 A KR1020220148576 A KR 1020220148576A KR 20220148576 A KR20220148576 A KR 20220148576A KR 102543029 B1 KR102543029 B1 KR 10254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callu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029B9 (ko
Inventor
김형교
안경화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주)젠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젠퓨어 filed Critical (주)젠퓨어
Priority to KR102022014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29B1/ko
Publication of KR10254302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29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8Polypeptides; Protein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57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66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 기능성 펩타이드 바이오 소재, 후코이단 혼합물 및 식물세포(캘러스) 함유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나노 사이즈의 콜로이드 입자로 미립자화하여 안정화시키고 고함량의 세라마이드 및 유효성분에 대한 제형 안정성과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킨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type transparent wound covering material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an atopic dermatit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 기능성 펩타이드 바이오 소재, 후코이단 혼합물 및 식물세포(캘러스) 함유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나노 사이즈의 콜로이드 입자로 미립자화하여 안정화시키고 고함량의 세라마이드 및 유효성분에 대한 제형 안정성과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킨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상 피복재는 창상의 오염 방지, 보호에 사용하는 기구 및 재료로 의료기기 품목군 분류에 의하여 [체외용 의료용품 - 외과용품 - 창상피복재]로 분류되는 의료기기에 해당된다.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기존의 아토피 치료약제에 비해 인체 부작용이 없어 지속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문적인 제품이며, 기존의 습윤 드레싱형 창상 피복재에 비해 피부 자극 없이 일상적으로 꾸준히 사용할 수 있어 피부 부작용 없이 지속적으로 아토피 피부를 관리, 개선할 수 있다.
기존의 창상피복재 시장은 폼 드레싱과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인 습윤드레싱 품목이 대부분이며, 거즈나 하이드로겔 피복재 등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개념의 드레싱과는 달리, 천연소재와 항산화·항염·항균 특성의 기능성 바이오 신소재 개발과 이를 적용한 신개념 창상 피복재를 개발함으로써, 병원처방이 가능한 의료기기로 아토피성 증상 개선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피부에서 세포간 지질의 구성성분은 세라마이드가 약 50% 정도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상피부의 각질층에서는 각질세포간 지질이 각질세포 사이에서 시멘트 역할을 하여 세균이나 외부유해 물질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고 수분이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다. 피부의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피부 내의 천연 보습인자나 유분들이 빠져 나가고 외부 유해 물질들의 피부 내 침투가 쉽게 이루어져 아토피 피부 증상이나 피부 염증, 피부 트러블이나 자극이 발생하며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거칠어지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은 피부건조와 소양증을 특징으로 하는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 중의 하나로 유전적인 요인과 면역계 이상,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및 여러 가지 외부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복잡한 병리, 생리학적인 면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환경적 영향에 따라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피부 각질층 (strayum corneum, SC)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 인자 중의 하나는 피부각질층(petmeabililty barrier)의 기능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고 손상된 장벽기능으로 인하여 자극성 물질 및 알레르겐이 침투하여 피부염이 발생한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특징적인 피부소견 중 하나는 건조한 피부이며, 이는 가려움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는 피부의 건조를 최소화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피부장벽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보습력 저하 및 심한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이 자꾸 긁다 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 및 외부 알러젠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고 가려움증 증상이 증폭된다.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구조를 보호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강력한 항염 및 항산화 성분과 우수한 보습능 및 조직재생 능력을 가진 성분이 필수적이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 건조를 최소화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한 피부친화적인 보습과 피부장벽강화가 필요하다.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약제는 피부염, 면역력 저하, 감염과 염증, 호르몬 이상, 안면 홍조와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며 아토피 피부염 치료약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염려와 거부감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비정상적인 피부장벽의 기능을 호전시키고 정상적인 피부장벽의 손상을 막아 피부염 발생을 감소시키는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우수한 효능의 바이오 신소재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시키고 염증을 억제하여 아토피 피부의 가려움증을 완화시키는 피부장벽 보호용 의료기기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피부 장벽 기능 이상 병증에 대하여 고함량 천연 세라마이드를 적용하면 피부 친화성 및 강한 보습작용으로 인하여 피부장벽 기능 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다. 천연 세라마이드는 입체 화학적 구조 및 소수성 등으로 물과 오일 모두에 있어 용해도가 매우 낮아 고함량을 제형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적은 양의 세라마이드도 난용성에 의해 다시 재결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콜로이드계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유화시스템을 붕괴시키는 문제가 있다.
후코이단은 모즈쿠,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미끌미끌한 성분'으로 수용성 식물섬유의 일종이다.
화학적인 성분은 '황산화후코스'를 주로 하는 다당류로, 후코스(fucose)라는 기본당과 이 후코스에 황산기가 결합된 항산화 다당의 형태를 이룬다. 후코이단은 분자내에 친수성(물을 끌어들이는 성분)이 강한 황산기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보습력이 매우 높다.
[화학식 1]
Figure 112022119075247-pat00001
후코이단은 아토피 피부에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또는 피부 부어오름을 억제, 피부 진정 효과, 피부에 수분 공급을 원활히 하여 아토피를 겪고 있는 피부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피부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참다시마는 우리나라 동해의 심해에서 나는 해조류로 다른 지역에서 나는 해조류 보다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 해조류는 수심 20 ~ 30 m 속에서 거센 파도에도 끊어짐 없이 유연성 있게 자라는데, 이는 탄력섬유로 이루어진 후코이단 성분과 다당류 성분이 그물구조로 되어 있고, 심해 속에서도 탄력을 유지하는 것은 수압에 대한 세포벽의 탄력 내성이 수력의 힘을 견디기 때문이다.
참다시마의 후코이단 성분을 적당한 분자량 (1,000 ~ 70,000 Da)을 갖는 고분자로 제조할 경우, 고보습 효과와 인체세포에 생리기능을 부여하는 작용을 보인다.
메타쉐콰이어는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및 유럽 등지에 분포되어 있는 측백나 무과로 taxodone, taxoquinone, metasequoia acid C와 같은 폴리페놀성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타쉐콰이어 솔방울 유래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능력과 항균활성, 항진균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폴리 페놀성분과 플라보노이드, 타닌 등의 성분으로 인해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능의 효과로 인해 기능성 화장품 및 바이오 의약소재로 활발하게 연구 개발 되고 있다.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메타쉐콰이어 천연 추출물의 국내 특허 및 활용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에 출원된 메타쉐콰이어 추출물 관련 특허 중 화장품 관련 특허는 모두 주름개선 분야의 특허로 집중되어 있다. 이는 메타쉐콰이어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MMP-1 억제, 콜라겐합성 촉진 등의 우수한 효능으로 인해 주름개선 분야로 적용이 되고 있으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으로 일부 제품으로 출시된 사례도 있다.
식물세포의 장점은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며, 피토케미컬(Phytochemicals, 식물화학물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피토케미컬(Phytochemicals, 식물화학물질)은 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물질로 4,000개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식물들에 따른 특이적인 피토케미컬이 존재하여 미생물 또는 UV와 같은 외부환경의 자극에 대한 방어기작이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 효과로 산화에 의한 세포의 피해를 감소시킨다.
식물캘러스는 분화되지 않은 식물세포 덩어리를 의미하며, 이 세포들은 생장조절 물질(growth regulator)의 조절에 따라 특정 식물조직으로 분화가 가능하고, 적당한 조건하에 생장조절물질의 조절에 따라 특정 식물조직(잎, 줄기, 뿌리)로 분화 및 증식이 가능한 능력을 갖고 있다. 또한 식물세포(캘러스)는 항균, 항염, 항노화에 효능이 있고, 주름개선, 피부 미백, 보습, 표피 밀도 향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10-1533947호 (공고일 : 2015.07.10) 한국 등록특허번호 10-0539965호 (공고일 : 2006.01.10)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세라마이드가 포함된 제품은 그 불안정한 유화시스템에 의해 고함량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를 세라마이드에 대한 고농도 수용화와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여 해결하였으며, 식물세포(켈러스)를 다량 포함하는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적용한 최적 조성 및 함량으로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 유화제, 유화안정제, 오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상, 유화제, 유화안정제, 오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에멀젼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고, 상기 수상은 세라마이드; 카퍼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및 카르노신(Carnos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및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우수한 항균 기능으로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장벽강화 효과가 우수하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나노에멀젼 제형이며, 수상, 유화제, 유화안정제, 오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에멀젼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부각질층 성분인 지질과 세라마이드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 제형화하여, 피부 침투에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크기, 안정성 및 세라마이드 용해도를 고려하여, 세라마이드 농도가 증가하면 에멀젼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데 특정 조건의 에멀젼화 공정 및 최적 조성, 조성비를 적용시켜서 에멀젼 입자 크기를 나노 크기로 조절하였으며, 유화제를 오일과 최적 비율로 첨가하여 용해도가 증가 및 안정적인 에멀젼을 형성시켰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에멀젼은 평균입자크기가 1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평균입자크기가 8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자크기가 60nm 이하 크기의 입자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경피 흡수 증대 및 사용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에멀젼화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고압 유화기(Microfluidizer)에 투입한 후, 고압 유화 처리하여 나노에멀젼(Nano Emulsion)화시켜서 수행하며, 나노에멀젼은 수십~수백 nm의 크기의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는 에멀젼으로 (반)투명 또는 푸른 빛깔의 유백색의 외관을 띤다. 나노에멀젼(Nano Emulsion)은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와 전달을 촉진시키고, 입자의 브라운 운동으로 중력 영향 덜 받아 안정한 상태를 이룬다. 마이크로에멀젼 보다 적은 양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하고 낮은 점도로 끈적이지 않은 사용감의 장점이 있다.
난용성 성분의 고함량 안정화를 위한 나노에멀젼(Nano Emulsion)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에 의한 나노에멀젼 제형을 제조함에 있어서 고압을 가하고 이를 고속으로 변환하여 이 힘을 이용하여, 벌크 입자(Bulk paticle)을 나노입자화(Nanomized-particle)로 유화 가능하며, 고압유화기는 마이크로(micro)단위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를 초고압으로 인터렉션 챔버(Interaction Chamber, Generator)로 강제 주입시켜, 인터렉션 챔버 내에서 충돌(Impact), 전단력(Shear Force), 공동현상(Cavitation) 등의 3가지 힘에 의하여 나노 크기를 갖는 입자인 나노에멀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고압 유화 처리는 500 ~ 2,000 bar 및 20 ~ 40℃ 조건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800 ~ 1,200 bar 및 20 ~ 40℃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고압 유화 처리 압력이 500 bar 미만이면 나노크기의 에멀젼 형성이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압 유화 처리 압력이 2,000 bar를 초과하면 너무 강한 힘에 의한 마찰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나노에멀젼 입자에 손상을 일으키며, 입자를 합일시켜 나노 사이즈로 만들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압력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세라마이드 고농도 수용화, 바이오소재인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및 식물세포(캘러스)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여 경피 흡수율이 향상된 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노 에멀젼(Nano Emulsion) 제형으로 경피 흡수율 최적화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성분 중 상기 혼합물은 상기 유화제 0.1 ~ 7.0 중량%, 상기 유화안정제 0.1 ~ 7.0 중량%, 상기 오일 0.1 ~ 10.0 중량%, 상기 점증제 0.1 ~ 5.0 중량% 및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상기 수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5.0 중량%, 상기 유화안정제 0.1 ~ 5.0 중량%, 상기 오일 1.0 ~ 7.0 중량%, 상기 점증제 1.0 ~ 3.0 중량% 및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상기 수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화제는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두 종류의 액체를 안정하게 혼합시켜 장시간 유화상태로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물 전체 중량% 중 유화제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에멀젼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유화제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형성된 에멀젼 크기가 전반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나노 크기의 에멀젼 형성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화안정제는 에멀젼 제형의 안정성 및 제형의 점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물 전체 중량% 중 유화안정제제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에멀젼의 형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유화안정제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 사용으로서 오히려 나노 크기의 에멀젼 형성에 불리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피부에 유분막을 형성시켜 수분증발을 억제함으로써 보습을 유지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물 전체 중량% 중 오일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보습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오일 함량이 10.0중량%를 초과하면 과다 사용으로 인해서 오히려 나노 크기의 에멀젼 형성에 불리하고, 피부에 불필요한 유분감이 넘쳐서 모공이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점도 조절 및 점착성을 높여주어 사용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혼합물 전체 중량% 중 점증제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점증제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잔존감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제조에 사용되는 혼합물의 각 조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수상]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 중 상기 수상은 세라마이드;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및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포함한다.
수상 내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수상 전체 중량% 중 2.00 ~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3.80 중량%이며, 이때, 세라마이드 함량이 2.00 중량% 미만이면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피부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는 보호막 역할과, 염증을 조절하고 상처를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5.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과량 사용으로서 피부세포 성장을 방해하면서 피부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좋다.
수상 성분 중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는 매우 생체 친화적인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 피부의 주름개선, 재생, 보습 등 안티에이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카퍼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및 카르노신(Carnos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퍼펩타이드-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 및 카르노신 3종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퍼펩타이드-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 및 카르노신을 1 : 0.5 ~ 2.0 : 0.5 ~ 2.0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상 내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의 함량은 수상 전체 중량% 중 0.01 ~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0 ~ 30.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30.00 중량%이며, 이때, 기능성 펩타이드의 함량이 30.00 중량%를 초과하면 안정성 및 피부 트러블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상 성분 중 상기 후코이단 혼합물은 후코이단 성분과 메타쉐콰이어 추출물과 혼합비를 1 : 0.5 ~ 2.0 로 혼합한 것이고, 수상 전체 중량% 중 1.00 ~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 3.50 중량%를 포함한다. 후코이단 혼합물은 아토피 피부에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염증 또는 피부 부어오름을 억제, 피부 진정 효과, 피부에 수분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수성 성분 중 상기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은 비타민C 보다 항산화 효과가 몇 배 뛰어난 식물세포(캘러스) 성분을 다량 포함하며,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5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적정 혼합 사용량은,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상 내 상기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의 함량은 100 중량% 중 세라마이드 및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함량을 제외한 나머지 잔량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성분 중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산 (Polyhydroxystearic Acid), 레시틴(Lecithin),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릭산 (Isostearic Acid),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레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라우릴-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및 PEG-10 디메티콘(PEG-10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성분 중 상기 유화안정제는 수소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사이클로펜타 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 디메티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Stearyl Acrylate/ 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성분 중 상기 오일은 메칠트리메티콘(Methyl Trimethicon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페틸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성분 중 상기 점증제는 비스-PEG-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레인(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카보머(Carbomer), 디메티콘(Dimethicone), 디메티콘/바이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디올(1,2-Hexanediol),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및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방부제의 함량은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전체 중량% 중 0.1 ~ 4.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화장료 조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는 다양한 제형의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팩 또는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는 의료기기 창상피복재 조성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의 적합한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
(1) 수상 제조
세라마이드 및 기능성 펩타이드를 계량, 혼합 및 교반과 함께 가온(75℃)한 다음, 후코이단 혼합물 및 캘러스 배양 추출 혼합물을 혼합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해 3,000rpm으로 10 분간 교반한 후, 3,000rpm으로 교반하면서 40℃까지 냉각시켜서 수상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수상은 세라마이드 3.0 중량%, 후코이단 혼합물은 3.0 중량%, 기능성 펩타이드 3.0 중량% 및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캘러스 배양 추출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는 카퍼펩타이드-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 및 카르노신를 1 : 1 : 1 중량비로 포함한다.
후코이단 혼합물은 후코이단 성분과 메타쉐콰이어 추출물과 혼합비를 1 : 1 중량비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은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를 포함한다.
(2) 나노에멀젼 제형의 제조
유화제인 세테아릴알코올을 2.0 중량%, 유화안정제인 수소화 레시틴을 2.0 중량%, 오일인 메칠트리메티콘을 4.0 중량% 및 점증제인 디메치콘을 2.0 중량% 및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상기 수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M-110P Microfluidizer  고압 유화기에 투입하고, 1,000 bar 및 27~28℃의 조건에서 2회 통과시킨 다음, 30℃까지 냉각시켜서 나노에멀젼 제형의 투명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상의 유효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유화제인 세테아릴알코올을 2.0 중량%, 유화안정제인 수소화 레시틴을 2.0 중량%, 오일인 메칠트리메티콘을 4.0 중량%, 점증제인 디메치콘을 2.0 중량% 및 나머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M-110P Microfluidizer  고압 유화기에 투입하고, 1,000 bar 및 27~28℃의 조건에서 2회 통과시킨 다음, 30℃까지 냉각시켜서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유화제 세테아릴알코올 2.0 중량% 2.0 중량%
유화안정제 수소화 레시틴 2.0 중량% 2.0 중량%
오일 메틸트리메티콘 4.0 중량% 4.0 중량%
점증제 디메티콘 2.0 중량% 2.0 중량%
방부제 1,2-헥산디올 1.0 중량% 1.0 중량%
수상 세라마이드 3.0 중량% 사용 안함
기능성 펩타이드 3.0 중량% 사용 안함
후코이단 혼합물 3.0 중량% 사용 안함
캘러스 배양 추출 혼합물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사용 안함
정제수 - 100 중량% 중
나머지 잔량
실험예 1 : 나노에멀젼(Nano Emulsion) 제형의 나노입자의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입자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분석은 나노입자분석장치인 HORIBA nano Partica SZ-100 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입자분포 측정 범위는 0.3nm ~ 8000nm이며, 목표로 하는 입자사이즈는 100nm 이하였다.
나노입자분포 측정원리는 동적광산란법에 의한 미립자 사이즈가 용액 중에 분산하여 브라운 운동을 하고 있는 입자에 레이져를 조사하여 입자로부터 산란하는 빛을 광전자증배관(PMT)으로 검출하는 방식이다. 입자의 크기는 실험조건(조성물 함량 및 고압 유화기 통과 횟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압 유화기를 사용한 실시예 1의 나노 에멀젼 입자 크기를 확인해 본 결과, 평균 입자 크기가 평균 60nm 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나노에멀젼 제형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나노에멀젼 제형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가혹 조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아래의 기준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시험방법은 각 조건별로 안정성을 파악하여 변취, 이취, 변색, 층분리 등이 없어야 한다.
ⓐ 상온 (25℃) : 3개월 이상 안정
ⓑ 고온 (40℃) : 3개월 이상 안정
ⓒ 냉장 (5℃) : 3개월 이상 안정
ⓓ Cycle (-5℃, 25℃, 45℃, 각 8h씩 3회) : 1개월 이상 안정
안정성 평가 측정 결과, 표 2 ~ 표 5 와 같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하였으며, 이를 통해 나노에멀젼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2는 상온(25℃)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 평가이고, 표 3은 고온(40℃)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 측정 결과이다. 그리고, 표 4는 냉장(5℃)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 측정 결과이며, 표 5는 다양한 온도 변화(cycle=-5℃, 25℃, 45℃, 각 8시간씩 3회) 조건에서의 제형 안정성 측정 결과이다.
항 목 평가기준 최초시험 1개월 2개월 3개월
성 상(변색) 변화가 없을 것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취 변취가 없을 것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이취 이취가 없을 것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층분리 분리되지
않을 것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항 목 평가기준 최초시험 1개월 2개월 3개월
성 상(변색) 변화가 없을 것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취 변취가 없을 것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이취 이취가 없을 것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층분리 분리되지
않을 것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항 목 평가기준 최초시험 1개월 2개월 3개월
성 상(변색) 변화가 없을 것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취 변취가 없을 것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이취 이취가 없을 것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층분리 분리되지
않을 것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항 목 평가기준 최초시험 1개월
성 상(변색) 변화가 없을 것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취 변취가 없을 것 변취가 없음 변취가 없음
이취 이취가 없을 것 이취가 없음 이취가 없음
층분리 분리되지 않을 것 분리되지 않음 분리되지 않음
실험예 3 :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피부결 개선, 피부각질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피부결 개선 효과 여부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의 거칠기 평가를 위해 Antera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촬영,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 영역을 지정하여 평균거칠기(Average roughness,Ra)를 분석하여 측정 값이 감소할수록 피부거칠기가 개선됨을 의미한다.
피부 각질 측정은 Visioscan VC98(Courage-Khazaka eletronic GmbH, German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특수 필름(Corneofix)을 이용하여 각질을 채취한 후, Visioscan VC98 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측정값 D.I(Desquamation Index)를 피부 각질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 값이 감소할수록 개선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로부터 수득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제 피부에 도포 시,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스코스캔(Viscoscan)을 이용하여 3주간 동안 측정하고, 피부결 개선 효과 측정 결과값을 표 6 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SEsm) 비교예 1(SEsm)
0일 18.21 18.05
7일 22.50 21.98
14일 26.87 25.48
21일 30.98 26.45
실시예 1 은 피부결개선 효과가 각각 70.1%로 우수하였고, 사용감 또한 우수하여 피부결 개선 화장료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 은 피부결 개선 효과가 46.5%로 효과가 미미하였다.
실험예 4 :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경피수분손실량, 피부 수분량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경피수분손실량 및 피부 수분량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1주 후, 제품 사용 4주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은 Tewameter   TM300 (C+K,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측정기기는 개방 챔버내의 diffusion 원리에 기초하고 있으며, probe의 온도와 습도 sensor가 측정 부위의 단위 면적당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증발량(g/h㎡)을 측정하였다. 각 평가 시점에서 시험 부위를 측정한 후 10~60초 사이에 안정화되는 구간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Corneometer CM825 (C+K,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아였다. 각질층내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장비로써, 피부의 수분량이 높을수록 기기내 도체의 전기 용량(capacitance)이 증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나타낸다. 측정은 시험부위를 각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경피수분손실(TEWL)과 피부수분함유량(Capacitance, AU) 측정 방법은 측정 부위를 표시하고, 피부각질을 파괴하기 전 TEWL과 Capacitance 측정하고 3M tape을 사용하여 50회 stripping을 수행하고 TEWL과 Capacitance를 측정하였다.
24시간 지난 뒤 의료기기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시료를 피부에 도포하고 4주 간 동안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코니오미터(Corneometer)를 이용하여 각질층의 수분량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보습 효과 측정 결과를 표 7 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corneometer value) 비교예 1(corneometer value)
0일 38.96 38.43
7일 47.82 44.53
14일 56.09 47.10
21일 58.98 50.43
28일 61.59 51.33
표 7에서 보듯이 실시예 1 의 보습 개선 정도는 58.1%로 보습효과가 우수하였고 끈적이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비교예 1의 보습 개선 정도는 33.6%로 보습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1 보다 효과가 미미하였다. 피부 보습 효과가 비교예 1 보다 실시예 1 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의 측정 결과로 경피수분손실량 감소와 피부수분량의 증가가 확인되어 피부 상태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가려움 및 피부염 개선 효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를 각각을 아토피 질환을 갖는 지원자를 10명을 대상으로 팔의 안쪽 부분에 매일 3회 도포 후, 10일 경과 시점에서 효과를 5점 척도(효과가 우수 할수록 5점)로 평가하였고, 가려움 및 피부염 개선 효과 측정 결과를 아래 표 8 에 나타내었다.
구분(n=10, 5점 척도) 실시예 1 비교예 1
가려움 개선 효과 4.3 2.5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4.5 2.8
상기 표 8 의 측정 결과를 보면, 아토피 개선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 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지속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가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내지 개선 효과가 우수하면서, 보습성, 피부결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에멀젼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삭제
  2. 나노에멀젼 제형의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로서,
    수상, 유화제, 유화안정제, 오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에멀젼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고,
    상기 수상은 세라마이드; 카퍼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및 카르노신(Carnos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및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며,
    후코이단 혼합물은 후코이단 성분과 메타쉐콰이어 추출물과의 혼합물로 2.00 ~ 5.0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은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은 상기 세라마이드 2.00 ~ 5.00 중량%, 상기 기능성 펩타이드 0.01 ~ 30.00 중량%, 후코이단 혼합물 2.00 ~ 5.00 중량% 및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유화제 1.0 ~ 5.0 중량%, 상기 유화안정제 0.1 ~ 5.0 중량%, 상기 오일 1.0 ~ 7.0 중량%, 상기 점증제 1.0 ~ 3.0 중량% 및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잔량의 상기 수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화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고압 유화기(Microfluidizer)에 투입한 후, 500 ~ 2,000 bar 및 20 ~ 40℃ 조건에서 고압 유화 처리하여 나노에멀젼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세테아레스-20(Ceteareth-20),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산(Polyhydroxystearic Acid), 레시틴(Lecithin),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릭산(Isostearic Acid),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레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 라우릴-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및 PEG-10 디메티콘(PEG-10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유화안정제는,
    수소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Stearyl Acrylate/ 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메칠트리메티콘(Methyl Trimethicon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페틸실록시 페닐 트리메티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비스-PEG-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레인(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카보머(Carbomer), 디메티콘(Dimethicone), 디메티콘/바이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의 제조방법.
  11. 수상, 유화제, 유화안정제, 오일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은 세라마이드; 카퍼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및 카르노신(Carnos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능성 펩타이드; 후코이단 혼합물; 및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며,
    후코이단 혼합물은 후코이단 성분과 메타쉐콰이어 추출물과의 혼합물로 2.00 ~ 5.0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캘러스 배양추출 혼합물은 연꽃캘러스 배양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델바이스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다마스크장미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포도캘러스 배양추출물 80 ~120 중량부, 풍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선인장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녹차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신선초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 쌀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 및 레드맹그로브캘러스 배양추출물 80 ~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KR1020220148576A 2022-11-09 2022-11-09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76A KR102543029B1 (ko) 2022-11-09 2022-11-09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576A KR102543029B1 (ko) 2022-11-09 2022-11-09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029B1 true KR102543029B1 (ko) 2023-06-13
KR102543029B9 KR102543029B9 (ko) 2024-01-11

Family

ID=8676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576A KR102543029B1 (ko) 2022-11-09 2022-11-09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2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965B1 (ko) 2002-08-29 2006-01-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8504A (ko) * 2013-03-29 2014-10-08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947B1 (ko) 2015-03-18 2015-07-1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3551A (ko) * 2014-10-13 2016-04-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9408A (ko) * 2015-07-17 2017-01-25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8916B1 (ko) * 2018-08-30 2020-05-13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3125A (ko) * 2019-03-20 2020-10-06 (주)캣뷰티 항노화, 항산화, 피부 재생 및 피부 면역을 위한 식물 컴플렉스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4537A (ko) * 2021-04-20 2022-10-27 한순생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965B1 (ko) 2002-08-29 2006-01-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신규한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8504A (ko) * 2013-03-29 2014-10-08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551A (ko) * 2014-10-13 2016-04-22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947B1 (ko) 2015-03-18 2015-07-1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9408A (ko) * 2015-07-17 2017-01-25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8916B1 (ko) * 2018-08-30 2020-05-13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3125A (ko) * 2019-03-20 2020-10-06 (주)캣뷰티 항노화, 항산화, 피부 재생 및 피부 면역을 위한 식물 컴플렉스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4537A (ko) * 2021-04-20 2022-10-27 한순생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 Ju Ryu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ucoidan with Blocking NF-κB and STAT1 in Human Keratinocytes Cells." Natural Product Sciences (2015), Vol. 21(3), pp. 205-2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029B9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4302B (zh) 水溶性富勒烯外用组合物
US7807625B2 (en) Anti-wrinkle composition
AU2002325856B2 (en) Agent containing fat (oil), which contains onion extract,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for caring, preventing or treating damaged skin tissue, especially scarred tissue
EP2536418B1 (en)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
TW592714B (en) Composition to enhance permeation of topical skin agents
EP2174648B1 (en) Skin-car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18196482A1 (zh) 护肤化妆品组合物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EP2395966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zur hautpflege
KR101427572B1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JP2002363054A (ja) フィラグリン合成促進剤、角質層保湿機能改善・増強剤および角質層遊離アミノ酸量増加剤
KR102078667B1 (ko)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및 스테아린산이 히알루론산-세라마이드 엔피 복합체의 내상에 봉입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05030864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zur Verbesserung der Hautfeuchtigkeit
KR102543029B1 (ko)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100592A1 (de) Kosmetikum mit Anti-Alterungswirkung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202112351A (zh) 局部組成物及其相關方法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1334A (ko) 양까막까치밥나무열매(블랙커런트) 추출물과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탄력 개선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주름탄력 개선 화장품
KR102593587B1 (ko)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풋케어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EP1676561A2 (de) Ein biokatalytisches Mehrphasensystem enthaltende Zubereitungen sowie deren Anwendung
KR100733334B1 (ko)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