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238A - 미백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미백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238A
KR20080100238A KR1020087021782A KR20087021782A KR20080100238A KR 20080100238 A KR20080100238 A KR 20080100238A KR 1020087021782 A KR1020087021782 A KR 1020087021782A KR 20087021782 A KR20087021782 A KR 20087021782A KR 20080100238 A KR20080100238 A KR 2008010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copherol
acid
extract
tranexamat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미 가마찌
히로부미 아오끼
요헤이 구라따
지로 다까따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 및 침착 색소 제거 효과와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63282148-PCT0001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피부 외용제,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미백용 화장료, 색소 침착 방지제, 침착 색소 제거제.

Description

미백 피부 외용제 {WHITENING DERMATOLOGICAL PREPARATIONS}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U.S.C. §111(b)에 따라 2006년 2월 9일에 출원된 가출원 제60/771456호의 출원일의 35 U.S.C. §119(e)에 따른 이점을 청구하는 35 U.S.C. §111(a)하에 출원된 출원이다.
본 발명은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 및 침착 색소 제거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으로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UV 노출에 의한 피부의 기미나 주근깨, 및 창상, 열상 및 외과 수술 상처의 거무스름함 등 피부의 색소 침착을 치료하기 위해 피부 외용제가 제안되고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폴리페놀류는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켜 탈색 작용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특히 히드로퀴논은 미국 및 다른 나라들에서 임상에도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그의 강한 피부 자극성과 안전하고 걱정 없는 피부 외용제를 제조할 수 없음이 지적되어 왔다.
비타민 E로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류(예를 들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토코페롤 니코티네이트와 같은 그의 유도체는 항산화 작용, 생체막 안정화 작용, 면역 활성화 작용 및 혈행 촉진 작용의 효과 때문에 의약품 및 화장품에 사용되었다. 하기 비특허 문헌 1은 토코페롤의 경구 투여가 색소 침착에 대하여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하기 비특허 문헌 2는 토코페롤 유도체, 토코페롤 페룰레이트에 의한 배양 세포의 색소 침착 억제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은 토코페롤 알킬글리신 에스테르의 경피 투여가 색소 침착을 방지하고 제거함을 기술하고 있다.
한편,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인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는 색소 침착 방지 효과(하기 특허 문헌 2 참조) 및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하기 특허 문헌 3 참조)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토코페롤류, 그의 유도체, 트라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는 색소 침착 방지 또는 침착 색소 제거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 외용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JP-A-2003-327507호
[특허 문헌 2] JP-A-H4-46144호
[특허 문헌 3] JP-A-2002-234836호
[비특허 문헌 1] K. Werininghaus et al., Arch Dermatol, U.S.A., vol. 130, p. 1257, 1997
[비특허 문헌 2] M. Ichihashi et al., Anticancer Res., Greek, vol. 19, p. 3769, 1999
<발명의 개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 및 침착 색소 제거 및 피부 거칠음 방지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를 각각 함유하는, 미백 효과가 높은 미백용 화장료, 색소 침착 방지제 및 침착 색소 제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특히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 그의 염이,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 및 침착 색소 제거 및 피부 거칠음 방지에 높은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2] [1]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외용제.
[3] [1]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4] [3]에 있어서,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5] [3]에 있어서,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6] [1]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7] [6]에 있어서,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8] [1]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9] [8]에 있어서,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10] [1]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의 염이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의 유기산염 또는 무기산염인 피부 외용제.
[11] [10]에 있어서,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의 무기산염이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인 피부 외용제.
[12]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합계량으로서 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13]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14]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제.
[15]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피부의 침착 색소 제거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안전하고,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 및 침착 색소 제거가 우수하다. 따라서, 미백 효과가 높은 미백용 화장료 및 색소 침착 방지제 및 침착 색소 제거제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시험예 4에서의 대조구로서, 표준 시료 용액으로 배양한 피부 모델의 사진이다.
도 2는 시험예 4에서 시험 물질 (a)(트라넥삼산)로 배양한 피부 모델의 사진이다.
도 3은 시험예 4에서 시험 물질 (b)(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로 배양한 피부 모델의 사진이다.
도 4는 시험예 4에서 시험 물질 (c)(dl-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로 배양한 피부 모델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특정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한다.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염에 대하여 기술한다.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2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R1로 표시되는 저급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1-메틸프로필, tert-부틸, n-펜틸, 1-에틸프로필, 이소아밀, n-헥실을 포함하고, 메틸 및 에틸이 가장 바람직하다.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예로서 시클로프로필렌기, 시클로부틸렌기, 시클로펜틸렌기 및 시클로헥실렌기를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II 및 III으로 각각 표시되는 표시되는 시클로헥실렌기 및 시클로펜틸렌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3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4
n은 0 또는 1을 나타내고, 1이 바람직하다. n이 1인 경우, X는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시클로헥실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X-(CH2)n-은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기가 된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5
R2 및 R3은 동시에 메틸기일 수 있고, 이 경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α-토코페롤 유도체이다. R2가 수소 원자이며 R3이 메틸기일 수 있고, 이 경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γ-토코페롤 유도체이다. R2와 R3이 동시에 수소 원자일 수 있고, 이 경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δ-토코페롤 유도체이다. R2와 R3이 동시에 메틸기, 즉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α-토코페롤 유도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R1이 수소 원자이고, R2와 R3이 메틸기이고, -X-(CH2)n-이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의 염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유기산염 또는 무기산염일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염의 예는 할로겐화수소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및 담즙산염, 예를 들면 콜산염, 글리코콜산염, 데옥시콜산염과 같은 유기산염을 포함한다. 할로겐화수소염 중 염산염이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고, 그의 분말 상태가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그 크로만환의 2 위치에 비대칭 탄소를 갖기 때문에, d-, l- 또는 dl-의 입체 이성질체가 발생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들 입체 이성질체 중 어느 것일 수도 있고, 이러한 입체 이성질체의 2종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공지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코페롤과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 그의 반응성 산 유도체, 또는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의 할로겐화수소산염 또는 이들의 반응성 산 유도체를 통상법에 의해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다.
토코페롤은 하기 화학식 V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6
식 중,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은 하기 화학식 VI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7
식 중, R1은 저급 알킬기 또는 수소 원자이고;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유리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을 이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를 행할 때는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N,N-디숙신이미드옥살레이트 등의 활성 에스테르화제의 존재하에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용매로서는 피리딘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성 산 유도체는, 산 할라이드, 특히 산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의 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에스테 르에 산을 첨가하여 합성할 수 있다. 산의 첨가는 통상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별법으로, 출발 물질로서 아미노알킬카르복실산의 염을 이용하여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미백용 화장료,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제, 피부의 침착 색소 제거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정제수에,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염의 총량은 피부 외용제의 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질량%이다.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는:
지랍(ozokerite),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부텐, 미소결정질 왁스, 유동 이소 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유,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류;
호호바 오일,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고래 왁스, 사탕수수 왁스, 향유고래유, 밀랍, 몬탄 왁스 등의 천연 왁스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미강유, 쌀 배아유, 콘유, 대두유, 옥수수유, 살구씨유, 팜핵유, 팜유, 피마 자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자유, 수소 첨가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마유(馬油),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 쿠쿠이넛유(kukui nut oil), 달맞이꽃유, 소맥 배아유, 낙화생유, 동백유, 애기동백유, 카카오지,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돈지, 마지, 양지, 쉬어버터, 마카다미아넛유, 메도우폼유(meadowfoam oil) 등의 천연 유지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야자유 지방산 등의 지방산 류;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타놀,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부틸, 올레산에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카프릴산세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이소옥틸, 미리스트산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미리스트산세틸, 미리스트산옥타데실, 팔미트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산데실, 올레산올레일, 리시놀산세틸, 라우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산옥틸도데실, 이소스 테아르산에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ㆍ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ㆍ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ㆍ카프르산ㆍ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미리스트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세틸,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펠라르곤산2-에틸헥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도데실,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도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옥틸도데실,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헵틸운데실, 세박산디에틸, 세박산디이소프로필, 세박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올레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토스테릴, 올레산피토 스테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아세트산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세틸에테르, 아세트산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1)이소세틸에테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옥틸, 이소노난산트리데실,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히드로겐폴리실록산,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유류;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퍼셀레란, 구아검, 모과씨, 곤약 만난, 타마린드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콩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카라야검, 트래거캔스검, 아라비노갈락탄, 펙틴, 마르멜로, 키토산, 커드란, 크산탄검, 젤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미소결정질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 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인산에스테르,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세인,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아미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중합체, 메타크릴산 중합체, 말레산 중합체, 비닐피리딘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중합체, 비닐알코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중합체, 디메틸아크릴암모늄계 중합체, 아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변성 실리콘,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C10 내지 30)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고분자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모노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릴, 디글리세릴, 폴리글리세릴, 1,3-부탄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류;
야자유 지방산 칼륨, 야자유 지방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트산칼륨, 미리스 트산나트륨, 미리스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트산칼륨, 팔미트산나트륨, 팔미트산이소프로판올아민,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트리에탄올아민, 올레산칼륨, 올레산나트륨, 피마자유 지방산 나트륨, 운데실렌산아연, 라우르산아연,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팔미트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미리스트산칼슘, 미리스트산마그네슘, 디미리스트산알루미늄, 이소스테아르산알루미늄,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스테아로일락트산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락트산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살코신, 야자유 지방산 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살코신, 라우로일살코신칼륨, 라우로일살코신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살코신, 미리스토일살코신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탐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글루탐산,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글루탐산칼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글루탐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칼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나트륨, 라우로일아실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칼륨, 미리스토일아실글루탐산나트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칼륨, 스테아로일아실글루탐산이나트륨, 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탐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ㆍ경화 우지 지방산 아실글루탐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 틸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칼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마그네슘,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올레오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알칸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센술폰산나트륨, 술포숙신산디옥틸나트륨, 술포숙신산라우릴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틸에스테르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세틸황산나트륨, 알킬(11,13,15)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3)황산나트륨, 알킬(12,13)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14,16)황산암모늄, 알킬(12,13)황산디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4)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알킬(12 내지 15)황산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알킬황산마그네슘ㆍ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칼륨,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디에탄올아민, 미리스틸황산나트륨, 스테아릴황산나트륨, 올레일황산나트륨, 올레일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13,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1)알킬(11,13,15)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1 내지 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알킬(12,13)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 내지 14)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알킬(12 내지 15)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2)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3)미리스틸에테르황산나트륨,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나 트륨, 라우릴인산, 라우릴인산나트륨, 세틸인산칼륨, 세틸인산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옥틸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13)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내지 15)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내지 16)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디에탄올아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세틸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20 내지 22)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사카린, 염화알킬(28)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2EO), 염화디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메틸암모늄, 염화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25)디에틸메틸암모늄, 염화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모늄(5EO),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12 내지 15)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12 내지 18)디메틸암모늄, 염화디알킬(14 내지 18)디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염화이소스테아릴라우릴디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염화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라우릴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라우릴피리디늄,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라우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염화스테아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브롬화알킬이소퀴놀륨, 염화메틸벤제토늄, 염화벤제토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나트륨, 운데실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륨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에틸렌디아민이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트리에탄올아민, 팜유 지방산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도프로필베타인, 팜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르산아미드프로필아세트산베타인, 리시놀레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10)알킬(12,13)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 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7,12)알킬(12 내지 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미리스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sec-알킬(14)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10,20)이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아라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폴리옥시프로필렌(1,2,4,8)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폴리옥시프로필렌(34)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4)폴리옥시프로필렌(30)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4)폴리옥시프로필렌(23)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모노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라우르산디에틸렌글리콜, 미리스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 팔미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디에틸렌글리콜,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2), 이소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디 에틸렌글리콜, 디라우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팔미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150),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디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디리시놀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20)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8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150)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2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4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5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친유형 모노올레산글리세릴,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라우르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리시놀레산글리세릴, 모노히드록시스테아르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리놀레산글리세릴, 에루크산글리세릴, 베헨산글리세릴, 소맥 배아유 지방산 글리세리드, 홍화유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수소 첨가 대두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포화 지방산 글 리세리드,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모노미리스트산글리세릴, 모노 우지방산 글리세리드, 모노라놀린지방산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알킨산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디스테아르산소르비탄, 이소팔미트산디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폴리(4 내지 10)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폴리(10)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모노올레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세스퀴올레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2 내지 10)글리세릴, 디스테아르산폴리(6 내지 1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트리스테아르산폴리(10)글리세릴, 트리올레산폴리(10)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2)글리세릴, 펜타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펜타올레산폴리(6 내지 10)글리세릴, 헵타스테아르산폴리(10)글리세릴, 데카스테아르산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산폴리(10)글리세릴, 축합 리시놀레산폴리(6)글리세릴,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야자유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디히드록시에틸라우릴디메틸아민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 올레일디메틸아민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디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시드, 담즙산, 콜산, 디옥시콜산, 콜산나트륨, 디옥시콜산나트륨, 스피쿨리스포르산, 람놀리피드, 트레할로오스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신남산벤질, 디파라메톡시신남산 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남산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칼륨, 파라메톡시신남산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톡시에틸, 파라에톡시신남산에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 p-tert-부틸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살리실산-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카올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견운모, 탈크, 질화붕소,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삼 셀룰로오스 분말, 소맥 전분, 실크 분말, 옥수수 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안나토, 오징어 먹물 분말, 캐러멜, 구아이아줄렌, 치자나무 청색, 치자나무 황색, 코치닐, 시코닌, 구리클로로피린나트륨, 파프리카 색소, 홍화 적색, 홍화 황색, 락카인산, 리보플라빈 부티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천연 색소, 카본 블랙,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감청, 군청, 산화아연, 산화크롬, 산화티탄, 흑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산리튬코발트, 망간 바이올렛, 펄 안료 등의 분체류 및 색재류;
신선초 엑기스, 아선약 엑기스, 아보카도 엑기스, 산수국잎 엑기스, 돌외 엑기스, 무궁화 엑기스, 아르니카 엑기스, 유용성 아르니카 엑기스, 아몬드 엑기스, 알로에 엑기스, 안식향나무 엑기스, 쐐기풀 엑기스, 흰붓꽃 뿌리 엑기스, 심황 엑기스, 장미 열매 엑기스, 에키나시아잎 엑기스, 황금(黃芩) 뿌리 엑기스, 황백 엑기스, 황련 엑기스, 보리 엑기스, 오크라 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유용성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꽃 엑기스, 유용성 광대수염꽃 엑기스, 오노니스 엑기스, 돌미나리 엑기스, 등화수, 감 타닌, 갈근 엑기스, 길초근 엑기스, 부들 엑기스, 캐모마일 엑기스, 유용성 캐모마일 엑기스, 캐모마일 워터, 귀리 엑기스, 당근 엑기스, 유용성 당근 엑기스, 당근유, 사철쑥 엑기스, 감초 엑기스, 감초 추출 분말, 감초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팅크, 라즈베리 엑기스, 키위 엑기스, 기나피 엑기스, 오이 엑기스, 살구씨 엑기스, 모과씨 엑기스, 치자나무 엑기스, 얼룩조릿대 엑기스, 고삼 엑기스, 호두 껍질 엑기스, 클레마티스 엑기스, 브라운 슈가 엑기스, 클로렐라 엑기스, 뽕나무 엑기스, 계피 껍질 엑기스, 용담 엑기스, 제라늄 엑기스, 황수련 엑기스, 우엉 엑기스, 유용성 우엉 엑기스, 소맥 배아 엑기스, 가수분해 소맥 분말, 쌀겨 엑기스, 쌀겨 발효 엑기스, 컴프리 엑기스, 족도리풀 뿌리 엑기스, 사프란 엑기스, 비누풀 엑기스,
유용성 셀비어 엑기스, 당산사나무 열매 엑기스, 왕초피나무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표고버섯 엑기스 분말, 지황 엑기스, 시콘 엑기스, 유용성 시콘 엑기스, 차조기 엑기스, 린덴 엑기스, 유용성 린덴 엑기스, 일본조팝나무 엑기스, 작약 엑기스, 율무 엑기스, 생강 엑기스, 유용성 생강 엑기스, 생강 팅크, 창포 뿌리 엑기스, 자작나무 엑기스, 유용성 자작나무 엑기스, 자작나무 수액, 인동덩굴 엑기스, 쇠뜨기 엑기스, 유용성 쇠뜨기 엑기스,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엑기스, 담쟁이덩굴 엑기스, 서양 산사나무 엑기스, 엘더꽃 엑기스, 주니퍼베리 엑기스, 서양톱풀 엑기스, 유용성 서양톱풀 엑기스, 페퍼민트 엑기스, 세이지 엑기스, 유용성 세이지 엑기스, 세이지 워터, 당아욱 엑기스, 셀러리 엑기스, 천궁 엑기스, 천궁수, 쓴풀 엑기스, 대두 엑기스, 묏대추 엑기스, 타임 엑기스, 녹차 엑기스, 차 건류액, 다실(茶實) 엑기스, 정향화 엑기스, 귤피 엑기스, 동백나무 엑기스, 병풀 엑기스, 유용성 호두나무 엑기스, 버찌 엑기스, 가자 엑기스, 왜당귀 엑기스, 유용성 왜당귀 엑기스, 왜당귀수, 매리골드 엑기스, 유용성 매리골드 엑기스, 두유 분말, 복숭아 나무 엑기스, 등자나무 엑기스, 어성초 엑기스, 토마토 엑기스, 양지꽃 뿌리 엑기스, 낫토 엑기스, 인삼 엑기스, 유용성 인삼 엑기스, 마늘 엑기스, 들장미 엑기스, 유용성 들장미 엑기스, 맥아 엑기스, 맥아 뿌리 엑기스,
맥문동 엑기스, 파슬리 엑기스, 보리 엽즙 농축물, 증류 박하수, 풍년화수, 장미 엑기스, 개물통이 엑기스, 연명초 엑기스, 비파엽 엑기스, 유용성 비파엽 엑기스, 머위꽃 엑기스, 복령 엑기스, 루스쿠스아쿨레아투스 뿌리 엑기스, 루스쿠스아쿨레아투스 뿌리 엑기스 분말, 포도 엑기스, 포도잎 엑기스, 포도수, 헤이플라워 엑기스, 수세미외 엑기스, 수세미외수, 홍화 엑기스, 유용성 보리자나무 엑기스, 보리자나무수, 모란 엑기스, 홉 엑기스, 유용성 홉 엑기스, 소나무 엑기스, 엉겅퀴 엑기스, 칠엽수 엑기스, 유용성 칠엽수 엑기스, 무환자나무 엑기스, 레몬밤 엑기스, 메리로드 엑기스, 복숭아잎 엑기스, 유용성 복숭아잎 엑기스, 콩나물 엑기스, 수레국화 엑기스, 수레국화수, 유칼립투스 엑기스, 범의귀 엑기스, 백합 엑기스, 율무 엑기스, 유용성 율무 엑기스, 쑥 엑기스, 쑥물, 라벤더 엑기스, 라벤더 워터, 사과 엑기스, 영지버섯 엑기스, 상추 엑기스, 자운영 엑기스, 장미수, 로만 캐모마일 엑기스, 오이풀 엑기스 등의 식물 추출물;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히스티딘,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세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대두 펩티드 등의 아미노산류 및 펩티드 류;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핀,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테노이드류, 티아민류 등의 비타민 B1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류,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류, 엽산류,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나트륨, 스테아르산 L-아스코르빌, 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디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L-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이나트륨, 인산 L-아스코르빌마그네슘, 인산 L-아스코르빌나트륨,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숙신산 dl-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유비퀴논류, 비타민 K류, 페룰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등의 비타민류 및 비타민 작용 인자류;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데히드로아세트산, 데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산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부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벤질,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메틸나트륨, 페녹시에탄올,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감광소 401호 등의 방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갈산프로필, 에리소르브산, 에리 소르브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아니솔, 갈산옥틸 등의 산화 방지제;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삼아세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글루콘산, 피틴산,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의 금속 이온 봉쇄제;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세라마이드 등의 보습제;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리진산삼나트륨, 글리시리진산디칼륨,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β-글리시르레틴산, 글리시르레틴산글리세릴,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염화리소자임, 히드로코르티손, 알란토인 등의 항염증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 조정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등의 염류;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α-히드록시산류;
알부틴, α-알부틴, 태반 추출물 등의 미백제;
안젤리카 오일, 일랑일랑 오일, 엘레미 오일, 마트리카리아 오일, 캐모마일 오일, 카르다몸 오일, 창포 오일, 갈바눔 오일, 장뇌유, 당근씨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정향 오일, 계피 오일, 고수 오일, 사이프러스 오일, 백단 오일, 시더우드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잎 오일, 자스민 무수물, 두송 오일, 생강 추출물, 스피어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백향목 오일, 제라늄 오일, 타임 오일, 티 트리 오일, 육두구유, 니아울리 오일, 네롤리 오일, 소나무 오일, 바질 오일, 박하 오일, 파출리 오일, 팔마로사 오일, 회향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 흑후추 오일, 유향 오일, 베티버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벤조인 오일, 로즈우드 오일, 마저람 오일, 만다린 오일, 몰약 오일, 멜리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유자 오일, 라임 오일, 라벤사라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린덴 오일, 장미 오일, 자단 오일, 로즈메리 오일, 러비지 오일 등의 정유류;
피넨, 테르피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롱기폴렌 등의 테르펜류;
향료 및 물을 포함한다.
피부 외용제는 피부에 직접 적용하는 어떠한 형태 또는 제형일 수도 있다. 광의에서, 피부 외용제는, 스킨 밀크, 스킨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쉐이빙 크림, 클렌징 폼, 화장수, 로션, 팩, 립스틱, 볼터치, 아이쉐도우, 매니큐어, 비누, 바디 샴푸, 핸드 소프, 샴푸, 린스, 헤어 토닉,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스프레이, 육모제, 양모제, 염모제, 이발료, 탈모제, 비듬 방지제, 치약, 의치 접착제, 양치질제, 퍼머넌트 웨이브제, 컬링제, 스타일링제, 연고제, 퍼프제, 테이프제, 입욕제, 제한(制汗)제, 일소 방지제 등을 포함한다. 피부 외용제는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인간의 피부뿐만 아니라 동물류의 피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제, 피부의 침착 색소 제거제는 상기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화장품 원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기존 화장품 원료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 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헌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 협회편, 1984(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7(야꾸지 닛보사), 화장품 원료 사전, 평성 3년(닛코 케미칼즈) 및 새로운 화장품 기능 소재 300, 2002(CMC 출판)]에 기재되어 있는 임의의 화장품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색소 침착 방지제, 침착 색소 제거제는 피부 외용제에서와 동일한 양의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제, 미백용 화장료, 색소 침착 방지제, 침착 색소 제거제는 상술한 성분을, 제형에 따라 통상법에 따라서 소정의 양으로 용해, 혼합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미백용 화장료, 색소 침착 방지제, 침착 색소 제거제는, 고체, 액체, 반고체, 기체와 같은 임의의 상태, 분체, 과립, 정제형, 겔상, 거품상 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지만,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예 중, 성분의 양은 질량%로 나타낸다.
트라넥삼산 및 트라넥삼산 유도체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하 「HPLC」라고도 함)법으로 결정하였다.
(트라넥삼산의 분석)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장치: 시마즈 LC-10 시리즈
칼럼: 쇼덱스(Shodex) C18P 4E
칼럼 온도: 40 ℃
용리액: 0.01 M 아세트산암모늄 수용액(pH 5)/아세토니트릴=78/22(V/V)
용리액 유속: 0.8 ml/분
시료 전처리: AccQ 유도체화(워터스(Waters) 시약의 표준 사용법에 따라서 처리)
시료 주입량: 10 μl(오토샘플러 사용)
검출: 형광 Ex.295 nm, Em.350 nm
(트라넥삼산 유도체의 분석)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장치: 시마즈 LC-10 시리즈
칼럼: 쇼덱스 C18M 4D
칼럼 온도: 40 ℃
용리액: 메탄올/아세토니트릴=7/3(V/V), 0.02 M 아세트산/0.02 M 아세트산암모늄 함유
용리액 유속: 0.7 ml/분
시료 주입량: 10 μL(오토샘플러 사용)
검출: UV 283 nm
[합성예 1]
트라넥삼산 16 g(0.1 몰)을 물-디옥산 혼합물(1:1, v/v) 100 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을 30 ml 첨가하였다.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26 g을 서서히 첨가하여 30 분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디옥산을 증류 제거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0.5 N) 50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100 ml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물 가용성 목적물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아세트산에틸상은 50 ml의 탄산수소나트륨액으로 세정하고, 아세트산에틸상에 수용성 화합물을 회수하였다. 이들 수상을 합하고, 수상의 pH를 냉각하에 시트르산 수용액(0.5 N)을 첨가하여 pH 3으로 만들고, 염화나트륨을 포화시켰다. 아세트산에틸 100 ml로 각각 3회 추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탈수 후, 감압하여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유상 잔사를 냉각시키고, 결정화시켜 BOC-트라넥삼산 21.6 g(수율 95 %)을 얻었다.
얻어진 BOC-트라넥삼산 4.5 g과 dl-α-토코페롤 8.6 g, N,N'-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 4.1 g을 무수 피리딘 100 ml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50 ℃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에 iso-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여 가용 분획을 추출하였다(100 ml×2회). 추출액을 농축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액: 이소-프로필에테르/n-헥산=1:4(v/v))로 분리/정제하여 유상의 토코페롤 BOC-트라넥삼산에스테르 11.4 g(수율 85 %)을 얻었다.
얻어진 토코페롤 BOC-트라넥삼산에스테르 10 g을 소량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염산디옥산(3 N) 100 ml 첨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아세톤-메탄올 혼합물로 재결정하여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9 g(수율 99 %)을 얻었다.
[합성예 2 내지 4]
dl-α-토코페롤 대신에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또는 d-γ-토코페롤을 이용한 것 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및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을 각각 8.9 g(수율 98 %), 8.5 g(수율 96 %) 및 7.8 g(수율 90 %) 취득하였다.
[실시예 1]
<로션 1>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1을 얻었다.
1)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2.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7.8
<로션 2>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2를 얻었다.
1)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2.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7.8
<로션 3>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3을 얻었다.
1)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2.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7.8
<로션 4>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4를 얻었다.
1)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2.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7.8
[비교예 1]
<로션 5(비교 대조)>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5를 얻었다.
1) 아스코르브산-2-인산나트륨 2.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7.8
<로션 6(음성 대조)>
하기 성분 1) 내지 3)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4)에 첨가하여 로션 6을 얻었다.
1) 에탄올 5.00
2) 프로필렌글리콜 5.00
3)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4) 정제수 89.8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모든 로션(로션 1 내지 6)은 균일하였고, 높은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로션 7>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7을 얻었다.
1)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0.1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9.7
<로션 8>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8을 얻었다.
1)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0.1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9.7
<로션 9>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 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9를 얻었다.
1)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0.1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9.7
<로션 10>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10을 얻었다.
1)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0.1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9.7
[비교예 2]
<로션 11(비교 대조)>
하기 성분 1) 내지 4)를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5)에 첨가하여 로션 11을 얻었다.
1) 아스코르브산-2-인산나트륨 0.1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5) 정제수 89.7
<로션 12(음성 대조)>
하기 성분 1) 내지 3)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용해시켰다. 상기 액체를 교반하면서 성분 4)에 첨가하여 로션 12를 얻었다.
1) 에탄올 5.00
2) 프로필렌글리콜 5.00
3)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 0.20
4) 정제수 89.8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모든 로션(로션 7 내지 12)은 균일하였고, 높은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겔상 조성물 1>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1을 얻었다.
1)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겔상 조성물 2>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2를 얻었다.
1)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겔상 조성물 3>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3을 얻었다.
1)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겔상 조성물 4>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4를 얻었다.
1)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비교예 3]
<겔상 조성물 5(비교 대조)>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 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5를 얻었다.
1) 아스코르브산-2-인산나트륨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겔상 조성물 6(음성 대조)>
하기 성분 1)을 하기 종료 농도가 되도록 2)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분산물을 교반하면서 3)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겔상 조성물 6을 얻었다.
1) 정제수 10
2) 글리세린 20
3)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70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모든 겔상 조성물(겔상 조성물 1 내지 6)은 균일하였고, 높은 경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
<색소 침착 방지 효과>
7 주령의 웅성 와이저ㆍ메이플 몰모트(WM, SPF) 50 마리의 등 부분 전체면의 피모(被毛)를 전기 바리깡(0.05 mm날(刃))으로 전모(剪毛) 후, 전기 면도기로 체모(剃毛)하였다. 1.5 cm×1.5 cm의 창이 6 군데 개방된 점착성 신축 붕대(실키텍스, 외측을 알루미늄 호일로 피복)로 덮었다.
각각의 창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로션 1 내지 12 및 겔상 조성물 1 내지 6의 각 제제를 순차 10 개소 0.05 ml씩 도포하였다.
도포 4 시간 후에 물을 포함시킨 탈지면으로 투여 부위를 세정하고, 건조시킨 후, 동물을 보정기(保定器)에 고정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시나노 세이사꾸쇼, 도시바 FL40S/E30형 형광등, SE 램프 6 등 장착)를 이용하여 약 10 cm의 거리에서 각 부위에 300 mJ/cm2 조사량의 중파장 자외선(UVB)을 조사하였다.
조사 후에 다시 각각의 부위에 동일 로션 1 내지 12 및 겔상 조성물 1 내지 6을 0.05 ml씩 도포하였다.
이 조작을 3 일간에 걸쳐 반복하였다. 최종 조사 14 일 후에 이하에 나타내는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육안에 의해 색소 침착의 강약을 평점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각 투여ㆍ조사 부위의 4 코너와 중앙부의 총 5 군데에서 색차계(미놀타, CR-20)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도를 측정하였다.
색소 침착의 방지 효과는 각각의 제제에 대하여 평점(각 제제 10 데이터)의 평균값 및 명도(각 제제 50 데이터)의 평균값으로부터 판단하였다.
색소 침착의 판정 기준
색소 침착을 확인할 수 없음 평점 0
경미한 색소 침착이 확인됨 평점 1
가벼운 색소 침착이 확인됨 평점 2
보통의 색소 침착이 확인됨 평점 3
심한 색소 침착이 확인됨 평점 4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8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션(로션 1 내지 4 및 7 내지 10), 겔상 조성물(겔상 조성물 1 내지 4)이 모두 색소 침착의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침착 색소 제거 효과>
6 주령의 웅성 와이저ㆍ메이플 몰모트(WM, SPF) 50 마리의 등 부분 전체면의 피모를 전기 바리깡(0.05 mm날)으로 전모 후, 전기 면도기로 체모하고, 1.5 cm×1.5 cm의 창이 6 군데 개방된 점착성 신축 붕대(실키텍스, 외측을 알루미늄 호일로 피복)로 덮어 보정기에 고정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시나노 세이사꾸쇼, 도시바 FL40S/E30형 형광등, SE 램프 6 등 장착)를 이용하여 약 10 cm의 거리에서 각 부위에 750 mJ/cm2 조사량의 중파장 자외선(UVB)을 조사하였다.
조사 4 일 후에서 28 일 후까지, 아침과 저녁 하루 2회, 각각의 창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로션 1 내지 12 및 겔상 조성물 1 내지 6의 각 제제를 순차 10 개소 0.05 ml씩 도포하였다.
조사 28 일 후에 시험예 1과 동일한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육안에 의해 색소 침착의 강약을 평점으로 판정하였다.
침착 색소의 제거 효과는 각각의 제제에 대하여 평점(각 제제 10 데이터)의 평균값으로부터 판단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09
표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션(로션 1 내지 4 및 7 내지 10), 겔상 조성물(겔상 조성물 1 내지 4)이 모두 침착 색소의 제거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침투 시험(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
(a) 트라넥삼산(와꼬 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b)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합성예 1)
(c) dl-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합성예 4)을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물질 각각 0.5 질량%를 10 %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둘벳코 PBS(-)에 용해시키고, 시험 물질 용액을 얻었다.
2 cm변(角)으로 자른 미니피그(minipig) 피부(찰스 리버사 제조(미국))를 네트웰(코닝사 제조)에 넣고, 피부 표피측에 실리콘 시일제를 도포한 어세이 링(중앙에 구멍이 개방된 테플론(등록 상표) 링)을 압박하여 고정시켰다. 다음에, 멀티 웰 플레이트에 피부 배양용 배지(TOYOBO사 제조) 2 ml를 넣고, 피부 하부를 침지시키도록 네트웰을 세팅하였다. 어세이 링의 구멍에 시험 물질 용액 0.1 ml를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액 누설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멀티 플레이트 시일로 밀폐시켜 37 ℃, 이산화탄소 5 %의 인큐베이터 안에 정치하였다.
24 시간 후, 피부 조각 상의 시험 물질 용액을 피펫으로 제거하였다. 피부 조각을 네트웰로부터 회수하고, 증류수가 들어있는 세정병으로 물을 뿌려 세정하였다. 어세이 링을 벗기고, 중앙부의 용액과 접촉해있던 부분을 8 mm 바이오푸시 펀치로 펀칭하였다. 펀칭된 피부 조각을 1.5 ml 튜브에 넣고, 증류수 및 에탄올로 교대로 반복하여 세정하고, 피부 표면에 흡착된 시험 물질을 씻어내었다.
이후에, 세정한 피부에 0.5 ml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동결 융해하였다. 1.5 ml 튜브용 미세 균질기로 파쇄하고 12,000 rpm에서 5 분간 원심하여 미파쇄 잔사를 제거하고, 조직 추출액을 얻었다.
세포 추출액 중의 시험 물질은 HPLC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트라넥삼산의 분석에는, 0.04 ml의 추출액에 10 % 과염소산 용액 0.01 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을 분석하였다. 트라넥삼산 유도체의 분석에는, 0.04 ml의 추출액에 1 M 트리스 완충액(pH 9) 0.06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아세트산에틸 0.1 ml로 유도체를 추출하고 유도체를 함유하는 용매층을 분석하였다.
세포 추출액의 단백질 함량은 로우리(Lowry)법에 의해서 정량 분석하였다.
로우리법에 사용되는 시약은 문헌[신생 화학 실험 강좌 1, 단백질 1, p85-107]을 참고로 하여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시약 1: 2 중량% 탄산나트륨 함유 0.1 M 수산화나트륨 용액
시약 2: 0.5 중량% 황산구리 5수화물 함유 1 중량% 시트르산나트륨 용액
시약 3: 1 N 페놀 시약
시약 4: 시약 1과 2의 50:1 혼합액
표준 시료: 0.1 내지 1.5 mg의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하는 용액
또한, 분석 방법을 하기에 나타낸다.
20 μL의 세포 추출액 또는 표준 시료액을 함유하는 샘플 튜브에, 시약 4를 400 μL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5 분 이상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다음에 시약 3을 40 μL 첨가하여 혼합 후, 혼합물을 30 분 이상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75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 시료로 제조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세포 추출액 중의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각 분석 시료의 트라넥삼산 및 트라넥삼산 유도체의 양(단위: ㎛ol/mg 피부 단백질)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10
표 3으로부터, 트라넥삼산(a)에 비해 트라넥삼산 유도체(b) 및 (c)가 피부 침투성이 높고,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멜라닌 합성 억제 시험(미백 효과)>
(a) 트라넥삼산(와꼬 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b)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합성예 1)
(c) dl-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염산염(합성예 4)를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물질 각각 0.5 질량%를 10 % 소혈청 알부민 및 1 % DMSO를 함유하는 멸균수(시료 용해액)에 각각 용해시키고, 시험 물질 용액을 얻었다.
배양 피부 모델(MEL-300, 구라보 보세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피부 모델 컵에 0.1 ml의 시험 물질 용액 0.1 ml를 넣었다. 배양 피부 모델은 멜라닌 세포를 함유한다. 피부 모델을 제품 첨부의 배지 LLMM을 이용하여 11 일간 배양하였다. 각 물질을 2회 시험하였다. 배양 기간 중, 배지는 하루 걸러 교환하였다.
배양 11 일 후, 피부 모델을 세정하고, 알라마블루(AlamarBlue)(몰레큘라 프로브(Molecular Probe)사 제조) 시약을 이용한 비색 측정(570 nm)에 의해 셀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후, 각 피부 모델 중의 멜라닌 합성량을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각 피부 모델을 1 % SDS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10 mM 트리스 완충액(pH 6.8) 0.2 ml에 5 mg/ml의 프로테나제 K를 0.02 ml 첨가한 액에 밤새 침투시켰다. 다음날, 5 mg/ml의 프로테나제 K를 0.02 ml 더 첨가하여 45 ℃에서 4 시간 가온하였다. 이후에 피부 모델을 용해시켰다. 피부 모델 용해액에 500 mM 탄산나트륨 용액을 0.025 ml 첨가하여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30 % 과산화수소 5 μL를 첨가하고 80 ℃에서 30 분간 가온하여 반응시켰다. 표준 시료에는, 기지 농도의 멜라닌 용액 0.24 ml에 500 mM 탄산나트륨 용액을 0.025 ml, 30 % 과산화수소 5 μL를 첨가하여 80 ℃에서 30 분간 가온하여 반응시킨 것을 이용하였다.
반응 후의 표준 시료액 및 피부 모델 용해액은 냉각시키고, 0.1 ml의 클로로포름/메탄올(2/1) 액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의 405 nm의 흡광을 측정하고, 표준 시료로 제조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량을 정량하였다.
각 분석 시료마다의 멜라닌 합성량을 대조구(시료 용해액을 첨가하여 배양한 피부 모델)를 100으로 한 상대값(단위:%)으로 나타내고,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각 피부 모델의 사진을 도 1 내지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3282148-PCT00011
표 4로부터, 트라넥삼산에 비해 트라넥삼산 유도체(b) 및 (c)가 멜라닌 합성량을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화학식 I>
    Figure 112008063282148-PCT00012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시클로알킬렌기이며; n은 0 또는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3.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4. 제3항에 있어서,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l-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 이트인 피부 외용제.
  5. 제3항에 있어서,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6.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7. 제6항에 있어서,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8.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9. 제8항에 있어서,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가 d-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인 피부 외용제.
  10.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의 염이 α-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γ-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 및 δ-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의 유기산염 또는 무기산염인 피부 외용제.
  11. 제10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의 무기산염이 상기 토코페롤 트라넥사메이트의 염산염인 피부 외용제.
  12. 제1항에 있어서, 토코페롤 아미노알킬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그의 염을 합계량으로서 0.1 내지 10 질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13. 제1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14. 제1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침착 방지제.
  15. 제1항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포함하는 피부의 침착 색소 제거제.
KR1020087021782A 2006-02-06 2007-02-05 미백 피부 외용제 KR20080100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8662 2006-02-06
JPJP-P-2006-00028662 2006-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238A true KR20080100238A (ko) 2008-11-14

Family

ID=3976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782A KR20080100238A (ko) 2006-02-06 2007-02-05 미백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40070A1 (ko)
EP (1) EP1981492A1 (ko)
KR (1) KR20080100238A (ko)
CN (1) CN101378747A (ko)
WO (1) WO200709169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840A2 (ko) * 2010-03-31 2011-10-06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3203A (ko) * 2016-12-16 2019-08-08 버텔러스 홀딩스 엘엘씨 4차 아민 제형 및 그 용도
WO2020091291A1 (ko) * 2018-11-01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10066568A (ko) * 2019-11-28 2021-06-07 전라남도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5442B1 (fr) * 2009-05-14 2012-08-03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Utilisation de delta-tocopheryl-glucide en tant qu'agent depigmentant.
CN102686206A (zh) * 2009-12-11 2012-09-19 香奈儿香水美妆品公司 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5505242A (ja) 2011-12-20 2015-02-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薬剤の色調特異的効果を評価するためのヒト皮膚サンプリング方法及びモデル
AU2013283543B2 (en) 2012-06-26 2017-11-02 Bayer Pharma Aktiengesellschaft N-[4-(Quinolin-4-yloxy)cyclohexyl(methyl)](hetero)arylcarboxamides as androgen receptor antagonists, production and use thereof as medicinal products
KR102644587B1 (ko) * 2015-12-24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유사 세라마이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4424B1 (ko) * 2016-11-28 2018-02-01 주식회사 명진뉴텍 글리세릴라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7693574A (zh) * 2017-10-23 2018-02-16 刘仁春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药物及制备方法
EP3762379A1 (en) 2018-03-07 2021-01-13 Bayer Aktiengesellschaft Identification and use of erk5 inhibitors
US20220227729A1 (en) 2019-05-21 2022-07-21 Bayer Aktiengesellschaft Identification and use of kras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8657B2 (ja) * 1987-10-02 1997-06-11 株式会社資生堂 抗色素沈着外用剤
JPH02149577A (ja) * 1988-11-30 1990-06-08 Eisai Co Ltd トコフェロール アミノアルキ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およびその塩
JPH0446144A (ja) * 1990-06-13 1992-02-17 Nippon Saafuakutanto Kogyo Kk トラネキサム酸エステル及び該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する抗色素沈着外用剤
JP2002234836A (ja) * 2001-02-13 2002-08-23 Kinji Ishida ストレス対応皮膚外用剤
JP2003176221A (ja) * 2001-09-28 2003-06-24 Lion Corp 皮膚外用剤
JP3819369B2 (ja) * 2002-03-06 2006-09-06 昭和電工株式会社 美白用化粧料
JP4472399B2 (ja) * 2004-03-26 2010-06-02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新規3−ヒドロキシアントラニル酸誘導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2840A2 (ko) * 2010-03-31 2011-10-06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122840A3 (ko) * 2010-03-31 2012-03-01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3203A (ko) * 2016-12-16 2019-08-08 버텔러스 홀딩스 엘엘씨 4차 아민 제형 및 그 용도
WO2020091291A1 (ko) * 2018-11-01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00050516A (ko) * 2018-11-01 2020-05-12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10066568A (ko) * 2019-11-28 2021-06-07 전라남도 아메리카왕거저리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8747A (zh) 2009-03-04
WO2007091694A1 (en) 2007-08-16
EP1981492A1 (en) 2008-10-22
US20090240070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0238A (ko) 미백 피부 외용제
JP4907137B2 (ja) ヒドロキシクエン酸誘導体類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5180556B2 (ja)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KR20090034915A (ko) 피부 외용 주름 방지제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6389308B1 (ja) 皮膚外用剤
JPWO2009084477A1 (ja) 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
US20100273877A1 (en) Emulsified skin external preparations and cosmetics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JP2007099670A (ja) 皮膚外用剤
KR100814196B1 (ko) 이노시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JP2004010526A (ja) 皮膚外用剤
JP2007231013A (ja) 皮膚外用剤
JP2006241005A (ja) 皮膚老化防止剤および化粧品
JP2007126438A (ja)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JP4672328B2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6176440A (ja) 皮膚の美白ないしは老化防止剤組成物および化粧品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7254376A (ja) 養毛化粧料
JP2005220085A (ja) 老化防止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細胞賦活方法
JP2005015387A (ja) 抗酸化組成物
JP2007254375A (ja) 美白化粧料
JP2009184965A (ja) 美白化粧料
JP2009143859A (ja) 抗肌荒れ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