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684A -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684A
KR20080030684A KR1020087004555A KR20087004555A KR20080030684A KR 20080030684 A KR20080030684 A KR 20080030684A KR 1020087004555 A KR1020087004555 A KR 1020087004555A KR 20087004555 A KR20087004555 A KR 20087004555A KR 20080030684 A KR20080030684 A KR 2008003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glyceryl
oil
external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요네다
나오꼬 이또
가즈오 후루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제 중에 배합된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의 분해에 의한 감소를 방지하여, 제제의 안정성을 높인 유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 0.03 내지 25 질량%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 0.05 내지 25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4014721-PCT00011
[화학식 1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유화 피부 외용제,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Description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EMULSIFIED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과,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다양한 유도체는 미백 작용, 항산화 작용, 콜라겐 합성 촉진 작용 등의 효능ㆍ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로서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 화장품, 사료 등에 배합되고 있다.
특히,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중, 2위치의 수산기를 인산에스테르화하고, 6위치의 수산기를 고급지방산에스테르화한 화합물 및 그의 염은 산화되기 어렵고, 안정적이며, 양친매성이기 때문에, 생체에 대한 친화성이 높고, 피부 등의 생체 조직으로의 이행이 빨라 그의 의약품, 화장품, 사료 등으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 및 그의 염을 피부 외용제로서 제제화하면, 제제 중에서 이들 의 분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包接)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킨 아스코르브산이나 아스코르브산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와, 용제로서 다가 알코올을 사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8-113525호 공보).
또한, 아스코르브산, 그의 에스테르 유도체, 그의 에테르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을 물 및 글리콜에테르류를 포함하는 수성 매체 중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외피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8228호 공보).
또한,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수용성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물, 1,2-알칸디올을 포함하며, 경시적으로 안정적인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30호 공보).
그러나, 이들 문헌에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을 사용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재도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제 중에 배합된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의 분해에 의한 감소를 방지하여 제제의 안정성을 높인 유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과제는, 이러한 피부 외용제의 제공을 통해, 상기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 0.03 내지 25 질량%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 0.05 내지 25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1
[화학식 1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이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2-헥실데칸산 또는 이소스테아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4]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팔 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5]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2-헥실데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성분 (A)가 Na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7]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가 카프릴산글리세릴, 카프르산글리세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베헨산글리세릴, 리놀레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릴, 리시놀레산글리세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 및 에루크산글리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화장료.
[9]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와 함께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2
[화학식 I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본 발명의 유화 피부용 외용제는, 제제 중에 배합된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의 분해에 의한 감소를 방지할 수 있어, 제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피부 외용제의 용도 전반에 걸쳐서 유용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화장료에 유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화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안정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화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를 함유한다.
(A)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이하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라고도 함)의 염 (A)의 모체가 되는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3
화학식 1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낸다. 이 고급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 구체적으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2-헥실데칸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팔미트산 및 2-헥실데칸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는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인산에스테르 결합을 구성하고 있는 인산 잔기가 염을 형성한 화합물 및/또는 아스코르브산의 3위치의 수산기와 염기가 염을 형성한 화합물이다. 이러한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Na염, K염, Ca염, Mg염, Zn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Na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는 피부 외용제 전량 중 통상적으로 0.03 내지 25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질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성분 (A)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 외용제에 요구되는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고, 한편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배합하여도, 그 이상의 개량 효과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는 글리세린 중 어느 하나의 수산기에 지방산이 1분자 에스테르 결합된 화합물이고, 모노아실글리세롤 또는 모노글리세리드라고도 불린다. 상기 지방산으로서는, 직쇄 지방산, 분지쇄 지방산,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히드록시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를 배합시킴으로써, 제제 중의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의 분해에 의한 감소를 방지할 수 있어, 제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릴산글리세릴, 카프르산글리세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 리놀레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베헨산글리세릴, 에루크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릴, 리시놀레산글리세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 소맥 배아유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홍화유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수소 첨가 대두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포화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면실유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소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및 라놀린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카프릴산글리세릴, 카프르산글리세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 리놀레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베헨산글리세릴, 에루크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릴, 리시 놀레산글리세릴 및 히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이 바람직하고, 특히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 및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는 피부 외용제 전량 중 0.05 내지 25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질량%의 양으로 배합된다. 성분 (B)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안정적인 피부 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C) 기타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상기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 이외에,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C)를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 (C)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지랍(ozokerite),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부텐, 미소결정질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유,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류,
호호바 오일,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고래 왁스, 사탕수수 왁스, 향유고래유, 밀랍, 몬탄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미강유, 쌀 배아유, 콘유,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유, 평지씨유, 살구씨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고올레산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 자유, 수소 첨가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마유(馬油),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 쿠쿠이넛유, 달맞이꽃유, 소맥 배아유, 낙화생유, 동백유, 애기동백유, 카카오지,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돈지, 마지, 양지, 쉬어버터, 마카다미아넛유, 메도우폼유(meadowfoam oil) 등의 천연 유지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γ-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야자유 지방산 등의 지방산류,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셀라킬알코올,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부틸, 올레산에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카프릴산세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옥틸, 미리스트산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세틸, 미리스트산옥타데실, 팔미트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리시놀레산세틸,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산옥틸도데실, 이 소스테아르산에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ㆍ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ㆍ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ㆍ카프르산ㆍ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미리스트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세틸,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펠라르곤산 2-에틸헥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도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옥틸도데실,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헵틸운데실, 세박산디에틸,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올레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올레산피토 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아세트산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에테르, 아세트산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이소세틸에테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옥틸, 이소노난산트리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젠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유류,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퍼셀레란, 구아검, 모과씨, 곤약 만난, 타마린드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콩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카라야검, 트래거캔스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마르멜로, 키토산, 커드란, 크산탄검, 젤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미소결정질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 스, 전분 인산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ㆍ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세인,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아미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중합체, 비닐알코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중합체, 디메틸아크릴암모늄계 중합체, 아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변성 실리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알킬(C10 내지 30)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고분자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류,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류,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의 에테르류,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류,
글루코오스, 과당, 크실로오스 등의 단당류,
수크로오스, 젖당,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등의 올리고당류,
야자유 지방산칼륨, 야자유 지방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칼륨, 미리스트산나트륨, 미리스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트산칼륨, 팔미트산나트륨, 팔미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트리에탄올아민, 올레산칼륨, 올레산나트륨, 피마자유 지방산나트륨, 운데실렌산아연,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미리스트산칼슘, 미리스트산마그네슘, 디미리스트산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알루미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스테아로일락트산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락트산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사르코신, 야자유 지방산사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사르코신, 라우로일사르코신칼륨, 라우로일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사르코신, 미리스토일사르코신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 야자유 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칼륨, 야자유 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아실글루타민산, 라우로일아실글루타민산칼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타민산,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타민산칼륨,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타민산,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타민산칼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타민산이나트륨, 경화 우지 지방산아실글루타 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ㆍ경화 우지 지방산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린칼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메틸타우린마그네슘,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올레오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알칸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센술폰산나트륨, 술포숙신산디옥틸나트륨, 술포숙신산라우릴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에틸에스테르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세틸황산나트륨, 알킬(11,13,15)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황산나트륨, 알킬(12,13)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4,16)황산암모늄, 알킬(12 내지 13)황산디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4)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5)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알킬황산마그네슘ㆍ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칼륨,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디에탄올아민, 미리스틸황산나트륨, 스테아릴황산나트륨, 올레일황산나트륨, 올레일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13,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13,15)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1 내지 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알킬(12,13)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 내지 14)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 내지 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미 리스틸에테르황산나트륨, 고급지방산알칸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나트륨, 라우릴인산, 라우릴인산나트륨, 세틸인산칼륨, 세틸인산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13)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내지 15)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내지 16)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디에탄올아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20 내지 22)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알킬(28)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2EO), 염화디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메틸암모늄, 염화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25)디에틸메틸암모늄, 염화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모늄(5EO),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12 내지 15)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12 내지 18)디메틸암모 늄, 염화디알킬(14 내지 18)디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염화이소스테아릴라우릴디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염화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라우릴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라우릴피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라우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염화스테아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브롬화알킬이소퀴놀리늄, 염화메틸벤제토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나트륨, 운데실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륨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트리에탄올아민, 팜유 지방산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나트륨, 야자유 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팜유 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아세트산베타인, 리시놀레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13)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 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7,12)알킬(12 내지 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미리스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sec-알킬(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10,20)이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34)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폴리옥시프로필렌(30)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4)폴리옥시프로필렌(23)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라우르산디에틸렌글리콜, 미리스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 팔미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디에틸렌글리콜,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2), 이소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디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팔미트산폴리에틸 렌글리콜(150),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디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리시놀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20)야자유 지방산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8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150)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2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5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르산모노미리스트산글리세릴,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아라킨산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디스테아르산소르비탄, 이소팔미트산디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폴리(4 내지 10)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폴리(10)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 리(2 내지 10)글리세릴, 모노올레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세스퀴올레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폴리(6 내지 1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폴리(10)글리세릴, 트리올레산폴리(10)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2)글리세릴, 펜타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펜타올레산폴리(6 내지 10)글리세릴, 헵타스테아르산폴리(10)글리세릴, 데카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산폴리(10)글리세릴, 축합 리시놀레산폴리(6)글리세릴, 수크로오스지방산에스테르, 야자유 지방산수크로오스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디히드록시에틸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 올레일디메틸아민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디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시드, 담즙산, 콜산, 디옥시콜산, 콜산나트륨, 디옥시콜산나트륨, 스피쿨리스포르산, 람놀리피드, 트레할로오스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벤질, 디파라메톡시신남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칼륨, 파라메 톡시신남산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톡시에틸, 파라에톡시신남산에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펜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 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살리실산-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의 자외선 흡수제,
카올린, 규산 무수물,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견운모, 탈크, 질화붕소,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삼 셀룰로오스 분말, 소맥 전분, 실크 분말, 옥수수 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안나토, 오징어 먹물 분말, 캐러멜, 구아이아줄렌, 치자나무 청색, 치자나무 황색, 코치닐, 시코닌, 구리클로로피린나트륨, 파프리카 색소, 홍화 적색, 홍화 황색, 락카인산, 리보플라빈 부티르산에스테르 등의 천연 색소, 카본 블랙,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감청, 군청, 산화아연, 산화크롬, 산화티탄, 흑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산리튬코발트, 망 간 바이올렛, 펄 안료 등의 분체류 및 색재류,
신선초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산수국잎 추출물, 돌외 추출물, 무궁화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유용성 아르니카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안식향나무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흰붓꽃 뿌리 추출물, 회향 추출물, 심황 추출물, 장미 열매 추출물, 에키나시아잎 추출물, 황금(黃芩) 뿌리 추출물, 황백 추출물, 황련 추출물, 보리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유용성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꽃 추출물, 유용성 광대수염꽃 추출물, 오노니스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등화수, 해초 추출물, 감 타닌, 갈근 추출물, 길초근 추출물, 부들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용성 캐모마일 추출물, 캐모마일 워터, 귀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유용성 당근 추출물, 당근유, 사철쑥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감초 추출 분말, 감초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 팅크, 라즈베리 추출물, 키위 추출물, 기나피 추출물, 오이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모과씨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고삼 추출물, 호두 껍질 추출물, 자몽 추출물, 클레마티스 추출물, 브라운 슈가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계피 껍질 추출물, 용담 추출물, 제라늄 추출물, 홍차 추출물, 황수련 추출물, 우엉 추출물, 유용성 우엉 추출물, 소맥 배아 추출물, 가수분해 소맥 분말, 쌀겨 추출물, 쌀겨 발효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족도리풀 뿌리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유용성 샐비어 추출물, 크라타에구스 쿠네아타 열매 추출물, 크산톡실룸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분말, 지황 추출물, 시콘 추출물, 유용성 시콘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린덴 추출물, 유용성 린 덴 추출물, 단풍터리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율무 추출물, 생강 추출물, 유용성 생강 추출물, 생강 팅크, 창포 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유용성 자작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인동덩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유용성 쇠뜨기 추출물,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추출물, 담쟁이덩굴 추출물,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엘더베리꽃 추출물, 두송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유용성 서양톱풀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유용성 세이지 추출물, 세이지 워터, 당아욱 추출물, 셀러리 추출물, 천궁 추출물, 천궁수, 쓴풀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 추출물, 타임 추출물, 차 추출물, 차 건류액, 다실(茶實) 추출물, 정향화 추출물, 귤피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용성 호두나무 추출물, 듀크 추출물, 테르미날리아 추출물, 고추 팅크, 왜당귀 추출물, 유용성 왜당귀 추출물, 왜당귀수, 매리골드 추출물, 유용성 매리골드 추출물, 두유 분말, 복숭아씨 추출물, 등자나무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양지꽃 뿌리 추출물, 낫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유용성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유용성 들장미 추출물, 맥아 추출물, 맥아 뿌리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보리 엽즙 농축물, 증류 박하수, 풍년화수, 풍년화 추출액, 장미 추출물, 개물통이 추출물, 이소도니스 자포니쿠스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유용성 비파엽 추출물, 머위꽃 추출물, 복령 추출물,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뿌리 추출물,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 뿌리 추출물 분말, 포도 추출물, 포도잎 추출물, 포도수, 헤이플라워 추출물, 수세미외 추출물, 수세미외수, 홍화 추출물, 유용성 보리자나무 추출물, 보리자나무수, 모란 추출물, 홉 추출물, 유용성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 칠엽수 추출물, 유 용성 칠엽수 추출물, 무환자나무 껍질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메리로드 추출물, 복숭아잎 추출물, 유용성 복숭아잎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수레국화수,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백합 추출물, 율무 추출물, 유용성 율무 추출물, 쑥 추출물, 쑥물, 라벤더 추출물, 라벤더 워터, 사과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장미수, 로즈메리 추출물, 유용성 로즈메리 추출물,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세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대두 펩티드 등의 아미노산류 및 펩티드류,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펜,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티노이드류, 타이민류 등의 비타민 B1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류,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류, 엽산류,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스테아르산 L-아스코르빌, 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디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L-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이나트륨, 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인산 L-아스코 르빌나트륨,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유비퀴논류, 비타민 K류, 카르니틴, 페룰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등의 비타민류 및 비타민 작용 인자류,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디히드로아세트산, 디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이소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이소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부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산벤질,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나트륨, 페녹시에탄올,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감광소 401호 등의 방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갈산프로필, 에리소르빈산, 에리소르빈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아니솔, 갈산옥틸 등의 산화 방지제,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글루콘산, 피틴산,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의 금속 이온 봉쇄제,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세라마이드 등의 보습제,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디칼륨, 글리시리진산모 노암모늄, β-글리시르레틴산, 글리시르레틴산글리세린,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염화리소자임, 히드로코르티손, 알란토인 등의 항염증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 조정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등의 염류,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 α-히드록시산류,
알부틴, α-알부틴, 태반 추출물 등의 미백제,
안젤리카 오일, 일랑일랑 오일, 엘레미 오일, 오렌지 오일, 저먼 캐모마일 오일, 로만 캐모마일 오일, 카르다몸 오일, 창포 오일, 갈바눔 오일, 장뇌유, 당근씨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자몽 오일, 정향 오일, 계피 오일, 고수 오일, 사이프러스 오일, 백단 오일, 시더우드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잎 오일, 자스민 무수물, 두송 오일, 생강 추출물, 스피어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백향목 오일, 제라늄 오일, 타임 오일, 티 트리 오일, 육두구유, 니아울리 오일, 네롤리 오일, 소나무 오일, 바질 오일, 박하 오일, 파출리 오일, 팔마로사 오일, 회양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 흑후추 오일, 유향 오일, 베티버드 오일, 페퍼민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벤조인 오일, 로즈우드 오일, 마저람 오일, 만다린 오일, 몰약 오일, 멜리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유자 오일, 라임 오일, 라벤사라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린덴 오일, 레몬 오일, 레몬그래스 오일, 장미 오일, 자단 오일, 로즈메리 오일, 러비지 오일 등의 정유류,
리모넨, 피넨, 테르피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롱기폴렌 등의 테르펜류,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화장료>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화 피부 외용제로서 가장 많은 양태인 유화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로서는,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액, 미용액, 크림, 젤 등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 연령에도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는,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배합할 수도 있다.
기존의 화장품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문헌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교회편, 1984(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7(야꾸지 닛보사)] 및 [화장품 원료 사전, 1991년(닛코 케미칼즈)]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상기 성분을 소정의 함유량이 되도록 배합하고, 그 양태에 따라 통상법에 따라 용해, 혼합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 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를 함유함으로써,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를 피부 외용제로서 제제한 경우에도, 분해에 의한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와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를 공존시키는 방법에 의해,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도 본 발명의 일부이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글리세린은 함량 98 질량% 이상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보존 안정성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보존 안정성 시험>
시료를 온도 40 ℃의 항온실에서 1개월간 정치한 후의 아스코르브산에스테르의 염 (A)의 잔존율(%)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잔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잔존율(%)=100×[40 ℃에서 정치 1개월 후의 제제 중의 성분 (A) 농도(%)/제조 직후의 제제 중의 성분 (A) 농도(%)]
또한, 상기 성분 (A) 농도는 하기 측정 조건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
칼럼: 쇼와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쇼덱스(Shodex; 등록 상표) C18P 4E"
칼럼 온도: 40 ℃
용리액: 0.1 M 인산수소이칼륨(pH 7.0)/테트라히드로푸란=65/35
유속: 0.7 ㎖/분
검출: UV 265 ㎚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2〕
표 1에 나타낸 재료 및 조성 비율로 성분 I을 80 ℃에서 혼합 용해하고, 별도로 80 ℃에서 혼합 용해한 성분 II를 성분 I에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유화시키고, 30 ℃까지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잔존율 제외)는 질량%이다.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의 크림은 스테아르산글리세릴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스테아르산글리세릴을 스테아르산과 수산화칼륨으로 대체한 비교예 2의 크림에 비해, 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8 내지 15〕
표 2에 나타낸 재료 및 조성 비율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잔존율 제외)는 질량%이다.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5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8 내지 15의 크림은 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내지 24〕
표 3에 나타낸 재료 및 조성 비율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잔존율 제외)는 질량%이다.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 내지 24의 크림은 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5〕
표 4에 나타낸 재료 및 조성 비율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잔존율 제외)는 질량%이다.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7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5의 크림은 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 및 아스코르브산-2-인산-6-(2-헥실데칸산)나트륨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6〕
표 5에 나타낸 재료 및 조성 비율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제조법에 의해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크림에 대하여 보존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의 수치(잔존율 제외)는 질량%이다.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8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6의 크림은 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 0.03 내지 25 질량%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 0.05 내지 25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14014721-PCT00009
    [화학식 1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R이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2-헥실데칸산 또는 이소스테아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팔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0 내지 20의 지방족 카르복실산이 2-헥실데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가 Na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가 카프릴산글리세릴, 카프르산글리세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베헨산글리세릴, 리놀레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글리세릴, 리시놀레산글리세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 및 에루크산글리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화장료.
  9. 글리세린 모노지방산에스테르 (B)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의 염 (A)와 함께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14014721-PCT00010
    [화학식 1 중, R은 고급지방산 잔기를 나타냄]
KR1020087004555A 2005-07-27 2006-07-24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KR20080030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7645 2005-07-27
JPJP-P-2005-00217645 2005-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684A true KR20080030684A (ko) 2008-04-04

Family

ID=3916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555A KR20080030684A (ko) 2005-07-27 2006-07-24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52139A1 (ko)
EP (1) EP1909917A1 (ko)
KR (1) KR20080030684A (ko)
CN (1) CN101227951A (ko)
TW (1) TW200744663A (ko)
WO (1) WO2007013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862B1 (ko) * 2010-03-23 2012-07-09 (주)아모레퍼시픽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27863B (zh) * 2011-09-30 2015-02-25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牡丹提取物的微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631305B (zh) * 2012-05-11 2013-04-10 苏州宜生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定妆液
DE102013208865A1 (de) * 2013-05-14 2014-11-20 Beiersdorf Ag Stabilisiert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nd Phosphationen
DE102013208880A1 (de) * 2013-05-14 2014-11-20 Beiersdorf Ag Stabilisiert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nd Gemischen aus Natriumstearoylglutamat und/oder Cetylstearylsulfat in Kombination mit Glycerylstearat
GB2519972A (en) 2013-11-01 2015-05-13 Innospec Ltd Detergent compositions
FR3012957B1 (fr) * 2013-11-08 2015-12-18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de l'acide spiculisporique et un ester d'acide gras et de (poly)glycerol, eventuellement polyoxyalkylene
DE102014223570A1 (de) * 2014-11-19 2016-05-19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bidecarenon und Phosphationen zur verbesserten Hautkonturierung bzw. gegen Cellulite
DE102014223568A1 (de) * 2014-11-19 2016-05-19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Ascorbinsäure, Ubidecarenon und Gemischen aus Natriumstearoylglutamat und/oder Cetylstearylsulfat in Kombiantion mit Glycerylstearat
CN106866596B (zh) * 2015-12-11 2019-05-17 浙江永宁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黑色素生成抑制剂
WO2018061855A1 (ja) * 2016-09-29 2018-04-05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7681B2 (en) * 1998-05-15 2003-02-27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reventives/remedies for skin diseases
US6497889B2 (en) * 2000-06-20 2002-12-24 Kyowa Hakko Kogyo Co., Ltd. Cosmetics
JP2005187465A (ja) * 2003-12-04 2005-07-14 Showa Denko Kk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KR20070004999A (ko) * 2004-04-26 2007-01-0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토코페롤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및 리포펩티드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9917A1 (en) 2008-04-16
WO2007013633A1 (en) 2007-02-01
CN101227951A (zh) 2008-07-23
US20100152139A1 (en) 2010-06-17
TW200744663A (en) 200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102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080030684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JP2008007428A (ja) 皮膚外用シワ防止剤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JP2007056009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EP26429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4707997B2 (ja)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マグネシウムナトリウム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塩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JP611625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26438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4399332B2 (ja) 化粧料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2005162741A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KR100944593B1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7254376A (ja) 養毛化粧料
JP2007254375A (ja) 美白化粧料
JP2007254374A (ja) 抗肌荒れ化粧料
JP2012197238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