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668A -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668A
KR20140015668A KR1020120071119A KR20120071119A KR20140015668A KR 20140015668 A KR20140015668 A KR 20140015668A KR 1020120071119 A KR1020120071119 A KR 1020120071119A KR 20120071119 A KR20120071119 A KR 20120071119A KR 20140015668 A KR20140015668 A KR 2014001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uts
sprout
skin
extract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서
조인식
김승태
임혜진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7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5668A/ko
Publication of KR2014001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증식을 통한 항산화 효과와 미세 피부결 증가 효과가 우수하면서, 피부 미백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ntaining Bud Extract}
본 발명은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및 미백 증진효과가 우수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피부탄력의 저하, 피부과산화로 인한 푸석거림 및 미세한 잔주름 등의 피부 노화 증후는 여성들에게 있어서 매우 큰 고민으로 이에 대한 지연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이의 문제로, 최근 10여년 동안 자신들의 피부를 더욱 더 젊게 가꾸어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가지고 있던 깨끗하고 매끄러운 피부를 가꾸는 것이 대다수 여성들의 큰 관심사가 되었고 점차 그 연령대가 어려지고 있으며, 심지어 남성들도 자신들의 피부상태 개선과 노화방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기 시작하면서, 항노화에 대하여 효과가 우수한 원료뿐만 아니라, 이를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되어 전세계적으로 항노화 및 주름, 탄력개선 화장품은 스킨케어 시장에서 큰 부분을 자리 잡고 있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께,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또한 레져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런 요구에 부응하여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의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나타나는 제형 및 안정성의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에 배합시 안정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동시에, 주름 및 미백 증진 효과가 우수하면서 특이취가 적어 화장료에 배합이 용이한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주름 및 미백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DPPH를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제품의 도포 후 피부 처짐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Means+SEM).
도 3은 12주 후 안면피부처짐 개선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왼쪽: 비교예 3, 오른쪽: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제품 사용 후 진피 치밀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12주 후 진피 치밀도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왼쪽: 비교예 3, 오른쪽: 실시예 2).
도 6은 제품의 도포 후 피부색의 변화(L*, a* valut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Means + SEM).
도 7은 12주 사용 후 안면 색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왼쪽: 비교예 3, 오른쪽: 실시예 2).
도 8은 제품의 도포 후 턱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Means + SEM).
도 9은 턱선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왼쪽: 비교예 3, 오른쪽: 실시예 2).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에 배합시 그 안정성(stability)과 안전성(safety)이 뛰어난 동시에 주름과 미백의 증진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새싹 추출물에 대하여 여러 가지 유효성 및 안전성을 정밀 조사한 결과, 효과가 우수하면서 특이취가 적고 피부에 안전한 새싹 추출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식물의 발아는 식물체의 가장 중요한 시기로써 다양한 생리활동이 일어난다. 이 시기에는 씨앗의 구성성분이 인체 필수성분으로의 변화하면서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A, C, B1, B2, B3, B5, B6) 및 미네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식물성 호르몬인 지베렐린(gibberellin, 분해효소 활성), 사이토키닌(cytokinin 분열촉진, 유근, 유아 발생 촉진), 오옥신(auxin, 유근, 유야 신장과 굴지성 활성) 등의 분비가 촉진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연구 대상이 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은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들로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들 새싹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어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세포활성 촉진 효과, 그리고 미세 피부결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라든가 이와 관련된 보고는 현재까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들 새싹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입증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이란 세포 증식, 항산화 효과 및 미백 증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새싹"이란 각 식물의 종자를 육묘판에 파종하고 싹틔우기를 하거나, 종자를 용기 내에서 수분을 공급하여 싹을 틔운 후, 종자가 하얗게 발아되면 육묘판에 파종하는 방법으로 재배하여 짧은 경우 3∼5일, 긴 경우 12∼15일, 일반적으로 8일 전후로 수확한 크기 6∼50㎜의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새싹 추출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미세 피부결 증진 효과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새싹 채소는 유기농으로 재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농이란 일체의 화학 비료, 유기 합성 농약(농약. 생장조절제. 제초제), 가축 사료 첨가제 등 일체의 합성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자연광석,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을 말한다. 따라서, 화학 비료와 농약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없앨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건강한 채소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첨가되는 이들 새싹 7종은 전세계적으로 식용으로 재배되면서 많은 변종 및 품종으로 개량되어 있어 각각에 대한 학명을 정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들 7종은 기술된 학명의 변종 및 품종으로써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식물을 의미한다.
상기 밀새싹은 화본과 외떡잎식물로서 혈액 속에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주어 우리 몸의 독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능력이 있는 엽록소가 풍부하며 또한 각종 비타민, 미네랄, 효소 등이 듬뿍 들어있다.
상기 연자심은 수련과 (Nympha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생식물 연꽃 (Nelumbo mcifera Gaertner)의 성숙한 열매의 껍질 부분을 제거한 종자로서 맛은 달며, 성질은 평이하다. 연밥 혹은 연자로 불리우며 예부터 한방 및 민간에서 약재 혹은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연꽃은 사용부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는데 잎은 하엽, 뿌리는 우절, 과방은 연방, 암술은 연수, 종자 안의 녹색 배아를 연자심이라 한다. 연자육은 한방에서 주로 지혈, 어혈제거, 해혈, 토혈, 혈뇨, 혈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지사, 이뇨, 해열, 항균 및 항당뇨, 항산화 등의 효능이 있다. 연자육의 주요 성분으로는 nuciferine, N-nornuciferine, O-nornuciferine, roemerine 등의 aporphine계 alkaloid와 liensinine, isoliensinine, neferine 등의 phenolic alkaloid 및 (+)-1(R)-coclaurine, (-)-1(S)-norcoclaurine 등 benzylisoquinoline alkaloid 성분들이 있으며, 그밖에 (+)-catechin,(+)-gallocatechin, quercetin, kaempferol 등의 flavonoid 화합물 및 tryptophan, asparagine, tyrosine 등 amino acid 성분들이 있다.
상기 메밀(Polygonum Fagopyrum)은 마디풀목 마디풀과(여뀌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의 열매로 그싹의 효능은 널리 알려져 있다. 메밀은 노화를 예방하는 루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모세혈관의 탄력성을 지켜주고 혈압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시스틴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 미용에 좋고 필수아미노산과 비타민B가 풍부해 다이어트에 탁월하다 메밀싹의 루틴(Rutin) 성분이 섬유아세포(fibroblasts)의 콜라겐(collagen) 합성을 촉진시키고, (Plant Foods Hum Nutr. 2006 Mar;61(1):29-34), 메밀싹의 루테인(Lutein)이 피부의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Skin Pharmacol Physiol. 2007;20(4):199-210). 또한 메밀의 싹에 함유된 루테인(Lutein)이 광노화와 광에 의한 종양생성을 억제한다.
상기 유채(Brassica campestris의 변종 및 품종) 새싹(Blassica sprout)은 유채유 및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유채싹의 카로틴(Carotene) 성분이 사람 피부에서 콜라겐(Collagen) 합성을 증가시킨다. (Dermatology. 2010;221(2):160-71.)
상기 들깨는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암과 주름억제 효능이 있으며, 실제로 들깨싹은 자사 항산화 테스트에서 콜라게네이즈(MMP-1) 억제 및 섬유아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상기 콩새싹은 제니스테인(genistein) 성분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생기는 콜라겐(collagen) 합성 저해를 막고 (Acta Pol Pharm. 2008 Mar-Apr;65(2):203-11) 콩새싹의 제니스테인(genistein) 성분은 피부 보수(skin repair) 촉진 및 상처 치유(Wound healing) 효과가 우수하다 (J Pharmacol. 2010 Jul;160(5):1185-94). 또한 콩싹의 제니스테인(genistein) 성분이 UV에 의한 피부세포 노화를 억제한다(J Dermatol Sci. 2010 Apr;58(1):19-27. Epub 2010 Feb 16.).
상기 보리새싹은 루테올린(Luteolin)이 피부 케라틴 세포(Skin keratinocytes cell)에서 UV에 의해 생긴 콜라게네이즈(MMP-1)를 감소시키고 (J Dermatol Sci. 2011 Jan;61(1):23-31. Epub 2010 Nov 9), 보리새싹의 루테올린(Luteolin)이 UV에 의해 생긴 DNA 손상과 ROS 그리고 염증반응을 감소시킨다 (Free Radic Biol Med. 2011 Jan 31). 또한, 보리새싹의 루테올린(Luteolin)이 UV에 의해 생긴 피부 암(Skin cancer)을 억제시킨다 (Cancer Res. 2010 Mar 15;70(6):2415-23. Epub 2010 Mar 9).
상기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은 세포 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효과, 티로시나제(Tyrosinase) 억제 효과에 의한 미백 증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세포독성이나 알러지 등 피부 부작용이 없어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2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새싹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생약의 특이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5∼5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젤, 비누, 팩 또는 바디크렌저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이들의 신선한 새싹을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서 5∼5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으로 추출한 후 여과 및 분리하여 본 발명의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가 되는 새싹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험예, 실시예, 비교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1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10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150g, 콩새싹 200g, 보리새싹 200g)을 물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0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2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125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150g, 콩새싹 175g, 보리새싹 200g)을 함수 부틸렌글리콜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41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3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125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125g, 콩새싹 200g, 보리새싹 200g)을 부틸렌글리콜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5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4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10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175g, 콩새싹 175g, 보리새싹 200g)을 함수 에탄올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7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5
완전 건조시킨 여덟 가지 혼합 원료(밀새싹 5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200g, 콩새싹 200g, 보리싹순 100g, 맥아 100g) 1kg을 에탄올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2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6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5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200g, 들깨새싹 175g, 콩새싹 175g, 보리새싹 200g) 부탄올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27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7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10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200g, 들깨새싹 150g, 콩새싹 150g, 보리새싹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0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8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5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75g, 들깨새싹 175g, 콩새싹 200g, 보리새싹 200g)을 메탄올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25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혼합 추출물 제조예 9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5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00g, 유채새싹 175g, 들깨새싹 200g, 콩새싹 175g, 무우 200g)을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3g(건조중량)을 얻었다.
새싹 추출물 제조예 10
완전 건조시킨 일곱 가지 혼합 원료 1kg(밀새싹 50g, 연자심 100g, 메밀새싹 150g, 유채새싹 150g, 들깨새싹 175g, 콩새싹 175g, 보리새싹 200g)을 함수 글리세린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새싹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29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예 : 새싹 추출물 복합체의 섬유아세포의 증식 시너지 효과 확인
인체의 진피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96 공 평판배양기에 1 공당 5000 개의 농도로 각각 24 시간 키운 후, 10% 우태아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Welgene)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의 새싹 추출물이 각각 50, 500ppm 농도로 포함된 1% 우태아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 배지로 교체한 후, 48 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WST-1 용액(Roche)을 1/10배로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이 끝난 평판 배양기는 450 nm에서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원료명 대조군 대비 상대적 발현량 (%)
50 ppm 500 ppm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 120.22 150.02
밀새싹 112.32 120.22
들깨새싹 109.68 110.65
메밀새싹 106.35 108.02
유채새싹 116.63 134.02
연자심 85.68 106.32
콩새싹 102.46 124.65
보리새싹 101.32 123.22
상기 표 1를 참조하면, 연자심을 제외한 6가지 추출물 각각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촉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새싹 추출물에 의하여 대략 105 내지 130%의 범위에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혼합 추출물에서는 각각의 섬유아세포 증식효과 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단독 추출물보다 혼합 추출물일 때 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새싹 추출물 복합체의 항산화력 측정
7종의 새싹 추출물에 대하여 건조 중량 100 g을 DMSO에 10% 농도가 되도록 녹여 준비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비타민 C를 물에 녹여 1% 농도로 준비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에탄올에 녹여서 100 μM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 준비된 새싹 추출물 용액과 비타민 C 용액을 에탄올로 1/2 연속 희석(serial dilution)하여 5 개 농도로 용액을 만든 다음, 각각의 용액 10 ㎕와 DPPH 용액 190 ㎕를 혼합하여 37℃에서 30 분간 인큐베이션 하였다. 540 nm에서 OD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들깨새싹, 메밀새싹, 유채새싹, 보리새싹, 밀새싹, 콩새싹, 연자심 순으로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 새싹 추출물 복합체의 세포독성과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을 B16melanomacells을 이용한 MTT 분석으로 세포독성(cytotoxicity)을 측정한 후, 멜라닌 함량 분석으로 멜라닌합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 알려진 코지산(kojic acid)과 알부틴(arbutin)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멜라닌합성 저해효과는 3회를 측정하여 IC50(μM)의 평균값으로 표 2에 요약하였다.
새싹 추출물 복합체의 세포독성과 멜라닌합성 저해효과
화합물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IC50 (μM)
Cytotoxicity

IC 50(μM)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 38 127
코지산 12 >400
알부틴 22 359
연구결과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은 멜라닌합성 저해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멜라닌합성 저해효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명쾌한 결론을 얻을 수 없지만 멜라닌 함량 분석 결과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성분임을 보여주고 있다.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에 대한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버섯 티로시나아제 분석(mushroom tyrosinase assay)으로 측정하여 표 3에 요약하였다.
새싹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화합물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
IC50 (mM)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추출물 0.02
밀싹 0.562
들깨싹 0.452
메밀싹 0.222
유채싹 0.125
연자심 0.520
콩싹 0.321
보리싹 0.222
Kojic acid 0.118
Arbutin 0.183
trans-Ferulic acid 0.559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는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kojic acid에 비하여 효과가 10배 이상 높았다. 또한 유사한 구조의 Ferulic acid 보다 높은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에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임을 보여 준다. 상기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제인 코지산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은 가수분해 방법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거의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
성 분 명 중 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스테아린산 0.5 0.5 0.5
에탄올 10.0 10.0 10.0
바셀린 1.0 1.0 1.0
스쿠알란 2.5 2.5 2.5
유동파라핀 6.0 6.0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5 1.5
1,3-부틸렌글리콜 8.0 8.0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0.8 0.8
향료 0.2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 0.02 - -
Kojic acid 0.04 -
Arbutin - 2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 인체시험예 1] 인체 피부 미백 효과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직경 1.5㎝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크림을 각 1중량%씩 바르고, 10주 동안 상태변화를 관찰했다.
1주 단위로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식(1)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값이 2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L* = 도포완료시점에서의 L*값 - 도포개시 할 때 L*값 ......식(1)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 료 턴오버 주기 (day)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1.71± 0.13 1.26± 0.13 1.56± 0.11
상기 표 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를 사용할 경우 △L*값이 1.6 이상으로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코지산에 비해서도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인체시험예 2] 인체 피부 자극 시험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20명에 대해 48시간 첩포한 후 30분 내지 1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탐독하여 이를 1차 판정한 다음 제거하고 48시간 이후에 다시 판독하여 이를 2차 판정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낸다.
인체 피부 첩포 결과
시 료 FACE ARM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 2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 E G E E E E
아주 우수; (E), 우수; (G), 보통; (M), 불량; (B)
상기한 피부 자극 시험 결과로부터,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의 제품은 비교예에 비하여 자극성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3
하기 표 7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
성 분 명 중 량(%)
실시예 2 비교예 3
스테아린산 0.5 0.5
에탄올 10.0 10.0
바셀린 1.0 1.0
스쿠알란 2.5 2.5
유동파라핀 6.0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5
1,3-부틸렌글리콜 8.0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0.8
향료 0.2 0.2
방부제 적량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 0.02 -
정제수 잔부 잔부
[ 인체시험예 3] 인체 피부처짐 , 진피치밀도 , 피부색 및 턱선 개선 효과
본 시험은 병력 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시험 목적에 적합한 30세 이상의 여성 피험자 13명을 선정하였고,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 동안 항온항습 조건(22±2℃, 50±5%)에서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여하였다.
평가는 상기 실시예2 및 비교예 3의 제품 사용 전, 제품 사용 4주, 8주 및 12주 후 시점에서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안면 피부 처짐, 진피치밀도, 피부 색 및 턱선을 측정하였으며, 사용 종료시점인 12주 후 시점에서는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사용된 기기는 다음과 같다.
항목 장치 제조사 부위
1 피부 처짐 PRIMOS® body GFMesstechnikGmbH(Germany) Lateral face (R)
2 진피 치밀도 Dermascan® C Cortex (Denmark) Crow's feet (R)
3 피부색 Spectrophotometer®CM-2500d Minolta (Japan) Pigmented site
Facial stage®DM-3 Moritex (Japan) Lateral face (R)
4 턱선 Facial stage?DM-3 Moritex (Japan) Lateral face (R)
Image-pro®plus USA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안면 피부 처짐 촬영은 안면 3차원 촬영장치인 PRIMOS®body를 이용하여 안면 좌측을 사진촬영 하였고, 이미지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뺨 측면의 볼륨을 분석하여 피부 처짐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진피 치밀도 측정은 초음파 이미지 촬영장치인 Dermascan®C를 이용하여 오른쪽 눈가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된 이미지의 Intensity 값을 분석하였다.
피부색 평가는 피부색의 변화를 정향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Spectrophotometer® CM-2500d를 이용하여 색소침착 부위의 L*(Luminance), a*(Chrominance) 값을 측정하였다.
턱선 평가는 안면촬영장치인 Facial stage® DM-3 (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안면 우측을 사진 촬영하였고, 턱선은 이미지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처짐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1) 3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안면 피부 처짐 분석 결과, 실시예 2, 비교예 3의 제품 사용 12주 후 시점에서 실시예 2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에서 피부 처짐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2 및 도 3 참조).
피부 처짐에서 피부 볼륨의 통계 분석 (n=10)
Week N Mean¹ SD SEM p-value* Decrement(%)
0W 10 4.39 1.77 0.56 - -
4W 10 4.23 1.64 0.52 0.069 3.64▼
8W 10 4.21 1.56 0.49 0.067 4.10▼
12W 10 4.07 1.58 0.50 0.046* 7.29▼
¹평균값의 감소는 피부 처짐의 개선을 나타낸다(▼).
* 처리 전(0W)과 비교한 p<0.05에서 현저한 차이.
(2) 진피 치밀도 분석 결과, 실시예 2, 비교예 3의 제품 비교시 모든 평가 시점에서 실시예 2(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제품)가 진피치밀도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4 및 도 5 참조).
진피 치밀도의 통계 분석 (n=10)
Week N Mean¹ SD SEM p-value* Decrement(%)
0W 10 11.98 0.50 0.16 - -
4W 10 12.60 0.93 0.29 0.021* 5.18△
8W 10 13.07 0.82 0.26 0.001* 9.10△
12W 10 13.38 0.65 0.20 0.000* 11.69△
¹평균값의 증가는 진피 치밀도의 개선을 나타낸다(△)
* 처리 전(0W)과 비교한 p<0.05에서 현저한 차이.
(3) 피부색 분석결과, L*value와 a*value 모두 제품 사용전과 비교시 모든 시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6 및 도 7 참조). (n=10)
Parameter Week N Mean SD SEM p-value* Decrement
(%)
L*1
0W 10 60.29 1.81 0.57 - -
4W 10 60.72 1.58 0.50 0.010* 0.71△
8W 10 60.85 1.64 0.52 0.007* 0.93△
12W 10 61.24 1.36 0.43 0.000* 1.58△

a*²
0W 10 12.76 1.21 0.38 - -
4W 10 12.24 0.99 0.31 0.025* 4.08▼
8W 10 12.22 1.29 0.41 0.017* 4.23▼
12W 10 11.50 0.75 0.24 0.000* 9.87▼
1 평균값의 증가는 밝아진 피부 톤의 개선을 나타낸다(△).
²평균값의 감소는 크로미넌스 피부 톤의 개선을 나타낸다(▼).
* 처리 전(0W)과 비교한 p<0.05에서 현저한 차이.
(4) 턱선 분석 결과,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교시 제품 사용 8주 및 12주 후 시점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도 8 및 도 9 참조).
턱선의 통계 분석
Week N Mean SD SEM p-value* Decrement(%)
0W 10 19.07 2.67 0.85 - -
4W 10 19.18 2.62 0.83 0.111 0.58△
8W 10 19.31 2.54 0.80 0.030* 1.26△
12W 10 19.45 2.55 0.81 0.005* 1.99△
1 평균값의 증가는 턱선의 개선을 나타낸다(△).
* 처리 전(0W)과 비교한 p<0.05에서 현저한 차이.
또한 피험자에 의한 효능 설문 평가 결과, 실시예 제품 사용 12주 후 시점에서 "피부 처짐 개선" 항목에서 피험자의 90%가, "피부 탄력 개선" 항목은 피험자의 80%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사용성 종합 설문 평가 결과, "만족도" 항목에서 피험자의 80%가, "색" 항목에서는 60%가, "발림성", "흡수력" 항목에서 피험자의 50%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Claims (4)

  1. 유효성분으로서 밀새싹, 연자심, 메밀새싹, 유채새싹, 들깨새싹, 콩새싹 및 보리새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20.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5∼50 중량%로 냉침 또는 온침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젤, 비누, 팩 또는 바디크렌저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71119A 2012-06-29 2012-06-29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5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119A KR20140015668A (ko) 2012-06-29 2012-06-29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119A KR20140015668A (ko) 2012-06-29 2012-06-29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668A true KR20140015668A (ko) 2014-02-07

Family

ID=5026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119A KR20140015668A (ko) 2012-06-29 2012-06-29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566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086A (ko) 2014-05-08 2015-11-18 김형길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JP5898799B1 (ja) * 2015-03-31 2016-04-0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60116320A (ko) * 2016-09-27 2016-10-07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항염증 효과가 있는 암(暗) 조건에서 최아된 들깨새싹 추출물
KR101879953B1 (ko) * 2016-11-17 2018-07-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00108122A (ko) * 2019-03-05 2020-09-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도인자 처리를 이용한 기능성 발아밀 제조방법
WO2021095966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진셀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7758A (ko) * 2021-01-26 2022-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607489A (zh) * 2022-10-09 2023-01-17 皓雨(广州)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含发芽分泌水的化妆品原料及该分泌水的制备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086A (ko) 2014-05-08 2015-11-18 김형길 화장료 조성물과 제조방법
JP5898799B1 (ja) * 2015-03-31 2016-04-0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60116320A (ko) * 2016-09-27 2016-10-07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항염증 효과가 있는 암(暗) 조건에서 최아된 들깨새싹 추출물
KR101879953B1 (ko) * 2016-11-17 2018-07-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00108122A (ko) * 2019-03-05 2020-09-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도인자 처리를 이용한 기능성 발아밀 제조방법
WO2021095966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진셀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7758A (ko) * 2021-01-26 2022-08-02 코스맥스 주식회사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607489A (zh) * 2022-10-09 2023-01-17 皓雨(广州)化妆品制造有限公司 一种含发芽分泌水的化妆品原料及该分泌水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5668A (ko)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CN103989589B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JP2009529499A (ja) ベルバスコシドおよびルテオリンを含む組合せまたは植物抽出物、並びに、色素沈着の調節のための美容用または医薬用組成物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US907904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100783063B1 (ko)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056B1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513468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レッドビート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6669A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099130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3773B1 (ko) 유자 또는 지실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513469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クウシンサイ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030055950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7874B1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3745B1 (ko)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KR20130040317A (ko) 다래나무 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9559B1 (ko) 범의귀과 식물로부터 유래된 피부 미백효능을 가지는 식물추출물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8201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3203A (ko)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미백기능성 제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