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83B1 -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83B1
KR101838983B1 KR1020150144762A KR20150144762A KR101838983B1 KR 101838983 B1 KR101838983 B1 KR 101838983B1 KR 1020150144762 A KR1020150144762 A KR 1020150144762A KR 20150144762 A KR20150144762 A KR 20150144762A KR 101838983 B1 KR101838983 B1 KR 10183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liposome composition
vinegar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430A (ko
Inventor
고은아
은소희
현승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식초를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함으로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로 인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식초를 피부 진피층으로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고, 식초가 리포좀 내에 포접되어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LIPOSOME COMPOSITION CONTAING VINEGA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식초를 리포좀 제형으로 제조함으로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상태는 크게 건성, 중성, 지성, 복합성, 및 악건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피부 보습 상태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피부 자체의 보습상태에 따라 피부노화의 진행 정도가 변화될 수도 있다.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주름 형성과 피부각화 현상을 들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나이가 들면서 피부가 점차 그 고유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노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지만, 피부노화는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된다.
환경에 따른 노화의 주 원인으로는 태양광에 의한 광노화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프리라디칼은 결합조직의 비정상적인 교차결합과 절단으로 인하여 주름 형성 및 피부탄력 저하 등을 유발하며, 또한 피부 각화 현상을 유발한다. 이외에도, 피부의 수분 보유능력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히아루론산의 절단 및 저 분자량화를 촉진시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력을 감소시키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각질층은 약 2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함량이 피부상태를 결정짓는 유연성과 윤택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가 되면 피부의 생리작용이 저하되어 피부가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되고 거칠어지며 각종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피부의 수분 손실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특히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보습력을 높이기 위한 물질들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식초는 피부를 알칼리성에서 약산성으로 중화시킬 수 있고, 단백질을 만드는 아미노산이 풍부해 피부 보습에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식초는 많은 염을 포함하고 있어 제형의 안정성이 나쁘기 때문에 한국공개특허 10-2015-0016648처럼 정제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지만, 이럴 경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식초 화장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6648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에 이용할 수 있도록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제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로서,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식초 0.1~34 중량%,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 1~1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은 입경이 70~200nm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레시틴,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오일 0.1~10 중량% 및 폴리올 1~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에틸올리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C12-15-알킬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PPG-2 이소데세스-7 카복실레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아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롤-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틸헥실 말레이트, 폴리글리세롤-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에틸헥산오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코코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보에니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데실렌클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D-판테놀 및 1,2-옥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식초 0.1~34 중량%,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 1~1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0 중량% 만큼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1) 정제수 및 식초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30 내지 90℃의 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2) 상기 수상부에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하여 30 내지 90℃의 온도에서 1,000 내지 4,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3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3) 30 내지 65℃의 온도에서 1,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20분간 추가로 교반하여 단계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초 및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리포좀 조성물 총 충량 대비 각각 0.1~34 중량% 및 1~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4) 상기 (3) 단계에서 교반되어 제조된 리포좀 조성물을 15 내지 60℃의 온도에서 500 내지 3,000 bar의 압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로 인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식초를 피부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로 인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식초를 피부 진피층으로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하고, 식초가 리포좀 내에 포접되어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도 1은 제형예 1에 대한 피부 보습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식초 0.1~34 중량%,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 3~1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은 입경이 50~20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150 nm일 수 있다.
리포좀은 피부침투를 위한 대표적인 제형기술로서 친수성 물질을 세포막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지질-이중막으로 싸서 액정화하고, 상기 액정이 다시 친수성 액에 콜로이드 상태로 유지되는 안정화된 제형이다. 지질 이중막으로 이루어진 리포좀은 이중 지질막으로 이뤄진 각질 피부 세포 간극을 통하여 또는 직접 세포를 관통하여 진피층까지 친수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을 침투시킬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리포좀 조성물에서 식초가 0.1 중량% 미만이면 보습효과가 미미하여 보습 화장료로서 이용가치가 없고, 34 중량%를 초과하면 리포좀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식초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3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식초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초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알코올 식초, 사과식초, 포도식초, 맥아식초, 청주박식초, 증류식초, 석류식초, 오미자식초, 복분자식초, 홍삼식초, 오디식초, 또는 백련초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식초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대비 1~1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레시틴,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레시틴,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혼합 중량비는 5~15 : 1~5 : 1 일 수 있다.
레시틴은 인지질을 성분으로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이라고도 한다. 레시틴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양친매성 성질을 갖고 있어 유화제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의학계에서는 약물 전달 물질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세라마이드는 내ㆍ외부의 스트레스(stress)로 인하여 손상 받은 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과 같은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일 수 있고, 1종이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양이 상기 중량비로 포함될 경우 적절한 피부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리포좀 조성물의 안정도 저하 또는 겔화(gelation)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피부각질 구조에서 세라마이드, 지방산과 함께 세포의 막계(膜系)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막 구조나 기능에 큰 역할을 한다. 상기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올리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오일 0.1~10 중량% 및 폴리올 1~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카프릴릭/카프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에틸올리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C12-15-알킬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PPG-2 이소데세스-7 카복실레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아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롤-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틸헥실 말레이트, 폴리글리세롤-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에틸헥산오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코코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보에니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데실렌클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D-판테놀 및 1,2-옥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4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을 2~50 중량%만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35 중량% 만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이 2 중량% 미만일 경우 보습 능력이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 외에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통상적인 화장료의 제형이라면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또는 영양화장수 등의 스킨,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또는 바디에센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보습제 0.1 내지 5 중량%,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 2~50 중량%, 카보머 0.01 내지 1 중량%, 가용화제 0.1~5 중량%, 방부제 0.1~5 중량% 및 중화제 0.01 내지 1 중량%을 포함하는 스킨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1) 정제수 및 식초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30 내지 90℃의 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2) 상기 수상부에 피부 지질 구성 성분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하여 30 내지 90℃의 온도에서 1,000 내지 4,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3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3) 30 내지 65℃의 온도에서 1,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20분간 추가로 교반하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 및 (2) 단계는 수상부와 유상부를 유화시키는 단계로서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이 생성된다. 상기 (2) 단계에서 교반 속도는 2,000 내지 3,000 rpm일 수 있고, 5 내지 15분 간 교반시킬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 폴리올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고, 폴리올 첨가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25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 오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는데, 오일 첨가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8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3) 단계를 통하여 리포좀 내부에 식초가 포접되고, 3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의 온도로 식힌 다음, 이를 1,000 내지 3,000 rpm의 속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2,500 rpm의 속도로 1 내지 20분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분간 교반시킬 수 있다.
상기 식초 및 세포막 지질 성분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0.1~34 중량% 및 1~1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성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의 리포좀 조성물 제조방법은 (4) 상기 (3) 단계에서 교반되어 제조된 리포좀을 15 내지 60℃의 온도에서 500 내지 3,000 bar의 압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4)를 통하여 상기 식초가 포접된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을 2차 유화하여 식초를 포함하는 나노 사이즈의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초를 포함하는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을 1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00 내지 3,000 bar,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2,00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 bar의 압력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 처리하여 2차 유화 함으로써, 상기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을 나노사이즈로 크기를 줄여, 식초를 포함하는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아래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이용하였다. 표 1에서, 수상부를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유화조 내에 투입하여 75℃의 온도로 가온하고, 이와는 별도로 유상부를 가온과 교반이 가능한 유상용해조에 투입하여 75℃로 가온하였다. 수상부가 들어있는 진공 유화조에 준비된 유상부를 투입하고,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2,500 rpm의 속도로 8분간 교반하여 1차 유화하여 벌키(Bulky)한 구상의 리포좀을 형성시켰다.
이를 50℃로 냉각시키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2,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 안에 식초를 포접시켰다.
벌키한 구상의 리포좀을 35℃에서 고압형 유화기[Microfluidizer]에 투입하여 1,000 bar의 압력으로 3회 처리하여 2차 유화하여 나노 사이즈의 식초를 포함하는 인지질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정제수 34.5 42.5 52.5 62.5 66.5 67.49 27.5 17.5 7.5
식초 33 25 15 5 1 0.01 35 50 6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20 5 20


레시틴 5 5 5 5 5 5 5 5 5
세라마이드 1 1 1 1 1 1 1 1 1
콜레스테롤 0.5 0.5 0.5 0.5 0.5 0.5 0.5 0.5 0.5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5 5 5 5 5 5
비타민 E 1 1 1 1 1 1 1 1 1
실시예 1 내지 5는 리포좀이 안정하게 형성되었지만, 비교예 1은 식초의 양이 너무 적어서 보습효과가 미미하고, 비교예 2는 리포좀이 잘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표 1의 리포좀 형성 조성물에서 식초의 함량은 0.1~34 중량% 범위를 만족해야, 보습효과가 있으면서도 리포좀이 잘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형예 실시예를 포함하는 스킨 화장료 조성물
상기 실시예 1의 리포좀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스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제형예 비교 제형예
1 2 3 4 1 2 3 4 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보습제 2 2 2 2 2 2 2 2 2
실시예 1 30 20 10 3 1 40 50 60 70
카보머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가용화
가용화제 0.6 0.6 0.6 0.6 0.6 0.6 0.6 0.6 0.6
방부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중화제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복합 1.5 1.5 1.5 1.5 1.5 1.5 1.5 1.5 1.5
제형예 1 내지 4, 및 비교 제형예 1은 피부에 자극이 없었으나, 비교 제형예 2 내지 5는 피부에 강한 자극이 느껴졌다. 한편, 비교 제형예 1은 피부에 자극이 없었으나, 피부에 바른 후에도 얼굴 땡김이 계속 느껴져 보습력이 매우 미미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비교 제형예 2 내지 5는 고온(40℃)에서 변색 및 변취가 확인되었으나, 제형예 1 내지 4는 변색 및 변취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형예 1 내지 4가 제형 안정성, 피부 저자극 및 보습력 효과 면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식초 리포좀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내지 35 중량% 함유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유추해낼 수 있다.
실험예 - 피부 보습력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제형예 1에 대하여 수분측정기(corneometer, Courage and Khazaka사)로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제형예 1에서 실시예 1을 제외한 화장료를 사용하였다.
보습력 시험 방법은 팔을 폼 클렌저로 씻은 후, 항온항습(22±2 ℃, 상대습도 50±5 %) 조건에서 도포 전, 도포 후 30분, 도포 후 2시간, 도포 후 3시간, 도포 후 4시간 간격을 두고 수분 함유량을 측정 하였고, 시간에 따른 개선율도 계산하였다. 개선율은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15100291889-pat00001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수분함유량(단위 : A.U.) 및 개선율
도포 전 30분 2시간 3시간 4시간
대조군 수분 함유량 26.7 31.48 32.08 31.53 31.48
개선율 - 17.90 20.15 18.09 17.90
제형예 1 수분 함유량 26.22 37.14 32.75 31.63 31.77
개선율 - 41.65 24.90 20.63 21.17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스킨이 식초 화장료를 적용하지 않은 스킨에 비해 보습력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보습 지속력 또한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1)

  1.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로서,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식초 0.1~34 중량%,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 1~15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레시틴,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순서대로 5~15:1~5: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은 입경이 50~2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조성물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오일 0.1~10 중량% 및 폴리올 1~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에틸올리에이트,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옥틸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C12-15-알킬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PPG-2 이소데세스-7 카복실레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아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롤-이소스테아레이트, 디에틸헥실 말레이트, 폴리글리세롤-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 에틸헥산오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코코글리세라이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보에니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데실렌클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6-헥산디올, 1,2-헥산디올, 1,2-펜탄디올, D-판테놀 및 1,2-옥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 정제수 및 식초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30 내지 90℃의 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2) 상기 수상부에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투입하여 30 내지 90℃의 온도에서 1,000 내지 4,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30분간 교반하는 단계; 및
    (3) 30 내지 65℃의 온도에서 1,000 내지 3,000 rpm의 속도로 1 내지 20분간 추가로 교반하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포좀은, 식초가 포접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 및 피부 인지질 유사 성분은 리포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 0.1~34 중량% 및 1~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4) 상기 (3) 단계에서 교반되어 제조된 리포좀 조성물을 15 내지 60℃의 온도에서 500 내지 3,000 bar의 압력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44762A 2015-10-16 2015-10-16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62A KR101838983B1 (ko) 2015-10-16 2015-10-16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762A KR101838983B1 (ko) 2015-10-16 2015-10-16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430A KR20170045430A (ko) 2017-04-27
KR101838983B1 true KR101838983B1 (ko) 2018-03-16

Family

ID=5870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762A KR101838983B1 (ko) 2015-10-16 2015-10-16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0853B (zh) * 2020-07-22 2022-07-12 广州澳希亚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102609692B1 (ko) 2021-01-26 2023-12-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430A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206561A (ja)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957276B (zh) 一种多效羟基频哪酮视黄酸酯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34788B1 (ko) 미생물 유래 당지질계 유화제를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KR101762416B1 (ko) 화장료용 마이셀 조성물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KR2013002391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44908B1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천연 오일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38983B1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0202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KR100715311B1 (ko) 경피흡수가 증진되고 우르솔산이 안정화된 주름개선 화장료및 그 제조방법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56116B1 (ko)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39396A (ko)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2842A (ko) 유효성분을 함유한 큐보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592347B2 (ja) 外用剤組成物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