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215A -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215A
KR20060130215A KR1020067018860A KR20067018860A KR20060130215A KR 20060130215 A KR20060130215 A KR 20060130215A KR 1020067018860 A KR1020067018860 A KR 1020067018860A KR 20067018860 A KR20067018860 A KR 20067018860A KR 20060130215 A KR20060130215 A KR 2006013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xtract
polyoxyethylene
water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요네다
나오코 이토
카즈오 후루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 및 그 유사화합물 0.1~5질량%, (B)크산탄검 0.05~1.5질량%, (C)오일성분 및 (D)물을 함유하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산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에 적합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로서, 환경적합성, 생체안전성과 더불어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 외용제 및 화장품{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COSMETICS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 및 크산탄검을 함유하고, 환경적합성 및 생체안전성 뿐만 아니라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선한 사용감을 주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화장품, 의약외품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화물은 열에 불안정하여, 안정하게 유화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외상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자주 사용된다.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경우에, 크산탄검, 로커스빈검, 구아검 및 카라기난 등의 천연 수용성 폴리머, 및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및 알킬 변성 아크릴산/메타크릴산의 코폴리머 등의 합성 수용성 폴리머는 외상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화화합물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과 저자극성 뿐만 아니라 환경적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생체안전성과 환경적합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석유를 출발원료로 포함하는 합성 수용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재료에서 유래된 수용성 폴리머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이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사용하는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2000-327591호 공보(WO99/62482),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6211(WO03/13446), 일본 특허공개 제2003-958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3-1244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3-277220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2003-27725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는 유화성능이 불충분하거나 안정한 유화물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적합성 및 생체안전성 뿐만 아니라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 및 크산탄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합성 수용성 폴리머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우수한 유화성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환경적합성 및 생체안전성 뿐만 아니라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항목에 관한 것이다.
1.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 0.1~5질량%, (B)크산탄검 0.05~1.5질량%, (C)오일성분 및 (D)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의 함량이 25~7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량이 15~5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4.상기 1에 있어서, 상기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은 서팩틴, 그 유사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서팩틴 또는 그 유사화합물은 식(1)으로 나타낸 화합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1
(식에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알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통상 탄소수 8~14의 알킬기, 탄소수 8~14의 이소알킬기 또는 탄소수 8~14의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낸다).
6. 상기 5에 있어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의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7.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염은 소디움염, 포타슘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알기닌염 및 리신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8.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은 소디움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크릴산계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12.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리포펩티드 화합물로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0-327591호 공보(WO99/62482)에 기재된 Bacillus subtilis 등의 Bacillus종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팩틴염 및 그 유사화합물의 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서팩틴은 식(1)으로 나타낸 화합물: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2
또는 식(1)으로 나타낸 화합물을 2종 이상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식(1)에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알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X는 류신잔기, 이소류신 잔기 또는 발린잔기이다.
R은 통상 탄소수 8~14의 알킬기, 탄소수 8~14의 이소알킬기 또는 탄소수 8~14의 안테이소알킬기이다. 통상 알킬기는 직쇄상 알킬기이고; 상기 이소알킬기는 통상 (CH3)2CH-(CH2)n-를 함유하는 구조를 갖고; 상기 안테이소-이소알킬기는 통상 CH3-CH2-CH(CH3)-(CH2)n-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서팩틴의 유사화합물은 상기 식(1)에서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아미노산을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화합물로는 2번째 아미노산인 L-류신, 4번째 아미노산인 L-발린 및/또는 6번째 아미노산인 D-류신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서팩틴 또는 그 유사화합물"은 "서팩틴"으로 칭해도 좋다.
서팩틴은 상기 식(1)으로 나타낸 화합물의 무기산염 또는 유기산염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이온으로 사용되는 금속은, 예를 들면 소디움, 포타슘 및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은 서팩틴과 염을 형성하는 것이면 임의의 종류이어도 좋다.
유기염으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리신, 알기닌 및 콜린의 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소디움, 포타슘,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리신 및 알기닌의 염이 바람직하고, 소디움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디움 서팩틴으로는 상품명 Aminofect(SHOWA DENKO K.K의 등록상표)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양은 0.1~5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8~3질량%이다. 상기 양이 0.1질량% 미만인 경우, 상기 조성물의 안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화합물이 5질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과잉 사용량에 비례하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없다.
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배경기술"에 기재된 일본 특허공개 제2000-327591호 공보(WO99/62482), 일본 특허공개 제2003-176211호 공보(WO03/013446), 일본 특허공개 제2003-958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3-1244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3-277220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2003-277250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크산탄검과 조합하여 사용하면, 합성 수용성 폴리머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유화성능을 얻을 수 있고, 환경적합성 및 생체안전성 뿐만 아니라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 처음 상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크산탄검(B)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피부외용제용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면 임의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산탄검의 바람직한 예로는 DAINIPPON PHARMACEUTICAL CO.,LTD에서 시판되는 Echo Gum, Echo Gum T 및 Echo Gum BT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크산탄검의 배합량은 0.05~1.5질량%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0.7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4질량%이다. 크산탄검의 양이 0.05질량% 미만이면, 유화조성물의 충분한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 크산탄검의 양이 1.5질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오일성분(C)을 함유한다. 오일재료는 물과 임의로 혼합되지 않는 것이면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천연지방유, 지방산, 고급알콜,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에스테르 및 실리콘오일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성분의 총배합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 25~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물(D)을 함유한다. 물은 잔분으로 함유되어 있고, 물의 함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15~55질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50질량%이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종래에 통상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아크릴산계 수용성 폴리머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이러한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의 조제하는 경우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아크릴산계 수용성 폴리머를 첨가하거나 이러한 성분을 첨가하지 않아도 좋다.
여기에서 말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10) 알킬(12,13)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7,12) 알킬(12~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sec-알킬(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10,20) 이소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아라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34)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폴리옥시프로필렌(30)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4)폴리옥시프로필렌(23)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에틸렌 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놀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기 유화형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팔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자기 유화형 폴리에틸렌 글리콜(2)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150)디팔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리시놀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모놀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놀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코코넛유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10~8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5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20)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40)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50)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60)경화피마자유, 친유성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친유성 글리세린 모놀레이트, 자기 유화형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코코넛유 지방산 글리세릴, 글리세린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글리세릴 모노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올레이트, 글리세릴 리놀레이트, 글리세릴 에르케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맥아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홍화유 지방산 글리세릴, 경화대두 지방산 글리세릴, 포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우지 모노글리세라이드, 모노라놀린 지방산 글리세릴, 글리세릴 세스퀴놀레이트,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아라키데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놀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 코코넛유 지방산 소르비탄,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이소팔미테이트, 폴리(4~10)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 폴리(2~10)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2~1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2~10)글리세릴 모놀레이트, 디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이트, 폴리(2~10)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6~10)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2)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6~10)글리세릴 펜타올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헵타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데카올레이트, 농축된 폴리(6)글리세릴 리시놀레이트,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코코넛유 지방산 슈크로오스 에스테르, 알킬 글루코시드, 코코넛유 알킬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디하이드록시에틸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스테아릴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일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코코넛유 알킬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3)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8)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5)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5)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글리세릴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50) 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글리세릴 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소르비트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소르비트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트 테트라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소르비트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소르비트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0)소르비트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트 헥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헥사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40)소르비트 펜타올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산계 수용성 폴리머로는 소디움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레이트 알킬(C 10~30)코폴리머, 아크릴산계 음이온 폴리머 및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조성물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종래에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임의로 배합해도 좋다.
이러한 성분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부텐, 마이크로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광유 및 바세린 등의 탄화수소;
호호바유,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경랍왁스, 사탕수수 왁스, 향고래 오일, 밀랍 및 몬탄왁스 등의 천연왁스,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쌀유, 쌀눈기름, 옥수수유,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유, 채종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면실유, 코코넛유, 경화 코코넛유, 우지, 경화유, 말유,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 쿠쿠이넛유, 달맞이꽃 종자유, 맥아유, 피넛유, 카멜리아, 동백나무유, 정제동백유, 카카오 버터,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돈지, 마지, 양지, 시버터, 마카다미아넛유 및 메도유폼유 등의 천연 지방 빛 지방유;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γ-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및 코코넛유 지방산 등의 지방산;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 도데칸올, 헥실 데칸올, 콜레스테롤, 식물성스테롤,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 알콜, 베헤닐 알콜 및 세토스테아릴 알콜 등의 고급알콜;
베틸알콜, 키밀알콜, 세라킬알콜 및 이소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등의 알킬글리세릴 에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에틸 올레이트, 에틸 리놀레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레이트, 세틸 카프릴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옥틸 미리스테이트, 데실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옥타데실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이트, 올레일 올레이트, 세틸 리시놀레이트, 이소스테아릴 라우레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이트, 옥틸도데실리시놀레이트, 에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올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 2-에틸 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운데실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 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미리스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펠라고네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도데실 시트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에틸헥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 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헵틸운데실 아디페이트, 세바케이트 디에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이트, 디하이드로콜레스테릴 올레이트, 식물성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식물성스테릴 올레이트,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폴리옥시프로필렌 (1)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3) 폴리옥시프로필렌(1) 이소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
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수소 폴리실록산, 메틸 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 트리실록산, 데카메틸 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 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 옥시실록산 코폴리머,
디메틸실록산-메틸 스테아록시실록산 코폴리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콜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 오일;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및 1,2-헥산디올 등의 다가알콜;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프럭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크실로오스 및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소디움 알기네이트, 카라기난, 한천, 푸셀란, 구아검 및 모과씨, 곤약(구약)만탄, 타마린드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 빈 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카라야검, 트래거캔스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모과, 키토산, 커드란, 크산탄검, 젤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플루란, 미정질의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오로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하이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제인, 겔라틴,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폴리에틸렌 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 아미드, 아크릴산 코폴리머, 메타크릴산 코폴리머, 폴리아크릴산 코폴리머, 말레산 코폴리머, 비닐피리딘 코폴리머, 비닐피롤리돈계 폴리머, 비닐 알콜/비닐 피롤리돈 코폴리머,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폴리머, 디메틸아크릴 암모늄계 폴리머, 변성 실리콘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등의 폴리머;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1-부탄올, 2-부탄올 및 벤질 알콜 등의 알콜;
코코넛유 지방산 포타슘, 코코넛유 지방산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포타슘 라우레이트, 소디움 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이트, 포타슘 미리스테이트, 소디움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판올아민 미리스테이트, 포타슘 팔미테이트, 소디움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테이트, 포타슘 스테아레이트,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 포타슘 올레이트, 소디움 올레이트, 피마자유 지방산 소디움, 아연 운데실레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아연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아연 팔미테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칼슘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디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테이트, 소디움 이소스테아로일 락테이트, 소디움 라우로일 사르코신, 코코넛유 지방산 사르코신,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사르코신, 코코넛유 지방산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사르코신, 포타슘 라우로일 사르코신, 라우로일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일 사르코신, 소디움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소디움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 글루탐산, 포타슘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 글루타메이트,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 글루타메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아실 글루탐산, 포타슘 라우로일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라우로일아실 글루타메이트, 라우로일아실 글루타메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아실 글루탐산, 포타슘 미리스토일 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미리스토일아실 글루타메이트, 스테아로일아실 글루탐산, 포타슘 스테아로일아실 글루타메이트, 디소디움 스테아로일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 글루타메이트,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메틸알라닌,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소디움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소디움 미리스토일 메틸알라닌, 소디움 라우로일 메틸타우린, 포타슘 코코넛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마그네슘 코코넛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소디움 미리스토일 메틸타우린, 소디움 팔미토일 메틸타우린, 소디움 스테아로일 메틸타우린, 소디움 올레일 메틸타우린, 소디움 알칸 술포네이트, 소디움 테트라데센 술포네이트, 소디움 술포숙시네이트 디옥틸, 디소디움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술페이트, 소디움 세틸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1,13,15)술페이트, 소디움 알킬(12,13)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술페이트, 알킬(12,14,16)암모늄 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 알킬(12~13)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4)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5)술페이트, 마그네슘 코코넛유 알킬 술페이트/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암모늄 술페이트, 포타슘 라우릴 술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 술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술페이트, 소디움 미리스틸 술페이트, 소디움 스테아릴 술페이트, 소디움 올레일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일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1) 알킬(11,13,15)에테르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13,15)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1~15)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폴리옥시에틸렌(2) 알킬(12,13) 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2~14)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15)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3)미리스틸 에테르 술페이트, 소디움 고급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술페이트 에스테르, 라우릴 포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포스페이트, 포타슘 세틸 포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세틸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디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 알킬(12,13)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15)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16)에테르 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포스페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레이트,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사카린,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20~22)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16,18)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알킬(28)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메틸암모늄(2EO) 클로라이드, 디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25)디에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 암모늄(5EO)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2~15)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2~18)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4~18)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닐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세틸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이소스테아릴라우릴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라우로일 콜아미노 포르밀메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 콜아미노 포르밀메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 이소퀴놀리늄 브로마이드, 메틸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및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2-알킬-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알킬디아미노 에틸 글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소디움 라우릴디아미노 에틸 글리신, 소디움 운데실 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운데실-N-카르복시메틸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디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하이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 디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 에틸렌디아민, 디소디움 코코넛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 에틸렌디아민, 소디움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아미노 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아미노 프로피오네이트, 소디움 팜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하이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베타인 코코넛유 알킬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베타인 스테아릴 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소디움 스테아릴디메틸 베타인, 코코넛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팜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아미도프로필 아세테이트 베타인 라우레이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리시놀레이트, 스테아릴 디하이드록시에틸 베타인 및 라우릴 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
천연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경화 대두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경화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경화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갱글리오사이드, 담즙산, 콜산, 데옥시콜산, 소디움 콜레이트, 소디움 데옥시콜레이트, 스피큘리스포릭산, 람놀지질, 트레할로스 지질, 소포로 지질 및 만노실 에리스리톨 지질;
자외선 흡수제, 예를 들면 파라 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 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파라 아미노벤조에이트, 아밀 파라 디메틸 아미노벤조에이트 및 2-에틸헥실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파라 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벤질 신나메이트, 모노-2-에틸 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2,4-디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에틸 2,4-디이소프로필 신나메이트, 포타슘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소디움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틸 파라-에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 및 에틸 우로카네이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소디움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네이트,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소디움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에틸렌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살리실레이트-2-에틸헥실,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 메탄;
분말 및 착색재료: 예를 들면 카올린, 규산 무수물,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세리시트, 탈크, 보론 니트라이드, 미카, 몬모릴로나이트, 대마 셀룰로오스 분말, 전분, 실크분말, 옥수수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가용성 아나토, 세피아 분말, 카라멜, 구아이아줄렌, 가르데니아 블루, 가르데니아 옐로우, 코치닐, 시코닌, 소디움 구리 클로로피린, 파프리카 색소, 홍화 레드, 홍화 옐로우, 락카인산 및 리보플라빈 부티레이트 에스테르 등의 천연색소; 탄소블랙, 옐로우 철 옥사이드, 블랙 철 옥사이드, 레드 철 옥사이드, 철 블루, 울트라마린 블루, 아연 옥사이드, 크롬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블랙 티타늄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크롬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나, 마그네슘 옥사이드, 바륨 술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카르보네이트, 리튬 코발트 티타네이트, 망간 바이올렛 및 펄안료.
식물추출물, 예를 들면 신선초 추출물, 아선약나무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수국잎 추출물, 덩굴차 추출물, 마쉬말로우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오일 가용성 아르니카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때죽나무 벤조인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흰붓꽃 뿌리 추출물, 회향추출물, 심황추출물, 도그 로즈 열매 추출물, 에키네시아잎 추출물, 황금뿌리 추출물, 황백나무 껍질 추출물, 켑티스 추출물, 보리추출물, 오크라추출물, 요한초 추출물, 오일 가용성 요한초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오일 가용성 광대수염 추출물, 오노니스 스피노사 뿌리 추출물, 금련화 추출물, 오렌지추출물, 등화수, 해초 추출물, 감의 탄닌, 푸에라리아 뿌리 추출물, 길초근 추출물, 부들 추출물,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추출물, 오일 가용성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추출물,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 증류액, 귀리(Oat)추출물, 캐럿 추출물, 오일 가용성 캐럿 추출물, 캐럿유, 사철쭉 추출물, 감초추출물, 감초분말 추출물, 감초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 틴크, 나무딸기 추출물, 키위 추출물, 기나나무 추출물, 오이추출물, 살구 추출물, 모과씨 추출물, 치차추출물, 사사 추출물, 고삼 추출물, 월넛 껍질 추출물, 자몽 추출물, 클레마티스잎 추출물, 흑설탕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껍질 추출물, 계피껍질 추출물, 용담추출물, 제라늄 추출물, 블랙 티 추출물, 개연꽃 추출물, 우엉 추출물, 오일 가용성 버독 뿌리 추출물, 맥아 추출물, 경화 백색 분말, 쌀겨 추출물, 쌀겨 발효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세신 뿌리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오일 가용성 샐비어 추출물, 쿠네아타산사나무 추출물,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표고버섯 분말 추출물, 자황 뿌리 추출물, 빈디지치뿌리 추출물, 오일 가용성 빈디지치뿌리 추출물, 들깨 추출물, 린덴 추출물, 오일 가용성 티리아 추출물, 터리풀 추출물, 작약근 추출물, 율무 추출물, 생강추출물, 오일 가용성 생강 추출물, 건강틴크 생강, 창포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오일 가용성 화이트 자작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덩굴성 갈잎 떨기나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오일 가용성 쇠뜨기 추출물,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추출물, 담쟁이 덩굴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딱총나무 추출물, 주니퍼베리 추출물, 서양톱플 추출물, 오일 가용성 서양톱플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샐비어(세이지)추출물, 오일 가용성 샐비어(세이지)추출물, 샐비어(세이지)수, 당아욱 꽃물(말로우)추출물, 셀러리 추출물, 천궁추출물, 천궁물, 스웨르티아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추출물, 타임 추출물, 녹차추출물, 차잎 건조 증류액, 차 추출물, 정향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오일 가용성 월넛 추출물, 두쿠 추출물, 테르미날리아세리시아 추출물, 고추틴크, 안젤리카 추출물, 오일 가용성 안젤리카 뿌리 추출물, 안젤리카 뿌리물, 칸데듈라 플라워 추출물, 오일 가용성 카렌듈라 플라워 추출물, 두유 분말, 복숭아씨 추출물, 광귤 껍질 추출물, 약모밀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장미추출물, 메주 추출물, 인삼 추출물, 오일 가용성 인산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오일 가용성 들장미 추출물, 맥아 추출물, 맥아 뿌리 추출물, 오피오포곤 튜버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호밀잎 주스 농축액, 페퍼민트 증류액, 위치 헤이즐 증류액, 위치 헤이즐 추출물, 장미 추출물, 개물통이 추출물, 이소도니스 추출물, 비파나무잎 추출물, 오일 가용성 비파나무잎 추출물, 머위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루스쿠스 아큘레아투스 추출물,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분말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잎 추출물, 포도물, 헤이플라우어 추출물, 수세미오이 열매 추출물, 수세미오이 과즙, 잇꽃(홍화)추출물, 오일 가용성 큰입피나무 추출물, 린덴 증류액, 모란 추출물, 홉추출물, 오일 가용성 홉추출물, 피넨 추출물, 큰 엉겅퀴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오일 가용성 마로니에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멜리사 추출물, 전동싸리 추출물, 복숭아잎 추출물, 오일 가용성 복숭아잎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수레국화꽃 추출물, 수레국화꽃 증류액,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 귀 추출물, 백합 추출물, 율무씨 추출물, 오일 가용성 율무씨 추출물, 쑥추출물, 쑥물, 라벤더 추출물, 라벤더물, 사과 추출물, 영지추출물, 상추추출물, 레몬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장미꽃물, 로즈마리 추출물, 오일 가용성 로즈마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아미노산 및 펩티드,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알기닌, 히스티딘, 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시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제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및 대두 펩티드;
비타민 및 비타민처럼 작용하는 인자: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레티놀 아세테이트 및 레티놀 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A류;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펜, 제산신, 크립토크산틴, 에티네논 및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티노이드류; 티아민 등의 비타민 B1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류;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류; 폴산,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판토텐산, 비오틴; L-아스코르브산, 소디움 L-아스코르베이트, L-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베이트 술페이트 디소디움 에스테르, 마그네슘 L-아스코르빌, 소디움 L-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L-아스코르베이트-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C류; 에르고칼시페롤 및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D류;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dl-α-토코페롤 숙시네이트,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및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유비퀴논, 비타민K류, 카르니틴, 페룰리산, γ-올리자놀, α-리포산 및 오로트산;
방부제, 예를 들면 벤조산, 소디움 벤조에이트,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솔르빈산, 포타슘 소르베이트,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소디움 디하이드로아세테이트, 이소부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소디움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 페녹시에탄올, 감광색소 101, 감광색소 201 및 감광색소 401;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프로필 갈레이트, 에리토르브산, 소디움 에리토르베이트, 파라-하이드록시아니솔 및 옥틸 갈레이트;
금속이온에 결합된 킬레이트제, 예를 들면 트리소디움 에틸렌디아민 하이드록시에틸 트리아세테이트, 에데트산, 디소디움 에데테이트, 트리소디움 에데테이트, 테트라소디움 에데테이트, 소디움 시트레이트, 글루콘산, 피트산, 소디움 폴리포스페이트 및 소디움 메타포스페이트;
보습제,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 소디움 히알루로네이트, 소디움 콘드로이틴 술페이트, 소디움 락테이트, 소디움 피롤리돈 카르복시레이트,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및 세라미드;
항염증제,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트리소디움 글리시리지네이트, 디포타슘 글리시리지네이트,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지네이트, β-글리시르레틴산, 글리세린 글리시르레티네이트, 스테아릴 글리시르레티네이트, 리소짐 클로라이드,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알란토인;
pH 조절제, 예를 들면 소디움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 예를 들면 소디움 클로라이드, 포타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소디움 술페이트;
α-하이드록시산, 예를 들면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및 락트산;
미백제, 예를 들면 알부틴, α-알부틴 및 플라센타 추출물;
정유, 예를 들면 안젤리카유, 일랑일랑유, 엘레미유, 오렌지유, 저먼캐모마일유, 로만캐모마일유, 칼더만유, 창포유, 갈바눔유, 캠포유, 캐럿유, 클라리 세이지유, 포도유, 정향유, 계피껍질유, 코리앤더유, 사이프레스유, 백단유, 시더우드유, 시트로넬라유, 계피잎유, 자스민 앱솔루트 오일, 주니퍼베리유, 생강 추출물, 스피어민트유, 세이지유, 시더유, 제라늄유, 타임유, 차나무유, 육두구유, 니아울리유, 네롤리유, 피넨유, 바질유, 박하유, 파출리유, 팔마로사유, 휀넬유, 페티트그레인유, 블랙 페이퍼유, 프랑킨센스유, 베티버트유, 페퍼민트유, 버가못유, 벤조인유, 부아드로즈유, 마조람유, 만다린유, 몰약유, 박하유, 유칼립투스유, 유자나무유, 라임나무유, 라벤사라유, 라반딘유, 라벤더유, 린덴유, 레몬유, 레몬 그래스 오일, 로즈 오일, 로즈우드유, 로즈마리유 및 로비지 오일;
테르펜, 예를 들면 리모넨, 피넨, 테르피넨, 테르피노렌, 미르센 및 론지피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에는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통상적인 농도로 첨가해도 좋다. 예를 들면 화장품 원료 기준, 2판, Society of Japanese Pharmacopoeia편, 1984(YAKUJI NIPPO LIMITED), 화장품의 원료기준외 성분규격,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Evaluation and Registration Division 감수, 1993(YAKUJI NIPPO LIMITED.),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추가, Pharmaceutical Affairs Beureau Evaluation and Registration Division 감수, 1993(YAKUJI NIPPO LIMITED.), 화장품종별 허가 기준,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Evaluation and Registration Division, 1993(YAKUJI NIPPO LIMITED.), 화장품 종별 성분 기준, Pharmaceutical Affairs Bureau Evaluation and Registration Division 감수, 1997(YAKUJI NIPPO LIMITED.), 화장품 원료 사전, 1991(Nikko Chemicals Co.,Ltd.의 제품) 등에 기재되어 있는 전체 화장품의 원료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은 범용적인 교반기 또는 유화기, 예를 들면 콜로이드 밀, 호모믹서, 고압 호모지나이저, 초음파 유화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제, 및 크림 등의 피부외용제, 유액, 에센스, 스킨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로션,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 유액상 파운데이션, 크림상 파운데이션, 크림상 아이칼라, 크림상 치크 칼라, 및 팩 등의 베이스 스킨케어, 메이컵 및 바디케어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글리세린은 98질량% 이상 농도의 것을 사용하였다. 소디움 서팩틴은 SHOWA DENKO K.K.에서 제작된 Aminofect(등록상표)을 사용하였다.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1~5 및 비교예1~4
표1에 나타낸 조성물을 갖는 유화조성물 각각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보존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테스트에 있어서, 시료를 유리병에 넣고 40℃에서 8주동안 방치한 후, 상태 및 외관을 관찰하였다. 분리가 관찰되는 시료를 ×로 하고, 분리가 관찰되지 않는 시료를 "○" 로 하였다.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3
[화장품의 제조방법]
성분(I) 및 성분(II)을 각각 혼합하고 85℃까지 가열하였다. 성분(I)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성분(I)의 혼합물에 성분(II)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고, 성분(III)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더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한 후,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결과]
표1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실시예1~5)은 비교예1~4의 유화조성물에 비해 보존안정성이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6 및 비교예5
표2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유화조성물 각각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것처럼 보존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4
[제조방법]
성분(I) 및 성분(II)를 각각 혼합하고 85℃까지 가열하였다. 성분(I)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성분(I)의 혼합물에 성분(II)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한 후,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결과]
표2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실시예6)은 비교예5의 유화조성물에 비해 보존안정성이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7 및 8 및 비교예6:
표3에서 표시된 것처럼 조성을 갖는 유화조성물 각각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것처럼 보존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5
[제조방법]
성분(I) 및 성분(II)를 각각 혼합하고 85℃까지 가열하였다. 성분(I)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성분(I)의 혼합물에 성분(II)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한 후,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결과]
표3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실시예7 및 8)은 비교예6의 유화조성물에 비해 보존안정성이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9:보습크림
표4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보습크림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상술한 것처럼 보존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6
[제조방법]
성분(I) 및 성분(II)를 각각 혼합하고 85℃까지 가열하였다. 성분(I)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성분(I)의 혼합물에 성분(II)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한 후,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결과]
얻어진 크림은 우수한 보존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보습성이 우수하고 자극적이지 않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실시예10:에몰리엔트 로션
표5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에몰리엔트 로션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상술한 것처럼 보존안정성 시험을 행하였다.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7
[제조방법]
성분(I) 및 성분(II)를 각각 혼합하고 85℃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성분(I) 을 호모믹서로 교반하면서 성분(I)의 혼합물에 성분(II)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까지 냉각한 후, 교반을 중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결과]
얻어진 로션은 우수한 보존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에몰리엔트성이 우수하고, 자극적이지 않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적합성, 생체안전성과 더불어 사용감, 보습성, 에몰리엔트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 0.1~5질량%, (B)크산탄검 0.05~1.5질량%, (C)오일성분 및 (D)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의 함량이 25~7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함량이 15~5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은 서팩틴, 그 유사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팩틴 또는 그 유사화합물은 식(1)으로 나타낸 화합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Figure 112006066426396-PCT00008
    (식에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알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통상 탄소수 8~14의 알킬기, 탄소수 8~14의 이소알킬기 또는 탄소수 8~14의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낸다).
  6. 제5항에 있어서,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의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소디움염, 포타슘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알기닌염 및 리신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미생물에서 유래된 리포펩티드 화합물은 소디움 서팩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산계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KR1020067018860A 2004-03-24 2005-03-22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KR20060130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6669 2004-03-24
JP2004086669 2004-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215A true KR20060130215A (ko) 2006-12-18

Family

ID=3781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860A KR20060130215A (ko) 2004-03-24 2005-03-22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311234A1 (ko)
EP (1) EP1742606A1 (ko)
JP (1) JP2005306863A (ko)
KR (1) KR20060130215A (ko)
TW (1) TW200533378A (ko)
WO (1) WO200508970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47B1 (ko) * 2011-11-18 2018-06-19 코웨이 주식회사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9921A (ko) * 2016-04-11 2018-12-05 사보 에스.피.에이.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20220044256A (ko) * 2017-04-12 2022-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8049A1 (fr) * 2006-07-25 2007-09-07 Chanel Parfums Beaute Soc Par Procede cosmetique de soin ou de maquillage des levres
WO2011039992A1 (ja) * 2009-09-29 2011-04-07 ぺんてる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o/w型エマルションインキ組成物
JP5868325B2 (ja) * 2010-10-01 2016-02-24 株式会社カネカ サーファクチン及びその塩の製造方法
KR20140054095A (ko) 2011-07-22 2014-05-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소화제 및 그것을 사용하는 소화 방법
US8932656B1 (en) 2011-09-20 2015-01-13 Aja Henderson Oil blend for skin treatment
US9446089B1 (en) 2011-09-20 2016-09-20 Aja Henderson Oil blend for skin treatment
KR102122185B1 (ko) 2012-06-28 2020-06-12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자외선 방사선-흡수 중합체를 함유하는 썬스크린 조성물
US9255180B2 (en) 2012-06-28 2016-02-0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polyethers
US9469725B2 (en) 2012-06-28 2016-10-1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polymers
US20140004055A1 (en) * 2012-06-28 2014-01-02 Susan Daly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polyester
US20140004057A1 (en) 2012-06-28 2014-01-0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polyester
CN103142438B (zh) * 2013-03-21 2015-03-11 上海滇虹药业有限公司 一种水包油乳膏及其制备方法
US10874603B2 (en) 2014-05-12 2020-12-2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a UV-absorbing polyglycerol and a non-UV-absorbing polyglycerol
TWI580440B (zh) * 2014-06-30 2017-05-01 zhen-gang Lu The Application of Surface to Cosmetics
US9364413B2 (en) * 2014-07-31 2016-06-14 Umo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anti-aging treatment by surfactin in cosmetics via enhancing sirtuin
JP2017197494A (ja) * 2016-04-28 2017-11-02 株式会社カネカ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むことを特徴とする乳化物
CN109414391A (zh) * 2016-07-05 2019-03-01 株式会社钟化 乳化组合物及使用其的化妆品
US10596087B2 (en) 2016-10-05 2020-03-24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Ultraviolet radiation absorbing polymer composition
BR112019023254A2 (pt) * 2017-05-07 2020-05-19 Locus Ip Company, Llc composições cosméticas para saúde da pele e métodos de usar as mesmas
KR102451838B1 (ko) * 2017-09-01 2022-10-11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 오일 내상을 안정화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021054719A (ja) * 2018-01-10 2021-04-08 株式会社カネカ 粉体を効率的に分散させた乳化組成物
JP7212634B2 (ja) * 2018-01-12 2023-01-25 株式会社カネカ 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72153B (zh) * 2018-05-17 2019-09-21 綠藤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無界面活性劑的乳液
JP7142051B2 (ja) * 2019-05-23 2022-09-26 太陽油脂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11973523A (zh) * 2019-12-05 2020-11-24 上海遇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903826B (zh) * 2022-04-29 2023-10-20 深圳市珍妮肤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衰老组合物、抗衰老化妆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3209B1 (fr) * 1982-09-22 1985-11-08 Centre Nat Rech Scient Lipopeptides, leur obten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emulsifiants
WO1999062482A1 (en) * 1998-05-29 1999-12-09 Showa Denko K.K. Surfactant for use in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ntaining the same
US6777450B1 (en) * 2000-05-26 2004-08-17 Color Access, Inc. Water-thin emulsions with low emulsifier levels
FR2810323B1 (fr) * 2000-06-16 2002-09-06 Shiseido Int France Utilisation cosmetique d'un lipopeptide
KR20060121848A (ko) * 2003-08-28 2006-11-2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47B1 (ko) * 2011-11-18 2018-06-19 코웨이 주식회사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9921A (ko) * 2016-04-11 2018-12-05 사보 에스.피.에이.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20220044256A (ko) * 2017-04-12 2022-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06863A (ja) 2005-11-04
EP1742606A1 (en) 2007-01-17
WO2005089708A1 (en) 2005-09-29
TW200533378A (en) 2005-10-16
US20080311234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JP5342102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US20110144062A1 (en) Dermatological anti-wrinkle agent
JP5180556B2 (ja)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ES2726452T3 (es) Cosmético para la piel en emulsión de tipo aceite en agua
ES2327930T3 (es) Composicion cosmetica que contiene una combinacion de polioxietilo y un lipopeptido.
US20100152139A1 (en) Emulsified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JP2007056009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569020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JP2005306867A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JP611625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99332B2 (ja) 化粧料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2005162741A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JP2007126438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13212999A (ja) 爪用化粧料
JP2009143860A (ja) 養毛化粧料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KR100944593B1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JP2005089427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