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1291A1 -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0091291A1 WO2020091291A1 PCT/KR2019/013930 KR2019013930W WO2020091291A1 WO 2020091291 A1 WO2020091291 A1 WO 2020091291A1 KR 2019013930 W KR2019013930 W KR 2019013930W WO 2020091291 A1 WO2020091291 A1 WO 2020091291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skin whitening
- skin
- extrac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locus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locust tree is a deciduous broad-leaved shrub of the dicotyledonous rat family, Yunhyangdae, and is a rare plant growing in the lowland valleys or beaches of Jeju Island, Jeollanam-do and Chungnam province, and a Korean plant.
- the scientific name is Zanthoxylum coreanum NAKAI and grows up to 7m in height. Small branches have fine hairs, and are 6-20mm long and firm.
- the fruit is reddish in color, has a preoccupation and is about 5 mm long and 4 mm in diameter, ripening in September. In particular, the fruit can be used as a medicine, and seeds are used to squeeze oil.
- the locust tree looks similar to the similar species, the locust tree is hairy on the young branches and has about 7 to 13 small leaves, whereas the greedy tree has no hair on the young branches and has 5 to 9 small leaves.
- Patent document No. 10-2013-0001028 disclos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a vinegar extra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but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the whitening effect of a locust tre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ng the skin whitening effect on the locust tree extract through research.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having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and extracting an active ingredient having a skin whitening function from natural raw material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which is not irritating to the skin and has less side effect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mposition.
-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locus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awthorn extract may b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hawthorn.
- the essential oil may be extracted by hydrodistillation.
- the essential oil is ⁇ -ocimene, (-)- ⁇ -pinene ((-)- ⁇ -pinene), 4-carvomenthenol, wasabi
- sabinene linalool
- ⁇ -cymene ⁇ -phellandrene
- limonene ⁇ -terpineo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 the hawthorn extract can inhibit the activity of tyrosinase.
- the hawthorn extract can b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hawthorn.
- the locust bark extract can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dermal fibroblasts.
- the locust bark extract can inhibit melaninization of the skin.
-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smetic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agent for preventing or removing pigmentation of skin containing the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may also have an effect of suppressing melaninization of the skin.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locust bark extra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cell viability of (a) dermal fibroblasts (b) and mouse cells (B16F10).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n the melanin of the mouse barberry extra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B16F10), in particular, (a) melanin content of the rosewood extra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b) shows the effect on the tyrosinase activity of the locust tre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Zanthoxylum coreanum Nakai The fruits of the Zanthoxylum coreanum Nakai (ZCN) were collected in August 2017 from the National Forest Science Institute's Experimental Forest located on Pearl Island, South Korea. Dr. Hyeon-Ja Hyeo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s Nandae-Subtropical Forest Institute defined the taxonomy and the control sample code was WTFRC 10030535.
- the collected berry fruit was distill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using a cleviser type device.
- a 10L round bottom flask containing 2099.8g of fruit was placed in a heating mantle. In this flask, the berry fruit was mixed with 5 L of distilled water. The flask was then connected to a cleviser type device.
- Essential oil was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hedgehog for 14 hours.
- the collected essential oil was dried over anhydrous sodium sulphate, and then filtered through a 0.45 ⁇ m membrane disk filter.
- the obtained essential oil was transferred to a sealed dark glass bottle and then stored at 4 ° C for further analysis. And the amount of essential oil was measured based on oven dry matter, and was measured three times in total.
- the yield (%) of essential oil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 GC-MS Gas chromatography-mass binding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 Thermo Scientific Model ISQ LT equipped with a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and mass spectrometer.
- GC / MS analysis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4 ⁇ l oil with 1.0 mL dichloromethane solution containing 100 ppm of methyl undecanoate, and 1 ⁇ l of GC / MS analysis solution was injected.
- VF-5MS GC column 60 m ⁇ 0.25 mm ⁇ 0.25 ⁇ m film thickness; Agilent Technologies
- helium gas was used as a carrier gas, which was flowed at a rate of 1.0 mL / min.
-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50 ° C was set at a split ratio of 1:20.
- the ove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50 ° C for 5 minutes, and then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at a rate of 10 ° C / min to 65 ° C and then maintained for 30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again at a rate of 5 ° C./min to reach 120 ° C. and maintained for 10 minutes.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at a rate of 5 ° C / min, raised to 210 ° C, and maintained for 10 minutes. Finally,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at a rate of 20 ° C / min, raised to 325 ° C, and maintained for 10 minutes.
- the temperature is 300 ° C.
- the air flow is 350.0 ml / min
- the hydrogen flow is 35.0 ml / min
- the make-up gas (helium in this example) flow was set to 40.0 ml / min.
- the mass interface temperature was 250 ° C and the ion source temperature was 250 ° C.
- Mass scan data were obtained in the EI mode at a scan time rate of 0.2 seconds in the scan range 35 amu to 550 amu. Identification of each peak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peak average mass spectrum and the electronic library database (NIST / EPA / NIH Mass Spectral Library, version 2.0 g).
- the kovats index (KI) was calculated with the injection of the n-alkane (C7-C30) standard and described as supplementary data for peak identification.
- the component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the yield of the essence cell oil obtained from the hawthorn fruit was 2.1%.
- 37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the hawthorn fruit were analyzed.
- ⁇ -Ocimene accounted for 24.48% of the total, followed by (-)- ⁇ -pinene (16.56%), 4-carvomenthenol (11.61%), sabinene (10.81%), and linalool (10.09%).
- ⁇ -cymene 3.56%
- ⁇ -phellandrene 3.15%
- limonene 2.63.%
- ⁇ -terpineol 1.74%.
-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CRL-6475)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 Cell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FBS) and 1% penicillin-streptomycin (PS) at 37 ° C and 5% CO 2 . Cells were passaged every 3 days until the maximum number of passages was 20.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FBS fetal bovine serum
- PS penicillin-streptomycin
- HDF Human dermal fibroblast
- B16F10 cells and HDF were planted in 96-well plates.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the medium was washed with DPBS and replaced with a medium containing essential oils of the locust extract, diluted to various concentrations. After 24 hours, the medium was washed with DPBS and replaced with a medium containing 10% Cell counting kit (CCK) -8 solution (Dojindo Molecular Technology Inc., Tokyo, Japan). Cells were then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and measured at a wavelength of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SoftMax Pro5, Molecular Devices, CA, USA).
- CCK Cell counting kit
- B16F10 cells and HDF were treated with serum-free medium for 24 hours with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hawthorn fruit with a concentration of 0-10 -4 %.
- Each experiment result was performed three times, and IC50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best-fit-line curve.
- the concentrations of IC50 value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Berry fruit from B16F10 cells and HDF were 0.06877% and 0.01104%, respectively. Therefore, in B16F10 cells, the IC50 value (0.01104%)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locust fruit was used as a reference value for a later experiment.
-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slightly modifying the method of “Inhibitory effects of Stichopus japonicusextract on melanogenesis of mouse cells via ERK phosphorylation” (Oh CT et al., Mol Med Rep. 2017; 16: 1079-86).
-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was tested using DOPA oxidase activity.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L-Ascorbic acid (Sigma-Aldrich Inc.), containing kojic acid (Sigma-Aldrich Inc., St Louis, MO, USA).
- the characteristic of B16F10 cells is the release of melanin.
- the released melanin is “Novel Furocoumarin Derivatives Stimulat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by Up-Regulation of MITF and TYR Family via Akt / GSK3 ⁇ / ⁇ -Catenin Signaling Pathways” (Niu C, Yin L, Aisa HA., Int J Mol Sci. 2018; 19: 746).
- Cells were planted in a 6-well plate and treated for 24 hours with essential oil of cactus and 100 ⁇ l of 12 mM L-DOPA. Cell pellets were degraded to 1 mol / L NaOH at 60 ° C for 1 hour.
- the relative melanin content was determined by measuring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49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SoftMax Pro5, Molecular Devices, CA, USA). A standard curve was prepared three times based on synthetic melanin (0-250 g / mL) for each batch. Melanin production was calculated by normalizing the total melanin value with the protein content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control value.
- mice B16F10 cells in mice B16F10 cells,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hawthorn fruit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00125 to 0.01% and 2 days later, melanin from the B16F10 cells The amount was measured. Referring to Figure 2a, the amount of melanin in the lysed cells treated with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locust fruit was reduced at a concentration of 0.00125 to 0.01% of the essential oil.
-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may include a locust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locust tree (Zanthoxylum coreanum Nakai) is a species of other locust trees, for example, Z. schinifolium Siebold et Zuccarini or Z. piperitum De Candolle (DC), which have similar appearances but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or physiological functions. to be.
- the fraction of the extract of the hedgehog tree refers to an activ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a substance having the activity des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hedgehog tree extract using a specific solvent.
- the obtained locust bark extract is obtained by separating the fractional layer of each solvent using a mixed solvent of an organic solvent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or distilled water.
- the active ingredient is separated and purified to a high purity using a separation method known in the art to prepare a fraction.
- the fraction of the locus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extracts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as well as extracts that have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 the n-hexane fraction, chloroform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water fraction or vinegar obtained by sequential system fractionation of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fter suspending the vinegar extract in water
- Water may be added to the extract of the bark, and then stirred and then centrifuged to be a water-insoluble fraction of the camphor tree.
- the fraction can be obtained by repeat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from 1 to 5 times from the locust extract,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fractionation.
- the primrose extract may be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primrose.
- the essential oil is a food scent component composed of a mixture of terpine, ester, alcohol, and other volatile organic substances, and is a volatile oil having a strong scent obtained from flowers, buds, leaves, stems, roots, and natural resins of plants. Most of them are liquid and lighter than water, but unlike oils and fats (glycerides), the main components are terpene compounds such as mono- and sesquiterpene hydrocarbons polymerized by isoprene and alcohols, aldehydes, ketones, and esters derived therefrom.
- essential oils such as anise oil, citronella oil, turpentine oil, peppermint oil, and rosemary oil, of which about 100 can use natural and synthetic flavors as raw materials.
- Essential oils are extracted from plants by distillation, compression, extraction, and cooling, or by fermentation of vanilla.
- the essential oil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distillation method (hydrodistillation) from the locust tree.
- the distillation method may be prepared in a manner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by steam distillation or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 the distillation method after washing the hedgehog tree, it is distilled by a distillation method, cooled at low temperature, and then separated and purified to remove the aqueous solution component, thereby producing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hedgehog tree.
-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camphor tree contains a component exhibiting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specifically, ⁇ -ocimene, (-)- ⁇ -pinene ((-) - ⁇ -pinene, 4-carvomenthenol, sabinene, linalool, ⁇ -cymene, ⁇ -phellandrene, limonene ( limonene) and ⁇ -terpineol ( ⁇ -terpineol)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hawthorn extract may be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hawthorn.
-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extracted from the leaves or seeds of the camphor tree, but most preferably, the component extracted from the fruit of the camphor tree can be an active ingredient of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 the locust bark extract can inhibit the activity of tyrosinase (tyrosinase).
- tyrosinase refers to an enzyme that reacts with an amino acid (tyrosine) to form natural melanin in hair.
- Tyrosinase is an oxidizing enzyme containing copper, and the cresolase action that oxidizes -OH at the ortho position of -OH of monophenol and the resulting o-diphenol is re-o.
- -It may have a catecholase action that oxidizes to o-quinone.
- tyrosine can be 3,4-dioxyphenylalanine (3,4-dioxyphenylalanine (dopa)).
- the tyrosinase is a metal enzyme containing copper, and the optimum pH is 5-7, cyanide, azide, sulfide, carbon monoxide, thiourea, and cysteine are inhibited by reagents that bind copper atoms. Can be.
- a section of fruit such as apples or pears
- the tyrosinase may b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melanin pigment in animal tissue.
- tyrosine can be dopaquinone by tyrosinase, and can also be dopaquinone by tyrosinase.
- Dopa quinone can be dopa chromium, and dopa chromium can become melanin again, causing melanin pigmentation on the skin.
- the locust bark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or inhibit melanogenesis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tyrosinase.
- the melanization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melanin is produced by oxidative polymerization of o-diphenols, and in vertebrate, melanin is a melanin in the cytoplasm of melanocytes or black vesicles, and tyrosine is oxidized or automatically oxidized by tyrosinase. Can be created.
- the locust bark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ibit melanin formation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tyrosinase enzyme.
- the locust bark extract can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dermal fibroblasts.
- the skin fibroblasts are cells present in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and may be involved in creating connective tissue or healing wounds on the skin.
- connective tissue that connects cell layer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maintained or generated using an organelle.
- proteins including laminin and fibronectin containing extracellular matrix can be produced.
- the skin fibroblasts may not convert well into other types of cells, and may require a fairly high concentrat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for cell proliferation. Referring to Figure 1 (a), the locust bark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kin fibroblas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smetic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locust tre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gent for preventing or removing pigmentation of skin, including a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n extract of a locust bark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may contain a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ocust bark extract alone or It may include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 a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 to be administered to an animal or human to exhibit a desired physiological or pharmacological activity.
-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age of the patient, weight, health status, sex, administration route, and treatment perio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 the above refers to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cause an allergic reaction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dizziness or similar reaction when administered to humans.
- carrier,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fillers,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may be further included.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and can be formulated for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can be formulated in form.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powder, granule, tablet, emulsion, syrup, aerosol, soft or hard gelatin capsule, sterile injectable solution, sterile powder, ointment, lotion, cream, plaster, paste, and the lik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several routes including oral,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venous or intramuscular, and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is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patient's age, gender, weight and severity of the patient.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parallel with a known compound that can enhance the desired effect.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but also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it can be easily utilized as a main raw material, an auxiliary raw material, a food additive, a functional food or a beverage for the purpose of skin dehydration and regenerating effect.
- the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a processed product that contains one or more nutrients, and preferably means a state that can be directly eaten through a certain processing process, and in a general sense, food It includes food additives, functional foods, and beverages.
- Foods to which the food composition can be added include, for example, various foods, beverages, gums, teas, vitamin complexes, and functional foods.
-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dairy products, English, baby foods, etc.
- the food, beverage or food additive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 the term “functional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group or a living body having a food composition that provides added value to act and express the function of the food for a specific purpose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or biotechnical techniques. Refers to foods designed and processed to sufficiently express the body's regulation functions for defense rhythm control, disease prevention and recovery, etc. Specifically, it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functional food may include a food-acceptable food supplement additive, and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 the type of the dietary supplem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 tablet, capsule or bever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효과(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를 가질 수 있으면서 또한 피부의 멜라닌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인간의 삶이 주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등의 생존에 필수적인 부분을 넘어서서 삶의 질에 관심을 더욱 기울이게 되었고 이에 따라 자신의 건강과 미용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하지만 대기 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지상에 들어오는 자외선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사람들의 피부는 과거에 비해 더욱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었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면 쉽게 노화되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피부가 검게 변하거나 모공이 미세한 먼지 등에 막혀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이 일어나 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흰 피부를 선호하는 동양권에서는 정신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회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 질환의 예방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능성 미백화장품, 기능성 식품, 의약품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미백화장품의 고시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알부틴(2%),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2%)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닥나무추출물(2%), 에틸아스코빌에테르(2%), 유용 성감초추출물(0.05%), 마그네슘 아스코빌포스페이트(2%)가 있다. 이렇게 다양한 원료가 개발되어 이를 함유한 기능성 미백화장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임상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으로써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의 자극이 심하고, 독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부작용이 유발되고 있다.
최근,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억제 효과를 가진 원료들의 위와 같은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자연계의 천연 식물들에서 피부 안전성 및 원료 안정성이 뛰어나며 종래의 미백제, 항산화제 이상의 효능을 가진 천연물을 찾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억제 능력이 뛰어난 많은 천연 식물 추출물들이 개발되어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왕초피나무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서,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남과 충남의 저지대 계곡이나 해변에서 자라는 희귀식물이자 한국특산식물이다. 학명은 Zanthoxylum coreanum NAKAI이고 키는 7m 정도 자란다. 작은 가지는 잔털이 있으며 굵고 길이 6∼20㎜로서 굳세다. 열매는 붉은 빛이 돌고 선점이 있으며 길이 5㎜, 지름 4㎜ 내외로서 9월에 익는다. 특히 열매는 약재로 쓰일 수 있으며 종자는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왕초피나무는 유사종인 초피나무와 비슷해보이지만, 왕초피나무는 어린 가지에 털이 많고 작은 잎의 수가 7~13장 정도인데 반해 초피나무는 어린 가지에 털이 없고 작은 잎의 수가 5~9개이다.
특허문헌 제10-2013-0001028호는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왕초피나무의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왕초피나무 추출물에 대한 피부미백효과를 연구를 통해 입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미백효과를 지닌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 원료로부터 피부 미백기능이 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피부에 자극적이지도 않고 부작용이 적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증류법(hydrodistillation)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β-오시멘(β-ocimene), (-)-α-피넨((-)-α-pinene), 4-카보메탄올(4-carvomenthenol), 사비넨(sabinene), 리나놀(linalool), ο-시멘(ο-cym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리모넨(limonene) 및 α-테르피네올(α-terpine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의 열매에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피부의 멜라닌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침착 예방 또는 제거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효과(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를 가질 수 있으면서 또한 피부의 멜라닌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이 (a)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 및 (b) 마우스 세포(B16F10)의 세포생존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이 마우스 세포(B16F10)의 멜라닌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특히 (a)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b)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1. 왕초피나무 추출물 제조
왕초피나무(Zanthoxylum coreanum Nakai; ZCN)의 열매가 2017년 8월 한국의 진주섬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실험재용 산림에서 수집되었다. 국립산림과학원의 난대-아열대 산림연구소의 현화자 박사가 분류학적 정의를 내렸었고 대조표본 코드는 WTFRC 10030535이었다.
수집된 왕초피나무 열매는 대기압하에서 클레빈저 타입의 장치를 이용하여 증류(hydrodistillation)하였다. 열매 2099.8g을 담은 바닥이 둥근 10L짜리 플라스크를 가열용 맨틀(heating mantle)에 놓아두었다. 이 플라스크에서 왕초피나무 열매는 증류수 5L와 혼합되었다. 그리고 나서 플라스크는 클레빈저 타입의 장치와 연결되었다. 14시간동안 왕초피나무 열매로부터 에센셜 오일이 추출되었다. 수집된 에센셜 오일은 무수 황산나트륨(anhydrous sodium sulphate)로 건조시킨 뒤, 0.45μm 막 디스크 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수득된 에센셜 오일은 봉인된 어두운 유리병으로 옮긴 뒤에 추가 분석을 위해 4℃로 보관하였다. 그리고 에센셜 오일양은 오븐 건조물질(oven dry matter)기반으로 측정되었고, 총 3번 측정되었다. 에센셜 오일의 수율(%)은 하기 공식으로 계산되었다.
실시예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GC-MS) 분석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GC-MS) 결합분석을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FID) 및 질량분석기를 갖춘 Thermo Scientific Model ISQ LT 로 수행하였다. GC/MS 분석 용액은 4 ㎕ 오일을 100ppm 의 methyl undecanoate를 함유하는 1.0 ㎖ 다이클로로메테인 (dichloromethane)용액으로 녹임으로써 준비하였고, GC/MS 분석 용액 1 ㎕를 주입하였다. VF-5MS GC column (60 m× 0.25 mm × 0.25 μm 필름 두께; Agilent Technologies) 이 사용되었고, 캐리어 가스(carrier gas)로는 헬륨가스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1.0mL/min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분할비(split ratio) 1:20으로 250℃의 주입 온도를 설정했다. 오븐 온도는 5분동안 50℃로 유지되다가 10 ℃/min의 속도로 온도를 올려서 65℃까지 이르게 한후 30분동안 유지시켰다. 그리고 난후 다시 5℃/min의 속도로 온도를 올려서 120 ℃까지 이르게 한후 10동안 유지시켰다. 그리고 다시 5 ℃/min의 속도로 온도를 올려서 210℃까지 올린 후 10분동안 유지시켰으며 마지막으로 20℃/min의 속도로 온도를 올려서 325℃까지 올린 후 10동안 유지시켰다. FID 검출을 위해, 온도는 300℃, 공기흐름(air flow)는 350.0 ㎖/min, 수소 흐름(hydrogen flow)는 35.0 ㎖/min, 그리고 보조가스(make-up gas; 본 실시예에서는 헬륨) 흐름은 40.0 ㎖/min로 설정하였다. 질량 인터페이스 온도(mass interface temperature)는 250℃였고, 이온 소스 온도(ion source temperature)는 250℃였다. 질량 스캔 데이터(mass scan data)를 스캔 범위 35 amu 내지 550 amu에서 0.2초의 스캔시간속도로 EI 모드에서 얻었다. 각 peak에 대한 식별은 peak 평균 질량 스펙트럼(peak average mass spectrum)과 전자도서관 데이터베이스(NIST/EPA/NIH Mass Spectral Library, version 2.0 g)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또한, 코바츠 지수(kovats index; KI)가 n-alkane (C7-C30) standard의 주입으로 계산하였고 peak 식별을 위한 보충데이터로서 기술되었다.
성분 분석 결과값은 표1에 나타내었다. 왕초피나무 열매로부터 얻은 에션셀 오일의 수득율은 2.1%였고, 표1을 참조해서보면, 왕초피나무 열매로부터 얻은 에센셜 오일은 37가지성분 분석되었다. β-Ocimene 이 전체에서 24.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순서대로 (-)-α-pinene(16.56%), 4-carvomenthenol(11.61%), sabinene(10.81%), linalool(10.09%), ο-cymene(3.56%),β-phellandrene(3.15%),limonene(2.63.%) α-terpineol(1.74%)이 나타났다.
RT | 성분 | % | KI1) | 식별2)(Identification) |
19.36 | α -Thujene | 0.59 | 917.77 | MS,KI |
20.17 | (-)-α-Pinene | 16.56 | 923.62 | MS,KI |
22.22 | Camphene | 0.06 | 938.43 | MS,KI |
25.24 | Sabinene | 10.81 | 960.24 | MS,KI |
26.01 | β-Pinene | 0.30 | 965.80 | MS,KI |
27.98 | β-Myrcene | 0.32 | 980.03 | MS,KI |
34.76 | ο-Cymene | 3.56 | 1029.00 | MS,KI |
35.62 | Limonene | 2.63 | 1035.21 | MS,KI |
35.91 | β-Phellandrene | 3.15 | 1037.31 | MS,KI |
37.39 | β-Ocimene | 24.48 | 1048.00 | MS,KI |
39.15 | α -Ocimene | 2.40 | 1060.71 | MS,KI |
40.82 | γ-Terpinene | 0.17 | 1072.77 | MS,KI |
42.21 | Sabinene hydrate | 0.07 | 1082.81 | MS,KI |
42.62 | α-Pinene oxide | 0.39 | 1085.77 | MS,KI |
43.56 | Terpinolene | 0.07 | 1092.56 | MS,KI |
44.27 | 3-Methyl-2-(3-methylbut-2-enyl)-furan | 0.15 | 1097.69 | MS,KI |
44.80 | Linalool | 10.09 | 1103.31 | MS,KI |
45.95 | Camphor | 0.07 | 1121.42 | MS,KI |
46.52 | cis-ρ-Menth-2-en-1-ol | 0.48 | 1130.39 | MS,KI |
46.70 | (4E,6Z)-Alloocimene | 0.69 | 1133.23 | MS,KI |
47.52 | β-Pinene oxide | 0.18 | 1146.14 | MS,KI |
47.69 | p-Menth-3-en-1-ol | 0.46 | 1148.82 | MS,KI |
50.04 | 4-Carvomenthenol | 11.61 | 1185.83 | MS,KI |
50.65 | 4-Isopropyl-2-cyclohexenone | 0.64 | 1195.43 | MS,KI |
51.07 | α -Terpineol | 1.74 | 1201.69 | MS,KI |
52.09 | p-Penth-1-en-3-ol,cis-(+)- | 0.26 | 1217.95 | MS,KI |
53.14 | Ascaridole | 0.13 | 1228.61 | MS,KI |
57.77 | Bornyl acetate | 0.05 | 1288.82 | MS,KI |
58.70 | Limonene dioxide | 0.02 | 1301.19 | MS,KI |
64.33 | β-Elemene | 0.10 | 1396.61 | MS,KI |
67.00 | Humulene | 0.02 | 1461.44 | MS,KI |
67.51 | α-Farnesene | 0.20 | 1461.44 | MS,KI |
68.18 | α-Muurolene | 0.03 | 1490.80 | MS,KI |
69.55 | (+)-δ | 0.19 | 1531.75 | MS,KI |
71.79 | β-Caryophyllene oxide | 0.45 | 1603.38 | MS,KI |
73.48 | τ-Muurolol | 0.18 | 1666.92 | MS,KI |
73.80 | (-)-α-Cadinol | 0.49 | 1678.95 | MS,KI |
1) n-alkane기반으로 한 DB-5컬럼에서의 코바츠 지수
2) MS, NIST/EPA/NIH Mass Spectral Library; KI, Kovats index
실시예3. 세포배양
B16F10 쥐 흑색종 세포(CRL-6475)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들은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이 보강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에서 37℃ 및 5% CO2 조건으로 배양되었다. 최대 계대수 20이 될때까지 세포들은 3일마다 계대배양되었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 (CC-2509&CC-2511)를 LONZA (Lonza, Basel, Switzerland)부터 구입하였고, 2% FBS, 0.1% insulin, 0.1% hFGF, 0.1% GA-1000 및 1% PS를 함유하는 FGMTM-2 섬유아세포 성장배지-2(Lonza, Basel, Switzerland)에서 37℃ 및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되었다.
시험예1. 세포생존성 시험
B16F10 세포 및 HDF가 96-well 플레이트에 심었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후에, 배지는 DPBS로 세척되었고, 다양한 농도로 희석된,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24시간후에, 배지는 DPBS로 세척되었고 10% 세포 계수 키트(Cell counting kit; CCK)-8 용액(Dojindo Molecular Technology Inc., Tokyo, Japan)을 함유하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나서 세포들은 상온에서 인큐베이션되었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SoftMax Pro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해서 450 nm파장으로 측정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B16F10 세포 및 HDF가 0~10-4%농도를 가진,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로 무혈청배지에서 24시간동안 처리되었다. 각 실험결과는 3번 수행되어 나왔고, IC50값을 최적선(best-fit-line) 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도1을 참조하여 보면, B16F10 세포 및 HDF에서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IC50값의 농도는 각각 0.06877% 및 0.01104%였다. 따라서, B16F10 세포에 있어서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IC50값(0.01104%)은 추후 실험의 참조값으로 사용되었다.
시험예2.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분석(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ssay)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분석은 “Inhibitory effects of Stichopus japonicusextract on melanogenesis of mouse cells via ERK phosphorylation”(Oh CT et al., Mol Med Rep. 2017;16:1079-86)의 방법을 약간 변형시켜서 수행하였다. 요약해서,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은 DOPA 옥시다제(oxidase)활성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코직산(kojic acid)(Sigma-Aldrich Inc., St Louis, MO, USA)을 함유하는 0.1 M의 인산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L-아스코르브 산(L-Ascorbic acid)(Sigma-Aldrich Inc., St Louis, MO, USA) 및 왕초피나무 열매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100μl에, 각 well당 30 μl의 버섯 티로시나제 (1000 U/ml) (Sigma-Aldrich Inc., St Louis, MO, USA)를 첨가하였고, 마지막으로 10 μl의 12 mM L-DOPA를 첨가하였다. 흡광도는 37°C 에서 인큐베이션하는 동안, 마이크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SoftMax Pro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해서 490 nm파장대로 최소 1시간동안 매 10분마다 측정하였다.
도2b를 참조하여 보면, 0.5mM 코지산 및 0.25mM L-아스코르브산은 티로시나제를 유효하게 억제하였다. 마찬가지로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0.005%~0.04%에서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을 유효하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값은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멜라닌화 억제효과가 티로시나제 억제에 기인한 것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시험예3. 멜라닌 함량분석(Melanin content assay)
B16F10세포의 특징은 멜라닌을 방출하는 것이다. 방출된 멜라닌은 “Novel Furocoumarin Derivatives Stimulate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by Up-Regulation of MITF and TYR Family via Akt/GSK3β/β-Catenin Signaling Pathways”(Niu C, Yin L, Aisa HA., Int J Mol Sci. 2018;19:746)에서 사용한 방법을 약간 변형해서 측정하였다. 세포들은 6-well 플레이트에 심었고, 왕초피나무의 에션셜 오일 및 100μl의 12mM L-DOPA로 24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펠렛(pellet)은 1시간동안 60°C 조건에서 1 mol/L의 NaOH로 분해되었다. 상대적인 멜라닌 함량은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 (SoftMax Pro5,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사용해서 490 nm파장대로 흡광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표준곡선(standard curve) 각 batch위해 합성 멜라닌(0- 250g/mL)을 기반으로 3번 준비되었다. 멜라닌 생성량은 통제값의 백분율로 표시된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전체 멜라닌 수치값을 정규화시킴으로써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이 생쥐 B16F10세포에서의 멜라닌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0.00125~0.01% 농도로 처리하고 2일뒤에 B16F10세포에서 멜라닌양을 측정하였다. 도2a를 참조하여 보면, 왕초피나무 열매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로 처리된 용해처리된 세포에서의 멜라닌양이 에센셜 오일의 0.00125~0.01% 농도에서 줄어들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초피나무(Zanthoxylum coreanum Nakai)는 다른 초피나무들, 예를 들어 Z. schinifolium Siebold et Zuccarini나 Z. piperitum De Candolle(DC) 와는 종으로서 겉모습은 비슷해보이지만 화학성분 구성이나 생리학적 기능이 다른 종이다.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은 특정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획하여 얻은 활성 분획물(fraction)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득한 왕초피나무 추출물을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증류수 등의 유기용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각 용매의 분획층을 분리하여 수득하고,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당업계에 공지된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활성성분을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여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왕초피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n-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왕초피나무 추출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왕초피나무 비수용성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일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터핀과 에스터, 알코올, 기타 휘발성 유기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 식품성 향기 성분으로서 식물의 꽃·꽃봉오리·잎·줄기·뿌리·천연수지등에서 얻는 향기가 강한 휘발성 기름이다. 대부분은 액체로서 물보다 가볍지만 유지(글리세리드)와 달라 주성분은 이소프렌이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와 여기에서 유도되는 알코올·알데히드·케톤·에스테르 등의 테르펜 화합물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에센셜 오일은 아니스유·시트로넬라유·테레빈유·박하유·로즈메리유 등 1,500종 이상에 이르며, 그 중 약 100종이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에센션 오일은 식물에서 증류·압착·추출·냉침(冷浸) 조작으로 단리(單離)하거나, 바닐라 등은 발효시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센셜 오일은 왕초피나무에서 증류법(hydrodistillation)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증류법은 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방법 또는 수증기 증류-추출을 동시에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증류법은 왕초피나무를 세척한 후 증류법으로 증류하고, 저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수용액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왕초피나무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초피나무에서 추출한 에센션 오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β-오시멘(β-ocimene), (-)-α-피넨((-)-α-pinene), 4-카보메탄올(4-carvomenthenol), 사비넨(sabinene), 리나놀(linalool), ο-시멘(ο-cym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리모넨(limonene) 및 α-테르피네올(α-terpine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의 열매에서 추출될 수 있다. 왕초피나무의 잎이나 종자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왕초피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성분이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티로시나제는 아미노산(티로신)과 반응하여 모발에 있는 자연의 멜라닌을 형성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티로시나제는 동을 포함한 산화 효소로서 모노페놀(monophenol)의 -OH의 오르토(ortho) 위치의 -OH를 산화하는 크레솔라아제(cresolase)작용과 생성된 o-디페놀(o-diphenol)을 다시 o-퀴논(o-quinone)으로 산화하는 카테콜라아제(catecholase)작용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티로신은 3,4-디옥시페닐알라닌[3,4-dioxyphenylalanine(dopa)]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티로시나제는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효소로 최적 pH는 5-7, 시안화합물, 아지드(azide), 황화물, 일산화탄소, 티오우레아(thiourea), 시스테인(cysteine) 등 구리 원자와 결합하는 시약에 의하여 저해될 수 있다. 사과, 배 등 과실의 절편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흑변으로 되는 것은 티로시나제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티로시나제는 동물조직에 있어서는 멜라닌(melanin) 색소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티로신은 티로시나제에 의해 도파가 되고, 도파 또한 티로시나제에 의해 도파퀴논이 될 수 있다. 도파 퀴논은 도파 크롬이 될 수 있고 도파 크롬은 다시 멜라닌이 되어 피부에 멜라닌 색소 침착이라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티라시나제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화(melanogenesis)를 감소시키거나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멜라닌화는 o-디페놀류의 산화적 중합에 의해 멜라닌이 생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척추동물에서 멜라닌은 멜라닌세포 또는 흑색소포의 세포질 내의 멜라닌소체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한 산화 또는 자동산화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티라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형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피부 섬유아세포는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세포로서, 결합조직을 생성하거나 피부의 상처를 치유하는데 관여할 수 있다. 특히, 서로 분리되어 있는 세포 층을 결합해주는 결합조직을 세포기관(organelle)을 이용해서 유지시키거나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세포외기질을 포함하는 라미닌(laminin)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을 포함하는 단백질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섬유아세포는 다른 섬유아세포와는 달리 다른 유형의 세포로 잘 변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세포 증식을 위해서 상당히 고농도의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왕초피나무 추출물이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침착 예방 또는 제거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왕초피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연고, 로션, 크림, 고약, 페이스트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탈력과 재생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체,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낵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 일 수 있다.
Claims (10)
-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에센셜 오일은 증류법(hydrodistillation)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에센셜 오일은 β-오시멘(β-ocimene), (-)-α-피넨((-)-α-pinene), 4-카보메탄올(4-carvomenthenol), 사비넨(sabinene), 리나놀(linalool), ο-시멘(ο-cymene), β-펠란드렌(β-phellandrene), 리모넨(limonene) 및 α-테르피네올(α-terpine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왕초피나무의 열매에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왕초피나무 추출물은 피부의 멜라닌화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제1항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 제1항에 따른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색소 침착 예방 또는 제거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116A KR102118929B1 (ko) | 2018-11-01 | 2018-11-01 |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KR10-2018-0133116 | 2018-11-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91291A1 true WO2020091291A1 (ko) | 2020-05-07 |
Family
ID=7046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19/013930 WO2020091291A1 (ko) | 2018-11-01 | 2019-10-23 |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8929B1 (ko) |
WO (1) | WO202009129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6825A (zh) * | 2020-10-29 | 2021-01-26 | 青岛科技大学 | 一种复配精油、其制备方法及其在美白抗皱化妆品中的应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0238A (ko) * | 2006-02-06 | 2008-11-14 |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미백 피부 외용제 |
KR20130001028A (ko) * | 2011-06-24 | 2013-01-03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01027A (ko) * | 2011-06-24 | 2013-01-03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6299B1 (ko) * | 2004-11-05 | 2007-01-10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초피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
-
2018
- 2018-11-01 KR KR1020180133116A patent/KR102118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0-23 WO PCT/KR2019/013930 patent/WO202009129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0238A (ko) * | 2006-02-06 | 2008-11-14 |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미백 피부 외용제 |
KR20130001028A (ko) * | 2011-06-24 | 2013-01-03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130001027A (ko) * | 2011-06-24 | 2013-01-03 |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LAN, YI: "Essential oil from Zanthoxylum bungeanum Maxim. and its main components used as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s: a comparative study", J ZHEJIANG UNIV-SCI B (BIOMED & BIOTECHNOL, 2014, pages 940 - 952, XP55704839 * |
YA, WANG: "Preliminary screening of 44 plant extracts for anti-tyrosina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PAK. J. PHARM. SCI., 2015, pages 1737 - 1744, XP55704835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66825A (zh) * | 2020-10-29 | 2021-01-26 | 青岛科技大学 | 一种复配精油、其制备方法及其在美白抗皱化妆品中的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8929B1 (ko) | 2020-06-08 |
KR20200050516A (ko) | 2020-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1837B1 (ko) |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79202A (ko) |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2047234B1 (ko) | 무궁화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재생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2022622B1 (ko) |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 |
KR20210108911A (ko) |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 |
KR101885000B1 (ko) |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 |
KR102127570B1 (ko) |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 |
KR102158780B1 (ko) |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US20180250221A1 (en) | Gardenia extract for colouring the skin | |
WO2020091291A1 (ko) |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
CN113631227B (zh) |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 |
KR100706131B1 (ko) |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 |
JP6778026B2 (ja) |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 |
KR20100028202A (ko) |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 |
KR101715342B1 (ko) |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 |
KR20180039301A (ko) |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7655B1 (ko) |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 |
KR101512811B1 (ko) |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01256971B1 (ko) | 데커시놀의 추출방법 및 상기 데커시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357402B1 (ko) | 죽내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 |
KR101889331B1 (ko) |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 |
KR100706282B1 (ko)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1592373B1 (ko) |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30054518A (ko) |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
KR20180013666A (ko) |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198802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198802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