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45B1 -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45B1
KR102343745B1 KR1020187032314A KR20187032314A KR102343745B1 KR 102343745 B1 KR102343745 B1 KR 102343745B1 KR 1020187032314 A KR1020187032314 A KR 1020187032314A KR 20187032314 A KR20187032314 A KR 20187032314A KR 102343745 B1 KR102343745 B1 KR 10234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xtract
oil
acid
person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921A (ko
Inventor
칼로 오리
코스탄티니 엔리코
다쿠토 나가노
사토히로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사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사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29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되고, 저피부자극성이고, 피부에 편안하고, 피부에 대하여 높은 세정 효과와 도포감을 나타내고, 거품의 쿠션성이 개선되어 있고, 거품의 사이즈가 작고, 헹굼성도 높고, 피부에서의 점성감이 낮고, 도포 후의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또한 지속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중화 또는 pH 조정을 위한 pH 조정제를 포함하며,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당해 과지방제를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본 발명은, 과지방제 및 당해 과지방제를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알킬폴리글리코시드(APG)를 포함하는 과지방제, 및 당해 과지방제를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실제 효과를 발휘하고, 높은 피부 유화성, 피부에 대한 양호한 도포성, 개선된 거품 쿠션성, 거품 사이즈의 저감, 개선된 헹굼성, 피부에 대한 점성의 저감, 도포 후에 지속되는 매우 매끄러운 감촉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미생물 유래의 리포펩티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서팩틴 나트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서팩틴 나트륨는, 저피부자극성이나 양호한 생분해성 등으로 주목받고 있고, 화장료용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스쿠알란은, 스쿠알렌의 수소 첨가에 의해 얻어지는 트리테르펜 탄화수소이며, 무독성, 저자극성, 저알레르기성, 저감작성이나, 모공이 막히지 않게 하는 특성 등으로부터, 매우 효과적인 연화제나 천연 보습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쿠알란은, 토일레트리 용도에 적합한 겔 중에,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분산시키려고 해도 매우 분산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양호한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겔상이나 크림상의 스쿠알란 함유 클렌징 화장료는, 지금까지 없었다.
국제 공개 제99/62482호 팸플릿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1660025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6211호 공보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안정되고, 저피부자극성이고, 피부에 편안하고, 피부에 대한 높은 세정 효과와 도포감을 나타내고, 거품의 쿠션성이 개선되어 있고, 거품의 사이즈가 작고, 헹굼성도 높고, 피부에서의 점성감이 낮고, 도포 후의 매끄러움이 우수하고 또한 지속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리포펩티드 화합물, 알킬폴리글리코시드(APG) 및 스쿠알란을 포함하는 과지방제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과지방제에는, 최종 고성능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 클렌징제, 유화 발포제, 계면 활성제, 내전 방지제, 거품 증강제, 헤어 컨디셔너, 스킨 컨디셔너, 점도 조정제, 증량제, 마스킹제, 완충제, 보습제, 방부제, 향료 등의 다른 화장료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다.
[1]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중화 또는 pH 조정을 위한 pH 조정제를 포함하며,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지방제.
[2]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미생물 유래의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과지방제.
[3]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서팩틴,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인 상기 [2]에 기재된 과지방제.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1
[식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노르말알킬기,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이소알킬기, 또는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제2 위치, 제4 위치 및 제6 위치의 아미노산이 독립적으로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4]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서팩틴 나트륨인 상기 [2]에 기재된 과지방제.
[5]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상기 식 (I)에 있어서의 제2 위치, 제4 위치 및 제6 위치의 아미노산이 독립적으로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인 상기 [3]에 기재된 과지방제.
[6]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3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0.7질량% 이상 3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과지방제.
[7]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5질량% 이상 0.1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1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과지방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과지방제를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9] 상기 과지방제를 0.5질량% 이상 3질량% 이하 포함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0] 화장료인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1] 스킨 케어 화장료인 상기 [8] 또는 [9]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2] 장식용 화장료, 페이스 케어 화장료, 썬 케어 화장료, 바디 케어 화장료, 제한(制汗) 화장료 또는 데오도란트 화장료인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3] 바디 워시용 화장료인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4] 클렌징 화장료인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15] 겔상 또는 크림상인 상기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안정화하고, 피부 자극성을 저감하고, 피부에 편안함을 높이고, 피부에 대한 세정 효과와 도포감을 높이고, 거품의 쿠션성을 개선하고, 거품의 사이즈를 작게 하고, 헹굼성도 높이고, 피부에서의 점성감을 저감하고, 도포 후의 매끄러움을 개선하고 또한 지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과지방제의 실온에서의 외관과, 추가로 45℃에서 24시간 인큐베이트 한 후의 외관의 사진이다.
도 2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외관 사진이다.
도 3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제조한 과지방제를 혼합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기준이 되는 퍼스널 케어 기초 조성물 자체의 관능 평가 결과와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포펩티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27591호 공보에 기재된, 바실러스·서브틸리스 등의 바실루스속 미생물이 산생하는 리포펩티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적합하게는, 서팩틴의 염 및 서팩틴 유사체의 염을 들 수 있다. 리포펩티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미생물 유래의 화합물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리포펩티드 화합물」이란, 친유성의 지질기와 수용성의 펩티드 부분을 갖고, 계면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한다.
서팩틴으로서는, 예를 들어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종 이상 포함하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R의 탄소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서팩틴 (I)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식 (I)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적합한 X는 류신, 이소류신 또는 발린이다.
R은,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노르말알킬기,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이소알킬기, 또는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낸다. 노르말알킬기는, 직쇄 알킬기이다. 이소알킬기는, 일반적으로 (CH3)2CH-(CH2)n-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안테이소알킬기는, 일반적으로 CH3-CH2-CH(CH3)-(CH2)n-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서팩틴으로서는, 상기 식 (I)에 있어서, 1 이상의 아미노산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서팩틴 유사체를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2 위치 아미노산인 L-류신, 제4 위치 아미노산인 L-발린 및 제6 위치 아미노산인 D-류신이, 독립적으로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하, 「서팩틴 또는 그의 유사체」를 간단히 「서팩틴」이라고 한다.
서팩틴은,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무기염 또는 유기염이어도 된다. 카운터 이온인 금속으로서는, 서팩틴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및 리튬 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이나, 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 등의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트리부틸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및 콜린염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염 중, 나트륨염, 칼륨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리신염 및 아르기닌염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서팩틴 나트륨는, 「가네까·서팩틴」의 상품명으로, 가부시키가이샤 가네까에서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과지방제에 포함되는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양으로서는,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3질량% 이상 0.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 0.1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양이 0.01질량% 미만이면, 과지방제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을 수 있고, 1질량%를 초과하면, 역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스쿠알란은, 스쿠알렌의 수소 첨가에 의해 얻어지는 트리테르펜 탄화수소이다. 스쿠알렌은 상어의 간장이나, 올리브 오일이나 기타의 시드 오일 등, 식물원으로부터 얻어진다. 기타의 시판되고 있는 비동물원으로서는, 유전자 변형 사카로마이세스·세레비시에 효모주에 의한 사탕수수 수크로오스의 발효에서 파르네센으로부터 얻어지는 화합물인 피토스쿠알란을 들 수 있다. 파르네센은, 2분자의 축합에 의해 이소스쿠알란이 되고, 이어서 수소 첨가에 의해 스쿠알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과지방제에 포함되는 스쿠알란의 양으로서는,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7질량% 이상 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2.5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양이 0.5질량% 이상이면, 산소 운반 작용에 의해 피부에 습기를 부여하거나, 보호 작용이나 보습 작용과 같은 스쿠알란의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되고, 당해 양이 5질량% 이하이면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알킬폴리글리코시드」란, 단당 또는 다당과 고급 알코올이 글리코시드 결합한 화합물이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친유성의 알킬기와 수용성의 당 부분을 갖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로서 작용한다. 또한, 단당과 고급 알코올이 글리코시드 결합한 화합물도, 관용적으로 알킬폴리글리코시드에 포함되어 있다. 단,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는, 알킬모노글리코시드 및/또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또는 알킬모노글리코시드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중 적어도 한쪽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킬폴리글리코시드(APG)는 종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APG)로서는, 예를 들어 코코넛 글루코시드(코코 글루코시드), 카프릴 글루코시드(예를 들어, BASF사의 「PlantacareR 818 UP」), 라우릴 글루코시드(예를 들어, BASF사의 「PlantacareR 1200 UP」), 데실글루코시드(예를 들어, BASF사의 「PlantacareR 2000 UP」), 및 지방산 유도체 글루코시드를 들 수 있다. 지방산 유도체 글루코시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2 이상 3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 24 이하의 천연 지방산을 들 수 있다.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은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과지방제에 있어서, 리포펩티드 화합물 및 스쿠알란 이외의 잔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한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함유량으로서는, 99.49질량% 이상 94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9.27질량% 이상 96.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8.95질량% 이상 97.4질량%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중화 또는 pH 조정을 위한 pH 조정제를 포함한다. pH 조정제로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성 pH 조정제로서는, 락트산이나 글리콜산 등의 히드록시산; 말산, 타르타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시트르산 등의 트리카르복실산; 글루탐산이나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염산이나 인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염기성 pH 조정제로서는,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수소염;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과지방제에 있어서의 pH 조정제의 배합량은, 과지방제의 pH가 적절한 것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지방제의 pH로서는, 4.0 이상 7.5 이하가 바람직하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pH로서는 중성 또는 약산성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성분의 산성이 강한 경우에는, 그의 중화를 위해서 과지방제의 pH를 7.0 이상 7.5 이하로 해도 된다. 또한, 과지방제의 pH가 4.0 이상이면, 피부 등으로의 자극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상기 pH로서는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5 이하 또는 6.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에 더하여, 일반적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의 과지방제의 배합량은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퍼스널 케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당해 양이 0.1질량% 이상이면,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의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발휘된다. 또한, 당해 양이 5질량% 이하이면, 그 밖의 성분에 의한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발휘된다. 당해 양으로서는, 0.5질량% 이상 3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피토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부텐, 미결정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 오일 및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
호호바 오일,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분비 왁스, 경랍, 사탕수수 왁스, 말향경 오일, 밀랍 및 몬탄 왁스 등의 천연 왁스;
아보카도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엑스트러버진 올리브 오일, 참깨 지, 쌀겨 오일, 미유, 미배아유, 콘유, 잇꽃유, 대두유, 옥수수유, 채종유, 살구씨유, 팜핵유, 팜유, 캐스터 오일, 해바라기유,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포도 종자 오일, 면실 오일, 코코넛 오일, 수소 첨가 코코넛 오일, 우지, 수소 첨가 오일, 마유, 밍크 오일, 난황유, 난황 유지, 로즈 힙 오일, 쿠쿠이넛 오일, 금달맞이꽃 오일, 소맥 배아 오일, 피너츠 오일, 동백유, 산다화유, 카카오 버터,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돼지지, 말지, 양지, 시어버터, 마카다미아넛 오일 및 메도우폼씨유 등의 천연 유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γ-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및 코코넛 오일 지방산 등의 지방산;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및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셀라킬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부틸, 올레산에틸, 리놀렌산에틸, 리놀렌산이소프로필, 카프릴산세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옥틸, 미리스트산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세틸, 미리스트산옥타데실, 팔미트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리시놀산세틸,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에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에틸렌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 글리세릴트리카프릴레이트/트리카프레이트/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트리운데실레이트, 글리세릴트리이소팔미테이트,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미리스테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네오펜타노에이트, 옥탄산이소세틸,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펠라르곤산2-에틸헥실, 헥실데실디메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디메틸옥타노에이트, 이소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옥틸도데실락테이트, 시트르산트리에틸, 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시트르산트리옥틸,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헵틸운데실,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올레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올레산피토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에테르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이소세틸에테르아세테이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옥틸, 이소노난산트리데실 및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등의 에스테르;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헥산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고도로 중합된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수식 실리콘, 알코올 수식 실리콘, 알킬 수식 실리콘 및 아미노 수식 실리콘 등의 실리콘 오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및 1,2-헥산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크실로오스 및 트레할로오스 등의 단당류;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퍼셀러란, 구아검, 퀸스시드, 곤약만난, 타마린드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 고무, 가티검,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마르멜로, 키토산, 커들란, 크산탄검, 젤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미결정성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스타치,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인산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제인,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아미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도로 중합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중합체, 비닐알코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아미노 수식 실리콘, 양이온화 중합체, 디메틸아크릴암모늄계 중합체, 아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변성 실리콘, 아크릴산/메타크릴산 C10-30알킬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중합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및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
코코넛 오일 지방산 칼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칼륨, 미리스트산나트륨, 미리스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트산칼륨, 팔미트산나트륨, 팔미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트리에탄올아민, 올레산칼륨, 올레산나트륨, 캐스터 오일 지방산 나트륨, 운데실렌산아연,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미리스트산칼슘, 미리스트산마그네슘, 디미리스트산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알루미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아세테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테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테이트, 나트륨스테아로일락데이트, 나트륨이소스테아로일락테이트, 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 코코넛 오일 지방산 사르코신, 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사르코신, 코코넛 오일 지방산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사르코신, 칼륨라우로일사르코신, 라우로일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사르코신, 나트륨미리스토일사르코신, 나트륨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글루탐산칼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글루탐산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칼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나트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칼륨,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나트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칼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디나트륨, 수소 첨가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탐산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수소 첨가 우지 지방산 글루탐산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메틸타우린칼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메틸타우린마그네슘,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올레오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알칸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칸술폰산나트륨, 나트륨술포숙시네이트디옥틸, 디나트륨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에틸에스테르술포네이트, 나트륨라우릴술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라우릴술포네이트, 나트륨세틸술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알킬(11, 13, 15)술포네이트, 나트륨알킬(12, 13)술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알킬(12, 13)술포네이트, 알킬(12, 14, 16)암모늄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알킬(12-13)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알킬(12-14)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알킬(12-15)술페이트, 마그네슘 코코넛 오일 알킬술페이트/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암모늄술페이트, 칼륨라우릴술페이트, 마그네슘라우릴술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라우릴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라우릴술페이트, 나트륨미리스틸술페이트, 나트륨스테아릴술페이트, 나트륨올레일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올레일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 13, 15)에테르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 13, 15)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3)알킬(11-15)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2)알킬(12, 13)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14)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15)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3)미리스틸에테르술페이트, 나트륨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술페이트에스테르, 라우릴인산, 라우릴인산나트륨, 세틸인산칼륨, 세틸인산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포스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포스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포스페이트, 나트륨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 13)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15)에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16)에테르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포스페이트 및 디에탄올아민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스테아르산,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닐암모늄브로마이드, 알킬(16, 18)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알킬(28)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2EO)클로라이드, 디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25)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모늄(5EO)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12-15)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12-18)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14-18)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이소스테아릴라우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피리디듐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라우릴콜라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콜라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알킬이소퀴놀리늄브로마이드, 메틸벤제토늄클로라이드 및 벤제토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 활성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염산염,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나트륨, 운데실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륨베타인,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에틸렌디아민디나트륨,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에틸렌디아민디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나트륨 팜오일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코코넛 오일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나트륨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 코코넛 오일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팜오일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아미도프로필아세테이트베타인라우레이트, 아미도프로필베타인리시놀레에이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및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 13)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 7, 12)알킬(12-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미리스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sec-알킬(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 10, 20)이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아르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1, 2, 4, 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폴리옥시프로필렌(1, 2, 4, 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폴리옥시프로필렌(1, 2, 4, 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폴리옥시프로필렌(1, 2, 4, 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34)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폴리옥시프로필렌(30)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4)폴리옥시프로필렌(23)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에이트, 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자기 유화성 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팔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자기 유화성 폴리에틸렌글리콜(2)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150)디팔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리시놀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코코넛 오일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10-8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50)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10)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20)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40)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50)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60) 수소 첨가 캐스터 오일, 지용성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지용성 글리세린 모노올레에이트, 자기 유화성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코코넛 오일 지방산 글리세릴, 글리세린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에이트, 글리세릴 모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올레에이트, 글리세릴 리놀레에이트, 글리세릴 에루케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소맥 배아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홍화유 지방산 글리세릴, 수소 첨가 대두유 지방산 글리세릴, 포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모노 우지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모노라놀린 지방산 글리세릴, 글리세릴세스퀴올레에이트,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아라키데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코코넛 오일 지방산 소르비탄,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이소팔미테이트, 폴리(4-10)글리세릴모노라우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모노미리스테이트, 폴리(2-10)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2-1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2-10)글리세릴모노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릴세스퀴올레에이트, 폴리(2-10)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6-10)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트리올레에이트, 폴리(2)글리세릴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6-10)글리세릴펜타올레에이트, 폴리(10)글리세릴 헵타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스테아레이트, 폴리(10)글리세릴 데카올레에이트, 농축 폴리(6)글리세릴 니시놀레에이트,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코코넛 오일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코코넛 오일 알킬디메틸아미노옥시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디히드록시에틸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 올레일디메틸아민옥시드 및 폴리옥시에틸렌 코코넛 오일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시드, 담즙산, 콜산, 데옥시콜산, 콜산나트륨, 데옥시콜산나트륨, 스피쿨리스포르산, 람노리피드, 트레할로오스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및 만노실 에리트리톨리피드 등의 천연 계면 활성제;
p-아미노벤조산, p-아미노벤조산에틸, p-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및 p-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등의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벤질, 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글리세릴디(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칼륨p-메톡시신나메이트, 나트륨p-메톡시신나메이트, p-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p-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p-메톡시신남산2-에톡시에틸 및 p-에톡시신남산에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이나 우로칸산에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나트륨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포네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나트륨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에틸렌글리콜살리실레이트,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및 살리실산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의 자외선 흡수제;
카올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견운모, 탈크, 질화붕소, 마이카, 몬모릴로나이트, 대마 셀룰로오스 분말, 소맥 전분, 견 분말, 옥수수 전분 등의, 분말 및 색소;
니트로 염료, 아조 염료, 니트로소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퀴놀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 염료, 피렌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아나토, 세피아 파우더, 캬라멜, 구아이아줄렌, 가데니아 블루, 가데니아 옐로우, 코치닐, 시코닌, 구리 클로로필린나트륨, 파프리카 염료, 홍화 레드, 홍화 옐로우, 락카인산 및 리보플라빈부티르산에스테르; 카본 블랙, 철황, 흑색 산화철, 벵갈라, 감청, 군청, 산화아연,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흑색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리튬 코발트 티타네이트, 망간 바이올렛 및 펄 안료 등의 천연 안료;
명일엽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감차잎 추출물, 돌외 추출물, 양아욱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유용성 아르니카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일본 안식향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흰붓꽃 추출물, 회향풀 추출물, 강황 추출물, 영실 추출물, 에키네시아잎 추출물, 황금식물뿌리 추출물, 황백 추출물, 일본 캅티스(Japanese captis) 추출물, 보리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유용성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유용성 광대수염 추출물, 오노니스 뿌리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오렌지 꽃 추출물, 해초 추출물, 감물, 갈근 추출물, 녹자초 추출물, 부들 추출물,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matricaria)) 추출물, 유용성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 추출물, 캐모마일(마트리카리아) 증류물, 아베나 사티바(귀리) 곡립 추출물, 당근 추출물, 유용성 당근 추출물, 당근 기름, 인진쑥 추출물, 감초(리코리스) 추출물, 감초(리코리스) 분말 추출물, 감초(리코리스)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틴크, 라즈베리 추출물, 키위 추출물, 기나나무 추출물, 오이 추출물, 아프리코트커넬 추출물, 퀸스시드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고삼 추출물, 호두껍질 추출물, 자몽 추출물, 사위질빵 잎 추출물, 흑설탕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껍질 추출물, 계피 추출물, 용담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홍차 추출물, 개연꽃 추출물, 우엉 추출물, 유용성 우엉 추출물, 소맥 배아 추출물, 가수분해 소맥분말, 쌀겨 추출물, 발효 쌀겨 추출물, 나래지치(컴프리) 추출물, 족도리풀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유용성 샐비어 추출물, 산사나무 열매 추출물,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표고버섯 분말 추출물, 지황 추출물, 자근 추출물, 유용성 자근 추출물, 페릴라허브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유용성 유럽피나무 추출물, 하야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염주 추출물, 생강 추출물, 유용성 생강 추출물, 생강 팅크, 창포뿌리 추출물, 박달나무 추출물, 유용성 박달나무 추출물, 박달나무 수액, 인동덩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유용성 쇠뜨기 추출물,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추출물, 담쟁이덩굴 추출물, 산사나무(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딱총나무 추출물, 두송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유용성 서양톱풀 추출물, 서양박하(페퍼민트) 추출물, 샐비어 오피시날리스(세이지) 추출물, 유용성 샐비어 오피시날리스(세이지) 추출물, 샐비어 오피시날리스(세이지)액, 말로우(당아욱) 추출물, 셀러리 추출물, 천궁이 추출물, 천궁이액, 당약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 추출물, 타임 추출물, 녹차 추출물, 건조 차잎 증류 용액, 차종 추출물, 정향나무 추출물, 진피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용성 호두 추출물, 두쿠(duku) 추출물, 테르미날리아 추출물, 고추 팅크, 당귀뿌리 추출물, 유용성 당귀뿌리 추출물, 당귀뿌리액, 금잔화 꽃 추출물, 유용성 금잔화 꽃 추출물, 두유 분말, 복숭아종 추출물, 가문비 나무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토멘틸라(장미과식물) 추출물, 발효 대두 추출물, 조선 인삼 추출물, 유용성 조선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유용성 들장미 추출물, 맥아 추출물, 맥아 뿌리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호밀잎즙 농축물, 서양박하 증류물, 하마메리스 증류물, 하마메리스 추출물, 장미 추출물, 개물통이속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비파나무잎 추출물, 유용성 비파나무잎 추출물, 머위 추출물, 복령 추출물, 루스쿠스아쿨레아투스 뿌리 추출물, 분말 루스쿠스아쿨레아투스 뿌리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잎 추출물, 포도액, 헤이플라워 추출물, 수세미외 열매 추출물, 수세미외 열매액, 홍화(잇꽃) 추출물, 유용성 큰잎유럽피나무 추출물, 참피나무 증류물, 보란(작약) 추출물, 홉 추출물, 유용성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흰무늬엉겅퀴(밀크씨슬) 추출물, 칠엽나무(마로니에) 추출물, 유용성 칠엽나무(마로니에)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서양산박하(레몬밤), 노랑스위트클로버(전동싸리) 추출물, 복숭아잎 추출물, 유용성 복숭아잎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수레국화 꽃 추출물, 수레국화 꽃 증류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백합 추출물, 염주종 추출물, 유용성 염주종 추출물, 쑥 추출물, 쑥액, 라벤더 추출물, 라벤더액, 사과 추출물, 영지 추출물, 레터스 추출물, 레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장미꽃액, 로즈마리 추출물, 유용성 로즈마리 추출물, 로마 카밀레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사이토신,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제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및 대두 펩티드 등의 아미노산 및 펩티드;
비타민 A, 및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아세트산레티놀 및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 유사체;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펜,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및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르테노이드; 티아민 등, 비타민 B1 및 그의 유사체; 리보플라빈 등, 비타민 B1 및 그의 유사체; 피리독신, 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 등, 비타민 B6 및 그의 유사체; 시아노코발라민 등, 비타민 B12 및 그의 유사체; 엽산, 니코틴산, 니코틴아미드, 판토텐산, 비오틴;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L-아스코르빌 스테아르산, L-아스코르빌 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디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이나트륨,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L-아스코르빌인산나트륨 및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등, 비타민 C 및 그의 유사체; 에르고칼시페롤 및 콜레칼시페롤 등, 비타민 D 및 그의 유사체;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dl-α-토코페롤 숙시네이트,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및 d-δ-토코페롤 등, 비타민 E 및 그의 유사체; 카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및 오로트산 등, 유비퀴논, 비타민 K 및 그의 유사체 등, 비타민류 및 비타민 유사 작용 인자;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데히드로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이소부틸파라옥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파라옥시벤조에이트, 에틸파라옥시벤조에이트, 부틸파라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파라옥시벤조에이트, 벤질파라옥시벤조에이트, 메틸파라옥시벤조에이트, 나트륨파라옥시벤조에이트메틸, 페녹시에탄올, 감광 염료 No.101, 감광 염료 No.201 및 감광 염료 No.401 등의 방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갈산프로필, 에리토르브산, 에리토르브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아니솔 및 갈산옥틸 등의 항산화제;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글루콘산, 피트산, 폴리인산나트륨 및 메타인산나트륨 등, 금속에 결합하는 킬레이트제;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베타인, 유산균 발효 용액, 이스트 추출물 및 세라마이드 등의 보습제;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이칼륨, 글리시리진산모노, β-글리시르레틴산, 글리세린 글리시르레티네이트, 스테아릴 글리시르레티네이트, 염화리소자임, 히드로코르티손 및 알란토인 등의 항염증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나트륨 등의 염;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및 락트산 등의 α-히드록시산;
알부틴, α-알부틴 및 태반 추출물 등의 미백제;
안젤리카 아르칸젤리카(안젤리카) 오일, 일랑일랑 오일, 엘레미 오일, 오렌지 오일, 캐모마일(카밀레) 오일, 로마 카밀레 오일, 카르다몬 오일, 창포(칼라모스) 오일, 풍자향오일, 녹나무(캄포) 오일, 당근종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자몽 오일, 정향나무(클로브) 오일, 계피 오일, 코리앤더 오일, 사이프러스 오일, 백단향 오일, 열필향나무(시더우드) 오일, 레몬그라스(시트로넬라) 오일, 실론 계피나무(시나몬)잎 오일, 자스민 순기름, 두송(주니퍼 베리) 오일, 생강 추출물, 스피아민트 오일, 샐비어 오피시날리스(세이지) 오일, 시더 오일, 로즈제라늄(제라늄) 오일, 선백리향(타임) 오일, 티트리 오일, 육두구(너트멕) 오일, 니아울리 오일, 등자나무 오일, 소나무 오일, 바질 오일, 박하 오일, 파촐리 오일, 팔마로사 오일, 회향풀 오일, 비터 오렌지(페티그레인) 오일, 후추(블랙페퍼) 오일, 유향(프랭킨센스) 오일, 베티버 오일, 서양박하(페퍼민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벤조인 오일, 로즈우드 오일, 꽃박하(마요라나) 오일, 만다린 오일, 몰약 오일, 서양산박하(레몬밤)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라임 오일, 라벤사라 오일, 스파이크(라벤더·인텔 미디어) 오일, 라벤더 오일, 유럽피나무(린덴) 오일, 레몬 오일, 레몬그라스 오일, 로즈 오일, 로즈우드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러비지 오일 등의 정유;
리모넨, 피넨, 터피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및 롱기폴렌 등의 테르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 중, 화장료에는, 일반적 화장료의 원료 성분을 일반적인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모든 화장료 원료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Glossary for Standards of Cosmetic Ingredients, 2nd edition)」 일본 공정서 협회편, 1984년(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The Japanese Cosmetic Ingredients Codex)」 후생성 의약 식품국 감수, 1993년(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추가 보충(Supplement to The Japanese Cosmetic Ingredients Codex)」 후생성 의약 식품국 감수, 1993년(약사 일보사);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The Comprehensive Licensing Standards of Cosmetics by Category)」 후생성 의약 식품국 감수, 1993년(약사 일보사);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The Japanese Cosmetic Ingredients Codexby Category)」 후생성 의약 식품국 감수, 1997년(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사전(Dictionary of rawmaterials of cosmetics)」, 1991년(닛코 케미컬즈 가부시끼가이샤)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포함되는 과지방제 이외의 성분의 양으로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과지방제와 다른 성분에 더하여, 용매로서 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피부에 자극을 부여하는 일이 없고,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유액, 정유, 피부용 크림, 클렌징 젤, 클렌징 크림 및 팩 등의 스킨케어 기초 화장료; 화장 기초, 파운데이션, 아이 쉐도우, 립스틱 및 립글로스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마사지 겔이나 마사지 크림(콜드크림) 등의 마사지 화장료; 및 헤어 크림, 이발용 젤 및 헤어 왁스 등의 모발용 화장료 등의 성분으로서, 매우 우수하다.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피부나 두발에 접촉하면 피지 등의 친유성 성분을 필요 이상으로 씻어버려, 건조나 거칠음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는 친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과지방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포함되는 주된 용매는 물이기 때문에, 과지방제를 첨가하면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안정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친유성 성분인 스쿠알란 외에, 계면 활성제로서 소정량의 리포펩티드 화합물과 알킬폴리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점에서, 물을 주된 용매로서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있어서 친유성 성분의 분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데다,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낮고,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에 촉감, 세정 성능, 헹굼성, 보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특히 피부에 접촉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로서는 화장료나 세정제를 들 수 있다. 화장료로서는, 스킨케어 화장료, 장식용 화장료, 페이스 케어 화장료, 썬 케어 화장료, 바디 케어 화장료, 제한 화장료, 데오도란트 화장료 및 클렌징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세정제로서는, 바디 워시용 화장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겔상 또는 크림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스킨 화장수, 로션, 밀키 로션, 에센스, 크림, 팩, 화장 기초, 메이크업 화장료, 마사지 화장료 및 클렌징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클렌징 화장료는, 물로 매우 용이하게 씻어 버릴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반 장치나 유화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겔상의 클렌징 화장료의 경우에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7621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본원은, 2016년 4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7908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다. 2016년 4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79083호의 명세서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를 위해 원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팩틴 나트륨으로서는 가네까사제의 「가네까·서팩틴」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성분의 「%」는, 질량 기준의 퍼센티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조성물 시료의 제조
1) 코코 글루코시드액(「818 Plantacare(등록 상표) UP」 BASF사제)에 50%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4.5 내지 5.5에 조정하였다. 그 결과, 코코 글루코시드액은 투명한 용액이 되었다. 또한, 코코 글루코시드는, C8-16 지방 알코올 글루코시드이다.
2) 상기 코코 글루코시드 수용액을 냉각하면서 교반 날개를 사용하여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서팩틴 나트륨을 첨가하였다.
3) 서팩틴 나트륨이 완전히 용해된 후, 냉각 하에서 교반한 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스쿠알란을 첨가하고, 균일 분산시켰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물 시료 A 내지 F 중, C8-16 지방 알코올 글루코시드의 양은, 서팩틴 나트륨, 스쿠알란 및 C8-16 지방 알코올 글루코시드의 합계가 10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2
시험예 1: 외관 관찰
상기 각 조성물 시료의 45℃ 또는 실온에서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조성물 시료 A 내지 F는, 실온에서 불투명하였다. 특히 조성물 시료 A와 조성물 시료 F의 탁도는 매우 높았다. 한편, 조성물 시료 B 내지 E의 외관은, 45℃에서 24시간 인큐베이트한 후에 개선되고, 특히 서팩틴 나트륨을 0.05 내지 0.1%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 C의 경우, 약간 노랗게 현탁되어 있지만 거의 투명해서, 외관의 개선은 현저하였다.
또한, 조성물 시료 C를 45℃에서 24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추가로 실온에서 1주일 방치했지만, 도 1에 도시하는 대로, 탁도가 원래로 돌아가는 일은 없이, 거의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과지방제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조성물 시료 C였다. 이러한 선택은, 조성물 시료 C가 45℃로부터 실온까지 장기에 걸쳐 가장 높은 안정성과 투명성을 나타낸 점에서 결정지을 수 있었다. 그래서, 이하에 나타내는 과지방제로서의 시험은, 조성물 시료 C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예 2: 점도 측정
조성물 시료 C에 대해서, 점도, 농도 및 고형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점도(점도계: Brookfield RVDV-E, 측정 온도: 20℃, 스핀들: 2, 회전수: 60rpm) - 428.7 mPas
농도 - 1.095g/mL
고형분 함유량(열 천칭을 사용, 105℃, 자동) - 55.6%
고형분 함유량(열 천칭을 사용, 105℃, 2시간) - 53.0%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퍼스널 케어 기초 조성물에, 과지방제로서 조성물 시료 C를 1% 또는 2%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C8-16 지방 알코올 글루코시드와 올레산 글리세릴의 혼합물인 조성물 시료 Z를 제조하고, 동일하게 퍼스널 케어 기초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3
상기 퍼스널 케어 기초 조성물 자체와, 조성물 시료 C 또는 조성물 시료 Z를 첨가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외관 사진을 도 2에 도시한다. 도 2 중, 퍼스널 케어 기초 조성물은, Bath/Shower Base(배스/샤워용의 기초 조성물)로서 「B./S.B.」라고 기재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대로, 조성물 시료 C 또는 조성물 시료 Z를 첨가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투명하였다. 조성물 시료 C를 2% 첨가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는 부연 박층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전체로서는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계로서 Brookfield AMETEK사제의 「Brookfield RVDV-E」를, 스핀들로서 RV-3을 사용하고, 측정 온도는 23℃로, 회전수는 2.5rpm으로 조정하였다.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4
배스/샤워용의 기초 조성물의 점도는, 조성물 시료 C에 의해 명백하게 저감되었다. 한편, 조성물 시료 Z를 첨가한 경우에는, 점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또한, 조성물 시료의 농도를 2%로 증가시키면, 조성물 시료 Z의 경우에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점도가 더욱 증가한 것에 비해서, 조성물 시료 C의 경우에는 보다 한층 저감되었다.
시험예 3: 퍼스널 케어 거품 조성물의 용량과 구조의 평가
캡을 구비한 500mL 용량의 메모리 부착 그라운드넥 실린더에, 표 4에 나타내는 각 조성물의 0.5% 수용액을 첨가하고, 15회 격렬하게 흔들어 섞어, 거품의 용량, 크기, 유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5
기초 조성물로의 조성물 시료 C 및 Z의 첨가에 의해, 거품의 용량은 저하되는 일은 없고, 또한 거품의 경시적 유지성에도 영향은 없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 시료 C의 첨가에 의해, 특성의 근소한 향상이 인정되었지만, 조성물 시료 C 및 Z의 첨가에 의해 얻어진 거품의 용량이나 크기에 그 정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작은 거품의 구조에 대해서는, 조성물 시료 C 및 Z를 첨가한 경우의 쪽이, 기초 조성물에 비하여, 조밀하게 가득 찬 것이 되고 있었다.
시험예 4: 관능 평가
각 조성물 1g을 손바닥에 취하고, 1g의 수돗물을 첨가하여, 사전에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지분을 제거해 둔 전완부의 내측을 15초간 세정하고, 헹군 후에 가볍게 두드렸다. 이하의 항목에 대하여 피험자에게, 1이 양호, 5가 나쁨의 5단계로 평가하게 하였다. 결과를 표 5와 도 3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6
분배성(도포감), 거품 쿠션성, 헹굼성, 10분 후 및 30분 후의 매끄러움에 대해서는,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조성물의 쪽이,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한편, 점성과 10분 후 및 30분 후의 건조성에 대해서는,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쪽이 비교적 낮고,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쪽이 비교적 높았다.
C8-16 지방 알코올 글루코시드와 올레산글리세릴의 혼합물인 조성물 시료 Z에 비해, 서팩틴 나트륨을 포함하는 조성물 시료 C에 의한 우수한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결과를 제로로 하는 그래프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는,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각 평가 항목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평균값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고, 우수한 피부에 대한 도포감, 거품의 부드러움, 헹굼성, 매끄러움과, 비교적 충분하지 않은 건조성과 점성을 나타내고 있다.
시험예 5: 성능 안정성의 평가
조성물 시료 C를, 실온, 오븐 중 45℃, 냉장고 중 5℃에서 장시간 유지한 바, 안정되었다. 또한, 오븐 중 및 실온 상태에 있어서는, 2개월 후, 투명성은 오히려 향상되어 있었다. 모든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상기 각 조건 하에서 2개월 후에도 안정되었다.
정리
·모든 조성물 시료 A, B, C, D, E, F는, 실온에서 현탁 상태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조성물 시료 B, C, D 및 E는, 45℃에서 24시간 인큐베이트 한 바 개선되고, 특히 조성물 시료 C의 투명도는 높았다.
·또한, 45℃에서 가열된 조성물 시료 C는, 실온에서 1주일 방치해도, 놀랍게도 당초의 현탁 상태로 복귀되는 일은 없고 외관에 변화는 없었다.
·조성물 시료 C 또는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모든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투명하였다.
·1% 또는 2%의 조성물 시료 Z 또는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외관을, 그것들을 포함하지 않는 배스/샤워용 기초 조성물의 외관과 비교하였다. 2%의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는, 부연 박층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높은 투명성이 인정되었다.
·조성물 시료 C가 첨가된 배스/샤워용 조성물의 점도는,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지 않는 배스/샤워용 기초 조성물에 비하여 저감되었다. 그러나 조성물 시료 Z가 첨가되었을 경우, 점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조성물 시료 C의 농도를 2%로 높였을 경우에는, 2%의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기초 조성물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점도는 저감되었다.
·조성물 시료 C 또는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조성물의 거품은, 배스/샤워용의 기초 조성물에 있어서 유리한 효과로서, 당해 재(再)지화에 의해 저감되는 일은 없고, 3가지 예 모두에서 거품은 유지되었다. 조성물 시료 C 및 조성물 시료 Z에 의한 배스/샤워용 조성물의 거품 용량과 구조를 비교하면,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2%의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는 작은 거품이 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동일 농도의 조성물 시료 C 또는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조성물에서는, 감각에 있어서 다른 효과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분배성(도포감)이 높고, 피부에 의해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용이하게 헹굴 수 있었다. 스쿠알란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거품은, 올레산글리세릴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교하여 부드럽고, 피부에 대한 박막화 효과나 부드러움이 우수하고, 경시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조성물 시료 C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조성물은 근소한 건조성과 탄성을 나타낸 것에 비해서, 조성물 시료 Z를 포함하는 배스/샤워용 조성물은, 건조 직후에 약간의 점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지방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매우 우수한 저자극성을 나타내고, 또한 피부에 높은 편안함을 부여하고, 예측할 수 없었던 보존 안정성을 나타낸다.

Claims (15)

  1.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알킬폴리글리코시드, 및 중화 또는 pH 조정을 위한 pH 조정제를 포함하며,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0.5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지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미생물 유래의 것인 과지방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하기 식 (I)로 표시되는 서팩틴,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의 염인 과지방제.
    Figure 112018110456729-pct00007

    [식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고,
    R은,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노르말알킬기,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이소 알킬기, 또는 탄소수 8 이상 14 이하의 안테이소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제2 위치, 제4 위치 및 제6 위치의 아미노산이 독립적으로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서팩틴 나트륨인 과지방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펩티드 화합물이, 상기 식 (I)에 있어서의 제2 위치, 제4 위치 및 제6 위치의 아미노산이 독립적으로 류신, 이소류신, 발린, 글리신, 세린, 알라닌,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및 호모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인 과지방제.
  6. 제1항에 있어서,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3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0.7질량% 이상 3질량% 이하인 과지방제.
  7. 제1항에 있어서, 리포펩티드 화합물, 스쿠알란 및 알킬폴리글리코시드의 합계에 대하여, 리포펩티드 화합물의 비율이 0.05질량% 이상 0.1질량% 이하이고, 스쿠알란의 비율이 1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인 과지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과지방제를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지방제를 0.5질량% 이상 3질량% 이하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화장료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스킨 케어 화장료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장식용 화장료, 페이스 케어 화장료, 썬 케어 화장료, 바디 케어 화장료, 제한(制汗) 화장료 또는 데오도란트 화장료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바디 워시용 화장료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클렌징 화장료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겔상 또는 크림상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20187032314A 2016-04-11 2017-03-15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2343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9083 2016-04-11
JPJP-P-2016-079083 2016-04-11
PCT/JP2017/010329 WO2017179356A1 (ja) 2016-04-11 2017-03-15 過脂肪剤およ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921A KR20180129921A (ko) 2018-12-05
KR102343745B1 true KR102343745B1 (ko) 2021-12-27

Family

ID=6004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314A KR102343745B1 (ko) 2016-04-11 2017-03-15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43951B8 (ko)
JP (1) JP6954895B2 (ko)
KR (1) KR102343745B1 (ko)
CN (1) CN108883049B (ko)
ES (1) ES2930532T3 (ko)
WO (1) WO2017179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8852B2 (en) * 2018-02-06 2020-03-17 Louise M. Smith Face and body cream composition
AU2020392432A1 (en) * 2019-11-28 2022-06-23 Ceva Sante Animale Shampoo veterinary composi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8344A1 (de) 2013-08-29 2015-03-05 Basf Se Kosmetische mittel
US20160030324A1 (en) 2014-07-31 2016-02-04 Jenn-Kan Lu Applications of surfactin in emulsifying composition an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497A (ja) * 1995-05-26 1996-12-03 New Japan Chem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981975B2 (ja) * 1995-07-13 1999-11-22 株式会社アルソア本社 化粧料組成物
JP4519961B2 (ja) * 1998-05-29 2010-08-04 株式会社カネカ 皮膚外用剤用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96469C (zh) 1998-05-29 2005-04-13 昭和电工株式会社 用于皮肤外用制剂的表面活性剂以及含有该表面活性剂的皮肤外用制剂
FR2784904B1 (fr) * 1998-10-22 2001-01-19 Seppic Sa Nouvelles compositions a base d'alkylpolyglycosides et d'alcools gras, notamment utiles pour la preparation d'emulsions fluides stables
FR2790977B1 (fr) * 1999-03-19 2003-09-12 Seppic Sa Nouvelles emulsions eau-dans-huile stables contenant un emulsionnant a base d'oleyl- et/ou d'isostearyl-glycoside
JP2001316222A (ja) * 2000-05-10 2001-11-13 Takashi Yokota 乳化、分散剤組成物
FR2810323B1 (fr) * 2000-06-16 2002-09-06 Shiseido Int France Utilisation cosmetique d'un lipopeptide
JP2002145761A (ja) * 2000-11-09 2002-05-22 Pola Chem Ind Inc しっとり感の残る化粧料
US20040219125A1 (en) * 2001-08-10 2004-11-04 Tadashi Yoneda Oily thickened gel-like composition, emulsified composition using th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3894064B2 (ja) * 2001-08-10 2007-03-14 昭和電工株式会社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法
JP2003128512A (ja) * 2001-10-18 2003-05-08 Showa Denko Kk 化粧料用抗菌性組成物
JP3862076B2 (ja) * 2001-12-12 2006-12-27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後発泡性パック料
KR100452165B1 (ko) * 2002-01-29 2004-10-08 주식회사 태평양 리포펩티드계 보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나노에멀젼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267836A (ja) * 2002-03-18 2003-09-25 Rohto Pharmaceut Co Ltd ゲル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060121848A (ko) * 2003-08-28 2006-11-2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JP4399332B2 (ja) * 2003-08-28 2010-01-13 株式会社カネカ 化粧料
TW200536561A (en) * 2004-02-06 2005-11-16 Showa Denko Kk Method for stabilizing oil-based thickening gel composition
JP2005247838A (ja) * 2004-02-06 2005-09-15 Showa Denko Kk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安定化方法
US20080311234A1 (en) * 2004-03-24 2008-12-18 Tadashi Yoneda 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Cosmetics Using the Composition
JP2006265153A (ja) * 2005-03-23 2006-10-05 Noevir Co Ltd ゲル組成物
FR3004454B1 (fr) * 2013-04-12 2015-03-27 Seppic Sa Nouvelles emulsions eau-dans-huile a forte teneur en phase aqueuse, de consistances liquides et stables au stockage
CN106068158B (zh) * 2014-03-05 2018-06-08 株式会社钟化 临界胶束浓度的降低方法及表面活性剂组合物
KR101660025B1 (ko) 2016-01-18 2016-09-26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연약지반 표층처리 보강시공을 위한 격자형 대나무망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8344A1 (de) 2013-08-29 2015-03-05 Basf Se Kosmetische mittel
US20160030324A1 (en) 2014-07-31 2016-02-04 Jenn-Kan Lu Applications of surfactin in emulsifying composition an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30532T3 (es) 2022-12-16
JP6954895B2 (ja) 2021-10-27
EP3443951A1 (en) 2019-02-20
CN108883049B (zh) 2021-03-12
EP3443951B1 (en) 2022-09-21
EP3443951B8 (en) 2022-11-02
CN108883049A (zh) 2018-11-23
EP3443951A4 (en) 2019-06-19
WO2017179356A1 (ja) 2017-10-19
KR20180129921A (ko) 2018-12-05
JPWO2017179356A1 (ja)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102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JP5180556B2 (ja)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KR20090034915A (ko) 피부 외용 주름 방지제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KR20080030684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JPWO2009084477A1 (ja) 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2007056009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KR101502260B1 (ko)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KR20100107025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4707997B2 (ja)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マグネシウムナトリウム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JP611625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6438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4399332B2 (ja) 化粧料
JP2005162741A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9143860A (ja) 養毛化粧料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KR100944593B1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