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027A -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027A
KR20130001027A KR1020110061891A KR20110061891A KR20130001027A KR 20130001027 A KR20130001027 A KR 20130001027A KR 1020110061891 A KR1020110061891 A KR 1020110061891A KR 20110061891 A KR20110061891 A KR 20110061891A KR 20130001027 A KR20130001027 A KR 2013000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hitening
vinegar
extrac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만철
이종대
장용만
김정미
신경진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큐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큐젠바이오텍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027A/ko
Publication of KR2013000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 원료로부터 미백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우수한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갖추면서도 자극성 및 부작용이 적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Zanthoxylum schinitolium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를 갖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삶의 질 향상으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건강과 미용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대기가 오염되어, 오존층이 심각하게 파괴됨에 따라 지표면에 강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현대인들의 피부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가 쉽게 노화되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피부가 검게 변하거나 모공이 미세한 먼지 등에 막혀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이 일어나 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흰 피부를 선호하는 동양권에서는 정신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회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 질환의 예방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기능성 미백화장품, 기능성 식품, 의약품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미백화장품의 고시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알부틴(2%),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2%)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닥나무추출물(2%), 에틸아스코빌에테르(2%), 유용 성 감초추출물(0.05%), 마그네슘 아스코빌포스페이트(2%)가 있다. 최근에는 미생물 및 약용식물 유래의 신성분이 개발되어 미백, 주름개선 효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원료가 개발되어 이를 함유한 기능성 미백화장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임상 효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개선하기 위한 의약품으로써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의 자극이 심하고, 독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부작용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피부에 친화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천연 원료를 이용한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고, 여러 가지 분야에서 천연 소재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상백피(Cortex mori), 하수오(Radix polygoni multiflori), 감초(Radix Glycyrrhizae)추출물을 니오좀에 안정화하여 유효 성분을 극대화하고, 제형에 따라 니오좀을 파우더에 표면 처리함으로써 파우더의 밀착력, 퍼짐성, 지속력 등을 향상시키는 생약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은 멀베리(mulberry), 일본은 자생 천연식물 등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및 미백효과가 있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 원료로부터 미백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자극성 및 부작용이 적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의 잎, 가지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세인,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상기 산초나무의 건조중량 대비 10배 내지 3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인 것을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초나무 분획물의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틸에테르, 헥세인, 클로로포름, 메칠렌 클로라이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산초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후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산초나무 분획물을 수득하는 분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산초나무의 잎, 가지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단계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세인,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추출용매로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단계는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추출단계는 산초나무의 건조중량 대비 10배 내지 3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분획단계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틸에테르, 헥세인, 클로로포름, 메칠렌 클로라이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분획용매로 가하여 분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미백 효과(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를 지니면서,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 원료로부터 미백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자극성 및 부작용이 적은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산초나무의 사진이다.
도 2는 산초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산초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산초나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산초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 도 4b는 산초나무 가지 추출물 및 분획물, 도 4c는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산초나무 추출물의 잔틴옥시데이즈 효소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산초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 도 5b는 산초나무 가지 추출물 및 분획물, 도 5c는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다. 비교예 결과는 산술평균값으로 도시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는 산초나무 추출물의 잔틴 과산화물 생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산초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 도 5b는 산초나무 가지 추출물 및 분획물, 도 5c는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다. 비교예 결과는 산술평균값으로 도시하였다.
도 7a 내지 도 7c는 산초나무 추출물의 버섯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산초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 도 7b는 산초나무 가지 추출물 및 분획물, 도 7c는 산초나무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다.
도 8은 산초나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체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실험 결과이다.
상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산초나무를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피지 억제 및 모공 수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tolium S. et Z.)는 운향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각지에 분포하며, 해발 1,400m 이하의 산기슭 양지나 산야에 나는 낙엽관목이다(도 1). 잎은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은 13 내지 21장이며, 길이가 1.5 내지 5㎝로서 피침형이고 밑은 좁고 끝은 날카로우며 약간 오목하고 가장자리에 뭉뚝한 톱니가 있다. 열매의 결실기는 10월이며,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가 4㎜ 가량 되고 거의 둥근 모양이며 녹갈색이다. 씨는 검은색이다. 과실, 수피, 근피는 약용으로 사용되며, 중풍, 사독, 이뇨, 치통, 건위, 진해,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열매는 제유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상기 산초나무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분획용매를 가하는 산초나무 추출물도 포함, 이하 같다)은 산초나무의 잎, 가지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세인,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거나, 또는 기타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른 추출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추출은 상기보다 낮은 온도인 상온추출도 적용할 수 있으나, 60℃ 내지 80℃에서 추출하는 것이 유용 성분의 추출면에서 효과적이고, 또한 열매와 같은 부위는 상온추출에서는 성분이 용출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유용 성분이 열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추출을 하는 경우에는 유용 성분 추출양이 충분하지 않고, 상기보다 장시간 추출하는 경우에는 가열시간 증가에 따라 투입하는 에너지 대비 유용성분의 수득 효율이 낮아지므로 효과적이지 않고, 자칫 유용 성분이 파괴되거나 부패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상기 산초나무의 건조중량 대비 10배 내지 3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보다 더 적은 양의 용매를 가하는 경우에는 유용 성분 추출양이 충분하지 않고 자칫 추출과정 동안 수분이 증발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보다 더 많은 양의 용매를 가하는 경우에는 투입하는 에너지 대비 유용성분의 수득 효율이 낮아지므로 효과적이지 않다. 추출 온도와 시간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기재처럼, 상기 온도보다 낮거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유용 성분이 추출되기 어렵고, 상기 온도보다 높거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유용 성분에 자칫 변화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 제조에 사용된 열수추출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70℃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열수 추출이 종료된 후, 감압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고, 잔사는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은 최종적으로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 추출의 경우,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10일 동안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 과정과 동일하게 감압여과 하여 얻어진 여액은 농축하고, 잔사는 다시 추출을 진행하여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보다 더 적은 비율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미백 효과를 실질적으로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보다 더 많은 비율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의 증가 대비 미백 효과의 증가 정도가 감소하여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획물은 상기의 추출과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하였다가 증류수 1ℓ에 현탁시킨 후, 분별 깔대기를 이용하여 헥세인(n-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을 차례로 각각 1ℓ씩 가하여 n-hexane 층, chloroform 층, ethyl acetate 층, n-butanol 층 및 water 층의 분획물을 얻었다(도 3).
상기 산초나무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틸에테르, 헥세인, 클로로포름, 메칠렌 클로라이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획용매에 따라 용출되는 유용 성분이 상이하게 되고, 상기 중에서 헥세인,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 실시예 >
1. 실시예의 제조
1.1 시료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산초나무는 10월에 약초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중부 이남지역에서 채집하였다. 채집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는 잎, 가지, 열매의 부위별로 나누어 음지에서 건조하였고, 가지의 경우에는 열풍 건조하여 수분의 함량을 낮추었다. 건조된 시료 중 잎과 가지는 쇄절 분쇄하여 추출에 사용하였다.
1.2 추출물의 제조
추출물의 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열수 추출과 상온 추출의 두 가지 방법으로 추출하였다(도 1 참조).
열수 추출물의 제조는 쇄절 건조된 산초나무 잎 100g에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7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이때 사용된 용매의 양은 2ℓ(시료의 20배)를 사용하였다. 감압 여과농축 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최종적으로 동결 건조하였다.
상온 추출물의 제조는 쇄절 건조된 산초나무 잎 164g에 70% 에탄올 20배의 양을 사용하여 10일 동안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 과정과 동일하게 감압여과 하여 얻어진 여액은 농축하고, 잔사에 대하여 다시 용매를 가하고 추출을 진행하여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산초나무 가지와 열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을 하였다. 이 때 얻어진 추출물의 양과 수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열수 추출과 상온 추출에 대한 수율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식물의 잎, 가지에서 모두 열수 추출물의 수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진행되는 실험은 열수 추출물(실시예 11, 21, 31)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구분 부위 온도 추출시간 건조시료
투입량(g)
추출물
수득량(g)
수율
실시예11 70℃ 3시간 100 18.1 18.1
실시예21 가지 70℃ 3시간 100 9.5 9.5
실시예31 열매 70℃ 3시간 100 12.2 12.2
실시예11A 상온 10일 134 21.8 13.3
실시예21A 가지 상온 10일 700 54.2 7.7
실시예31A 열매 상온 10일 700 72.1 10.3
1.3 분획물의 제조
산초나무 잎에 대해 얻어진 70%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1) 15g을 가지고 증류수 1ℓ에 현탁시킨다. 분별 깔대기를 이용하여 헥세인(n-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CHCl3),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부탄올(n-butanol, BuOH)을 차례로 각각 1ℓ씩 가하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산초나무 가지와 열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이 때 얻어진 분획물의 양과 수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부위 용매 투입량
(g)
수득량
(g)
수율
(%)
총합
(g)
수율
총합(%)
실시예12 헥세인 15.00 2.3869 15.9

11.5664



77.1

실시예13 클로로포름 15.00 0.5410 3.6
실시예14 에틸아세테이트 15.00 1.3256 8.8
실시예15 부탄올 15.00 1.9307 12.9
실시예16 15.00 5.3791 35.9
실시예22 가지 헥세인 15.00 1.4219 9.5

13.1201



87.5

실시예23 가지 크로로포름 15.00 1.5144 10.1
실시예24 가지 에틸아세테이트 15.00 0.1565 1.0
실시예25 가지 부탄올 15.00 4.5261 30.2
실시예26 가지 15.00 5.5012 36.7
실시예32 열매 헥세인 15.00 5.1683 34.5

10.0436



67.0

실시예33 열매 클로로포름 15.00 1.0324 6.9
실시예34 열매 에틸아세테이트 15.00 0.3588 2.4
실시예35 열매 부탄올 15.00 0.6980 4.7
실시예36 열매 15.00 2.7861 18.6
< 실험예 >
1. DPPH (1,1- diphenyl -2- picryhydrazyl )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1.1 실험 방법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은 광범위하게 쓰이는 간단한 항산화 검색방법으로 특히 페놀(phenol)과 방향성 아민(aromatic amines)의 항산화 활성의 측정에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일종의 염료인 DPPH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홀수의 전자 때문에 525㎚에서 강한 흡수띠를 보인다. 그러나 페놀과 같은 수소나 전자를 제공해주는 전자공여체와 반응을 하게 되면 공여체로부터 전자나 하이드로젠 라디칼(hydrogen radical)을 생성하게 되면서 흡수 띠도 사라지고 안정한 분자가 된다. 또한 공여된 전자는 비가역적으로 결합하며, 그 수에 비례하여 진보라색의 DPPH의 색은 점점 옅어지게 되고, 반응액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감소하는 흡광도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라디칼 소거활성을 알 수 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은 Blois 방법을 응용하여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메탄올에 용해시킨 0.4 mM의 DPPH 용액 100 ㎕을 넣고, 실시예를 각각의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100 ㎕를 첨가하여 vortex mixer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실시예 대신 메탄올을 넣었으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보정값을 얻었다. 비교예로는 뷰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d Hydroxy Anisole, BHA)를 사용하였고, 자유라디칼 소거율은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S :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SB : 효소 대신 buffer를 넣은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C : 대조군의 흡광도
1.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하였다(단위 : %). SC50은 50%의 활성 저해를 나타내는 농도이다. 실시예 13, 14, 15 및 35가 비교예 BHA(SC50 34.8 ㎍/㎖)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농도(㎍/㎖) SC50
7.82 15.63 31.25 62.50 125.00 250.00 500.00
실시예11 -0.53 2.55 8.43 18.71 37.25 58.48 62.12 247.20
실시예12 12.14 15.83 25.85 28.92 46.33 65.25 84.50 112.17
실시예13 23.61 33.90 56.87 77.43 87.95 95.58 97.99 25.28
실시예14 73.98 88.37 91.79 93.33 93.42 94.23 95.61 1.05
실시예15 38.28 58.85 85.73 90.83 91.47 92.66 96.01 11.02
실시예16 13.84 18.61 36.25 52.51 64.97 88.03 93.45 55.70
실시예21 8.53 14.25 27.12 44.95 64.25 66.74 83.05 85.60
실시예22 5.11 6.05 7.19 11.69 26.88 26.28 40.93 >500
실시예23 12.83 17.71 28.39 43.88 67.19 75.98 81.32 74.40
실시예24 9.51 18.00 32.72 54.09 71.17 72.29 77.61 70.10
실시예25 9.85 17.34 28.41 45.75 67.00 72.61 78.54 79.00
실시예26 -1.83 -11.52 -14.22 -3.67 24.78 40.49 60.73 337.00
실시예31 4.22 9.21 19.03 32.86 54.62 76.24 77.33 107.80
실시예32 9.29 9.95 9.88 11.13 13.97 17.52 22.00 >500
실시예33 1.43 2.92 2.82 5.87 13.09 14.94 24.49 >500
실시예34 8.68 16.67 34.50 54.03 72.56 77.34 82.47 64.10
실시예35 26.94 39.99 53.95 66.99 82.06 83.17 83.95 26.80
실시예36 7.21 11.63 16.33 25.92 56.61 65.78 71.84 134.30
비교예 10.57 32.14 57.63 68.93 82.03 87.73 89.44 34.80
2. 잔틴 옥시데이즈 ( Xanthine Oxidase ) 활성 억제 실험
2.1 실험방법
잔틴을 산화하여 요산으로 만드는 효소인 잔틴 옥시데이즈(Xanthine Oxidase)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소거활성 평가는 Nor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96-well plate에 실시예를 각각의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50㎕씩 분주한다. 여기에 2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7.5), 1 mM 잔틴(xanthine), 2 mM EDTA 시료를 넣고 잘 혼합한다. 이 혼합한 용액을 50㎕씩 가한다. xanthine oxidase 효소 100 ㎕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에 2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실시예 대신 buffer(인산완충식염수, PBS)를 넣었으며, xanthine oxidase 대신에 buffer(2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5)를 넣어 색 보정값을 얻었다. 비교예로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고, 소거율은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2
S :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SB : 효소 대신 buffer를 넣은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C : 대조군의 흡광도
CB : 효소 대신 buffer를 넣은 대조군의 흡광도
2.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하였다(단위 : %). SC50은 50%의 활성 저해를 나타내는 시료 농도이다.
 
 
시료 농도(㎍/㎖) SC50
15.63 31.25 62.50 125.00 250.00 500.00
실시예11 -1.66 -1.44 -1.89 2.72 17.23 48.32 >500
실시예12 5.47 5.82 7.96 13.84 27.51 38.80 >500
실시예13 -31.57 -5.62 5.11 11.49 35.48 - >250
실시예14 6.52 17.91 37.66 52.09 83.08 - 92.80
실시예15 12.79 16.49 20.04 27.72 34.12 49.47 >500
실시예16 -1.40 5.39 8.64 17.17 31.99 42.65 >500
실시예21 -0.95 2.95 3.20 7.57 27.57 40.68 >500
실시예22 -0.24 -0.07 2.05 12.98 43.61 78.69 391.50
실시예23 -4.55 -3.90 -4.58 0.69 17.20 - >250
실시예24 -1.36 -4.68 -2.68 -1.80 14.15 - >250
실시예25 -3.34 -2.75 1.39 1.64 24.88 - >250
실시예26 -13.05 -0.31 0.14 4.93 7.03 - >250
실시예31 -3.05 -1.51 3.46 15.62 40.36 65.35 369.50
실시예32 -7.26 -7.10 -4.65 -1.84 4.84 8.68 >500
실시예33 -2.49 6.57 6.72 18.07 24.39 51.67 244.90
실시예34 3.44 11.63 13.74 42.20 92.88 - 142.10
실시예35 -3.14 -2.17 2.44 6.15 13.85 22.08 >500
실시예36 -4.57 -5.30 -8.11 -7.12 -5.69 2.28 >500
비교예1 9.66 22.2 38.93 60.52 77.46 79.93 96.50
비교예2 2.86 19.93 30.17 46.80 76.14 84.29 59.10
* 비교예1 - 추출물(실시예 11, 21, 31) 실험시의 대조군
* 비교예2 - 분획물(상기 외) 실험시의 대조군
3. 잔틴 과산화물( Xanthine Superoxide ) 생성 억제 활성
3.1 실험 방법
Xanthine superoxide(inhibition of superoxide generation) 효소 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소거활성 평가는 Nor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활성산소에 의한 나이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에 의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실시예를 각각의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50 ㎕씩 분주한다. 여기에 2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7.5), 1 mM 잔틴(xanthine), 2 mM EDTA, 0.1 mM NBT 시료를 넣고 잘 혼합한 시약 50 ㎕씩 가한다. xanthine oxidase 효소 100 ㎕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에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실시예 대신 buffer(인산완충식염수, PBS)를 넣었으며, xanthine oxidase 대신에 buffer(2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 pH 7.5)를 넣어 색 보정값을 얻었다. 비교예로 아브코르브산을 사용하였고, 소거율은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S :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SB : 효소 대신 buffer를 넣은 실시예/비교예의 흡광도
C : 대조군의 흡광도
CB : 효소 대신 buffer를 넣은 대조군의 흡광도
3.2 실험 결과
상기 실험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였다(단위 : %). 실시예 14, 15 및 32가 비교예(SC50 90.0 또는 103.5 ㎍/㎖)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농도(㎍/㎖)  SC50
15.63 31.25 62.50 125.00 250.00 500.00 1000.00
실시예11 0.59 2.55 5.69 12.94 32.45 68.43 85.78 323.80
실시예12 11.32 15.47 19.72 37.96 65.12 - - 183.49
실시예13 13.74 21.73 32.26 41.61 51.58 72.35 89.81 154.47
실시예14 27.01 46.15 68.87 87.40 92.79 98.57 - 83.93
실시예15 20.64 26.53 41.23 53.70 79.19 87.25 98.15 68.72
실시예16 8.43 11.71 19.92 31.86 51.83 67.21 84.51 219.20
실시예21 -0.60 5.39 10.88 31.34 78.24 82.53 99.70 156.00
실시예22 2.80 14.07 25.73 44.73 56.60 73.53 73.67 196.30
실시예23 2.07 5.95 14.11 30.10 56.18 58.45 64.79 333.60
실시예24 3.70 9.69 13.77 16.51 29.38 43.79 73.42 566.80
실시예25 1.66 3.13 6.26 9.20 18.01 45.21 49.94 >1000
실시예26 2.24 6.15 5.00 6.79 11.79 18.27 51.60 980.00
실시예31 7.16 14.63 27.86 59.30 86.68 91.94 91.94 104.60
실시예32 13.55 25.93 40.64 64.62 83.33 85.58 86.55 86.50
실시예33 10.50 12.62 20.42 43.45 63.78 80.64 89.40 151.40
실시예34 6.53 11.99 28.85 47.08 55.07 72.81 76.90 184.90
실시예35 7.40 14.99 20.08 30.26 52.07 60.23 93.95 210.60
실시예36 -1.61 0.19 2.18 12.12 25.00 65.63 82.29 372.41
비교예1 2.24 4.24 26.86 92.11 93.64 95.52 97.29 90.00
비교예2 4.61 12.06 34.31 77.45 80.29 84.41 86.37 103.50
* 비교예1 - 추출물(실시예 11, 21, 31) 실험시의 비교예
* 비교예2 - 분획물(상기 외) 실험시의 비교예
4.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실험
4.1 실험방법
추출물의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은 Tomita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반응액은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 6.5) 0.5 ㎖, 0.05 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 6.5) 50 ㎕, 버섯 타이로시네이즈(mushroom tyrosinase, 2,000 U/㎖, 시그마 알드리치, 미국) 50 ㎕, 1.5 mM L-tyrosine(Acros, 미국) 0.2 ㎖, 실시예 0.1 ㎖로 구성하였고, 1.5 ㎖ 마이크로튜브에 반응액을 첨가하여 25℃ 온탕기(heating bath)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얼음에서 5분간 효소반응을 정지시킨 후, 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비교예1) 및 코직산(kojic acid, 비교예2)는 인산완충식염수를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농도는 100, 250, 500, 1000 ppm의 농도범위로 계산하여 희석하였다. 실시예 대신에 인산완충식염수(PBS) 0.1 ㎖를 가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또한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0.1 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 6.5) 50 ㎕를 가하여 blank로 하였다. 효소 활성 저해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4
A : 실시예/비교예를 첨가하지 않은 흡광도(대조군)
B : 실시예/비교예를 첨가한 흡광도
4.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하였으며, 측정값은 효소 활성에 대한 저해율(%)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4, 24 및 34(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가 우수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실시예 24가 가장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이로시네이즈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100.00 ppm 250.00 ppm 500.00 ppm 1000.00 ppm
실시예11 -1.70 -9.83 -11.83 -6.75
실시예12 -40.00 -62.50 -23.33 -83.33
실시예13 -11.00 -62.50 -66.67 10.91
실시예14 -9.00 -50.00 -86.33 31.52
실시예15 0.00 -5.77 -0.66 6.11
실시예16 6.63 -9.62 -5.96 -20.61
실시예21 -4.92 4.30 9.16 10.54
실시예22 -10.00 -85.00 46.73 -36.63
실시예23 -70.00 -32.00 -36.45 4.07
실시예24 -10.00 -16.00 5.61 48.84
실시예25 -30.00 60.00 -26.17 19.19
실시예26 -40.00 -20.00 -37.38 15.12
실시예31 -9.58 -14.94 -18.01 -15.99
실시예32 -15.00 -20.00 -12.67 -2.42
실시예33 -8.00 -24.50 -83.33 7.27
실시예34 -17.00 -15.00 -6.67 33.33
실시예35 -23.00 -27.50 -31.33 5.45
실시예36 -12.00 -27.50 -50.00 3.64
비교예1 12.41 30.25 64.42 96.30
비교예2 73.19 91.13 98.58 98.79
5. 쥐 B16BL6 멜라노마 세포 / 쥐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5.1 세포주 및 세포배양
쥐 B16BL6 멜라노마(mouse B16BL6 melanoma) 세포주와 쥐 B16F10 멜라노마(mouse B16F10 melanoma)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은행(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각 세포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한 고포도당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high-glucose)를 사용해 37℃ 습윤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plate에 80% 정도 차면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포의 단층을 씻어낸 후 0.25% 트립신(trypsin)-2.65 mM EDTA로 처리하여 계대배양을 하였고,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5.2 세포 생존율 측정
각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Carmichael 등의 방법에 따라 2-(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의 생육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탈수소효소가 황색 수용성 물질인 MTT에 의해 진보라색의 포르마잔(dark blue formazan)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포르마잔의 생산량은 대사적으로 활성이 있는 살아있는 세포수와 거의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세포의 생육과 분화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
배양된 세포(B16BL6, B16F10)를 96-well plate에 각 well당 1×105 cells/㎖가 되도록 200 ㎕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 습윤한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각 실시예를 각각 10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제조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well에 배지 135 ㎕와 인산완충식염수에 녹인 MTT (5 ㎎/㎖)용액을 15 ㎕씩 첨가하여 다시 4시간 동안 배양시킨다. 포르마잔 형성을 확인한 후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well 바닥에 형성된 포르마잔을 녹이기 위해 100 ㎕의 다이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 (Powerwave XS, Biotek)를 이용하여 56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군 세포를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 증식율(%)로 나타내었고, 세포 증식율이 80% 이하인 것은 첨가한 실시예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그 이하의 농도에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측정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5.3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측정
각 세포를 24-well plate에 1×105 cells/㎖로 분주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우태아혈청(FBS)과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DMEM)에 실시예를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실시예 처리 농도는 상기 얻어진 생존율 실험 결과를 토대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농도 범위 내에서 다시 4가지의 농도를 적절하게 선정하였다.
실시예를 처리한 배지를 제거한 뒤 인산완충식염수(PBS)으로 세척하였고, 1% 트리톤(Triton) X-100이 함유된 인산완충식염수를 각 well에 첨가한 뒤 셀스크래퍼(cell scraper)로 well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부유시켜 1.5㎖ 마이크로튜브에 모아 10,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측정을 위한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측정은 10mM L-DOPA(L-3,4-dihydroxyphenylalanine) 200 ㎕와 0.1M PBS (pH 6.8) 500 ㎕, 타이로시네이즈 효소원(세포로부터 얻은 상층액) 300 ㎕를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 효소 활성(%)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5
C : 효소원을 첨가하지 않은 흡광도
D : 효소원을 첨가한 흡광도
5.4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측정 결과
1) 쥐 B16BL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실험결과
상기 쥐 B16BL6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율 실험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단위: 생존율 %).
  10ppm 50ppm 100ppm 250ppm 500ppm 1000ppm
실시예11 101.83 103.42 105.12 95.76 19.22 25.62
실시예12 108.91 100.31 1.84 3.62 6.40 10.94
실시예13 107.80 97.36 56.04 24.89 33.46 55.87
실시예14 100.94 103.88 101.80 106.28 99.19 60.53
실시예15 94.73 92.34 86.45 61.47 52.23 48.14
실시예16 99.23 99.39 93.50 96.65 92.62 80.77
실시예21 102.29 111.84 92.74 9.95 3.61 4.00
실시예22 94.76 60.55 1.42 1.56 1.86 2.96
실시예23 100.24 132.27 96.78 1.81 2.27 3.44
실시예24 103.83 101.41 99.20 118.55 92.80 14.76
실시예25 106.66 112.86 113.94 129.89 138.46 133.41
실시예26 116.03 119.38 118.61 118.34 131.83 123.91
실시예31 102.01 103.01 103.83 102.00 96.70 11.07
실시예32 99.96 99.24 98.59 26.32 3.43 4.32
실시예33 98.89 100.32 99.61 2.45 5.40 9.64
실시예34 100.64 102.90 101.38 101.63 52.72 40.45
실시예35 100.56 100.54 103.07 102.99 104.83 105.81
실시예36 96.61 61.43 90.73 63.45 62.70 82.99
상기 쥐 B16BL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실험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각 실시예마다 처리한 농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조건 4를 (세포 생존율 80%에 근접한 농도) 기준으로 가장 작은 양수값(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실시예 31이 세포 독성 대비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건 1 조건2 조건3 조건4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실시예11 10 71.48 50 60.56 100 40.00 250 32.41
실시예12 10 77.91 20 37.23 25 16.84 50 4.73
실시예13 10 95.43 20 55.64 25 32.37 50 -11.03
실시예14 10 78.93 100 48.28 250 27.59 500 14.94
실시예15 10 86.54 20 38.79 25 34.26 50 16.63
실시예16 10 78.62 100 73.43 250 13.03 500 20.30
실시예21 10 91.45 25 11.50 50 -1.67 100 2.97
실시예22 10 68.14 20 54.41 25 -60.29 50 -27.94
실시예23 10 59.49 20 53.85 25 -7.18 50 54.87
실시예24 10 82.02 50 41.11 100 30.30 250 -8.34
실시예25 10 45.83 100 57.64 500 31.94 1000 75.69
실시예26 10 54.07 100 9.27 500 6.57 1000 36.84
실시예31 10 80.75 100 56.68 250 12.64 500 1.81
실시예32 10 99.37 25 62.19 50 21.16 100 -7.33
실시예33 10 75.93 25 63.33 50 32.41 100 31.30
실시예34 10 79.45 100 30.96 250 15.74 500 8.88
실시예35 10 97.54 100 48.09 500 25.96 1000 -10.93
실시예36 10 82.91 100 36.67 500 19.33 1000 16.67
2) 쥐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실험결과
상기 쥐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율 실험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단위: 생존율 %).
  10 ppm 50 ppm 100 ppm 250 ppm 500 ppm 1000 ppm
실시예11 89.46 90.25 79.07 93.39 11.86 7.89
실시예12 107.61 93.93 2.06 2.27 39.58 5.23
실시예13 98.95 74.23 28.19 7.54 8.30 10.15
실시예14 85.47 89.66 86.11 95.84 97.92 71.69
실시예15 78.35 81.57 76.67 65.69 68.48 60.49
실시예16 94.85 90.81 92.16 94.01 90.96 96.01
실시예21 104.30 106.15 105.12 31.00 3.09 3.28
실시예22 103.90 38.59 0.83 1.40 1.53 2.72
실시예23 102.01 104.57 80.85 2.51 1.96 2.44
실시예24 99.32 96.31 91.82 90.56 79.67 20.66
실시예25 94.62 96.66 98.98 102.04 104.21 102.96
실시예26 102.81 103.73 99.98 97.99 101.73 104.36
실시예31 90.28 90.23 96.24 115.74 114.10 11.66
실시예32 88.21 102.39 96.59 66.11 5.50 6.17
실시예33 90.98 90.19 85.64 3.38 17.73 9.20
실시예34 93.53 93.98 103.36 117.71 90.30 29.61
실시예35 91.05 94.52 97.05 98.17 106.35 119.24
실시예36 84.48 77.79 77.62 82.99 82.26 99.50
상기 쥐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실시예 13, 32 및 35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이 가장 낮아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각 실시예마다 처리한 농도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조건 4를 (세포 생존율 80%에 근접한 농도) 기준으로 가장 작은 양수값(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나타내는 실시예 34가 세포 독성 대비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건1 조건2 조건3 조건4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농도
(ppm)
활성
(%)
실시예11 10 74.65 50 55.50 100 33.33 250 26.42
실시예12 10 98.25 20 37.60 25 22.47 50 -2.38
실시예13 10 109.68 20 60.00 25 33.76 50 -15.27
실시예14 10 81.84 100 53.89 250 25.35 500 13.77
실시예15 10 84.53 20 30.82 25 29.72 50 24.65
실시예16 10 65.91 100 70.45 250 8.33 500 55.30
실시예21 10 99.34 25 42.67 50 21.67 100 -3.97
실시예22 10 74.77 20 79.41 25 17.37 50 23.04
실시예23 10 87.18 20 44.36 25 18.21 50 20.26
실시예24 10 95.58 50 61.17 100 26.10 250 10.71
실시예25 10 63.25 100 59.26 500 39.89 1000 79.49
실시예26 10 64.00 100 32.94 500 7.34 1000 45.88
실시예31 10 81.27 100 47.32 250 9.36 500 -7.12
실시예32 10 96.30 25 61.25 50 14.75 100 -13.61
실시예33 10 71.92 25 72.15 50 46.12 100 47.72
실시예34 10 84.54 100 16.79 250 8.74 500 3.97
실시예35 10 97.16 100 43.83 500 21.70 1000 -24.82
실시예36 10 111.35 100 54.26 500 22.34 1000 -8.69
<제형예 >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상기 실시예를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6
[제형예 2] 영양 크림
상기 실시예를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산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의 산초나무 추출물에 추가적으로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의 잎, 가지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세인,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 추출물은 산초나무에 상기 산초나무의 건조중량 대비 10배 내지 3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초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초나무 분획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틸에테르, 헥세인, 클로로포름, 메칠렌 클로라이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1.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산초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후 분획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산초나무 분획물을 수득하는 분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는 산초나무의 잎, 가지 및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헥세인,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추출용매로 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산초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산초나무의 건조중량 대비 10배 내지 3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60℃ 내지 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단계는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틸에테르, 헥세인, 클로로포름, 메칠렌 클로라이드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분획용매로 가하여 분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10061891A 2011-06-24 2011-06-24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91A KR20130001027A (ko) 2011-06-24 2011-06-24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891A KR20130001027A (ko) 2011-06-24 2011-06-24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027A true KR20130001027A (ko) 2013-01-03

Family

ID=4783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891A KR20130001027A (ko) 2011-06-24 2011-06-24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0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91A1 (ko) * 2018-11-01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08337B1 (ko) 2023-05-31 2023-11-29 이하림 에어 포켓 기반 엠보를 활용한 항균 페이퍼타올의 제조 방법
KR102607128B1 (ko) 2023-05-31 2023-11-29 이하림 항균성 페이퍼 타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91A1 (ko) * 2018-11-01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00050516A (ko) * 2018-11-01 2020-05-12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608337B1 (ko) 2023-05-31 2023-11-29 이하림 에어 포켓 기반 엠보를 활용한 항균 페이퍼타올의 제조 방법
KR102607128B1 (ko) 2023-05-31 2023-11-29 이하림 항균성 페이퍼 타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6669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청미래덩굴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01027A (ko) 산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028A (ko) 초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1799A (ko) 신이화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케어용/헤어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케어용 조성물
KR102124556B1 (ko)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4692B1 (ko)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2439A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JP7028803B2 (ja) 美白剤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60004567A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