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92B1 -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692B1
KR102609692B1 KR1020210010812A KR20210010812A KR102609692B1 KR 102609692 B1 KR102609692 B1 KR 102609692B1 KR 1020210010812 A KR1020210010812 A KR 1020210010812A KR 20210010812 A KR20210010812 A KR 20210010812A KR 102609692 B1 KR102609692 B1 KR 10260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prou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7758A (ko
Inventor
김승현
최수정
강병하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6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rout extracts}
본 발명은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밀(Polygonum fagopyrum),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산성의 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의 표면은 pH 4.5 내지 6.5의 사이의 약산성으로, 각종 세균과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조건이다.
사람의 피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pH가 상승하게 되고, 피부의 pH를 낮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부를 약산성에 가깝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약산성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칼리화 되어 있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회복시키고 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식초를 토너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식초를 일정 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새싹 추출물을 첨가하여 피부 미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는 경우, 피부 보습 및 진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941호 (2018.06.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5430호 (2017.04.27)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메밀(Fagopyrum esculentum),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의 피부 보습 및 진정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산성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메밀(Fagopyrum esculentum),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경우 보습 및 진정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새싹 복합 추출물을 0.03 내지 60.00 중량%, 0.03 내지 30.00 중량%, 0.03 내지 20.00 중량%, 0.03 내지 10.00 중량%, 0.03 내지 5.00 중량%, 0.03 내지 1.00 중량%, 0.30 내지 60.00 중량%, 0.30 내지 30.00 중량%, 0.30 내지 20.00 중량%, 0.30 내지 10.00 중량%, 0.30 내지 5.00 중량%, 0.30 내지 1.00 중량%, 0.60 내지 60.00 중량%, 0.60 내지 30.00 중량%, 0.60 내지 20.00 중량%, 0.60 내지 10.00 중량%, 0.60 내지 5.00 중량%, 0.60 내지 1.00 중량%, 0.90 내지 60.00 중량%, 0.90 내지 30.00 중량%, 0.90 내지 20.00 중량%, 0.90 내지 10.00 중량% 또는 0.90 내지 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0.90 내지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감압증류,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의 씨로부터 새싹을 발아시켜 0.3 내지 0.5 cm 길이의 새싹을 채취하고, 8 내지 10℃의 온도 조건에서 감압증류하여 각각의 새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효율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약산성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식초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식초는 사과식초, 현미식초, 감식초 및 복분자식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과식초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에 일정 함량의 식초가 배합되어 약산성을 나타낼 경우, 보습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초를 0.01 내지 10.00 중량%, 0.01 내지 5.00 중량%, 0.10 내지 10.00 중량%, 0.10 내지 5.00 중량% 또는 1.00 내지 10.00 중량%, 1.00 내지 5.00 중량% 또는 2.00 내지 10.00 중량%, 예를 들어, 2.00 내지 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pH 값은 4.5 내지 6.5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6.0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pH 값을 조성함으로써, 알칼리화 되어 있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회복시키고 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추출물, 사탕수수출물, 솔비톨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제외한 용제로서 에탄올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으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새싹 복합 추출물을 0.03 내지 60.00 중량%, 0.03 내지 30.00 중량%, 0.03 내지 20.00 중량%, 0.03 내지 10.00 중량%, 0.03 내지 5.00 중량%, 0.03 내지 1.00 중량%, 0.30 내지 60.00 중량%, 0.30 내지 30.00 중량%, 0.30 내지 20.00 중량%, 0.30 내지 10.00 중량%, 0.30 내지 5.00 중량%, 0.30 내지 1.00 중량%, 0.60 내지 60.00 중량%, 0.60 내지 30.00 중량%, 0.60 내지 20.00 중량%, 0.60 내지 10.00 중량%, 0.60 내지 5.00 중량%, 0.60 내지 1.00 중량%, 0.90 내지 60.00 중량%, 0.90 내지 30.00 중량%, 0.90 내지 20.00 중량%, 0.90 내지 10.00 중량% 또는 0.90 내지 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0.90 내지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0.01 내지 10.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0.10 내지 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감압증류, 용매추출, 증류 및 수증기 증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초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식초는 사과식초, 현미식초, 감식초 및 복분자식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과식초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초를 0.01 내지 10.00 중량%, 0.01 내지 5.00 중량%, 0.10 내지 10.00 중량%, 0.10 내지 5.00 중량% 또는 1.00 내지 10.00 중량%, 1.00 내지 5.00 중량% 또는 2.00 내지 10.00 중량%, 예를 들어, 2.00 내지 5.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 값은 4.5 내지 6.5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6.0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pH 값을 조성함으로써, 알칼리화 되어 있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회복시키고 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새싹 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메밀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서양유채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 및 잇꽃 새싹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메밀, 서양유채 및 잇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에 대하여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새싹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단계는 감압증류, 용매추출, 증류 및 수증기 증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새싹 복합 추출물 함량에 따른 피부 수분도(arbitraru units; A.U)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제조예 1: 새싹 추출물의 제조
메밀(Polygonum fagopyrum),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의 씨로부터 새싹을 발아시켜 길이가 0.3 내지 0.5 cm인 새싹을 채취하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200 mbar, 10℃ 이하의 조건에서 감압증류 방법으로 3종의 새싹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중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상온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 rpm으로 5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정제수 48.555 48.255 47.955 47.655 48.855 49.2
새싹추출물(메밀) 0.1 0.2 0.3 0.4 - -
새싹추출물(서양유채) 0.1 0.2 0.3 0.4
새싹추출물(잇꽃) 0.1 0.2 0.3 0.4
사과식초 2.0 2.0 2.0 2.0 2.0 2.0
향료 0.8 0.8 0.8 0.8 0.8 0.8
에탄올 30.0 30.0 30.0 30.0 30.0 30.0
사탕수수추출물 2.5 2.5 2.5 2.5 2.5 2.5
카라기난추출물 2.5 2.5 2.5 2.5 2.5 2.5
프로판디올 2.5 2.5 2.5 2.5 2.5 2.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5 2.5 2.5 2.5 2.5 2.5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 1.0 1.0 1.0 1.0 1.0
옥틸도데세스-16 1.0 1.0 1.0 1.0 1.0 1.0
부틸렌글라이콜 2.5 2.5 2.5 2.5 2.5 2.5
글리세린 2.5 2.5 2.5 2.5 2.5 2.5
1,2-헥산다이올(방부제) 1.0 1.0 1.0 1.0 1.0 1.0
시트릭애씨드(pH 조절제) 0.015 0.015 0.015 0.015 0.015 -
소듐시트레이트(pH 완충제) 0.33 0.33 0.33 0.33 0.33 -
제조 결과,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 모두 투명한 액상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pH 5.0 내지 6.0 정도의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H 조절제와 pH 완충제가 배합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는 pH가 다른 조성물들에 비하여 비교적 낮게 측정되었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25 내지 45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바디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보습감, 영양감, 진정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상기 기준 중 보습감은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느껴지는 촉촉한 정도, 영양감은 피부에 도포 시 피부에 영양과 보습을 부여하는 느낌, 진정감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자극받아 달아오르거나 지친 피부를 완화시키는 느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며 특히 보습감 및 진정감은 기능성 화장료의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사용감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평가기준: 2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17-24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9-16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8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보습감 X
영양감 X
진정감
전반적인 만족도 X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비교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감, 영양감, 진정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나머지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새싹 복합 추출물이 적정량 배합된 실시예 3이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 복합 추출물이 더 첨가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3에 비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새싹추출물이 존재하지 않는 조성물인 비교예 1은 보습감, 영양감 및 진정감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2는 각각 보습감과 영양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지속력 평가
새싹 복합 추출물(메밀 새싹 추출물:서양유채 새싹 추출물:잇꽃 새싹 추출물=1:1:1)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하여 하박(팔꿈치부터 손목까지의 부위) 내측에서의 보습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성인 여성 5명(평균 연령 27.8세)을 대상으로 시험 30분 전 시험부위(하박 내측, 2 cm x 2 cm)를 미온수로 세정하였다. 10분 동안 항온 항습실(22±2℃, 40 내지 60% RH)에서 대기한 뒤, 시험부위의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제품 8 ul을 시험 부위에 고루 펴발라 흡수시킨 후, 제품 도포 직후, 2시간 후, 4시간 후 및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3번 반복되었으며 평균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도(arbitraru units; A.U)의 변화율을 산출한 뒤, 도포 전의 값과 비교하였다.
시료 8시간 후 피부수분도(A.U)
비교예 1 37.6
실시예 1 42.8
실시예 2 46.8
실시예 3 51.8
무도포 32.1
도 1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새싹 복합 추출물을 0.3 내지 0.9 중량% 포함한 시료는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보습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그 효과는 함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시료의 조성이 보습 효과를 발휘하는 데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6 내지 0.9 중량%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메밀(Fagopyrum esculentum)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 L.)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로 이루어진 것인,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새싹 복합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 추출물, 사탕수수 추출물, 솔비톨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1 내지 20 중량%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6 내지 0.9 중량%의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새싹 복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메밀(Fagopyrum esculentum)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 서양유채(Brassica Campestris)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 및 잇꽃(Carthamus tinctorius L.) 새싹 추출물 0.2 내지 0.3 중량%로 이루어진 것인,
    새싹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새싹 복합 추출물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카라기난 추출물, 사탕수수 추출물, 솔비톨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1 내지 20 중량%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KR1020210010812A 2021-01-26 2021-01-26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12A KR102609692B1 (ko) 2021-01-26 2021-01-26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12A KR102609692B1 (ko) 2021-01-26 2021-01-26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58A KR20220107758A (ko) 2022-08-02
KR102609692B1 true KR102609692B1 (ko) 2023-12-05

Family

ID=8284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12A KR102609692B1 (ko) 2021-01-26 2021-01-26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6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11B1 (ko) 2012-07-03 2014-07-17 (주)바이오시엠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2635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2971A (ko) * 2010-02-11 2011-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5668A (ko) * 2012-06-29 2014-02-07 애경산업(주)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838983B1 (ko) 2015-10-16 2018-03-16 한국콜마주식회사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941B1 (ko) 2017-01-18 2018-07-05 한국콜마주식회사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211B1 (ko) 2012-07-03 2014-07-17 (주)바이오시엠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2635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mnbv0328/222122096407) . 코페르 릴리프 크림. 2020.10.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58A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263B1 (ko)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147307A (ko) 자연에서 유래한 성분이 함유된 약산성 샴푸, 약산성 트리트먼트 및 약산성 헤어팩 그리고 이를 이용한 두피 및 모발 개선 방법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9164A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CN114366678A (zh) 一种液体状护肤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173530B1 (ko)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KR102609692B1 (ko)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853195A (zh) 皮肤治疗组合物和防腐体系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CN115068373A (zh) 一种用于头部保健的龙脑香头皮按摩精华油及其制备方法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KR102276289B1 (ko) 모발용 조성물
KR102151305B1 (ko)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2108116B1 (ko)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7482A (ko) 유효 성분으로서 마누카 벌꿀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화장품 조성물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973740B1 (ja) 肌美容組成物および肌美容方法
CN107714586B (zh) 一种含有芦荟提取物的补水保湿滋润霜
JPH0881350A (ja) 化粧料
KR101957360B1 (ko) 쌀겨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263581B1 (ko) 유자 종자 및 현미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