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025A -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025A
KR20100107025A KR1020107016806A KR20107016806A KR20100107025A KR 20100107025 A KR20100107025 A KR 20100107025A KR 1020107016806 A KR1020107016806 A KR 1020107016806A KR 20107016806 A KR20107016806 A KR 20107016806A KR 20100107025 A KR20100107025 A KR 2010010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external preparation
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부미 아오끼
하루미 가마찌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0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e.g. acetylcholine, acetyl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분지형 아실카르니틴 배합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 0.01 내지 10질량%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01 내지 2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16

<화학식 2>
Figure pct00017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2 중 R1 및 R2는 화학식 1과 동일한 의미이며, X-는 특정한 음이온을 나타내고, Y+는 특정한 양이온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EMULSION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AND 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과 특정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안정한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카르니틴이 인체의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카르니틴은, 세포에 있어서, 지방으로부터 유리되는 지방산에 효소적으로 결합하고, 지질 연소의 장소인 세포 내 기관의 미토콘드리아 내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캐리어의 작용을 갖는다.
한편, 과잉의 지질의 존재는, 피하 지방 축적에 의한 비만뿐만 아니라, 셀룰라이트의 형성, 피지 과잉에 의한 피부 표면의 번들거림이나 끈적거림,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에 수반하는 탈모, 여드름, 체취, 지질 대사 저하에 수반하는 피부의 노화 등, 특히 미용, QOL(Quality Of Life)의 관점에서 많은 문제의 요인이 되고 있다.
지질 대사가 행해지기 위해서는,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 내에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그 도입에는 카르니틴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질 대사 속도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카르니틴량에 의존하며, 지질 대사를 촉진하고자 하는 조직의 카르니틴 농도를 높이는 것은 지질 대사의 촉진으로 이어져, 지질 과잉의 방지, 나아가서는 지질 과잉에 의한 트러블의 해소에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피부 외용제에 카르니틴 유도체를 배합하여 경피 흡수시키고, 지질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것이 여러가지 검토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팔미토일-L-카르니틴(팔미트산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카르니틴 유도체의 제제 중에서의 안정성을 개선한, 분지형 아실기를 갖는 카르니틴 지방산 에스테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프랑스국 특허 발명 제2694195호 명세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19441호 공보
그러나, 분지형 아실카르니틴은, 그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4급 암모늄기를 갖는 양쪽 이온성 물질이고, 용액 중에서는 넓은 pH 범위에서 해리하며, 전해질로서의 성질을 나타낸다. 전해질이 계면 활성제에 의한 유화를 방해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특히 분지형 아실카르니틴은,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크림이나 유액, 에멀젼 등의 소위 유화 처방에 있어서, 수성 매체 등과의 유화를 불안정화하기 때문에, 그 유용성의 한편으로, 유화형 제제에의 고농도의 배합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분지형 아실카르니틴 배합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분지형 아실카르니틴 배합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배합에 추가하여, 상기 유화 피부 외용제의 pH를 특정한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그 제제의 장기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의 [1] 내지 [12]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 0.01 내지 10질량%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01 내지 2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Figure pct00001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식 2 중, R1 및 R2는 화학식 1에서의 R1 및 R2와 동일한 의미이며, X-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양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음이온을 나타내고, Y+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음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양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낸다.)
[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 중의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1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3]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 중의 R1 및 R2 중 어느 한쪽이 탄소수 6의 직쇄 알킬기이고, 다른쪽이 탄소수 8의 직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4] 상기 화학식 2 중의 X-가 수산화물 이온, 질산 이온, 황산 이온, 탄산 이온, 탄산수소 이온, 할로겐화물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시트르산 이온, 타르타르산 이온, 옥살산 이온, 푸마르산 이온,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포화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음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 아스코르브산의 음이온, 아스코르빌인산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5] 상기 화학식 2 중의 Y+가 수소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암모늄 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6]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7]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테르 에스테르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8]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9]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10] pH가 5.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
[11] pH가 5.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
[12]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따르면, 유화 제제를 파괴하기 쉬운 분지 아실카르니틴 배합하에서도 높은 유화 안정성이 얻어진다. 특히 감촉이나 외관이 상품 가치에 큰 영향을 주는 화장료에 있어서, 장기 보존 후에도 감촉이 우수하고, 외관의 변화도 작은 제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제 중의 여러 성분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의 전형적인 사용 조건인, 제품을 용기로부터 소량씩 채취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매회의 성분을 경시 변화없이 동일하게 유지ㆍ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보존 중의 품질의 유지는 물론, 개봉부터 사용 종료까지에 걸쳐 오래도록 제제의 설계 특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분지 아실카르니틴의 작용, 혹은 동시에 배합되는 여러 성분의 작용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제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특정한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특정한 카르니틴 유도체를 함유하거나, 혹은 특정한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을 함유하거나, 혹은 특정한 카르니틴 유도체와 그의 염을 모두 함유한다.
<카르니틴 유도체>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카르니틴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R1 및 R2는, 어느 한쪽이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다른쪽이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1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1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4 내지 12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의 카르니틴 부위는 통상 L형이다. 또한,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는, R1 및 R2를 구비한 α-분지형의 아실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R1 및 R2가 상이한 경우에는 분지점의 α 탄소 원자가 비대칭 탄소 원자가 되고, 광학 이성체가 존재한다. 그 경우에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카르니틴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그들 광학 이성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는, R1 및 R2를 구비한 α-분지형의 아실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성 매체 존재하에서도, 분지쇄에 의한 에스테르 결합 부위로의 전자 공여성의 저감 효과에 의해 아실기가 가수분해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2-에틸부틸기, n-헵틸기, 2-메틸헥실기, 3-메틸헥실기, 4-메틸헥실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n-옥틸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5-메틸헵틸기, 6-메틸헵틸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4-에틸헥실기, 2-프로필펜틸기, n-노닐기, n-데실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이소스테아릴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0-운데세닐기, 9-헥사데세닐기, 시스-9-옥타데세닐기, 11-옥타데세닐기, 시스, 시스-9,12-옥타데카디에닐기, 9,12,15-옥타데카트리에닐기, 6,9,12-옥타데카트리에닐기, 9,11,13-옥타데카트리에닐기 등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R1 및 R2의 조합으로서는, R1과 R2가 메틸기와 메틸기, 메틸기와 에틸기, 메틸기와 n-프로필기, 메틸기와 이소프로필기, 메틸기와 n-부틸기, 메틸기와 n-펜틸기, 메틸기와 n-헥실기, 메틸기와 n-옥틸기, 메틸기와 n-데실기, 메틸기와 n-테트라데실기, 메틸기와 n-헥사데실기, 에틸기와 에틸기, 에틸기와 n-프로필기, 에틸기와 이소프로필기, 에틸기와 n-부틸기, 에틸기와 이소프로필기, 에틸기와 n-부틸기, 에틸기와 n-펜틸기, 에틸기와 n-헥실기, 에틸기와 n-옥틸기, 에틸기와 n-데실기, 에틸기와 n-테트라데실기, 에틸기와 n-헥사데실기, n-프로필기와 n-프로필기, n-프로필기와 n-부틸기, n-프로필기와 n-펜틸기, n-프로필기와 n-헥실기, n-부틸기와 n-헥실기, n-부틸기와 n-옥틸기, n-헥실기와 n-옥틸기인 조합을 들 수 있다. n-헥실기와 n-옥틸기인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에는, 상기 R1과 R2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카르니틴 유도체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식 2 중, X-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양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음이온을 나타내고,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물 이온, 질산 이온, 황산 이온, 탄산 이온, 탄산수소 이온 및 할로겐화물 등의 무기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시트르산 이온, 타르타르산 이온, 옥살산 이온, 푸마르산 이온,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포화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음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 아스코르브산의 음이온, 아스코르빌인산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 등의 유기 이온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 외용제, 특히 화장료로서의 배합성의 점에서는 수산화물 이온, 할로겐화물 이온, 시트르산 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2 중, Y+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음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양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내고,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암모늄 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 외용제, 특히 화장료로서의 배합성의 점에서 수소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2 중, R1 및 R2는 상기 화학식 1 중의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에는, 상기 X-, Y+, R1 및 R2와의 조합에 의해 특정되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과 함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알킬 글루코시드류,
알킬 폴리글루코시드류,
N-알킬 디메틸아민옥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에테르 에스테르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이다.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에테르 에스테르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이다.
또한, 유화 안정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즉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사용된다.
이들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유화 피부 외용제, 화장료>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과,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르니틴 유도체 및 그의 염은, 지질 대사 개선에 유용하며, 과잉의 지질의 존재 혹은 지질 대사량의 저하에 관계된 피부의 장해나 노화, 비만 등의 개선ㆍ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 특히 지질 대사 개선용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를, 간단히 본 발명의 화장료라고 한다.
상기 목적의 구체예로서는, 슬리밍, 항 셀룰라이트, 스킨 타이트닝, 피지 과잉에 의한 번들거림ㆍ끈적거림ㆍ화장 뭉개짐의 방지,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지루성 피부염에 수반하는 탈모의 예방, 항 여드름, 체취의 방지, 지질의 에너지 전환 촉진에 의한 피부의 노화 방지ㆍ활성화ㆍ스킨 케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적용 분야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 외에 다양한 효과 효능을 갖는 화장료에, 상기와 같은 카르니틴 유도체 및 그의 염의 효능을 추가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상기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을, 요구되는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의 효능 정도에 따른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제제 안정성의 관점에서 유화 피부 외용제 전량 중 0.01 내지 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카르니틴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양을, 또한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의 양을, 이것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르니틴 유도체와 그의 염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는,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유화 피부 외용제 전량 중 0.01 내지 2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질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이러한 양으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과 함께 유화 피부 외용제에 포함되어 있으면, 유화 제제가 극히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피부 외용제로서의 형태ㆍ상품 가치가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의 pH는, 제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5.0 내지 9.5의 범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5.5 내지 8.5의 범위에서는 더욱 양호한 제제 안정성이 얻어지고, 피부 외용제로서의 형태ㆍ상품 가치가 유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선택된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그의 염과, 상기와 같이 하여 선택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외에,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 혹은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여도 된다.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성분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 예를 들어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유, 바셀린 등.
천연 유지류: 예를 들어, 호호바유,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경랍, 사탕수수 왁스, 향유고래 기름, 밀랍, 몬탄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미강유, 쌀 배아유, 콘유, 대두유, 옥수수유, 행인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자유, 수소 첨가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마유(horse oil),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 쿠쿠이나무유, 달맞이꽃유, 소맥 배아유, 낙화생유, 동백유, 산다화유, 카카오 버터,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돈유, 마지(horse fat), 양지(mutton tallow), 시어버터, 마카데미아 넛츠유, 메도우폼유 등.
지방산류: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야자유 지방산 등.
고급 알코올류: 예를 들어,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예를 들어,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셀라킬 알코올,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등.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부틸,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에틸, 스테아르산 부틸, 올레산 에틸, 리놀산 에틸, 리놀산 이소프로필, 카프릴산 세틸, 라우르산 헥실, 미리스트산 이소옥틸, 미리스트산 데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미리스트산 세틸, 미리스트산 옥타데실, 팔미트산 세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올레산 데실, 올레산 올레일, 리시놀산 세틸,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 이소세틸,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이소세틸, 팔미트산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산 이소데실, 올레산 옥틸도데실, 리시놀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에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 세틸, 2-에틸헥산산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 헥실, 디옥탄산 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 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ㆍ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ㆍ카프르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ㆍ카프르산ㆍ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미리스트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네오펜탄산 옥틸도데실, 옥탄산 이소세틸, 옥탄산 이소스테아릴, 이소펠라르곤산 2-에틸헥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 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 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 옥틸도데실, 락트산 라우릴, 락트산 미리스틸, 락트산 세틸, 락트산 옥틸도데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시트르산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 트리옥틸, 시트르산 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 트리옥틸도데실,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 디2-에틸헥실,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디헵틸운데실, 세박산 디에틸,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옥틸,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올레산 콜레스테릴, 올레산 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올레산 피토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3) 폴리옥시프로필렌(1) 세틸에테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3) 폴리옥시프로필렌(1) 이소세틸에테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옥틸, 이소노난산 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등.
실리콘유류: 예를 들어,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
고분자류: 예를 들어, 알긴산 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퍼셀러란, 구아 검, 퀸스시드, 곤약만난, 타마린드 검, 타라 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 빈 검, 아라비아 검, 가티 검, 카라야 검, 트라가칸트 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마르멜로, 키토산, 전분, 커들란, 크산탄 검, 겔란 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미결정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인산 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 검, 카르복시메틸ㆍ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 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 검, 알부민, 카제인, 젤라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중합체, 비닐알코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중합체, 디메틸아크릴암모늄계 중합체, 아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변성 실리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C10 내지 C30)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저급 알코올류: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벤질 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등.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칼륨, 야자유 지방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 칼륨, 라우르산 나트륨, 라우르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 칼륨, 미리스트산 나트륨,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트산 칼륨, 팔미트산 나트륨, 팔미트산 이소프로판올아민, 스테아르산 칼륨, 스테아르산 나트륨,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산 칼륨, 올레산 나트륨, 피마자유 지방산 나트륨, 운데실렌산 아연, 라우르산 아연, 미리스트산 아연, 미리스트산 마그네슘, 팔미트산 아연,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미리스트산 칼슘, 미리스트산 마그네슘, 디미리스트산 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 알루미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락트산 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 락트산 나트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사르코신, 라우로일 사르코신 칼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 사르코신,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탐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칼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탐산,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탐산,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탐산 이나트륨,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ㆍ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칼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 마그네슘, 미리스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팔미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스테아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올레오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알칸술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센술폰산 나트륨, 술포숙신산 디옥틸 나트륨, 술포숙신산 라우릴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틸에스테르술폰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세틸 황산 나트륨, 알킬(11,13,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 황산 나트륨, 알킬(12,13)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4,16) 황산 암모늄, 알킬(12 내지 13) 황산 디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4)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5)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알킬 황산 마그네슘ㆍ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암모늄, 라우릴 황산 칼륨, 라우릴 황산 마그네슘, 라우릴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황산 디에탄올아민,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스테아릴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1) 알킬(11,13,15)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1) 알킬(11,13,15)에테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1 내지 15)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 알킬(12,13)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2 내지 14)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알킬(12 내지 15)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에테르 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 미리스틸에테르 황산 나트륨,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 나트륨, 라우릴 인산, 라우릴 인산 나트륨,
세틸 인산 칼륨, 세틸 인산 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10) 알킬(12,13)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 내지 15)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12 내지 16)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디에탄올아민 등.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염화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세틸 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염화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20 내지 22) 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라우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알킬(16, 18) 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염화 알킬(28) 트리메틸암모늄,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 메틸암모늄(2EO), 염화 디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메틸암모늄, 염화 폴리옥시에틸렌(1) 폴리옥시프로필렌(25) 디에틸메틸암모늄, 염화 트리(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암모늄(5EO),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12 내지 15)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12 내지 18)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알킬(14 내지 18)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코코일 디메틸암모늄, 염화 디세틸 디메틸암모늄, 염화 이소스테아릴 라우릴 디메틸암모늄, 염화 벤잘코늄, 염화 미리스틸 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 라우릴 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염화 스테아릴 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 라우릴 피리디늄, 염화 세틸 피리디늄, 염화 라우로일 콜라미노포르밀 메틸피리디늄, 염화 스테아로일 콜라미노포르필 메틸피리디늄, 브롬화 알킬 이소퀴놀륨, 염화 메틸 벤제토늄, 염화 벤제토늄 등.
양쪽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염산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라우릴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나트륨, 운데실 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윰 베타인 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리윰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에틸렌디아민 이나트륨, 라우릴 아미노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 아미노디프로피온산 나트륨, 라우릴 아미노프로피온산 트리에탄올아민, 팜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나트륨,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스테아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스테아릴 디메틸 베타인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팜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드프로필아세트산 베타인, 리시놀레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릴 디히드록시에틸 베타인, 라우릴 히드록시술포 베타인 등.
천연계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리오시드, 담즙산, 콜산, 데옥시콜산, 콜산 나트륨, 데옥시콜산 나트륨, 스피큘리스포릭산, 람노리피드, 트레할로스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만노실에리트리톨리피드 등.
자외선 흡수제: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 벤질, 디파라메톡시신남산 모노-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 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 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 칼륨, 파라메톡시신남산 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남산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 2-에톡시에틸, 파라에톡시신남산 에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 우로칸산 에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나트륨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 벤질, 살리실산 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 호모멘틸, 살리실산-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
분체류 및 색재류: 예를 들어, 카올린, 무수 규산,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세리사이트, 탈크, 질화 붕소,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마 셀룰로오스 분말, 소맥 전분, 실크 분말, 옥수수 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아나토, 오징어 먹물 분말, 캐러멜, 구아이아줄렌, 치자청, 치자황, 코치닐, 시코닌, 구리 클로로필린 나트륨, 파프리카 색소, 홍화적, 홍화황, 락카인산,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에스테르 등의 천연 색소, 카본 블랙, 황산화철, 흑산화철, 철단, 감청, 군청, 산화 아연, 산화 크롬, 산화 티타늄, 흑산화 티타늄, 산화 지르코늄, 수산화 크롬,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황산 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티타늄산 리튬 코발트, 망간 바이올렛, 펄 안료 등.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명일엽 엑기스, 아선약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감차 엑기스, 돌외 엑기스, 알테아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유용성 아르니카 엑기스, 아몬드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안식향 엑기스, 은행나무 엑기스, 쐐기풀 엑기스, 흰붓꽃 엑기스, 회향풀 엑기스, 울금 엑기스, 영실 엑기스, 에키네시아잎 엑기스, 황금 엑기스, 황백 엑기스, 황련 엑기스, 대맥 엑기스, 오크라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유용성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 엑기스, 유용성 광대수염 엑기스, 오노니스 엑기스, 물냉이 엑기스, 오렌지 플라워액, 감잎 탄닌, 갈근 엑기스, 녹자초 엑기스, 부들 엑기스, 카모밀라 엑기스, 유용성 카모밀라 엑기스, 카모밀라액, 메귀리 엑기스, 당근 엑기스, 유용성 당근 엑기스, 당근유, 인진쑥 엑기스, 감초 엑기스, 감초 추출 분말, 감초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 팅크, 나무딸기 엑기스, 키위 엑기스, 키나 엑기스,
오이 엑기스, 행인 엑기스, 퀸스시드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고삼 엑기스, 호두껍질 엑기스, 클레머티스 엑기스, 흑설탕 엑기스, 클로렐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계피 엑기스, 용담 엑기스, 이질풀 엑기스, 홍차 엑기스, 개연꽃 엑기스, 우엉 엑기스, 유용성 우엉 엑기스, 소맥 배아 엑기스, 가수분해 소맥 분말, 쌀겨 엑기스, 쌀겨 발효 엑기스, 캄프리 엑기스, 족도리풀 엑기스, 사프란 엑기스, 사포나리아 엑기스, 유용성 샐비어 엑기스, 산사나무 엑기스, 산초나무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분말, 지황 엑기스, 자근 엑기스, 유용성 자근 엑기스, 차조기 엑기스, 참피나무 엑기스, 유용성 참피나무 엑기스, 하야초 엑기스, 작약 엑기스, 염주 엑기스, 생강 엑기스, 유용성 생강 엑기스, 생강 팅크, 창포뿌리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유용성 자작나무 엑기스, 자작나무 수액, 인동덩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유용성 쇠뜨기 엑기스,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엑기스, 서양담쟁이 엑기스, 서양산사나무 엑기스, 서양접골목 엑기스, 서양노간주나무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유용성 서양톱풀 엑기스, 서양박하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유용성 세이지 엑기스, 세이지액, 당아욱 엑기스, 셀러리 엑기스, 천궁이 엑기스, 천궁이액, 당약 엑기스, 대두 엑기스, 대추 엑기스, 타임 엑기스, 녹차 엑기스, 녹차 건류액, 녹차씨 엑기스, 정향나무 엑기스, 진피 엑기스, 동백나무 엑기스, 병풀 엑기스, 유용성 호두 엑기스, 듀크 엑기스, 터미날리아 엑기스, 당귀 엑기스, 유용성 당귀 엑기스, 당귀액, 금잔화 엑기스, 유용성 금잔화 엑기스, 두유 분말, 도인 엑기스, 등피 엑기스, 어성초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토멘틸라 엑기스, 낫토 엑기스, 인삼 엑기스, 유용성 인삼 엑기스, 마늘 엑기스, 찔레나무 엑기스,
유용성 찔레나무 엑기스, 맥아 엑기스, 맥아뿌리 엑기스, 맥문동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나맥잎즙 농축물, 증류 박하수, 하마메리스액, 하마메리스 추출액, 장미 엑기스, 펠리토리 엑기스, 방아풀 엑기스, 비파나무잎 엑기스, 유용성 비파나무잎 엑기스, 머위 엑기스, 복령 엑기스, 부처 브룸(butcher broom) 엑기스, 부처 브룸 엑기스 분말, 포도 엑기스, 포도잎 엑기스, 포도액, 헤이플라워 엑기스, 수세미외 엑기스, 수세미외액, 잇꽃 엑기스, 유용성 보리수 엑기스, 보리수액, 목단 엑기스, 홉 엑기스, 유용성 홉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큰엉겅퀴 엑기스, 마로니에 엑기스, 유용성 마로니에 엑기스, 무환자나무 엑기스, 멜리사 엑기스, 전동싸리 엑기스, 복숭아잎 엑기스, 유용성 복숭아잎 엑기스, 콩나물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수레국화액, 유칼립투스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백합 엑기스, 의이인 엑기스, 유용성 의이인 엑기스, 쑥 엑기스, 쑥액, 라벤더 엑기스, 라벤더액, 사과 엑기스, 영지 엑기스, 상추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장미액, 로즈마리 엑기스, 유용성 로즈마리 엑기스, 로마 카밀레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등.
아미노산류 및 펩티드류: 예를 들어,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히스티딘,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제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대두 펩티드 등.
비타민류 및 비타민과 같은 작용 인자류: 예를 들어,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트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펜,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테노이드류, 티아민류 등의 비타민 B1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류,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류,
엽산류, 니코틴산,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스테아르산 L-아스코르빌, 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디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L-아스코르브산 황산 에스테르 이나트륨, L-아스코르빌 마그네슘, 인산 L-아스코르빌 나트륨, 아스코르브산-2-인산 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유비퀴논류, 비타민 K류, 카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등.
방부제: 예를 들어, 벤조산, 벤조산 나트륨,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소르브산 칼륨, 데히드로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 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산 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파라옥시벤조산 부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 벤질, 파라옥시벤조산 메틸, 파라옥시벤조산 메틸나트륨, 페녹시에탄올,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감광소 401호 등.
산화 방지제: 예를 들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갈산 프로필, 에리토르브산, 에리토르브산 나트륨, 파라히드록시아니솔, 갈산 옥틸 등.
봉쇄제: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 삼아세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 이나트륨, 에데트산 삼나트륨, 에데트산 사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글루콘산, 피트산,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등의 금속 이온성 화합물 등.
보습제: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나트륨, 락트산 나트륨,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나트륨,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엑기스, 세라마이드 등.
항염증제: 예를 들어,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 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β-글리시레틴산, 글리시레틴산 글리세린, 글리시레틴산 스테아릴, 염화 리소자임, 히드로코르티손, 알란토인 등.
pH 조정제: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등.
염류: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황산 나트륨 등.
α-히드록시산류: 예를 들어,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
미백제: 예를 들어, 알부틴, α-알부틴, 태반 엑기스 등.
정유류: 예를 들어, 안젤리카유, 일랑일라유, 엘레미유, 카밀레유, 로마 카밀레유, 카르다몸유, 창포유, 갈바눔유, 캄포유, 캐롯시드유, 클라리 세이지유, 정향나무유, 계피유, 코리앤더유, 사이프러스유, 백단유, 시더우드유, 시트로넬라유, 시나몬잎유, 자스민 앱솔루트, 주니퍼베리유, 생강 엑기스, 스피아민트유, 세이지유, 시더유, 제라늄유, 타임유, 티트리유, 육두구유, 니아울리유, 네롤리유, 소나무유, 바질유, 박하유, 파출리유, 팔마로사유, 회향유, 페티그레인유, 후추기름, 유향유, 베티버유, 페파민트유, 베르가모트유, 벤조인유, 로즈우드 오일, 마조람유, 몰약유, 멜리사유, 유칼립투스유, 라벤사라유, 라반딘유, 라벤더유, 린덴유, 장미유, 자단유, 로즈마리유, 레비지유 등.
테르펜류: 예를 들어, 피넨, 터피넨, 터피놀렌, 미르센, 롱기폴렌 등.
또한, 향료, 물 등의 성분이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사용시에 피부와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제형, 형태이어도 되며, 피하 지방의 대사를 원하는 부위 근방의 피부와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스킨 밀크, 스킨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면도 크림, 클렌징 폼, 화장수, 로션, 팩, 립스틱, 볼 터치, 아이섀도우, 매니큐어, 비누, 바디 샴푸, 핸드 소프, 샴푸, 린스, 헤어 토닉,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스프레이, 육모제, 양모제, 염모제, 정발제, 탈모제, 비듬 방지제, 치약, 의치 접착제, 양치질제, 파마 웨이브제, 컬링제, 스타일링제, 연고제, 퍼프제, 테이프제, 입욕제, 땀 억제제, 자외선 차단제 등의 형태가 광의적으로는 포함되며, 사용시에 피부에 접촉시키는 것이면 종류를 불문한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 노소를 불문한다. 나아가 사람 외에 동물류의 피부에 접촉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어떠한 제형이어도 되며, 고체, 액체, 반고체 외에 분체, 과립, 정제형, 겔 형상, 폼 형상, 스프레이 형상 등의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성 제제 중에서의 유화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종래의 카르니틴 유도체 및 그의 염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점에서는, 상술한 제형 및 형태 중에서도 수성 매체가 포함되어 있는 제형 및 형태를 선택하면 좋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포함되는 물의 양은, 유화 피부 외용제 혹은 화장료 전량 중에 통상 0.01 내지 99.99질량%의 범위 내이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술한 성분 외에,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더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헌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 협회편, 1984(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약사 일보사),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약사 일보사),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7(약사 일보사), 화장품 원료 사전, 1991년(닛꼬 케미컬즈) 및 새로운 화장품 기능 소재 300, 2002(CMC 출판)] 등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화장품 원료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상술한 성분을, 소정의 함유량이 되도록 사용하고, 그 형태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용해, 혼합 혹은 분산 등을 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 중,「%」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합성예 1]
2-헥실데칸산 L-카르니틴 염산염의 합성
L-카르니틴 45.6g(0.283mol)을 빙욕 중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2-헥실데칸산 클로라이드 116.6g(0.425mol)을 1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80℃에서 4시간 가열 교반을 행하고, 그 후, 감압 증류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다크브라운의 유상물 264.6g을 n-헥산 200mL로 3회 세정하고, 흑색 유상물을 200mL 채취하였다. 이 유상물을 3.0g 취하여, 에탄올 20mL, n-부탄올 30mL, 물 60mL로 추출을 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 60mL로 세정, 또한 에탄올 20mL, 물 60mL의 혼합액으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또한 물 60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채취하여 건조, 용매 증류 제거하여 2-헥실데칸산 L-카르니틴 염산염을 2.0g 얻었다.
이 목적 물질의 구조를, 하기와 같이 NMR,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및 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5
시료 농도: 40mg 시료/422mg 중클로로포름
온도: 실온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MS(ESI) m/z: 400.5[M+](LC/MS에 의함)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장치: Agilent 1100 시리즈, 칼럼: 쇼덱스 실리카 C8-5B, 칼럼 온도: 40℃, 용리액: 20mM 아세트산 암모늄 수용액/아세토니트릴=30/70, 유속: 1.0mL/min, 시료 농도ㆍ주입량: 10μL×5mg/mL 용리액, 검출: 포토다이오드 어레이 UV200-700nm,
질량 분석(MS) 장치: Thermoquest LCQ Advantage, 이온화법: ESI(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법, 스캔 범위: m/Z 50 내지 1000(정부 교대), MS/MS 충돌 에너지: 40%.
<원소 분석>
원소 분석: C 62.8%, H 10.6%, N 3.5%, O 14.9%, Cl 8.2%
(C, H, N, O: 유기 원소 분석 장치 CHNS-932 + 산소 분석용 옵션 VTF-900(LECO사)에 의함. 레퍼런스: sym-디페닐티오요소(CHN 분석), p-니트로아닐린(O 분석))
(Cl: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함. 시료 1mg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용리액(1.8mM Na2CO3 + 1.7mM NaHCO3)으로 100mL로 맞추고, 음이온 크로마토그래피(DIONEX DX-500)로 측정, 시료 중 Cl 함량으로 환산. 칼럼 쇼덱스 SI-90 4E, 유속 1.0mL/min, 주입량 25μL, 검출기: 전기 전도도 검출기, 서프레서: ASRS-I).
[합성예 2]
2-메틸팔미트산 L-카르니틴 염산염의 합성
L-카르니틴 45.6g(0.283mol)을 빙욕 중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2-메틸팔미트산 클로라이드 122.4g(0.425mol)을 1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80℃에서 4시간 가열 교반을 행하고, 그 후 감압 증류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다크브라운의 유상물 278.0g을 n-헥산 200mL로 3회 세정하고, 흑색 유상물을 200mL 채취하였다. 이 유상물을 3.0g 취하여, 에탄올 20mL, n-부탄올 30mL, 물 60mL로 추출을 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 60mL로 세정, 또한 에탄올 20mL, 물 60mL의 혼합액으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또한 물 60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채취하여 건조, 용매 증류 제거하여 2-메틸팔미트산 L-카르니틴 염산염을 2.2g 얻었다.
이 목적 물질의 구조를,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기와 같이 NMR,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및 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6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MS(ESI) m/z: 414.5[M+]
<원소 분석>
C 64.3%, H 10.3%, N 3.2%, O 14.2%, Cl 8.0%.
[합성예 3]
2-부틸옥탄산 L-카르니틴 염산염의 합성
L-카르니틴 45.6g(0.283mol)을 빙욕 중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0mL에 용해하고, 여기에 2-부틸옥탄산 클로라이드 92.7g(0.425mol)을 1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80℃에서 4시간 가열 교반을 행하고, 그 후 감압 증류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다크브라운의 유상물 250.0g을 n-헥산 200mL로 3회 세정하고, 흑색 유상물을 200mL 채취하였다. 이 유상물을 3.0g 취하여, 에탄올 20mL, n-부탄올 30mL, 물 60mL로 추출을 행하고, 얻어진 유기층을 물 60mL로 세정, 또한 에탄올 20mL, 물 60mL의 혼합액으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또한 물 60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채취하여 건조, 용매 증류 제거하여 2-부틸옥탄산 L-카르니틴 염산염을 1.6g 얻었다.
이 목적 물질의 구조를, 합성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기와 같이 NMR,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및 원소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7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LC/MS)>
MS(ESI) m/z: 344.5[M+]
<원소 분석>
C 60.1%, H 9.5%, N 3.5%, O 16.7%, Cl 10.2%.
[처방예 1 내지 7]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사용하는 사례로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화장료 1 내지 7의 란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배합하고, 8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현탁ㆍ용해하여, A액, B액, C액의 각각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A액을 호모믹서에 걸면서 상기 A액에 B액, C액을 이 순서대로 서서히 첨가하고, 30℃ 부근까지 빙냉하면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방냉하여 화장료 1 내지 7을 얻었다.
Figure pct00008
[처방예 8 내지 11]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사용하는 사례로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의 각 성분을 배합하고, 8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현탁ㆍ용해하여 A액, B액, C액의 각각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A액을 호모믹서에 걸면서 상기 A액에 B액, C액을 이 순서대로 서서히 첨가하고, 30℃ 부근까지 빙냉하면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방냉하여 화장료 8 내지 11을 얻었다.
Figure pct00009
[비교예]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례로서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의 각 성분을 배합하고, 8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현탁ㆍ용해하여 A액, B액, C액의 각각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A액을 호모믹서에 걸면서 상기 A액에 B액, C액을 이 순서대로 서서히 첨가하고, 30℃ 부근까지 빙냉하면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방냉하여 화장료 12 내지 15를 얻었다.
Figure pct00010
[시험예 1]
처방예 1 내지 11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1 내지 15를 50mL의 입구가 넓은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막고 25℃하에 정치 유지하였다. 각 기간 후의 유화 상태를 외관으로부터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카르니틴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특히 고농도로 카르니틴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유화가 불안정화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킨 화장료는, 함유시키지 않는 화장료보다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화를 유지하는 경향이 보였다.
Figure pct00011
[시험예 2] 제제 안정성의 pH 의존성
상기 표 1의 화장료 1의 처방을 바탕으로 NaOH의 첨가량(화장료 1에서는 0.1중량%)을 조정함으로써, pH를 각각 4.5 내지 10으로 조정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화장료 1의 pH는 7.0이다.
이것들을 50mL의 입구가 큰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막고 25℃하에 정치 유지하였다. 각 기간 후의 화장료의 유화 상태를 외관으로부터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시험예 3] 제제 안정성의 pH 의존성
상기 표 2의 화장료 8의 처방을 바탕으로 KOH의 첨가량(화장료 8에서는 0.1중량%)을 조정함으로써, pH를 각각 4.5 내지 10으로 조정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화장료 8의 pH는 7.0이다.
이것들을 50mL의 입구가 큰 유리병에 넣어 마개를 막고 25℃하에 정치 유지하였다. 각 기간 후의 화장료의 유화 상태를 외관으로부터 판정하였다. 판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 및/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염 0.01 내지 10질량%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01 내지 2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pct00014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15

    (식 2 중, R1 및 R2는 화학식 1에서의 R1 및 R2와 동일한 의미이며, X-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양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음이온 또는 유기 음이온을 나타내고, Y+는 카르니틴 유도체의 음이온부와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무기 양이온 또는 유기 양이온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 중의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1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 중의 R1 및 R2 중 어느 한쪽이 탄소수 6의 직쇄 알킬기이고, 다른쪽이 탄소수 8의 직쇄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 중의 X-가 수산화물 이온, 질산 이온, 황산 이온, 탄산 이온, 탄산수소 이온, 할로겐화물 이온, 포름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시트르산 이온, 타르타르산 이온, 옥살산 이온, 푸마르산 이온, 분지를 가져도 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포화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음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 아스코르브산의 음이온, 아스코르빌인산 혹은 그의 유도체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 중의 Y+가 수소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암모늄 이온, 카르니틴 혹은 그의 유도체의 양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에테르 에스테르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5.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가 5.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
KR1020107016806A 2007-12-28 2008-12-19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20100107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9828 2007-12-28
JPJP-P-2007-339828 2007-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025A true KR20100107025A (ko) 2010-10-04

Family

ID=4082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806A KR20100107025A (ko) 2007-12-28 2008-12-19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73877A1 (ko)
EP (1) EP2238970A1 (ko)
JP (1) JPWO2009084471A1 (ko)
KR (1) KR20100107025A (ko)
CN (1) CN101909591A (ko)
WO (1) WO20090844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2B1 (ko) * 2011-03-14 2011-07-26 주식회사 참 존 신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6291A1 (en) * 2009-01-30 2010-08-05 Laurence Halimi Personal care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reduced eye irritation
KR101803274B1 (ko) * 2010-11-26 2017-12-04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JP2015509977A (ja) * 2012-03-12 2015-04-02 ピラマル エンタープライジーズ リミテッド ニキビの治療法及び抗ニキビ製剤
CN102743304B (zh) * 2012-07-19 2013-10-30 贵州宏宇药业有限公司 具有美体塑身功能的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JP2014221729A (ja) * 2013-05-13 2014-11-27 昭和電工株式会社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JP2014221748A (ja) * 2013-05-14 2014-11-27 昭和電工株式会社 表皮関連因子活性剤
CA3056759C (en) 2016-03-22 2024-01-23 Avicenna Nutraceutical, Llc Hydrolyzed collag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107661267A (zh) * 2017-11-16 2018-02-06 东兴市良佳优农林科技有限公司 止痒保湿沐浴露
CN113784760B (zh) * 2019-05-07 2024-05-28 株式会社林原 凝胶状皮肤外用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4195B1 (fr) 1992-07-30 1994-09-23 Sederma Sa Nouvelles compositions cosmétiques amincissantes.
US6149924A (en) * 1998-07-20 2000-11-21 Biomed Research & Technologies, Inc. Composition for enhancing lipid production, barrier function, hydrogen peroxide neutralization, and moisturization of the skin
JP2002187821A (ja) * 2000-12-21 2002-07-05 Noevir Co Ltd 毛髪用化粧料
JP2002201491A (ja) * 2000-12-28 2002-07-19 Noevir Co Ltd 洗浄剤組成物
DE10129502A1 (de) * 2001-06-19 2003-01-09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Carnitin und/oder einem oder mehreren Acyl-Carnitinen zur Herstellung vo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Steigerung der Ceramidbiosynthese
KR20070045157A (ko) * 2004-05-31 2007-05-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체중 감량용 피부 외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06016383A (ja) * 2004-05-31 2006-01-19 Showa Denko Kk 痩身用皮膚外用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047507B2 (ja) 2005-09-30 2012-10-10 昭和電工株式会社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JP2007254373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抗老化化粧料
JP2007254374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抗肌荒れ化粧料
JP2007254394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メイクアップ化粧料製造のためのカルニチン誘導体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使用
JP2007254383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皮膚収斂剤を製造するためのカルニチン誘導体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使用
JP2007254375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美白化粧料
JP2007254378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アクネの治療または予防用の剤を製造するためのカルニチン誘導体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使用
JP2007254376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養毛化粧料
JP2007254393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12B1 (ko) * 2011-03-14 2011-07-26 주식회사 참 존 신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09591A (zh) 2010-12-08
JPWO2009084471A1 (ja) 2011-05-19
EP2238970A1 (en) 2010-10-13
US20100273877A1 (en) 2010-10-28
WO2009084471A1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7024A (ko)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KR20100107025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JP4907137B2 (ja) ヒドロキシクエン酸誘導体類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KR20090034915A (ko) 피부 외용 주름 방지제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KR20080100238A (ko) 미백 피부 외용제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KR20080030684A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KR101502260B1 (ko) 피부 외용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254393A (ja) 皮膚外用剤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KR100814196B1 (ko)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JP2005187465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乳化された皮膚外用剤、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エステル塩の安定化方法
JP5530058B2 (ja) カロテノイドが安定化された水性製剤
JP6116258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7254376A (ja) 養毛化粧料
KR100944593B1 (ko) 유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피부 외용제의 안정화 방법
JP2007254375A (ja) 美白化粧料
JP2007254374A (ja) 抗肌荒れ化粧料
JP4766592B2 (ja) 多糖機能性化合物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