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408A -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408A
KR20170009408A KR1020150101413A KR20150101413A KR20170009408A KR 20170009408 A KR20170009408 A KR 20170009408A KR 1020150101413 A KR1020150101413 A KR 1020150101413A KR 20150101413 A KR20150101413 A KR 20150101413A KR 20170009408 A KR20170009408 A KR 20170009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eight
water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584B1 (ko
Inventor
김은종
홍재화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멜라(Lamella) 구조의 수계 액정 겔이 함유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가 함유된 유상부가 유화되어, 상기 수계 액정 겔의 라멜라(Lamella) 구조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가 혼재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멜라 구조와 혼재된 다중액정 입자 구조는 피부의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로서 피부친화성이 우수하고,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테릴 유도체와 생체 모방수, 펩타이드 혼합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사용감이 산뜻하고 끈적임이 남지 않으면서 보습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OF OIL IN WATER TYPE WHTH SKIN IMPROVEMENT USING CERAMAIDE-PHYTOSTEROL DERIVATIVES LIQUID CRYSTAL GEL HYDROLYTIC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유화된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가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에는 수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한 피부에는 외부 손상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지속적인 외부자극에 의해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져, 피부 탄력성의 감소 및 주름 생성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피부 노화는 피부의 보습력 감소 및 재생(turn over)기능 상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 (matrix) 내의 콜라겐 (collagen), 뮤코다당류 (mucopolysaccharide)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acid)의 양은 줄어드는 반면, 불용성 콜라겐의 양은 증가하므로,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가 거칠어진다. 이와 더불어, 나이가 들면 피지샘 및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막이 적당히 생성되지 못해 피부 보습을 위한 보호능력이 상실되고, 결국에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투명성을 잃게 되며,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된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노화 뿐 아니라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건조함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여, 보습 및 피부개선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피부의 각질층 중에는 NMF(Natural Moisturizing Factor)라고 하는 친수성 흡습 물질이 존재하며, 이들과 결합 하여 수분 유출을 방지하는 세포간 지질이나 피지 등의 유성성분과 진피 내의 뮤코 다당류 성분 등이 보습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여러가지 화장료 조성물들은 오일, 당,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고자 노력해왔다.
예컨대, 보습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각종 각질층의 지질 성분들은 난용성이어서 이들을 화장품 제형에 다량으로 함유되도록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화기법은 수중유형(O/W type; Oil in water type), 유중수형(W/O type; Water in oil type), 수중유중수형(W/O/W type) 및 액정유화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 있어서,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에 보습력을 오랫동안 지속시키고,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산뜻한 사용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하며, 이에 피부에 유분감보다는 수분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수중유형(O/W type)타입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수중유형(O/W type) 유화기법은 당업계에서 가볍고 산뜻하며 수분감이 우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함량의 보습제를 함유하였을 때에는 분산상인 오일을 둘러싸고 있는 계면이 대부분 단일막(Mono layer)으로 형성되어 오일성분이 수상으로부터 탈리되고 고온에서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오일성분의 탈리현상으로 사용감이 끈적이고 무거워지며, 공정의 온도 및 팽윤 정도에 따라 실제 물성상에 큰 차이를 나타내 상업적으로 적용하기에 많은 제약이 있다.
국제특허 공개번호 WO2008/072507에는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테롤을 포함하는 유중수형(W/O type) 유화제 형태의 피부 외용제가 기재되어있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11226에는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유사 각질 지질 라멜라층을 포함하는 다층 라멜라 과립을 기재하고 있는 등 세라마이드를 피부층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테롤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면서도, 수중유형의 유화기법을 이용하여 산뜻한 사용감과 우수한 수분감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 모방수와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와 피토스테릴 유도체와 액정형 유화제가 라멜라 액정 구조로 수화된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중유형의 보습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설계함으로써, 피부 개선 효과와 보습이 우수하고 끈적임이 적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멜라(Lamella) 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유화된 것으로서,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보습력이 우수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가 혼재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형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유화시켜 상기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형성하고,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유화시켜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된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유화되어, 상기 수계 액정 겔의 라멜라 구조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여 상기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상부는 생체모방수 1 내지 30중량%, 펩타이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 정제수에, 액정형 유화제 0.6 내지 4 중량%, 보습제 5 내지 20중량% 및 점증제 0.1 내지 1.0중량%가 유화된 것이다.
상기 생체 모방수는 미네랄,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인지질 등으로 구성된 체액 모방수이고,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은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 아세틸디펩타이드-1 세틸에스터, 아세틸트리펩타이드-1, 카퍼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 디펩타이드2,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8, 올리고펩타이드-29,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아미노산 개수가 서로 다른 펩타이드 성분으로 선택된 혼합형태이다.
상기 수상부의 액정형 유화제는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가 배합된 것이다.
상기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화된 라멜라(Lamella) 구조의 수계 액정 겔이 크림 제형이다.
상기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유상부는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자가유화형 유화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조유화제 0.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2,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포스포리피드, 포타슘 C11-15 알킬포스페이트의 피부 인지질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인 것으로 한다.
상기 피토스테릴 유도체는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에 피토스테릴과 옥틸도데실기가 부가된 세라마이드 유사구조를 가지는 유도체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유상부에 비극성 오일 1.0 내지 10,0 중량% 및 실리콘오일 1.0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에몰리언트제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모방수 1 내지 30중량%, 펩타이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 정제수에, 액정형 유화제 0.6 내지 4 중량%, 보습제 5 내지 20중량% 및 점증제 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한 수상부를 유화시켜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형성하고, 상기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자가유화형 유화제 0.1 내지 2.0 중량%, 보조유화제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하여 유화시켜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된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액정 겔의 라멜라 액정 구조가 피부의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적다.
또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끈적이는 불쾌감을 최소화하여 사용감이 가볍고, 생체 모방수, 펩타이드 혼합물, 세라마이드 복합체 및 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여 보습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노화완화,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눈꺼풀 처짐 개선, 팔자 주름 개선, 다크 서클 완화, 안면 리프팅 효과, 멜라닌 감소 효과, 피부 투명도 개선, 피부 장벽 강화, 진피 친밀도 개선, 피부결 개선, 보습 개선, 피부 두께 개선이 우수하며 크림 유형 제형의 반투명 성상을 가지는 고보습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편광현미경의 측정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라멜라 구조로 수화된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한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 구조의 수계 액정 겔이 피부개선의 유용성분을 안정화하고, 세라마이드 복합체와 피토스테롤 유도체가 포함된 라멜라 액정 겔 구조로서, 피부의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해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며 피부자극이 적고 사용자로 하여금 끈적이는 불쾌감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액정 겔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가 유화된 것으로서,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에 생체 모방수, 펩타이드 혼합물, 액정형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습제 및 점증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상부의 생체 모방수(Biomimetic Water)는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하여 체액과 유사한 미네랄,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인지질 등으로 구성된 모방수이다. 체액은 신체의 구조와 형태를 유지하고 세포 대사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며, 물질 수송의 매체가 되는데, 이의 구성성분과 유사한 모방수를 이용함으로써, 정제수보다 피부 흡수력이 우수하고 세포 전달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생체 모방수의 바람직한 함량은 1 내지 30.0 중량%로서, 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0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상부의 펩타이드 혼합물은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 아세틸디펩타이드-1 세틸에스터, 아세틸트리펩타이드-1, 카퍼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 디펩타이드2,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8, 올리고펩타이드-29,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 등의 아미노산 개수가 서로 다른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간의 혼합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위한 연구 중에 아미노산 수가 다른 각각의 기능을 가진 펩타이드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시너지 효과에 의해 피부 개선효과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펩타이드 혼합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0.1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용량에 대비한 그 효과의 상승폭이 크지 않다.
상기 수상부의 액정형 유화제는 친수성 유화제와 친유성 유화제가 혼재된 물질로,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가 배합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액정형 유화제는 0.6 내지 4.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6 중량% 미만이면 수중유형(O/W type)유화에서 연속상인 수상부에 라멜라 액정을 제대로 형성할 수 없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수계 액정 겔의 형성으로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안정성이 좋지 않아 제형의 특성을 와해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상부에 포함되는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젖산나트륨, 2-피롤리돈-5-카르본산나트륨, 히아루론산나트륨, 프룩토올리고사카라이드, 락토스, 말토스,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1,2-헥산디올 등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1,2-부틸렌글리콜, 판티올 등의 폴리올류, 라피노스, 베타인, 글리신 등의 보습효과가 있는 기타 성분 또는 그들간의 혼합형태에서 선택사용되는 것이다. 보습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5.0 내지 20.0 중량%이다.
상기 수상부에 함유되는 성분 중 점증제는, 점도조절을 위한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보머, 구아검, 잔탄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에서 선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증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0.1 중량% 미만이면 점도형성에 미흡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상승으로 인한 제형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하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첨가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되도록 한, 고보습 수중유형(O/W type)으로 제공된다.
상기에서 유상부에 형성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의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자가유화형 유화제 0.3 내지 1.5 중량% 및 보조유화제 0.4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 형태로 제공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수득된 다중액정 입자의 크기는 0.1 내지 0.5μm 정도의 균일하고 조밀한 입자를 가지는 다중액정 입자로 확인된다.
상기 유상부에서 피토스테릴 유도체는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에 피토스테릴과 옥틸도데실기를 부가시켜 만들어진 성분으로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며, 손상된 피부의 재생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부 친화력이 우수하여 피부 퍼짐성이 매우 좋고, 마무리가 촉촉한 것이 특징이다. 피토스테릴 유도체는 유상부에 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심해져 사용감이 좋지 않다.
피토스테롤은 물, 유지 어디에도 잘 용해되지 않는 물리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어, 피토스테롤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피토스테릴 유도체를 사용한다. 또한 피토스테릴 유도체를 사용할 경우 액정 형성에 도움을 주며 피부 구조와 유사한 계면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부착감을 좋게 하고 수분을 잡고 있는 능력이 높아 수분 유지에 도움을 준다.
상기 유상부의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2,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포스포리피드, 포타슘 C11-15 알킬포스페이트의 천연 세라마이드 및 피부 인지질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의 혼합물로서, 피부 도포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복원 등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 바람직한 함량은 유상부에 0.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0.01 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이 심해져 사용감이 좋지 않다.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는 단일 세라마이드가 아닌 세라마이드, 그 전구체 및 피부 인지질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의 성분에 따른 각각의 효과를 모두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상부의 자가유화형 유화제는 친유성 및 친수성 성분이 결합된 것으로, 친유성 및 친수성 성분이 결합된 공지의 자가유화형 유화제에서 선택 및 사용 될 수 있다. 그 예로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75 스테아레이트/세테스-20/스테아레스-20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부에 함유되는 보조유화제는 로션, 에센스, 크림 등과 같은 제품을 개발할 때 사용되는 물질로서, 많은 종류의 오일들을 유화시켜 안정화 할 때, 형성되는 액정입자의 크기를 작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공지의 보조유화제에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솔베이트 20 (Polysorbate 20), 폴리솔베이트 60 (Polysorbate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유화제는 0.5 내지 3.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중량% 미만이면 계면액정입자의 크기 및 균일도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액정형성을 방해하여 일반 단일층(Mono layer)를 형성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상기 유상부에는 에몰리언트제 5.0 내지 25.0 중량%가 더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제는 보습 화장료에 적합하도록 보습력이 있으면서 사용후 산뜻하고 끈적임이 없고 액정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5.0 내지 1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수중유형(O/W type)유화를 형성하기 어렵고, 15.0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분산상의 존재로 계면액정이 견고하지 못하고, 그 크기 또한 커져서 제형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없으며, 끈적임이 심한 사용감의 문제가 있다.
상기 에몰리언트제는 바람직하게는 비극성오일 1.0 내지 10.0 중량% 및 실리콘오일 1.0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비극성오일은 스쿠알란, 미네랄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C14 올레핀),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실리콘 오일로는 사이클로 메치콘, 디메치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제품보존 목적으로 통상의 방부제가 0.1 내지 1.0 중량% 더 함유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에 형성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의 복합체와 수상부에 형성된 수계 액정 겔로 이루어진 고보습 수중유형(O/W type)타입으로서, 액정형 유화제로 인한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의 라멜라 액정구조가 피부의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사용자로 하여금 끈적이는 불쾌감을 최소화하며 사용감이 가볍고, 보습력이 우수하고, 노화완화, 피부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눈꺼풀 처짐 개선, 팔자 주름 개선, 다크서클 완화, 안면 리프팅 효과, 멜라닌 감소 효과, 피부 투명도 개선, 피부 장벽 강화, 진피 친밀도 개선, 피부결 개선, 보습 개선, 피부 두께 개선이 우수하며 크림 유형 제형의 반투명 성상을 가지는 고보습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생체모방수,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한 정제수에 액정형 유화제, 보습제 및 점증제가 함유된 수상부를 70 내지 78℃에서 균일화하고,
2) 상기 수상부를 진공유화조 내에서 2,000내지 3,000rpm의 회전속도 교반에 의해 1차 유화시켜 벌키한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형성하고,
3) 자가유화형유화제 0.1 내지 2.0 중량%, 보조유화제 0.5 내지 3.0 중량% 및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를 70 내지 78℃로 가온하여 유상부를 균일화하고,
4) 상기 단계 2)의 수상부에, 단계 3)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진공유화조 내에서 2,500 내지 3,500rpm의 회전속도 교반에 의해 2차 유화시켜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된 라멜라(Lamella)상태의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 상기 제조방법에서, 수득된 다중액정 입자를 40 내지 45℃로 냉각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단계 1) 은 수상부를 균일하게 조제하는 단계로서, 보습제, 점도조절을 위한 폴리머로 이루어진 점증제 및 액정형 유화제는 상기의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과 성분 및 함량이 동일하다.
단계 2)에서 형성된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은 피부의 각질층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피부친화성이 우수한 덕분에 보습효과가 촉진된다. 즉, 라멜라(Lamella)구조는 인지질로 구성된 일종의 판막구조의 유화형태이고, 유상부와 수상부가 차례로 블록을 쌓아놓은 상태로서, 수분층(수상부)과 오일층(유상부)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어 상층의 수분층(수상부)이 휘발되어도 바로 다음층의 오일층(유상부)이 아래층의 수분층을 보호하기 때문에, 피부 도포시 계속하여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생체모방수와 펩타이드 혼합물과 피토스테릴 유도체, 세라마이드 복합체를 함유할 때에도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 형성에 의해 크림 형상에 적절한 점도, 경도 및 제형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단계 3)은 유상부를 균일하게 조제하는 단계로서, 피토스테릴 유도체, 세라마이드 복합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 에몰리언트제는 상기에서 기술한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과 성분 및 함량이 동일하다.
단계 4)는 수중유화로서 유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2차 유화시의 회전속도는 1차 유화시보다 높은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수행하여, 균일하고 조밀한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수득된 다중액정 입자를 45 내지 50℃로 냉각시키는 단계와, 안정화된 계면 액정에 최종적으로 방부처리를 하여 35℃까지 냉각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에 하기 표 1에 제시된 수상부의 조성 및 함량을 투입하고 78℃ 에서 가온, 용해하여 균일화 하였다. 상기 균일화된 수상부에 액정형 유화제를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25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1차 유화시켜 벌키(Bulky)한 라멜라(Lamella)상태의 수계 라멜라 액정 겔을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가온과 교반이 가능한 유상 용해조에 하기 표 1에 제시된 유상부의 조성 및 함량을 투입하고 78℃에서 가온, 용해하여 균일화하였다.
상기 수상부가 들어있는 진공 유화조에 준비된 유상부를 투입하고, 온도를 78℃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3,000rpm의 속도로 8분간 교반하여 2차 유화시켜 라멜라(Lamella)상태의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된 다중액정입자를 형성하였다.
이를 47℃에서 패들(Paddle)을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의 다중액정 입자가 안정화되면서 0.1 내지 0.5㎛ 정도의 균일하고 조밀한 입자를 형성시켰다.
이후, 상기 수득된 다중액정 입자를 방부처리하고 35℃까지 냉각하여, 최종적으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의 복합체와 수계 액정 겔을 형성시킨 고보습 수중유형(O/W type; Oil in water type)타입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8>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제시된 조성 및 그 함량으로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의 복합체와 수계 액정 겔을 형성시킨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크림으로 적합한 성상과 사용감을 보였다. 또한, 수분을 포집한 폴리머 입자 주변에서 다중액정 입자 형성이 양호하고, 그 입자 사이즈도 약 0.1 내지 0.5㎛ 정도의 균일하고 조밀한 형태로 형성되었다. 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교예 1과 같이 액정형 유화제의 함량이 0.4 중량%인 경우, 연속상인 수상부에 라멜라 구조의 액정 겔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여 제형의 점도도 낮을 뿐만 아니라 고온인 50℃와 실온인 25℃에서도 서서히 경도 하락 현상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상기 비교예 2와 같이 액정형 유화제의 함량이 5.0 중량%인 경우, 수상부 내에 과도한 액정 겔이 형성되어 입자 형성이 불균일하고 경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성상 및 사용감이 불량하여 제조 과정에서 점도가 높아 유화가 어렵고 50℃의 고온 조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경도가 상승하였다.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중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중량% 함유한 것으로서, 세라마이드 복합체의 함량이 매우 적어 피부 지질의 피부 장벽 복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비교예 4에서 세라마이드 복합체함량이 5.0 중량%이면, 세라마이드 특유의 뻣뻣한 사용감으로 인해 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피부 도포시 만족감이 좋지 않다.
상기 비교예 5의 경우 수상부의 점증제의 함량을 0,01 중량%로 하면 수상부 내에서 생체모방수와 물의 유동성을 잡아주지 못하게 되어 점도 형성이 되지 않아 벌키(Bulky)한 라멜라(Lamella)상태의 수계 라멜라 액정 겔을 제조하지 못하게 되어 제형의 점도도 낮을 뿐만 아니라 고온인 50℃와, 실온인 25℃에서도 서서히 경도 하락 현상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비교예 6의 경우 수상부의 점증제의 함량을 2.0 중량%로 하면 수상의 과도한 점증으로 인해 유동성이 떨어지고 유상부를 원활히 유화시킬 수 없어 온전한 라멜라(Lamella) 상태의 제형을 만들 수 없었다.
비교예 7에서 제조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중 피토스테릴 유도체의 함량이 0.01 중량%인 것으로서, 피토스테릴 유도체의 함량이 매우 적어 피부 지질의 피부 장벽 복원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비교예 8에서 피토스테릴 유도체의 함량이 4.0 중량%인 경우 피토스테릴 유도체 특유의 끈적한 사용감으로 인해 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 피부 도포시 만족감이 좋지 않다.
< 실험예 1> 피부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의 크림 제형으로 2주에서 4주 동안,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 3번 적당량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눈가 주름 개선, 눈꺼풀 처짐 개선, 팔자 주름 개선, 목 주름 개선, 피부결 개선, 볼 부위 탄력 개선, 눈꺼풀 탄력 개선, 피부 두께 개선, 보습 개선, 팔자주름부위 주름 깊이·면적·개수 개선, 피부 장벽 강화, 보습 지속력 150시간, 피부 저자극 테스트 완료, 눈가 다크서클 완화, 멜라닌 감소, 피부 투명도 증가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3].
본 발명의 수중유형의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생체 모방수와 펩타이드 성분을 함유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와 액정형 유화제가 라멜라 구조로 수화된 수계 액정 겔을 함유하고,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유화시켜,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보조유화제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와 피토스테릴 유도체의 라멜라 액정구조가 피부의 각질층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친화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적고 사용자에게 끈적이는 불쾌감을 최소화하여, 사용감이 가볍고 보습력이 우수하며 눈가주름 개선, 눈꺼풀 처짐 개선, 팔자 주름 개선, 목 주름 개선, 피부결 개선, 볼 부위 탄력 개선, 눈꺼풀 탄력 개선, 피부 두께 개선, 보습 개선, 팔자주름부위 주름 깊이·면적·개수 개선, 피부 장벽 강화, 보습 지속력 150시간, 피부 저자극 테스트 완료, 눈가 다크서클 완화, 멜라닌 감소, 피부 투명도 증가의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는 크림 유형 제형의 피부 개선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이 함유된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가 함유된 유상부가 유화되어, 상기 수계 액정 겔의 라멜라(Lamella)구조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피토스테릴 유도체, 자가유화형 유화제 및 보조유화제로 이루어진 다중액정 입자가 혼재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가 생체모방수 1 내지 30중량%, 펩타이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 정제수에, 액정형 유화제 0.6 내지 4 중량%, 보습제 5 내지 20중량% 및 점증제 0.1 내지 1.0중량%가 유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모방수가 미네랄,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 인지질 등으로 구성된 체액 모방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이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 아세틸디펩타이드-1 세틸에스터, 아세틸트리펩타이드-1, 카퍼트리펩타이드-1,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 디펩타이드2,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1, 올리고펩타이드-28, 올리고펩타이드-29,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디펩타이드디아미노부티로일벤질아마이드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아미노산 개수가 서로 다른 펩타이드 성분으로 선택된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형 유화제가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가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된 라멜라(Lamella) 구조의 수계 액정 겔이 크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가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자가유화형 유화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조유화제 0.5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져 다중액정 입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 복합체가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2, 콜레스테롤, 피토스핑고신, 포스포리피드, 포타슘 C11-15 알킬포스페이트의 피부 인지질 구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테릴 유도체가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에 피토스테릴과 옥틸도데실기를 부가된 세라마이드 유사구조를 가지는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에 비극성오일 1.0 내지 10.0 중량% 및 실리콘오일 1.0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에몰리언트제가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11. 1) 생체 모방수 1내지 30 중량%, 펩타이드 혼합물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 정제수에, 액정형 유화제 0.6 내지 4 중량%, 보습제 5 내지 20중량% 및 점증제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한 수상부를 유화시켜 라멜라(Lamella)구조의 수계 액정 겔을 형성하고,
    2) 상기 수상부에 세라마이드 복합체 0.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테릴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자가유화형 유화제 0.1 내지 2.0 중량% 및 보조유화제 0.5 내지 3.0 중량%를 함유한 유상부를 투입하여 유화시켜 수계 액정 겔과 혼재된 다중액정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 공정 이후 40 내지 45℃로 냉각하는 공정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01413A 2015-07-17 2015-07-17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13A KR101787584B1 (ko) 2015-07-17 2015-07-17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13A KR101787584B1 (ko) 2015-07-17 2015-07-17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08A true KR20170009408A (ko) 2017-01-25
KR101787584B1 KR101787584B1 (ko) 2017-11-15

Family

ID=5799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413A KR101787584B1 (ko) 2015-07-17 2015-07-17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5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670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3776B1 (ko) * 2017-08-16 2018-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올레아놀릭산 및 살비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852972A (zh) * 2018-08-20 2018-11-23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一种天然护肤精华液及其制备方法
WO20191432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029B1 (ko) * 2022-11-09 2023-06-13 (주)젠퓨어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3587B1 (ko) * 2022-10-12 2023-10-24 (주)젠퓨어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풋케어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864B1 (ko) 2022-08-17 2023-04-19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표피-진피 접합부를 강화하는 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670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3776B1 (ko) * 2017-08-16 2018-08-31 한국콜마주식회사 올레아놀릭산 및 살비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03194A1 (ko) * 2017-08-16 2019-05-31 한국콜마주식회사 올레아놀릭산 및 살비아놀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432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라마이드가 고함량 함유된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60007B2 (en) 2018-01-19 2022-03-0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8852972A (zh) * 2018-08-20 2018-11-23 广州无添加主义化妆品有限公司 一种天然护肤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593587B1 (ko) * 2022-10-12 2023-10-24 (주)젠퓨어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풋케어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43029B1 (ko) * 2022-11-09 2023-06-13 (주)젠퓨어 아토피 피부질환 예방 및 개선용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84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584B1 (ko) 세라마이드-피토스테롤 유도체 액정 수화 기술을 이용한 수중유형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3741353B1 (en) Method of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containing high content of ceramide
US20050232953A1 (en) Microemulsions having a binary phase differentiability and active substance differentiability,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ir use, particularly for the topical supply of oxygen
EP2324813B1 (en) Cosmetic base comprising collagen-modified liposome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2621B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91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11006374A (ja) 化粧品
JPH07256085A (ja) ポリオールを含有する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050055114A (ko)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642636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2526814A (ja) 保湿持続化粧用組成物
KR101507891B1 (ko) 액정 겔 수화기술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유연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27063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smetic applications
JP2021088523A (ja) 皮膚化粧料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4131401A (ja) 皮膚化粧料
KR101838983B1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310008B2 (ja) 化粧料
KR100858626B1 (ko) 세라마이드 및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35296A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JPH09132512A (ja) ステロール脂肪酸エステルのラメラ構造体
KR20200064612A (ko) 안정도가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